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6318A - 튜브용기 - Google Patents
튜브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16318A KR20090016318A KR1020070080858A KR20070080858A KR20090016318A KR 20090016318 A KR20090016318 A KR 20090016318A KR 1020070080858 A KR1020070080858 A KR 1020070080858A KR 20070080858 A KR20070080858 A KR 20070080858A KR 20090016318 A KR20090016318 A KR 2009001631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s
- discharge
- receiving portion
- receiving
- tube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04—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담겨 있는 내용물을 용이하게 남김없이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튜브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로 이루어진 튜브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수용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튜브, 용기, 내용물, 인출, 경사면
Description
본 발명은 튜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담겨 있는 내용물을 남김없이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튜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형 용기는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재의 튜브로 구성되며, 하단은 밀폐되고, 상부는 압출구과 뚜껑이 구비되어 내부에 내용물을 수용하여 필요시에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종래의 튜브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약이나 화장품, 연고 등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12)와, 수용부(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뚜껑(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튜브용기(1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2)는 시트지 등을 원통형으로 형성한 후 후방은 용착하여 폐쇄시키고, 전방은 뚜껑(16)이 체결되는 원통형상의 배출부(14)를 결합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수용부(12)의 후방부는 단면적이 타원 형상이 되고, 배출부(14) 방 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원형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튜브용기는 초기 사용시와 같이 수용부 내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가득 차 있는 경우에는 수용부의 어느 부분을 압축시키더라도 내용물은 배출부를 통하여 쉽게 배출되게 되지만, 내용물이 소모되면 될수록 수용부의 공간은 증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내용물을 인출하고자 수용부에 압력을 가하면 이 압력이 가해지는 위치를 중심으로 전방에 있는 내용물은 배출부 방향으로 이동되지만 후방에 있는 내용물은 수용부의 내측 후방 공간부로 밀리게 되어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튜브용기에 남아 있는 내용물을 완전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용기를 거꾸로 세워두거나 힘껏 짜서 사용하고 있지만 그렇더라도 내용물이 완전하게 압출되지 않으며, 칼이나 가위 등을 이용하여 용기를 절단하여 개봉한 후 수용부에 남아 있는 내용물을 손가락이나 기타 도구를 이용하여 퍼 올려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상당히 번거롭고 비위생적이며 그 이후 내용물이 수용부 내벽에 말라붙게 되어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배출부 주위는 수용부에 비해 그 재질이 경질이어서 배출구는 압축에 한계가 있고, 수용부를 배출구에 아무리 밀착시커도 완전하게 압축이 되지 않아 배출부 주위에는 일정한 양의 내용물이 남아 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배출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수용부가 배출부에 쉽게 밀착되도록 하여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적은 힘으로도 쉽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용부에 잔류하는 소량의 내용물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절감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에 내용물이 인출되는 배출구에 가압시 끼워지는 돌기를 더 구비하여 배출부의 배출구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외부로 왼전히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로 이루어진 튜브형 용기에 있어서,상기 배출부는 수용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측은 길게 형성하고, 타측은 짧게 형성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배출부의 경사각 방향은 상기 수용부의 폭이 넓은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배출부는 상기 수용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20°∼ 70°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로 이루어진 튜브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수용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측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는 수용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부에는 상기 배출부의 배출구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의 길이 방향을 기준하여 배출부를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적은 힘으로도 쉽게 인출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수용부에 잔류하는 소량의 내용물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에 내용물이 인출되는 배출구에 가압시 끼워지는 돌기를 더 구비하여 배출부의 배출구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완전히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연질의 수용부(102)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102)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시키되 외부로 돌출형성되어 배출구(104a)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102)에 열융착 등 고정수단에 위해 고정되는 원판형상의 쇼울더(104b)로 이루어지는 경질의 배출부(104)가 구비된 튜브용기(10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104)는 상기 수용부(10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각(θ)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배출부(104)는 상기 수용부(102)의 넓게 형성된 방향으로 경사각(θ)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수용부(102)의 후면부는 융착되어 밀착 형성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원형이 되도록 형성된 수용부(102)가 형성되고, 이 수용부(102)의 넓은 면에 상기 배출부(104)가 경사각(θ)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104)는 상기 수용부(10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이 배출되는 방향에 서로 대응되도록 수용부(102)의 일측은 길게 형성하고 타측부는 짧게 형성하여 내용물이 배출되는 방향이 경사각(θ)을 가지도록 형성하고, 이 경사각(θ)을 가지도록 형성된 수용부(102)에 배출부(104)를 융착 등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수용부(102)의 길이에 대하여 배출부(104)가 경사각(θ)을 가지게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0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각(θ)을 가지게 형성된 배출부(104)의 경사각(θ)은 20°∼ 70°의 경사각(θ)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수용부(10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배출부(104)의 경사각을 45°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용부(102)의 길이에 대하여 배출부(104)의 경사각(θ)이 20°이하일 경우에는 수용부(102)에 압력을 가해 잔류하는 내용물을 짜서 배출시킬 때 상기 수용부(102)와 배출부(104)의 경계면 하부에 내용물이 잔류하게 되어 완전하게 배출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70°이상일 경우에는 수용부(102)와 배출부(104)의 경계면 상부에 내용물이 잔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102)의 내측부에는 상기 배출부(104)의 배출구(104a)에 삽입 가능하게 돌출된 돌기(108)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108)는 상기 수용부(102)의 내측부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로 상기 돌기(108)를 제작하여 수용부(102)의 내측부에 열융착 등 접착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부(104) 방향의 수용부(102)를 가압하여 내용물을 인출할 때 상기 돌기(108)가 배출부(104)의 배출구(104a)로 삽입되면서 배출구(104a)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외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부(102)에 수용되는 내용물은 치약, 연고, 화장품 등과 같이 젤(gel) 또는 페이스트(paste)로 된 모든 내용물을 수용하게 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106은 상기 튜브용기(100)의 배출부(104)를 커버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뚜껑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기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튜브용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배출부(104)는 수용부(10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각(θ)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102)에 수용된 치약 등과 같은 내용물을 거의 다 사용한 경우 연질의 수용부(102) 후단부에 내용물을 배출부(104) 방향으로 밀어 배출부(104) 배출구(104a) 방향에 집결시킨 후 경사각(θ)을 가지게 형성된 배출부(104) 방향으로 수용부(102)를 가압하게 되면 도 4와 같이 수용부(102)의 경사각 반대 방향이 상기 배출부(104)의 쇼울더(104b) 내측부에 밀착되면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부(104)의 쇼울더(104b) 내측부로 수용부(102)가 밀착될 때 상기 돌기(108)는 배출부(104)의 배출구(104a)에 삽입되면서 상기 배출구(104a)에 잔류하는 내용물까지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렇게 상기 수용부(102)를 가압하여 배출부(104)에 밀착시켜 내용물을 배출시킴으로써, 종래에 튜브용기에 비해 잔류하는 내용물을 확실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어 경제적으로 많은 절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102)로부터 배출부(104)가 경사각을 이루게 형성되어 있어 내용물을 인출할 때 적은 가압력으로도 수용부(102)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용물이 수용되는 연질의 수용부(202)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202)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외부로 인출시키되 외부로 돌출형성되어 배출구(204a)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02)에 열융착 등 고정수단에 위해 고정되는 원판형상의 쇼울더(204b)로 이루어져 경질의 배출부(204)가 구비된 튜브용기(200)가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204)는 상기 수용부(20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측부 가장자리부에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배출부(204)는 상기 수용부(202)에서 튜브의 단면이 넓게 형성된 방향으로 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수용부(202)의 후면부는 융착되어 밀착 형성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원형이 되도록 형성된 수용부(202)가 형성되고, 이 수용부(202)의 튜브 다면이 넓은 면에 상기 배출부(204)가 직각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202)의 내측부에는 상기 배출부(204)의 배출구(204a)에 삽입 가능하게 돌출된 돌기(208)가 더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돌기(208)는 상기 수용부(202)의 내측부에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고, 별도로 상기 돌기(208)를 제작하여 수용부(202)의 내측부에 열융착 등 접착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부(204) 방향의 수용부(202)를 가압하여 내용물을 인출할 때 상기 돌기(208)가 배출부(204)의 배출구(204a)로 삽입되면서 배출구(204a)에 잔류하는 내용물을 외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206은 상기 튜브용기(200)의 배출부(204)를 커버하여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뚜껑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튜브용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용기에 대한 작용관계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서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본 발명은 튜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담겨 있는 내용물을 남김없이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튜브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튜브용기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튜브용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튜브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튜브용기의 작용관계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튜브용기 102, 202 : 수용부
104, 204 : 배출부 104a, 204a : 배출구
104b, 204b : 쇼울더 106, 206 : 뚜껑
108, 208 : 돌기 θ : 경사각
Claims (7)
-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로 이루어진 튜브형 용기에 있어서,상기 배출부는 수용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배출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측은 길게 형성하고, 타측은 짧게 형성하여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배출부의 경사각 방향은 상기 수용부의 폭이 넓은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배출부는 상기 수용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20°∼ 70°의 각도로 경 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로 이루어진 튜브형 용기에 있어서,상기 배출부는 수용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측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배출부는 수용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수용부의 내측부에는 상기 배출부의 배출구에 끼워져 잔류하는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0858A KR20090016318A (ko) | 2007-08-10 | 2007-08-10 | 튜브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0858A KR20090016318A (ko) | 2007-08-10 | 2007-08-10 | 튜브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6318A true KR20090016318A (ko) | 2009-02-13 |
Family
ID=40685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0858A KR20090016318A (ko) | 2007-08-10 | 2007-08-10 | 튜브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16318A (ko) |
-
2007
- 2007-08-10 KR KR1020070080858A patent/KR2009001631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499894C (fr) | Dispositif a vidage integral par pompage manuel | |
JPH09290843A (ja) | 粘稠物質用分配装置 | |
WO2018234717A1 (fr) | Capsule deformable a usage unique | |
FR2964539A1 (fr) | Contenant de produit cosmetique liquide | |
CN106395117A (zh) | 带有吸管的盖子 | |
KR200440940Y1 (ko) | 회전펌프식 화장품 용기 | |
KR200494144Y1 (ko) | 스포이드 형 화장품 용기 | |
KR20090016318A (ko) | 튜브용기 | |
US20130064598A1 (en) | Tool for smoothing elastic sealant joints | |
KR101570199B1 (ko) | 펌핑식 화장품 용기 | |
US9896242B2 (en) | Multipurpose dispenser for spreadable wall repair compound | |
KR102099528B1 (ko) | 피스톤을 구비한 자동 충전 스포이드 용기 캡 | |
KR200488231Y1 (ko) | 밀폐구조 튜브형 화장품용기 | |
KR200404366Y1 (ko) | 튜브식 용기 | |
US20150284172A1 (en) | Flexible tube | |
KR100932779B1 (ko) | 잔량제거수단을 갖는 튜브형 용기 | |
JP2007302254A (ja) | 吐出容器 | |
KR101331846B1 (ko) | 내용물 배출용기 | |
KR101257742B1 (ko) | 풀인출기구 | |
KR101238853B1 (ko) | 절약형 봉지 | |
KR20100037971A (ko) | 공기 펌프식 가압수단을 갖는 용기 | |
JP5238246B2 (ja) | ポンプ付き容器 | |
US20070090131A1 (en) | Cosmetic container | |
TWM532210U (zh) | 按壓式液體真空容器 | |
KR20180055268A (ko) | 튜브 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