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6766A - 감기 코어의 통과에 의하여 작동된 웨브재를 차단하는 메카니즘으로 웨브재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감기 코어의 통과에 의하여 작동된 웨브재를 차단하는 메카니즘으로 웨브재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6766A
KR20090016766A KR1020097000264A KR20097000264A KR20090016766A KR 20090016766 A KR20090016766 A KR 20090016766A KR 1020097000264 A KR1020097000264 A KR 1020097000264A KR 20097000264 A KR20097000264 A KR 20097000264A KR 20090016766 A KR20090016766 A KR 20090016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material
core
winding
separating device
wind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0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마노 마드다레니
안젤로 벤베누티
로베르토 모렐리
Original Assignee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파비오 페리니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2009001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7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6Cutting-off the web running to the wound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6Cutting-off the web running to the wound web roll
    • B65H19/267Cutting-off the web running to the wound web roll by tearing or bur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2238The web roll being driven by a winding mechanism of the nip or tangential drive type
    • B65H19/2269Cra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8/00Specific machines
    • B65H2408/20Specific machines for handling web(s)
    • B65H2408/23Winding machines
    • B65H2408/235Cr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리와인딩 머신은, 감기유닛(1,3,5)과; 웨브재(N)의 공급경로와; 감기 코어(A)의 삽입경로와; 각각의 로그 감기 완료시 웨브재를 절단하는 분리 장치(25)로 이루어진다. 분리 장치는 감기 코어의 통과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배치되고 생산된다.

Description

감기 코어의 통과에 의하여 작동된 웨브재를 차단하는 메카니즘으로 웨브재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LOGS OF WEB MATERIAL WITH A MECHANISM FOR INTERRUPTING THE WEB MATERIAL ACTIVATED BY PASSAGE OF THE WINDING CORES}
본 발명은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과 머신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배타적이지 않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화장실 페이퍼의 롤, 키친타올 등과 같은, 티슈 페이퍼를 제조하는 방법과 머신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키친타올, 화장실 페이퍼 등과 같은, 웨브재의 롤을 제조하기 위하여, 리와인딩 머신이 이용된다. 이들 머신은, 웨브재로 공급되며, 1겹 이상의 티슈 페이퍼 등에 의하여 형성되며, 대직경의 릴로부터 풀린다. 미리 정해진 양의 웨브재는 감기 코어에 감겨서 로그를 형성하며, 그 축길이는 리와인딩머신에 공급되는 웨브재의 폭과 동일하며 많은 경우에 있어서 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소형 완제품의 롤의 축길이 보다 크다. 이들 로그는 소망하는 크기의 각각의 롤로 연속적으로 절단되며, 이어서 패키징된다.
현대의 리와인딩 머신은 연속적으로 작업하며, 즉, 실질적으로 일정한 속도로 웨브재의 공급을 행한다. 실질적으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로그 감 기를 완료시 및 다음의 로그 감기를 개시하기 전, 즉, 교환단계 동안, 실질적으로 변형될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각각의 로그 감기 완료시 행해지는 교환단계는, 웨브재가 절단되어(바
람직하게는 가로천공라인을 따라서) 완성된 로그 둘레에 감기를 마친 최종 가장
자리를 형성하며, 이어진 로그를 형성하게 하는 새로운 감기 코어에 옮겨져야 하는 초기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웨브재를 절단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공지되었으며, 당해 장치는, 통상적으로, 각각의 감기의 완료시 웨브재의 절단하며, 초기 가장자리와 최종 가장자리를 형성을 행하기 위하여 작동기에 의하여 작동되며, 리와인딩 머신의 다른 부재와 동기하여 제어된다.
예를 들면, US-A-5,979,818호, 및 US-A-5,7689,352호 및 US-A-5,853,140호는, 웨브재가, 채널 속으로 삽입되는 동안에, 해당 웨브재 상에 작용해서 해당 웨브재를 커팅하거나 찢음을 행하는 절단 부재 혹은 분리 장치에 의해, 완성된 로그와 새로운 코어 사이에서 절단되는 리와인딩 머신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채널로 삽입하는 동안, 웨브재 위에서 작용하는 절단 부재 또는 분리 장치에 의하여, 완료로그와 새로운 코어 사이에서 웨브재가 절단되어, 웨브재를 커팅하거나 찢는, 리와인딩머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 분리 장치는 리와인딩머신의 다른 부분 및 특히 코어의 삽입용 시스템과 동기화된 모터에 의하여 이동된다.
다른 공지된 장치(GB-A-1,435,525호)에 있어서, 웨브재의 절단은 감기 영역으로의 코어의 삽입과 동기화된 가압된 에어 제트로 일어난다. US-A-4,487,377호 및 EP-A-454633호에 있어서, 웨브재는 새로운 감기 코어의 삽입과 동기하여 작동된 나이프 또는 블레이드에 의하여 각각의 로그 감기 완료시 절단된다.
US-A-5,137,225호는 고정표면과 삽입채널로 삽입된 새로운 코어 사이의 연동의 결과로서 웨브재가 찢어지며, 코어가 고정표면에 대하여 웨브재를 핀칭하므로 웨브재의 파단점을 초과하는 장력을 유발시키는 리와인딩 머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GB-A-2,105,688호 및 EP-A-524158호는, 웨브재가 감기 크래들을 형성하는 감기 롤러들 또는 하나의 감기 롤러의 가속에 의하여 찢어지는 리와인딩 머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웨브재의 찢어짐, 커팅 또는 일반적으로 절단을 얻기 위한 리와인딩 머신의 다른 부재와 분리 장치의 작용의 타이밍에 있어서, 소정의 순간은 해석상 복잡하고 미묘한 측면이 있다.
<발명의 목적과 요약>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은, 간단하고, 저렴하게, 또한 용이하게 제어하는 수단으로, 정확한 시간에, 즉, 각각의 로그 형성 사이클의 완료시 감기 코어의 삽입과 동기하여, 웨브재의 절단을 얻는 것이 가능한, 방법과 머신을 제공하는 데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방법은, 로그 감기 완료시, 삽입 경로 내에 삽입된 새로운 감기 코어 둘레에 감긴 초기 가장자리와 로그 둘레에 감긴 최종 가장자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절단되며, 웨브재는 분리 장치에 의하여 절단되며, 삽입경로를 따른 새로운 감기 코어의 통과에 의하여 직접 제어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실제로, 가능한 실시예에 의하며, 분리 장치는 수동부재이며, 그 이동 동안 감기 코어의 추력에 의하여 작동된다. 다른 실시에에 의하면, 분리 장치는, 코어의 통과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작동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그 통과의 특정한 위치에서 코어의 통과를 검출하며, 분리 장치의 작동 신호(적합한 작동기에 의함)에 의하여 생성되는 센세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작동된다. 웨브재의 절단을 유발하는 작동은 공급될 코어의 추력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지만, 코어가 감기 유닛 또는 감기 크래들을 향하여 상기 장치를 넘어서 이동해야 하는 경우, 작동기는 분리 장치의 뒤로 물러남을 유발한다.
가능한 실시에에 의하면,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삽입 경로를 따른 감기 코어의 공급과;
분리 장치에 구속된 제어 요소를 상기 삽입 경로를 따라서 제공하는 단계와;
코어가 삽입 경로를 따른 공급 동안 제어 요소와 상호작용하고, 분리 장치를 작동시키며 웨브재의 절단을 유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실제로, 발명은 특정한 제어기를 개재하여 머신의 다른 부재와 동기하기 위한 작동기를 수단으로 하지 않지만, 실제로, 코어는 수동 장치 내에 있는 분리 장치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분리 장치를 작동하는 원칙에 의거한다. 수동 장치는, 작동기없는 장치로서, 본 명세서의 영역 이내에서 의도되며, 그 삽입 경로를 따른 특정 위치에 있어서 코어의 통과에 의하여 제어된다.
발명의 특유한 실시예에 의하면, 방법은,
코어에 대한 롤링표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웨브재에 대하여 가동성 가이드 부재를 형성하며, 코어의 삽입용 채널을 롤링표면과 함께 규정하며, 웨브재가 가이드 부재와 접촉하면서 공급되는 단계와;
로그의 감기 완료시, 웨브재와 롤링표면이 접촉한 상태로, 채널 내에 새로운 감기 코어를 삽입하는 단계와;
채널을 따른 감기 코어를 공급하는 단계와;
감기 코어가 채널을 따른 분리 장치와 상호작용하며, 감기 코어의 이동은 웨브재 상의 상기 분리 장치의 작용을 유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진다.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웨브재의 절단 후, 그 삽입 경로를 따른 코어의 공급의 연속성은 삽입 경로에 관하여 분리 장치의 일시적인 뒤로 물러남을 유발하여 감기 코어를 통과하게 한다.
발명의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분리 장치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코어는 분리 장치와 가이드 부재 사이에서 웨브재의 핀칭을 유발하는 웨브재에 대하여 이 장치를 밀어낸다. 가이드 부재는, 벨트 또는 다른 가요성 요소, 서로 평행하는 벨트의 조립품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웨브재는 접촉상태에 있다. 웨브재의 공급 속도는, 용인할 수 있는 미끄럼을 제외하고는, 가이드 장치 또는 부재의 공급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는, 표면 리와인딩 머신 또는 주변의 감기 크래들을 규정하는 감기 롤러의 하나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리 장치는 발진 혹은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혹은 발진가능하
게 지지될 수 있고, 삽입경로를 따라 그의 통로를 지닌 코어로 인해 상기 분리 장치가 웨브재에 대해 발진을 일으켜 그의 찢어짐 혹은 절단이 일어난다.
바람직하게는 절단은 천공 라인을 따라서 일어난다. 또한, 절단은 천공이 없는 곳에서 일어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날카롭거나 또는 이빨형상을 가진 블레이드에 의하여 일어날 수 있다.
분리 장치는 평형추에 의하여 공전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거나, 또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탄력부재에 의하여, 예를 들면, 기계적 스프링, 공압식 스프링(공압식 피스톤-실린더 시스템 등) 또는 다른 적합한 장치에 의하여 공전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분리 장치는 동작되며, 즉, 그 삽입 경로를 따라서 공급된 코어에 의하여 그 위에 발휘되는 추력의 결과로서, 웨브재와 연동하기 위하기 동작 위치로 취해진다. 바람직하게는, 분리 장치는 코어의 공급 경로에 관하여 제2의 뒤로 물러남 위치를 구비함으로써, 경로를 따른 방해없이 자유롭게 로그 형성영역으로 코어가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상이한 측면에 따르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감기 코어 둘레에 감긴 웨브재의 로그를 생산하는 리와인딩 머신을 제공하며,
감기 유닛과;
웨브재의 공급경로와;
감기 코어의 삽입경로와;
상기 경로를 따른 통과 동안 상기 코어에 의하여 작동되며 삽입 경로에 있어서 감기 코어와 상호상호하도록 배열되고 디자인된, 각각의 로그 감기 완료시 웨브재를 절단하는 절단장치로 이루어진다.
상이한 실시예에 의하면, 발명은 감기 코어 둘레에서 웨브재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감기 크래들에 있어서 웨브재의 제1로그를 감는 단계와;
상기 제1로그 감기 완료시, 감기 크래들을 향하여 새로운 감기 코어를 공급하는 단계와;
감기 크래들을 향하여 공급되는, 새로운 감기 코어가, 분리 장치와 상호작용하여, 로그 상에 감기는 최종 가장자리와 새로운 감기 코어에 고정되려고 의도된 초기 가장자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웨브재를 절단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제2로그를 감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발명의 목적은,
감기 크래들과;
감기 크래들 방향으로 웨브재의 공급 경로와;
감기 크래들 방향으로 감기 코어의 삽입 경로와;
감기 완료시 웨브재를 절단하는 분리 장치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리와인딩 머신을 형성하는 데 있다.
발명에 의하면, 분리 장치는 코어의 삽입 경로를 따라서 배열되며 상기 삽입 경로를 따른 통과 동안 감기 코어와의 결합하여 작용하도록 생산되고 배치되어, 감기 코어는 분리 장치를 작동시켜서 웨브재의 절단을 유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발명의 특수한 측면에 의하면, 감기 코어가 삽입 채널을 따라서 구르면서 당해 감기 코어는 분리 장치에 대하여 추력을 발휘한다. 이 추력은 분리 장치를 작동시키며, 이로 인하여 웨브재가 절단된다.
상이한 측면에 따르면, 발명은 감기 머신에 관한 것이며,
감기 크래들과;
감기 크래들을 향하는 감기 코어의 삽입 경로와;
상기 삽입 경로를 따른 코어의 통과가 분리 장치의 이동, 웨브재 상의 찢어짐 또는 절단 작용을 유발하기 위하여, 로그 감기 완료시 웨브재를 절단하고, 코어의 삽입경로와 간섭하는, 분리 장치와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발명에 의한 장치의 방법과 머신의 다른 특징, 실시예 및 이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의 몇몇의 예를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개시된다.
발명은 발명의 실제적이고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개시하는, 이하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용이하게 이해되며, 동일하거나 균등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에 의하여 표시된다.
도 1a 내지 도 1f는 교환동작 시퀀스에 있어서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도2a 내지 도2f는 발명의 제2실시예의 동작 시퀀스를 도시하는 도.
도 3은 도 2b의 라인 Ⅲ-Ⅲ을 따라서 나타나는 단면을 도시하는 도.
도 4는 도 2a의 Ⅳ-Ⅳ을 따라서 나타나는 단면을 도시하는 도.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리와인딩 머신의 부재를 도시하며, 발명에 의거된 원칙을 이해하기 위하여 필요한 머신의 일부가 제한된다. 머신의 다른 부분은, 예를 들면, 특히 본 설명의 도입부에서 언급된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본래 공지된 방식으로 디자인될 수 있으며, 그 내용은 이하에서 완전하게 구체화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면의 특징을 도시하는 동작 시퀀스는 감기헤드의 부재를 도시하며, 즉, 이들 부재는, 각각의 관형상 코어 둘레의 웨브재의 각각의 로그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며, 웨브재를 공급하고 코어에 삽입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먼저 도 1a 내지 도 1f,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1)은 감기유닛(3)으로 이루어진 리와인딩 머신을 도시하며, 당해 리와인딩 머신(3)은, 회전(1A) 축을 중심으로 화살표(f1)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감기 롤러(1)와; 회전축(3A)을 중심으로 화살표(f3)를 따라서 회전하는 제2감기 롤러(3)와; 회전축(5A)을 중심으로 화살표(f5)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3감기 롤러(5)를 포함하는 감기유닛(3)으로 이루어진다. (7)은 발진아암을 표시하며, 해당 발진 아암은 롤러(5)를 이동하게 하여, 롤러(1)(3) 및(5)에 의하여 형성된 감기 크래들 내에 있는 로그(L)가 최종 크기의 직경으로 증가할 수 있게한다.
롤러(1)과 (3) 사이에, 니프(9)가 형성되며, 웨브재(N)가 니프를 통과하며(예를 들면, 티슈 페이퍼의 시트와 같은, 셀룰로오스 웨브재), 웨브재(N)를 마지막 이용 단계에서, 각각 분리될 수 있는, 각각의 단면 또는 시트로 분할하기 위하여 일련의 가로 천공 라인을 생성하는 천공기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웨브재가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면 또는 슈즈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적합하게 유지되는 서로 평행한 일련의 벨트 또는 하나의 벨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가동성 가이드 부재(13)에 부착 및 감기 롤러(1) 둘레에 부분적으로 신장하는 공급 경로를 따라서 웨브재(N)가 공급된다. 웨브재(N)의 가이드 부재(13)를 형성하는 벨트는, 바람직하게는, 감기 롤러(1)의 주변 속도 및 웨브재(N)의 공급 속도와 거의 동일한 주변 속도로 상기 롤러(1)의 축(1A)과 거의 평행한 축(15A)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롤러(15) 둘레에서, 각각의 환형상 홈 내에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속도는 감기 사이클 동안 특히 변환 단계 동안 거의 변하지 않게 된다.
가이드 부재(13)를 형성하는 벨트에 의하여 규정된 통로 내부에서, 롤러(1)와 (15) 사이에, 안내부재(13)를 형성할 벨트용의 미끄럼 및 안내홈을 구비할 수 있는 고정된 카운터 요소(17)가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3)의 하부 브랜치의 정면에, 도 3 및 도 4의 예에 의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얇고 서로 평행한 일련의 단면(21)에 의하여 형성된 롤링표면(19)이 연장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롤링 표면(19)을 형성하는 가시성 단면(21)이 있다. 각각의 단면(21)은 롤러(3)의 환형상 홈 내로 연장하며 언제나 머신 내에 삽입된 감기 코어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롤링 표면을 거기에 형성한다. 롤링표면(19)은, 이동성 가이드 부재(13)의 하부 브랜치와 함께, 코어의 삽입용 채 널(23)을 형성하며, 상기 채널은, 전체 영역에 있어서, 채널의 잔류 부분의 높이 보다 약간 낮은 높이를 구비하며, 이것은, 도시하지 않은, 삽입부재에 의하여 매 시간마다 삽입된 감기 코어의 신축성있는 변형을 야기한다. 실제로, 높이(h)는 감기 코어의 외부직경보다 낮다. 또한, 채널(23)의 잔류 부분은 이러한 외부 직경에 관하여 약간 낮아서, 가이드부재(13)를 형성하는 벨트에 접촉하는 공급 경로를 따라서 공급되는 웨브재(N)와 롤링표면(19)에 단단하게 접촉하는 다양한 감기 코어를 유지한다.
채널(23)의 신장부를 따른 중간 위치에 있어서, 분리 장치(25)가 배열되고, 이것은 각각의 로그의 감기 완료시 웨브재(N)을 절단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분리 장치는 도 4에 있어서 개략적 정면도로 도시된다. 가이드부재(13)의 하부 브랜치를 따라서 웨브재(N)의 공급 방향에 관하여, 대략 90°, 가로로 신장하는 공통축(29)을 중심으로 힌지되는 복수의 압착기(27)에 의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압착기(27)는 신축성 구조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L형상의 블랙켓의 부분을 형성하며, 채널(23)을 따른 코어와 웨브재(N)의 공급 방향(화살표 F)에 관하여 발진(29)축의 상류측에 채널(23)의 내부로 돌출하는 형상화된 돌출부(31)의 발진축(29)에 관하여 대향하는 측 위에 신장한다. (33)은 피스톤-실린더 작동기를 표시하며, 이것은 코어의 이동과 동기하는 분리 장치(25)를 각을 이루어 제어하고 이동하는 다른 부재에 의하여 또한 대체될 수 있으며, 도 1a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분리 장치(25)를 정상적으로 유지한다. 예를 들면,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전기모터가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리 장치(25)의 발진 축에 정렬된다. 작동기(33)의 작동(이것 이 피스톤 실린더 작동기, 전기모터 또는 다른 장치인지)은 코어의 통과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특수한 위치에 있어서 코어의 통과를 검출하는 센서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다. 도 1a는 이러한 기능을 가지는 센서(32)를 개략적으로 표시한다. 이것은 광센서, 광전지, 마이크로스위치 등일 수 있다. 센서(32)는 웨브재의 절단을 얻기 위해 반시계 방향으로 및/또는 웨브재의 커팅 혹은 절단 후 코어의 주행을 허용하기 위해 시계방향으로(재차 도면 참조) 장치의 발진을 제어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장치(25)의 발진 이동의 작동 부재로서 직접적으로 코어를 이용할 필요성이 저감되거나 삭제된다. 그러나, 어떠한 경우에 있어서도, 더욱 복잡한 리와인딩 머신에서 일어나는 것처럼, 머신의 다른 기계적 부재와 절단장치를 동기시킬 필요없이, 그의 삽입 경로의 특정 지점 혹은 영역 내 코어의 주행의 결과로서 웨브재의 절단 제어가 얻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단순한 신축성 부재가 이용될 수 있으며(피스톤-실린더 시스템(33)에 의하여 구성되는 공압식 스프링 등), 이것은 분리 장치(25)를 공전(idle)위치에 있게하며, 작동 이동은 코어의 통과에 의하여 전적으로 제어된다. 코어(A)가 이 장치를 넘어서 이동한 후, 쇼크 흡수기는 신축성부재와 조합될 수 있어 분리 장치(25)의 복귀 이동을 완충시킨다(도 1d로부터 도 1e까지의 통과).
도 1a의 공전(idle)위치에 있어서, 압착기(27)의 상부 단부(만약 유연한 재료 및/또는 높은 마찰 계수로 피복이 필요한 경우)는 카운터요소(17)와는 반대 위치에서 안내부재(13)와 접촉해서 공급되는 웨브재(N)로부터 소정거리에, 예컨대 수mm 혹은 수cm에 있다. 압착기(27)의 상부 단부 위에, 카운터 요소(17)에 대하여 웨 브재의 블레이킹(braking)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강체 또는 반강체 플레이트가 또한 탑재될 수 있다(도 2a). 더욱이, 카운터 요소(17)는 커팅 홈 또는 카운터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압착기(27)의 상부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이빨 모양의 프로파일이며, 홈을 관통하고 웨브재를 파단한다. 이 찢어짐 시스템은 특히, 가로 천공 라인 없는 웨브재인 경우에 있어서, 감기의 완료시에 찢어짐에 대하여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분리 장치(25)의 하류측에, 채널(23)을 따른 감기 영역을 향하여 공급되는 각각의 감기 코어 둘레의 웨브재의 제1회전분을 형성하거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의도된 가동성 기계적 부재(41)가 배치된다. 이 가동성 기계적 부재(41)는 부재의 부분으로 제한된 도 3에 도시된 형상부를 가질 수 있다. 실제로, 부재(41)는 웨브재(N)의 공급 방향에 관하여 대략 90°로 배향된 축(45) 둘레에 힌지되는 복수의 블랙켓(43)으로 형성되므로, 롤러(15)(1)(3) 및 (5)의 축(15A)(1A)(3A) 및 (5A)와 분리 장치(25)의 발진축(29)에 대략 평행하다.
각각의 블랙켓(43)은 돌출부(43A)를 구비하며, 비동작 또는 공전 상태에 있어서, 채널(3)의 내부에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한다. 돌출부(43A) 이외에, 각각의 블랙켓(43)은 굴곡 아암(43B)을 구비하며, 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당해 굴곡 아암은 서로로부터 비스듬히 3개의 직선 길이에 의하여 형성되지만, 굴곡된 형상부를 취할 수도 있거나 또는 서로로부터 비스듬히 보다 작은 수의 직선 길이 또는 일련의 직선과 곡선 길이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브랙켓(43)은 도 1a에 도시된 공전 위치에 있어서 상기 브랙켓을 유지하는 부재와 결합한다.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피스톤-실린더 가동기(47)에 의하여 구성되지만, 기계적 스프링, 코어 또는 더욱 단순한 평형추의 이동과 동기해서 가동성부재의 이동 및 각도 제어용 부재같이, 상이한 부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평형추는, 상기 가동성부재(41)의 적합하게 치수로 재어진 부분, 예를 들면, 부분(43B)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시된 머신은 도 1a 내지 도 1f을 차례로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개시된 방식으로 동작한다. 도 1a는 3개의 감기 롤러(1)(3) 및 (5)에 의하여 형성된 감기 크래들에 있어서 로그(L)를 감는 종국의 단계에 대하여 도시한다. 새로운 감기 코어는 채널(23) 내에 아직 삽입되지 않았다.
도 1b는 연속적인 스텝에 대하여 도시하며, 연속적인 감기 코어(A)는 원래 공지되고 도시되지 않은 타입의 삽입부재에 의하여 채널(23) 내로 삽입된다. 예를 들면, 카드보드, 플라스틱 또는 다른 유연한 재료로 구성된 감기 코어(A)는, 그 외부 직경보다 적은 높이의 채널 내로 억지로 삽입되어 가이드 부재(13)와 접촉하고 롤러(15) 둘레에 공급되는 웨브재(N)와 폴링표면(19)과 가압하에서 접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코어(A)는, 가능하며는 무시할 수 있는 미끄럼을 가진 채, 웨브재(N)의 공급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속도로 웨브재(N)와의 접촉점에서 각도적으로 가속된다.
코어(A)는 채널(23) 내부에서 신장하는 삽입경로를 수반하는 롤링표면(19)을 따라서 회전한다. 이러한 이동 동안, 코어(A)는 분리 장치(25)를 형성하는 브랙켓의 돌출부(31)와 만난다(도1b). 이들 돌출부(31)가 채널(23) 내부에서 돌출할 때, 코어(A)의 주행은, 발진점(29)의 상류측에 위치되는(코어의 공급 방향에 관하여)되는 돌출부(31)의 아래쪽으로의 추력을 유발한다. 이것은 분리 장치(25)의 화살표(f25)를 따른 반시계방향(도면에서)으로 발진을 유발한다. 따라서 분리 장치(25)의 압착기(27)의 상부 단부는, 웨브재(N)의 대향하는 측 위에 위치되는 카운터 부재(17)(만약 필요한 경우 유연재 및/또는 높은 마찰력으로 피복됨)와 압착기(27)의 굽은 상부단부 사이에서 그것을 핀칭하는 웨브재(N)를 가압한다. 바람직하게는, 압착기(27)는 가이드부재(27)를 형성하는 평행하고 떨어진 벨트들 사이에서 작용할 수 있으며, 웨브재(N)는 카운터 부재(27)와 압착기(27)의 상부 굽은 돌출부 사이에서 핀치되며,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카운터-시계방향 발진 이동(25)은 웨브재(N)가 정지하거나 공급의 방향에 관하여 대향하는 방향으로 매우 작은 이동을 유발한다. 그 결과로서, 웨브재는, 도시하지 않은, 천공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천공라인 중 하나를 따라서 찢어지므로, 로그(L) 위를 완전하게 감는 최종 자유 가장자리(C)와 새로운 감기 코어(A) 둘레에 감기기 위하여 개시하여야 하는 초기 자유 가장자리(T)를 형성한다(도 1b).
도 1c는 연속적 스텝에 대하여 도시하며, 당해 단계에서 감기 코어(A)는 압착기(27) 방향으로 채널(23)을 따라서 롤링하며, 웨브재(N)의, 초기 자유 가장자리(T)에 인접하는, 초기 부분(T1)은 분리 장치(25)의 압착기(27)와 새로운 감기 코어(A) 사이에서 루프를 형성한다. 감기 코어(T1) 둘레에서 웨브재의 제1회전분의 감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제트 에어 또는 흡입, 정전기 또는 다른 수단과 같은,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알려진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채널(23)을 따라서 롤링함으로써 주행을 연속적으로 행하며, 감기 코어(A)는 압착기(27)와 접촉하게 되고, 가이드 부재(13)에 의하여 부여된 롤링의 결과로서(삽입통로를 따라서 감기 코어의 공급부재를 또한 구성함), 압착기(27)에 대한 추력을 발휘한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복귀부재(33)의 힘을 극복하는 롤링표면(19) 아래에서 회수된다. 이들은 코어(A)를 웨브재(T1)의 루프 위에서 롤링하는 분리 장치(25) 넘어서 주행하게 한다(도 1d).
도 1e는, 감기 코어(A)가 도 1d의 위치에 관하여 훨씬 더 앞쪽에 있으며, 초기 가장자리에 이어지며 근접하는 웨브재(T1)의 점점 길어지는 길이를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가이드부재(13)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공급될 웨브재(N)에 의하여 180° 감기는 연속적인 단계에 대하여 도시하며, 상기 길이(T1)는 롤링표면(19) 위에서 정지하거나 복귀부재(33)의 당김 하에서 분리 장치(25)의 압착기(27)의 공전 위치로의 복귀에 의하여 약간 상승된다.
이어지는 도 1f에 있어서, 코어(A)는, 표면(19) 위에서 구르는 코어의 추력의 결과로서, 롤링표면(19) 하에서 회수되는 가동성 기계적 부재(41)의 돌출부(43A)에 마추치기 위하여 훨씬 더 앞쪽으로 이동하며, 결과적으로, 부재의 상호작용의 영향에 대하여, 굴곡 아암(43B)을 상승시키며, 그들의 형상으로 인하여, 롤링하는 코어(A)의 뒤쪽으로부터 감싸며, 거기에 반하여, 코어(A)와 롤링표면(19) 사이의 가압점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웨브재의 가장자리(T1)를 상승시킨다. 이러한 아암(43B)의 발진 이동은, 새로운 감기 코어(A) 둘레에 웨브재의 제1회전분을 완료시키거나 종료시킨다.
실제로, 아암(43B)의 말단 단부가 형상화되고 치수화되어 웨브재가 감기 롤러(1)와 접촉하며 감기 코어(A)와 접하는 영역에서 웨브재(N)의 가장자리(T1)를 밀어낸다. 표면(19)을 따라서 코어가 연속적으로 롤링한 다음 감기 롤러(3)와 접촉하는 것은 니프(9)를 통하여 코어의 삽입을 완료하고 이러한 코어를 감기크래들(1)(3)(5)로 취하며, 새로운 로그는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새로운 감기 코어(A) 둘레에 원래 알려진 방식으로 증가된다.
상기 개시로부터, 부재(25)와 (41)의 이용이, 웨브재의 절단과 각각의 새로운 코어(A) 위 초기 자유 단부 감기의 개시에 관한 양쪽 모두 종전 기술의 리와인딩 머신에 관하여 머신의 구조를 근본적으로 간략화하는 것에 대한 방법이 이해된다. 새로운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제 1회전분의 절단과 형성의 양쪽 모두는 감기 코어와 기계적 장치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일어나며, 상기 기계적 장치는 각각의 모터를 통전시키고 또한 다른 머신 부재, 특히 코어 삽입기와 동기시킬 필요가 없는 작동기가 쓸모없을 수 있다. 복귀부재(33)(47)의 양쪽 또는 단지 한쪽과 작동기, 예컨대 코어의 이동과 동기하는 제어부재와 이동부 등의 작동기로 대체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이들 작동기 메카니즘의 제거로 인하여 더욱 많은 이점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도 1a 내지 도 1f의 개시는, 발명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이점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실제로, 가동성 기계적 부재(41)는 웨브재 또는 더욱 구체적으로 초기 자유 가장자리(T)에 인접한 그 초기 부분을, 머신 사이클 마다 새로운 감기 코어에, 고정하기 위하여 그 이외의 임의의 대책이 필요하지 않다. 코어 는 접착제없이 유지될 수 있으며 정전기적으로 하전될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새로운 감기 코어 둘레에서 웨브재의 제1회전분의 감기를 편리하게 하거나 완료하기 위한 압착된 에어 노즐은 어느 쪽도 필요하지 않음으로써, 소비, 소음을 저감시키며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머신의 비용을 저감시킨다.
분리 장치(25)는 또한 기계적 부재(41)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새로운 코어에 웨브재(N)를 감기 시작하도록 다른 상이한 시스템과 결합될 수 도 있다. 예를 들면, 분리 장치(25), 바람직하게는 수동타입, 즉 삽입통로 내에 삽입된 새로운 코어의 추력의 결과로서 기계적 요소 발진에 의하여 표현되며, 이것은, 코어를 접착하거나 자유 가장자리를 접착하기 위하여 시스템과 결합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정전기, 흡입 또는 블로잉시스템은 제1회전분의 감기를 개시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지만, 기계적 장치(4)는 전술한 이유에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다.
반대로, 기계적 부재(41)는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것에 관하여 상이한 타입의 재료를 절단하거나 분리하는 시스템과 결합하여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f는 발명에 따른 리와인딩 머신의 상이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한다. 동일한 번호는 도 1a 내지 도 1f에 도시된 이전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거나 동등한 부분을 표시한다.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실시예의 예에 있어서, 가이드부재(13)를 형성하는 벨트의 조립품 및 결과적으로 복귀롤러(15)도 생략된다. 채널(23)은, 이 경우, 해당 채널(23)의 세로 연장부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일련의 인접한 단면(21)에 의하여 재차 형성되는, 롤링표면(19)과 감기 롤러(1)의 외부 원통모양 표면 사이에 형 성된다. 이 경우에, 이것은 웨브재(N)의 가동성 가이드 부재를 형성한다.
새로운 감기 코어(A) 둘레에 웨브재의 제1회전분을 형성하거나 완료하는 가동성 기계적 부재(41)와 분리 장치(25)는 도 1a 내지 도 1f를 참조하면서 개시한 바와 같이 생산되고 동작한다. 동작 시퀀스는,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할 필요없이, 도 1a 내지 도 1f를 참조하고 일련의 2a 내지 2f를 관찰하면서 상기 개시된 바에 의거하여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면은, 단지 발명의 실제적인 실연에 의해서 주어진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으며, 그러나 이때 상기 발명은 발명에 기반을 이루는 컨셉의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형태와 구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첨부된 청구항의 임의의 번호도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면서 청구항의 판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되며, 청구항에 의하여 표현되는 보호의 영역을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42)

  1.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로그 감기 완료시, 웨브재를 절단하여, 상기 로그 둘레에 감긴 최종 가장자리와 새로운 감기 코어 둘레에 감길 초기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상기 웨브재는 상기 새로운 감기 코어의 통과에 의하여 제어되는 분리 장치에 의하여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 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감기 코어의 통과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의 통과는 센서 부재에 의해서 검출되며, 분리 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삽입 경로를 따라서 상기 감기 코어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 장치와 결합하는 제어요소를 상기 삽입 경로를 따라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삽입 경로를 따라서 그 공급 동안 상기 제어요소와 상기 코어가 상호작용하며, 상기 분리 장치를 작동시키고 웨브재의 절단을 유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요소는 분리 장치에 구속된 기계적 요소이며, 코어는 그 통과 동안 상기 기계적 제어 부재에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요소는 코어의 통과를 검출하고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와, 상기 신호의 작용으로서 분리 장치를 제어하는 작동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7.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웨브재의 절단 후, 상기 감기 코어의 공급의 연속성은 삽입경로로부터 상기 분리 장치의 일시적인 뒤로 물러남이 상기 감기 코어를 통과하게 하는 것을 특징을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8.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에 대한 롤링표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웨브재에 대한 가동성 가이드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부재와 상기 롤링표면은 코어의 삽입 채널을 규정하며 상기 웨브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접촉하면서 공급되는 단계와;
    로그 감기 완료시, 상기 웨브재 및 상기 롤링표면과 접촉하는 상기 채널 내 에 새로운 감기 코어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을 따라서 상기 감기 코어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코어가 상기 채널을 따라서 상기 분리 장치와 상호작용하며 감기 코어의 이동이 웨브재 위 상기 분리 장치의 작용을 유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상기 코어는, 웨브재에 대하여 분리 장치를 밀며, 상기 분리 장치와 상기 가이드 부재 사이에 웨브재를 핀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웨브재의 천공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재의 절단에 이어서 상기 채널을 따른 상기 코어의 이동의 연속성이, 채널로부터 분리 장치의 일시적인 뒤로 물러남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12.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발진 축을 중심으로 회전적으로 지지되며, 그 통과와 함께 상기 코어는 웨브재에 대하여 분리 장치의 발진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분리 장치의 발진을 유발하여 상기 코어의 삽입 경로로부터 뒤로 물러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분리 장치와 상호작용하는 감기 코어의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는 축을 중심으로 발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15.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공전위치에서 신축성있게 가압되며, 상기 감기 코어의 통과는 작동 위치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의 가압을 유발하며, 상기 분리 장치는 그 절단을 유발하는 웨브재 상에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16. 전술항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삽입경로를 따른 코어의 통과에 의하여 공전 위치로부터 동작 위치로 이동하며, 웨브재 상에서 작용하는 분리 장치는 상기 동작 위치에 있어서 그 절단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17.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공급 경로를 따라서 웨브재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웨브재와 접촉하고 삽입경로를 따라서 감기 코어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삽입경로를 따라서 상기 코어를 공급하고, 상기 코어가 상기 분리 장치와 상호작용하며, 상기 분리 장치의 가동을 유발하며, 절단을 유발하는 공급 경로를 따라서 상기 코어의 하류 측 웨브재 상에 작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경로를 따라서 감기 코어에 부가하여 공급하고, 삽입 경로로부터 상기 분리 장치의 일시적인 뒤로 물러남이 감기 코어를 통과하게 하는 단계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19. 감기유닛과;
    웨브재공급경로와;
    감기 코어삽입경로와;
    각각의 로그 감기의 완료시 웨브재를 절단하는 분리 장치로 이루어진 감기 코어 둘레에 감긴 웨브재의 로그를 생산하는 리와인딩 머신으로서,
    상기 분리 장치는 감기 코어의 통과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배열되고 디자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 머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장치는 상기 삽입경로에 있어서 감기 코어와 상호작용하도록 디자인되고 배열되며, 분리 장치의 작동을 유발하고 따라서 웨브재의 절단을 유발하는 상기 감기 코어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 머신.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리와인딩 머신은, 감기 코어의 경로를 따른 센서와 분리 장치를 제어하는 작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감기 코어의 통과 동안 제어 작동기의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신호는 분리 장치의 작동을 유발하며 웨브재의 절단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신호는 분리 장치의 작동이 감기 코어의 경로에 관하여 분리 장치의 뒤로 물러남을 제어하게 하며, 분리 장치와 간섭하지 않으면서 감기 코어의 통과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웨브재에 작용하여 웨브재를 절단하는 동작위치와 공전 위치를 취하도록 디자인되고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복귀 요소에 의하여 공전위치에서 가압되며, 감기 코어의 통과가 동작 위치를 향하는 상기 복귀 요소의 작용에 대하여 상기 분리 장치의 이동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뒤로 물러남 위치를 취하도록 디자인되고 설계되며, 감기 코어의 통과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요소는 상기 동작 위치와 상기 뒤로 물러남 위치 사이의 상기 중간 위치에서 상기 분리 장치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28. 제19항 내진 제27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발진 축 둘레에서 지지되며 상기 삽입 경로 내에 상기 코어의 통과는 상기 분리 장치의 발진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29. 제19항 내지 제28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감기 코어가 삽입 경로를 따라서 통과하는 경우 상기 감기 코어와 상호작용하도록 배열되고 형상화된 제어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기 코어와의 상호작용은 분리 장치의 작동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30. 제19항 내지 제29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경로를 따라서 배치되는, 웨브재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감기 코어에 대한 롤링표면을 포함하는 리와인딩 머신으로서,
    상기 웨브재는 상기 가이드부재와 접촉하면서 공급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롤링표면은 상기 감기 코어의 삽입채널을 규정하며,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채널을 따른 중간 위치에 있어서 웨브재에 작용하도록 배치되고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채널에 있어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 내로 삽입된 코어가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에 있어서 감기 코어의 공급의 방향에 관하여, 제어요소는 상기 웨브재와 결합하여 작용하는 상기 분리 장치의 요소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채널을 따른 코어의 공급의 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발진축 둘레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축은 감기 코어의 상기 롤링표면의 측 위 상기 채널 외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35. 제31항 내지 제34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해당 분리 장치가 코어의 통과에 의하여 작동되는 경우, 웨브재에 대하여 가압되는 복수의 압착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36. 제31항 내지 제35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표면은 서로로부터 떨어져있고 나란히 배열된 복수의 단면으로 규정되며, 상기 채널을 따라서 신장하며, 상기 분리 장치는 인접한 단면 사이 상기 채널에 있어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37. 제35항 및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기는 인접한 단면 사이에서 신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요소는 인접한 단면을 통하여 상기 채널 내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39. 제19항 내지 제38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장치는, 블레이드, 바람직하게는 이빨모양의 형상부로 이루어지며, 웨브재를 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40.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감기 크래들에 웨브재의 제1로그를 감는 단계와;
    상기 제1로그 감기 완료시, 상기 감기 크래들을 향하여 새로운 감기 코어를 공급하는 단계와;
    감기 크래들을 향하여 공급되는, 상기 새로운 감기 코어가, 분리 장치와 상호작용하며 웨브재를 절단하고 최초 가장자리와 상기 제1로그에 감긴 최종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제2로그를 감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기 코어 둘레에 웨브재의 로그를 제조하는 방법.
  41. 감기 크래들과;
    상기 감기 크래들을 향한 웨브재의 공급 경로와;
    상기 감기 크래들을 향한 감기 코어의 삽입경로와;
    로그 감기 완료시 웨브재를 절단하는 절단장치와 결합하여 이루어진 리와인딩머신으로서,
    상기 분리 장치는 코어의 상기 삽입경로를 따라서 배열되며, 상기 분리 장치는 상기 삽입경로를 따라서 그 통과 동안 상기 감기 코어와 연동하도록 디자인되고 배열되며, 분리 장치를 작동시키는 상기 삽입경로를 따라서 통과하는 감기 코어는 웨브재의 절단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42. 감기 크래들과;
    상기 감기 크래들을 향하여 웨브재의 공급 경로와;
    상기 감기 크래들을 향하여 감기 코어의 삽입경로와;
    상기 코어의 삽입 경로와 간섭하면서, 로그의 감기와, 상기 분리 장치의 이동을 유발하는 상기 삽입 경로에 있어서 코어의 통과와, 웨브재의 작용 완료시 웨브재를 절단하여 그 찢어짐을 유발하는 분리 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와인딩머신.
KR1020097000264A 2006-06-09 2007-06-04 감기 코어의 통과에 의하여 작동된 웨브재를 차단하는 메카니즘으로 웨브재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167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FI2006A000140 2006-06-09
IT000140A ITFI20060140A1 (it) 2006-06-09 2006-06-09 Metodo e dispositivo pe produrre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con un meccanismo di interruzione del materiale nastriforme azionato dal transito delle anime di avvolgimento.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766A true KR20090016766A (ko) 2009-02-17

Family

ID=38529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0264A KR20090016766A (ko) 2006-06-09 2007-06-04 감기 코어의 통과에 의하여 작동된 웨브재를 차단하는 메카니즘으로 웨브재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267344B2 (ko)
EP (1) EP2027050B1 (ko)
JP (1) JP2009539724A (ko)
KR (1) KR20090016766A (ko)
CN (1) CN101466626B (ko)
BR (1) BRPI0712155A2 (ko)
CA (1) CA2654353A1 (ko)
IL (1) IL195762A0 (ko)
IT (1) ITFI20060140A1 (ko)
WO (1) WO20071418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392403B1 (it) * 2008-12-23 2012-03-02 Gambini Int Sa Gruppo e metodo perfezionato di avvolgimento di carta attorno ad un'anima per realizzare un rotolo di carta
CN102126634B (zh) * 2011-01-22 2012-12-19 佛山市南海区德昌誉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无芯纸卷复绕机
WO2014127061A2 (en) 2013-02-12 2014-08-21 Ranpak Corp. Dunnage system with coiler, automated taping and ejecting apparatus and method
US9376281B2 (en) 2013-09-09 2016-06-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am-controlled core inserter for a surface winder
ITBO20130655A1 (it) * 2013-11-27 2015-05-28 Gdm Spa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un nastro composito.
EP3148906B1 (en) * 2014-05-30 2018-08-22 Mtorres Tissue S.r.l. Rewinding machine and rewinding method
RS62536B1 (sr) * 2014-12-20 2021-12-31 Futura Spa Postrojenje i postupak za proizvodnju rolni papira
EP3056458B1 (en) * 2015-02-10 2017-12-20 O.M.T. di Giannini Graziano e Damiano & C. S.N.C. Rewinding machine
US10427903B2 (en) 2016-03-04 2019-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eading edge device for a surface winder
US10442649B2 (en) 2016-03-04 2019-10-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urface winder for producing logs of convolutely wound web materials
US10427902B2 (en) 2016-03-04 2019-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nhanced introductory portion for a surface winder
EP3507221B1 (en) * 2016-08-31 2022-06-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eb winding device
IT201600091411A1 (it) * 2016-09-09 2018-03-09 Gambini Spa Dispositivo per la ribobinatura e la formazione di un rotolo di carta e relativo metodo.
CA3082486A1 (en) 2017-11-29 2019-06-06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Surface rewinder with center assist and belt and winding drum forming a winding nest
RS61162B1 (sr) * 2017-12-22 2021-01-29 Gambini Spa Premotač i odgovarajući postupak za namotavanje i oblikovanje rolne papira
IT201800006604A1 (it) * 2018-06-25 2019-12-25 Macchina ribobinatrice per la produzione di logs di materiale cartaceo.
IT201800006607A1 (it) * 2018-06-25 2019-12-25 Ribobinatrice per la produzione di logs di materiale cartaceo.
US11247863B2 (en) * 2018-11-27 2022-02-15 Paper Converting Machine Company Flexible drive and core engagement members for a rewind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35930C2 (de) 1972-07-18 1986-05-28 Fabio Lucca Perini Wickelmaschine zum Aufwickeln einer Papierbahn, bspw. Toilettenpapierbahn o.dgl.
IT1167982B (it) 1981-09-17 1987-05-20 Fabio Perini Dispositivo e metodo per la separazione a strappo di materiale in nastri,di carta od altro
IT1238717B (it) 1990-04-27 1993-09-01 Perini Navi Spa Ribobinatrice con mezzi per variare il numero di perforazioni avvolte su ciascun rotolo in formazione
IT1240907B (it) 1991-07-16 1993-12-21 Perini Fabio Spa Metodo per la produzione di rotoli o logs di materiale nastriforme,e macchina per l'esecuzione di detto metodo
US6648266B1 (en) * 1993-03-24 2003-11-18 Fabio Perini S.P.A. Rewinding machine and method for the formation of logs of web material with means for severing the web material
IT1262046B (it) * 1993-03-24 1996-06-18 Guglielmo Biagiotti Macchina ribobinatrice per la formazione di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con mezzi per l'interruzione del materiale nastriforme e relativo metodo di avvolgimento.
BR9408291A (pt) * 1993-12-10 1997-08-26 Perini Fabio Spa Dispositivo para colar a extremidade de ponta de um carretel de um material em folha continua com sistemas de vácuo para abertura de extremidade de ponta
IT1278644B1 (it) * 1995-04-14 1997-11-27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per rotoli di materiale nastriforme, con controllo dell'introduzione dell'anima di avvolgimento
DE19710282A1 (de) * 1997-03-13 1998-09-17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Wickelmaschine zum Aufwickeln einer Materialbahn
ITFI20010120A1 (it) * 2001-06-29 2002-12-29 Perini Fabio Spa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dello scarico dei rotoli da un ribobinatrice e ribobinatrice comnprendente detto dispositivo
ITFI20020119A1 (it) * 2002-07-08 2004-01-08 Fabio Perini Macchina ribobinatrice e metodo per produrre bastoni di carta da vario formato
US7175127B2 (en) * 2002-09-27 2007-02-13 C.G. Bretting Manufacturing Company, Inc. Rewinder apparatus and method
US6877689B2 (en) * 2002-09-27 2005-04-12 C.G. Bretting Mfg. Co., Inc. Rewinder apparatus and method
ITFI20030311A1 (it) * 2003-12-05 2005-06-06 Perini Fabio Spa Macchina ribobinatric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WO2007141818A2 (en) * 2006-06-09 2007-12-13 Fabio Perini S.P.A. Method and machine for forming logs of web material, with a mechanical device for forming the initial turn of the lo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539724A (ja) 2009-11-19
ITFI20060140A1 (it) 2007-12-10
BRPI0712155A2 (pt) 2012-01-17
EP2027050B1 (en) 2014-11-05
CA2654353A1 (en) 2007-12-13
IL195762A0 (en) 2009-09-01
EP2027050A1 (en) 2009-02-25
WO2007141819A1 (en) 2007-12-13
CN101466626A (zh) 2009-06-24
US20090173819A1 (en) 2009-07-09
CN101466626B (zh) 2012-04-25
US8267344B2 (en) 201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6766A (ko) 감기 코어의 통과에 의하여 작동된 웨브재를 차단하는 메카니즘으로 웨브재의 로그를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
US7931226B2 (en) Method and machine for forming logs of web material, with a mechanical device for forming the initial turn of the logs
CA2115497C (en) Rewinding machine for coreless winding of a log of web material with a surface for supporting the log in the process of winding
EP0611723B1 (en) Method and machine for tearing web material
US7896284B2 (en) Method and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logs of wound web material
EP1877332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rolls of web material with an outer wrapping
US20090095836A1 (en) Rewinding Machine and Winding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Logs
US5031850A (en) Rewinding machine for the formation of rolls of paper or the like
EP1276690A2 (en) Rewinder for forming rolls of wound-up weblike material and associated method
JP4696073B2 (ja) ウエブ材料のログの製造方法及びその機械
JP2007261774A (ja) タブ付きテープ貼付装置
EP27318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eaking a web using a cut-off assembly
EP033165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rolls of perforated paper strips, a roll manufactured in this way and a dispenser for dispensing sheets from said roll
EP0402325A2 (en) Apparatus for the formation of rolls of web material on a winding c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