KR20090017349A - 전동식 무빙 카트 - Google Patents

전동식 무빙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349A
KR20090017349A KR1020070082014A KR20070082014A KR20090017349A KR 20090017349 A KR20090017349 A KR 20090017349A KR 1020070082014 A KR1020070082014 A KR 1020070082014A KR 20070082014 A KR20070082014 A KR 20070082014A KR 20090017349 A KR20090017349 A KR 20090017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handle
driving
unit
operation ba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희주
현병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피아
Priority to KR1020070082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7349A/ko
Publication of KR20090017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3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1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62B5/0447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using elements cooperating with a handle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병원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전동식 무빙 카트를 적용하는데 있어서, 전후 진행과 그 때의 속도 조절 그리고 회전 방향의 전환의 편의성과 안전성 확보에 중점을 둔 인체공학적 운전 조작부를 구비한 전동식 무빙 카트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은, 일 측에 손잡이가 설치되고, 운반할 물건이나 장비 등을 실어 나르는 공간으로 이루어진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에 실어 둔 물건이나 장비 등을 목적지까지 운반하기 위해 구동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적재부에 실어 둔 물건이나 장비 등을 목적지까지 운반되도록 조작하는 운전 조작부;로 구성되는 전동식 무빙 카트에 있어서, 상기 운전 조작부는 상기 적재부에 설치된 손잡이와 겸용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바 형태의 핸들로 이루어져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 형태의 핸들을 전후로 회전하면서 전후 진행과 그 때의 회전 정도에 따른 속도로 조절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바 형태의 핸들을 좌우로 이동하면서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무빙 카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식 무빙 카트 {The moving cart of electro-motion type}
이 발명은 전동식 무빙 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원이나 공장, 대형 마트 등에서 환자, 물건이나 장비 등을 운반하는데 있어서 전후 진행 및 좌우 회전 시에 간편하고 안전하게 속도와 방향을 인체 공학적으로 조작 제어할 수 있는 운전 조작부를 적용한 전동식 무빙 카트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 공장 등에서는 자동화 라인을 설치하여 생산 속도 증가와 함께 작업자도 손쉽게 일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예를 들면 중소규모 공장이나 병원 등에서 좁은 공간이나 근거리로 환자나 물건, 장비 등의 운반 시에는 사람의 힘을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이 낮으며 근 골격계 질환과 같은 직업병도 발생될 수 있다.
이로부터 종래 단순한 형태의 무빙 카트로 힘겹게 운반하던 것으로부터,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변환하는 모터를 이용하여 무거운 물건이나 장비 등도 손쉽게 운반할 수 있게 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전동식 무빙 카트(10)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상기 전동식 무빙 카트(10)는, 적재부의 일 측에 설치되는 운전 조작 레버(11)와는 별도로 방향 조작 레버(12)를 장착하고, 상기 운전 조작 레버(11)와 방향 조작 레버(12)를 조작하여 전후 진행과 그 때의 속도를 속도 조절 볼륨(13)의 조작에 의해 조절하는 한편 좌우로의 방향 회전을 하면서, 적재부에 다량을 적재한 상태에서 편리하게 운반하고 상기 운전 조작 레버(11)에서 손을 떼면 자동으로 정지되게 한다.
그러나 종래 전동식 무빙 카트(10)는, 상기 운전 조작 레버(11) 이외에 별도의 방향 조작 레버(12)를 조작하여 전후 진행과 방향을 조절하고 또한 속도 조절 볼륨(13)의 조작에 의해 속도를 조절하면서 다량의 물건이나 장비 등을 적재한 상태로 운반하는 도중에, 긴박한 상황에서 신속하고 안전한 조작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진이나 후진의 진행과 더불어 방향 전환 조작까지 하는 상황에서 오른손과 왼손의 서로 다른 동작으로 속도 조절까지 하기에는 오른손과 왼손의 서로 각각 움직임에 부자유스러움이 있어 운전의 자유로움과 긴급 상황시의 대처에 있어서 신속한 조치를 적절히 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로부터, 이 발명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병원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전동식 무빙 카트를 적용하는데 있어서, 전후 진행과 그 때의 속 도 조절 그리고 회전 방향의 전환 조작의 편의성과 안전성 확보에 중점을 둔 인체공학적 운전 조작부를 구비한 전동식 무빙 카트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은, 일 측에 손잡이가 설치되고, 운반할 물건이나 장비 등을 실어 나르는 공간으로 이루어진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에 실어 둔 물건이나 장비 등을 목적지까지 운반하기 위해 구동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적재부에 실어 둔 물건이나 장비 등을 목적지까지 운반되도록 조작하는 운전 조작부;로 구성되는 전동식 무빙 카트에 있어서, 상기 운전 조작부는 상기 적재부에 설치된 손잡이와 겸용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바 형태의 핸들로 이루어져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 형태의 핸들을 전후로 회전하면서 전후 진행과 그 때의 회전 정도에 따른 속도로 조절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바 형태의 핸들을 좌우로 이동하면서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무빙 카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 형태의 핸들을 전후로의 회전과 좌우로의 이동이 동시에 구현되게 하여 속도와 방향을 동시에 조절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목적지까지 운반을 최적으로 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이 발명의 전동식 무빙 카트에 의하면, 종래 전동식 무빙 카트의 운전 조작 레버, 방향 조작 레버와 속도 조절 볼륨을 겸용으로 할 수 있도록 바 형태로 이루어진 핸들을 일체적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바 형태로 이루어진 핸들을 전후로 회전하면서 전후 진행과 그 때의 회전 정도에 따른 가감속의 속도를 조절하는 한편 좌우로 이동하면서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조절함으로써, 다량의 물건이나 장비 등을 적재한 상태에서 별도로 구분되는 조작 행동이 없어 쉽고 간편하여 여성이나 노약자를 비롯하여 누구나 적은 힘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협소한 장소에서 중소규모의 편리한 운반수단으로서 작업자의 직업병을 예방하여 병원뿐만 아니라 산업 현장, 창고형 대형마트 등에서도 적용할 수 있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작업의 효율성 증대로 향상된 근로 환경을 제공하여 근로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전동 조작용 운전 조작 레버, 방향 조작 레버와 속도 조절 볼륨을 각각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사용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이는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이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무빙 카트의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무빙 카트의 운전 조작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운전 조작부의 조작 바 핸들 주변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3의 조작 바 핸들 주변의 내부 구성을 포함한 운전 조작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무빙 카트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 한 것이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무빙 카트는, 적재부의 일 측에 설치되고, 상기 적재부에 실어 둔 물건이나 장비 등을 목적지까지 운반하기 위해 구동되는 구동부를 제어하는 운전 조작부(100)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재부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운반할 물건이나 장비 등을 실어 나르는 공간을 구비하고, 여기에 목적지로 운반할다양한 대상물을 다량으로 적재한다.
상기 구동부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 하부에 설치되는데, 전방 좌우측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가 설치되며 후방 좌우측에는 원활한 운행을 확보하기 위한 캐스터를 설치한다.
상기 구동부의 구동 모터는, 상기 운전 조작부(100)에 의해 좌우측의 속도를 같게 한 상태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전진 또는 후진하게 하거나 좌우측의 속도를 달리한 상태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적재부에 실어 둔 물건이나 장비 등을 목적지까지 운반시킨다.
상기 운전 조작부(10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 형태의 핸들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적재부의 일 측에 설치되는 손잡이와 겸용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손잡이와 일체적으로 형성시켜, 운반할 때 상기 바 형태의 핸들을 조작하여 전후로 회전 또는 좌우로의 이동을 각각 또는 동시에 조작하면서 정지, 전진 및 후진, 전진 및 후진 가ㆍ감속, 전진 및 후진 좌ㆍ우회전, 정지 상태 180ㅀ 좌ㆍ우회전, 비상 정지를 자유로이 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상기 운전 조작부(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들 작동부와 조작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핸들 작동부에는, 조작 바 핸들(101)과, 조작 바 핸들 지지베어링(102)과, 지지 베어링 고정 볼트(103)와, 회전각 검출 볼륨(104)과, 고정핀(105)과, 회전각 검출 볼륨 지지판(106)과, 볼륨 슬라이딩 안내 바(107)와, 조작 바 핸들 스톱롤러(108)와, 스톱 롤러 원점 복귀 스프링(109)과, 복귀 스프링 고정대(110)과와, 조작 바 핸들 초기점 지지대(111)와, 조작 바 핸들 최대점 스토퍼(112)와, 좌측 텐션 유지용 스프링(113)과, 우측 텐션 유지용 스프링(114)과, 좌회전 검출 리미트 스위치(115)와, 우회전 검출 리미트 스위치(116)와, 메인 바디(117)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은, 원형 또는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서 작업자가 잡고 조작하는데 편리하게 한다.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은, 운전 조작부(100)의 커버를 이루면서 적재부의 일 측에 부착 설치된 메인 바디(117)의 돌출 형성된 양 측 사이에서 지지베어링 고정 볼트(103)에 의해 상기 메인 바디(117)와 견고하게 고정된 조작 바 핸들 지지베어링(102)에 양 측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조작 바 핸들 지지베어링(102)은, 상기 지지 베어링 고정 볼트(103)에 의해 메인 바디(117)와 일체적으로 견고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의 좌측 또는 우측 슬라이딩 이동과 전진 또는 후진의 진행 방향으로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회전각 검출 볼륨(104)은, 상기 메인 바디(117)의 내부에서 고정 핀(105)에 의해 조작 바 핸들(101)의 좌측에서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조작 바 핸들(101)과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된 해당 위치 값에 따른 상기 구동부의 구동 모터 속도를 결정하게 한다.
이 때, 상기 회전각 검출 볼륨 지지판(106)은, 상기 회전각 검출 볼륨(104)과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어 이동시켰을 때 상기 고정핀(105)과 함께 회전각 검출 볼륨(104) 값에 변동을 주지 않으면서 조작 바 핸들(101)을 좌우로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이 전진 또는 후진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좌우로의 이동도 된 경우 속도와 방향을 동시에 제어하여 목적지까지 운반을 최적으로 할 수 있게 하도록 한다.
상기 볼륨 슬라이딩 안내 바(107)는, 상기 회전각 검출 볼륨 지지판(106)에 형성된 구멍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각 검출 볼륨(104)과 상기 회전각 검출 볼륨 지지판(106)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탈 없이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한다.
상기 조작 바 핸들 스톱롤러(108)는, 조작 바 핸들(101)의 우측에 일체로 고정된 상태로 조작 바 핸들 초기점 지지대(111)와 조작 바 핸들 최대점 스토퍼(112) 사이에 위치하면서 조작 바 핸들(101)의 전진 또는 후진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조작 바 핸들 초기점 지지대(111)와 조작 바 핸들 최대점 스토퍼(112) 사이를 이동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 바 핸들 스톱롤러(108)는, 복귀 스프링 고정대(110)에 의해 일 측이 고정된 스톱 롤러 원점 복귀 스프링(109)의 타 측에 연결되어 상기 조 작 바 핸들(101)이 상기 스톱 롤러 원점 복귀 스프링(109)의 탄성에 의해 항상 조작 바 핸들 초기점 지지대(111)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텐션 유지용 스프링(113)(114)은,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의 좌우측 중심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일 방향으로 밀어 이동된 경우에도 힘이 제거되면 다시 중심을 유지하도록 복귀시키는 탄성을 제공한다.
상기 좌회전 또는 우회전 검출 리미트 스위치(115)(116)는,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어 이동시켰을 때 전부 접촉 또는 비접촉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좌회전 또는 우회전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좌회전 검출 리미트 스위치(115, A 접점)의 경우에는 평상시에 오프 접점을 유지하고 있는데,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우측으로 밀어 이동시켰을 때 눌려지면서 온으로 되는 신호를 적용한 것이고, 상기 우회전 검출 리미트 스위치(116, B 접점)의 경우에는 평상시에 오프 접점을 유지하고 있는데,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좌측으로 밀어 이동시켰을 때 눌림이 해제되면서 온 으로 되는 신호를 적용한다.
즉, 2개의 접점을 적용할 수 있는데, 평상시 오프 상태인 좌회전 검출 리미트 스위치(115)가 온 되면 좌회전 신호를 주고, 평상시 오프 상태인 우회전 검출 리미트 스위치(116)가 온으로 되면 우회전 신호를 주게 된다.
다음으로, 조작판에는, 전원 키 스위치(121)와,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122)와, 고속 스위치(123)와, 배터리 잔량 표시(124) 그리고 비상 정지 스위치(125)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 키 스위치(121)는, 키 스위치로 되어 있으며, 90ㅀ 회전시켜 온 또는 오프로 할 수 있다. 전원은, AC 220의 전원으로 충전기에 의해 2대의 배터리가 충전 사용되며, 2대의 배터리가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 모터 전원으로 사용된다.
상기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122)는, 전진, 후진, 진행 중 회전, 제자리 회전 등을 원터치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122)를 Forward 상태로 두고,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앞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부의 좌우측 구동 모터가 같은 속도로 회전하면서 전진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며, 이 때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우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전진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구동부의 우측 모터가 좌측 모터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좌측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좌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전진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구동부의 좌측 구동 모터가 우측 구동모터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우측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122)를 Backward 상태로 두고,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앞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구동부의 좌우측 구동 모터가 같은 속도로 회전하면서 후진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며, 이 때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우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후진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구동부의 좌측 구동 모터가 우측 구동 모터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우측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좌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후진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상기 구동부 의 우측 구동 모터가 좌측 구동모터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면서 좌측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122)를 Stop Turn 상태로 두면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앞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작동을 하지 않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우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상기 구동부의 좌우측 구동 모터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자리에서 좌측으로 180ㅀ 회전한다.
또한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좌측으로 밀어 이동시키면 상기 구동부의 좌우측 구동 모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자리에서 우측으로 180ㅀ 회전한다.
상기 고속 스위치(123)는, 작업자의 빠른 속도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1회 누름만으로 최대 속도 범위를 늘릴 수 있으며 또한 해제도 1회 누름으로써 간단히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배터리 잔량 표시(124)는, 전원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의 잔량을 5개의 램프로 표시하는데, 배터리 이용에 따른 소모에 대해 감소하는 방향으로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배터리의 충전상태와 충전시점을 알려준다.
상기 비상 정지 스위치(125)는, 긴급 상황 시에 정지를 위한 스위치로 1회 누름으로 긴급 정지하며 해제도 1회 누름으로써 할 수 있게 한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무빙 카트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작 바 핸들(101) 양측에 설치된 회전각 검출 볼륨(104), 좌회전 또는 우회전 검출 리미트 스위치(115)(116) 신호가 마이크로프로세서(MPU)에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PU)에서 조작된 전후 진행과 좌우 회전을 수행하도록 좌우측 구동 모터의 속도를 같거나 다르게 제어하는 속도 지령 신호를 상기 구동부로 출력한다.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무빙 카트에서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MPU)를 통해 상기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122)의 Forward 상태와 Backward 상태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원하는 진행 방향 조작 또는 가속이나 감속의 속도 조절 패턴을 단순하게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앞으로 또는 뒤로 회전시키면서 전후 진행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조작 바 핸들 스톱롤러(108)는, 상기 복귀 스프링 고정대(110)를 양 측에 두고 여기에 일 측이 고정된 상기 스톱 롤러 원점 복귀 스프링(109)들을 헤드 주변의 양 측에 각각 연결하면, 상기 조작 바 핸들 초기점 지지대(111)와 조작 바 핸들 최대점 스토퍼(112) 사이의 가운데에 위치하면서 조작 바 핸들(101)의 전진 또는 후진의 진행 방향과 같은 앞 방향 또는 뒤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조작 바 핸들 최대점 스토퍼(112) 또는 조작 바 핸들 초기점 지지대(111)로 이동하면서 해당 진행과 그 때의 속도를 조절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 바 핸들 스톱롤러(108)는 헤드 주변의 양 측에 각각 연결된 상기 스톱 롤러 원점 복귀 스프링(109)의 탄성에 의해,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이 항상 조작 바 핸들 초기점 지지대(111)와 조작 바 핸들 최대점 스토퍼(112)의 중간 위치로 유지 또는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이 발명의 전동식 무빙 카트의 작동 과정을 첨부하 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3의 운전 조작부를 조작하여 전진 또는 후진할 때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3의 운전 조작부를 조작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때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운전 조작부(100)를 조작하여 전진 또는 후진할 때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원 키 스위치(121)를 온 시키고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122)를 Forward로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서서히 진행 방향으로 돌리면 전진 시작과 더불어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돌리는 정도만큼 상기 고정핀(105)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된 해당 위치 값에 따른 상기 구동부의 구동 모터 속도를 결정하는 상기 회전각 검출 볼륨(104)에 의해 속도가 빨라지기도 하고 느려지기도 하면서 계속 진행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 바 핸들 스톱롤러(108)가 상기 스톱 롤러 원점 복귀 스프링(109)에 의해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이 항상 조작 바 핸들 초기점 지지대(111)로 복귀할 수 있도록 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의 진행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조작 바 핸들 초기점 지지대(111)와 조작 바 핸들 최대점 스토퍼(112) 사이만을 이동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전원 키 스위치(121)를 온 시키고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122)를 Backward로 선택한 상태에서, 조작 바 핸들(101)을 서서히 진행 방향으로 돌리면 후진 시작과 더불어 조작 바 핸들(101)의 돌리는 정도만큼 속도가 빨라지기도 하고 느려지기도 하면서 진행하는 것은 상기의 Forward로 선택한 상태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운전 조작부(100)를 조작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때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전원 키 스위치(121)를 온 시키고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122)를 Stop Turn으로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서서히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밀면 좌회전 검출 리미트 스위치(115) 또는 우회전 검출 리미트 스위치(116)를 동작시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제자리에서 180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좌측 또는 우측 텐션 유지용 스프링(113)(114)에 의해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의 좌우측 중심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일 방향으로 밀어 이동된 경우에도 밀어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다시 중심을 유지하도록 복귀시킨다.
이 경우,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밀어 이동시킨 방향에 위치한 상기 구동부의 구동 모터는,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밀어 이동시킨 반대 방향에 위치한 상기 구동부의 구동 모터보다 회전수를 많아지게 하거나, 단독으로 구동하여 밀려 이동시킨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122)를 Forward 또는 Backward로 선택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이 진행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좌우로의 이동이 되는 경우에도 진행 방향과 속도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로 조작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동시에 제어하여 목적지까지 운반을 최적으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각 검출 볼륨 지지판(106)을 상기 회전각 검출 볼륨(104)과 일체적으로 고정시켜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밀어 이동시켜도 상기 고정핀(105)과 함께 회전각 검출 볼륨(104) 값에 변동을 주지 않으면서 상기 조작 바 핸들(101)을 좌우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방 모니터 기능을 적용하면 물품을 높게 쌓아 적재했을 경우 작업자가 사람이나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고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며, 모터 구동 알고리즘을 최적화하여 에러나 과부하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이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는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도 이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도 1 은 종래 전동식 무빙 카트를 도시한 것이고,
도 2a 및 도 2b는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무빙 카트의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무빙 카트의 운전 조작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도 3의 운전 조작부의 조작 바 핸들 주변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도 3의 조작 바 핸들 주변의 내부 구성을 포함한 운전 조작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무빙 카트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도 3의 운전 조작부를 조작하여 전진 또는 후진할 때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3의 운전 조작부를 조작하여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때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래 전동식 무빙 카트
11 : 운전 조작 레버 12 : 방향 조작 레버
13 : 속도 조절 볼륨
100 : 이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무빙 카트의 운전 조작부
101 : 조작 바 핸들 102 : 조작 바 핸들 지지베어링
103 : 지지 베어링 고정 볼트 104 : 회전각 검출 볼륨
105 : 고정핀 106 : 회전각 검출 볼륨 지지판
107 : 볼륨 슬라이딩 안내 바 108 : 조작 바 핸들 스톱롤러
109 : 스톱 롤러 원점 복귀 스프링 110 : 복귀 스프링 고정대
111 : 조작 바 핸들 초기점 지지대
112 : 조작 바 핸들 최대점 스토퍼 113 : 좌측 텐션 유지용 스프링
114 : 우측 텐션 유지용 스프링
115 : 좌회전 검출 리미트 스위치
116 : 우회전 검출 리미트 스위치 117 : 메인 바디
121 : 전원 키 스위치 122 : 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
123 : 고속 스위치 124 : 배터리 잔량 표시
125 : 비상 정지 스위치

Claims (2)

  1. 일 측에 손잡이가 설치되고, 운반할 물건이나 장비 등을 실어 나르는 공간으로 이루어진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에 실어 둔 물건이나 장비 등을 목적지까지 운반하기 위해 구동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적재부에 실어 둔 물건이나 장비 등을 목적지까지 운반되도록 조작하는 운전 조작부;로 구성되는 전동식 무빙 카트에 있어서,
    상기 운전 조작부는, 상기 적재부에 설치된 손잡이와 겸용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바 형태의 핸들로 이루어져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바 형태의 핸들을 전후로 회전하면서 전후 진행과 그 때의 회전 정도에 따른 속도로 조절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한편, 상기 바 형태의 핸들을 좌우로 이동하면서 좌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무빙 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 형태의 핸들은, 상기 바 형태의 핸들을 전후로의 회전과 좌우로의 이동이 동시에 구현되게 하여 속도와 방향을 동시에 조절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목적지까지 운반을 최적으로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무빙 카트.
KR1020070082014A 2007-08-14 2007-08-14 전동식 무빙 카트 KR200900173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014A KR20090017349A (ko) 2007-08-14 2007-08-14 전동식 무빙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014A KR20090017349A (ko) 2007-08-14 2007-08-14 전동식 무빙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349A true KR20090017349A (ko) 2009-02-18

Family

ID=40686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014A KR20090017349A (ko) 2007-08-14 2007-08-14 전동식 무빙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734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858B1 (ko) * 2010-07-09 2013-12-12 장호연 쇼핑카트
WO2017061674A1 (ko) * 2015-10-05 2017-04-13 김우균 핸들 토크 감응형 밥차
KR20200049280A (ko) * 2018-10-31 2020-05-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 약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안내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약자 안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858B1 (ko) * 2010-07-09 2013-12-12 장호연 쇼핑카트
WO2017061674A1 (ko) * 2015-10-05 2017-04-13 김우균 핸들 토크 감응형 밥차
KR20200049280A (ko) * 2018-10-31 2020-05-0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교통 약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안내 로봇 및 이를 이용한 교통 약자 안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84018A1 (en) Power-assisted movable rack system
KR102032373B1 (ko) 전동식 이동 대차
JP5373985B2 (ja) 医用機器を保持するためのスタンド
EP0653341A1 (en) Motordriven trolley
KR20090017349A (ko) 전동식 무빙 카트
US20120012409A1 (en) Power-Assist Hand Truck or Platform Cart
JP4996577B2 (ja) 簡易設置型ロボット用出力制限機能付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を具えた簡易設置型ロボット
CN211496783U (zh) 一种避障式面板装配线物流配送智能小车
CN103112803B (zh) 一种堆高车及其操控方法
KR101797053B1 (ko) 전동식 이동 대차
KR100956139B1 (ko) 운전 기능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
JP2002321624A (ja) 移動装置
CN213228815U (zh) 清洁车
KR20180046910A (ko) 전동식 이동 대차
CN211055172U (zh) 搬运设备
KR20170001090U (ko) 전동 카트
JP6747131B2 (ja) バッテリ式産業車両
JPH0733524Y2 (ja) ワゴン車用操作桿構造
CN215595459U (zh) 一种可全向移动的多功能图书馆书梯
KR20160088988A (ko) 지능형 카트
KR20110009831A (ko)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
KR200398906Y1 (ko) 손수레 이송용 전동카트
CN110539787A (zh) 搬运设备
KR101754211B1 (ko) 무선 트롤리 로봇
EP3756634A1 (en) Manoeuvre device for moving transport structures, of the type used in health facilities or simil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102

Effective date: 2009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