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6309A -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 장치의 상부기틀 - Google Patents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 장치의 상부기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6309A
KR20090016309A KR1020070080847A KR20070080847A KR20090016309A KR 20090016309 A KR20090016309 A KR 20090016309A KR 1020070080847 A KR1020070080847 A KR 1020070080847A KR 20070080847 A KR20070080847 A KR 20070080847A KR 20090016309 A KR20090016309 A KR 20090016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flow prevention
outer cylinder
drain pipe
upper fram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3524B1 (ko
Inventor
최해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완
Priority to KR102007008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524B1/ko
Publication of KR20090016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를 배출하는 세면욕조실, 세탁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는 취기 역류 방지구의 상단부가 넓게 형성되어 취기 역류 방지구 제거시 손이나 도구를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로 유입시켜 내부에 적재된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체결되는 배수관의 누수 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 장치의 상부기틀을 제공한다.
세면욕조실, 점검구, 배수관 장치, 상부기틀, 취기 역류 방지구

Description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 장치의 상부기틀{Upper Base Frame of Drainage Having Back Flow Preventer of Smell as Checking Hole}
본 발명은 하수를 배출하는 세면욕조실, 세탁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래의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는 취기 역류 방지구의 상단부가 넓게 형성되어 취기 역류 방지구 제거시 손이나 도구를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로 유입시켜 내부에 적재된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거나 체결되는 배수관의 누수 여부를 점검할 수 있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 장치의 상부기틀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배수가 필요한 건물의 세면욕조실, 베란다, 세탁실 등에는 바닥의 배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해 바닥에 매설되는 배수관 장치가 있었다.
상기 배수관 장치 중 세면욕조실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관 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 또는 욕조로부터 배출되는 하수를 집수하기 위해 세면대 또는 욕조의 하수를 집수하는 집수관(70)을 삽입 체결하기 위한 집수관 체결부(13) 와, 상기 집수관(70)으로부터 유입된 하수와 세면욕조실 바닥으로부터 유입된 하수를 배출하는 배수구(11)를 가지며 배수관(80)을 체결하기 위한 배수관 체결부(12)를 갖는 배수관장치 본체(10, 육가하우징)와, 상기 배수관장치 본체(10) 상부에 삽입 고정되는 궤도홈 본체(20)와, 상기 궤도홈 본체(20)의 궤도홈(21)에 삽입되어 사방으로 유동 가능한 슬라이더(30)와, 상기 슬라이더(30)의 상부기틀 결합부(31)에 결합되며 중앙에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결합된 슬라이더(30)에 의해 사방으로 유동 가능한 상부기틀(40)과, 상기 상부기틀(40)의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에 삽입 고정되는 취기 역류 방지구 내,외통(52,51) 그리고 걸름망(53)으로 이루어진 취기 역류 방지구(50)와, 상기 상부기틀 상부에 삽입 고정되는 상부기틀판(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배수관 장치는 바닥 공사시 콘크리트나 몰타르 등의 물질이 배수관 장치 본체(10) 내부로 유입된 후 굳어져 배수구를 부분적으로 막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바닥 마감 공사후 세면욕조실이나 세탁실 또는 발코니 등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머리카락, 음식물 찌꺼기 등이 배수구에 적체되어 하수가 배수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 경우 사용자 대부분은 배수구를 뚫기 위해 염산과 같은 이물질을 분해시키는 용액을 사용하거나,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제거한 후 굵은 철사 등을 이용하여 막힌 배수구를 뚫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물질을 녹이는 용액은 대부분 강산성의 액체이므로 취기 역류 방지구와 배수관장치 본체(10)를 부식시킬 수 있고, 철사 등을 이용할 경우 배수관 장치 본체와 배수관을 파손시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 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물질 부식용액이나 철사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직접 손을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로 넣어 청소를 실시하여야 하나 상부기틀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취기 역류 방지구의 직경이 작아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를 점검하거나 청소하기가 불가능 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함과 더불어 이중관으로 설치되는 집수관 또는 배수관의 내관의 설치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07년 3월 13일자로 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07-24729호(명칭: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에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기틀(100)을 배수가 필요한 공간의 바닥에 테두리와 저면이 매설되고 상단이 노출되는 외틀(110)과, 상기 외틀(110)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 취기 역류 방지구가 설치되도록 걸림턱(123)과 걸름망 고정홈(124)이 형성된 취기역류 방지구 삽입부(130)를 갖는 내틀(120)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내틀(120)의 외주면의 형태는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일정한 높이를 갖도록 외틀 체결부(121)를 형성하며, 상기 외틀 체결부(121)의 외주면 중간에 일정한 깊이의 고무패킹 삽입홈(122)을 형성하여 그 홈(122)에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무패킹(140)을 장착하였다. 상기 외틀(110)의 내경 테두리를 하향 연장하여 내주면에는 상기 외틀 체결부(121)가 체결되고, 외주면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더(150)의 상부기틀 체결부(151)에 체결되는 내틀 체결부(111)를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부기틀(100)은 슬라이더(150)의 상부기틀 체결부(151) 에 외틀(110)의 내틀 체결부(111)의 외주면을 삽입 체결하고, 상기 슬라이더(150)를 배수관 장치 본체에 삽입 체결되는 궤도홈 본체(160)의 궤도홈(161)에 삽입한다. 또한, 상기 내틀(120)의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130)에 외통(171), 내통(172)을 순서대로 삽입하여 상기 걸림턱(123)에 걸리도록 한 후, 상기 걸름망(173)을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130)에 형성된 걸름망 고정홈(124)에 고정시켜 취기 역류 방지구(170)를 설치하였다.
상기와 같이 상부기틀이 설치된 배수관 장치 내부를 청소 및 점검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걸름망(173)을 분리시킨 후, 내통(172)과 외통(171)을 제거하고, 손가락을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130)로 넣어 내틀(120)을 잡은 후 내틀(120)을 외틀(130)로부터 분리하고, 손을 집어넣어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와 배수구 또는 집수관 체결부 등을 청소 및 점검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기틀을 배수가 필요한 공간의 바닥에 매설되고 상단이 노출되는 외틀과, 상기 외틀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중앙에 취기 역류 방지구가 설치되는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를 갖는 내틀로 구성하기 때문에 그 부품의 수의 증가로 인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내틀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분리한 후, 그 취기 역류 방지구가 제거된 공간에 손가락을 넣어 내틀을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상부기틀의 취기 역류 방지구 체결구를 종래의 내틀과 같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체결구에 체결되는 취기 역류 방지구의 외틀의 본체 직경을 종래의 취기 역류 방지구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하되, 상단에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체결구의 내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면서 상기 외통 본체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연장부를 더 형성하여 취기 역류 방지구의 외통이 점검구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공정을 간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로 손 등을 집어넣어 청소 또는 점검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 장치의 취기 역류 방지구가 체결되는 상부기틀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틀은 성인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외통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는 상기 외통 삽입부에 삽입 체결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개구부 상단에 체결되는 내통 및 걸름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을 제공한다.
또한,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 장치의 취기 역류 방지구가 체결되는 상부기틀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틀은 성인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는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에 체결되는 외통과 내통, 그리고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걸름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기틀과 취기 역류 방지구로만 구성되어서 외통의 제거만으로 취기 역류 방지구 체결구를 통해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를 점검 및 청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부기틀을 구성하는 부품의 수를 줄여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로 손 등을 넣어 청소 또는 점검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 장치의 상부기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성인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 의 직경을 갖는 외통 삽입부(210)가 형성된 상부기틀(200)과; 상기 외통 삽입부(210)에 삽입 체결되는 외통(220)과, 상기 외통(220)의 개구부 상단에 체결되는 내통(230) 및 걸름망(240)을 구비한 취기 역류 방지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기틀(200)에 형성된 외통 삽입부(210)는 상부기틀(200)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외통 삽입부(210)의 외주면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더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통 삽입부(210)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슬라이더의 상부기틀 삽입부에 삽입 체결되고, 내주면 하단에는 외통 걸림턱(211)이 형성되어 취기 역류 방지구의 외통(220)이 걸림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의 외통(220)은,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에서 충분히 유동 가능한 직경을 갖는 외통 몸체(221)와, 상기 외통 몸체(221)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평평하게 또는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외통 삽입부(210)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외통 연장부(222)와, 상기 외통의 개구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내통 걸림턱(223)과, 상기 내통 걸림턱(223) 상단에 걸름망(240)을 체결 고정할 수 있는 걸름망 고정홈(224)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통(230)은 상기 외통(220)의 내통 걸림턱(223)에 걸려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설치하고, 상기 걸름망(240)은 다수개의 구멍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원형의 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걸름망(240) 외주면 중앙에는 상기 외통에 형성된 걸름망 고정홈(224)에 회전결합하는 돌출부(241)가 형성되어 내통(230)을 외통(220)의 중앙에 고정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부기틀(200)과 취기 역류 방지구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궤도홈 본체 및 슬라이더를 갖는 배수관 장치의 슬라이더에 체결되어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거나, 상기 상부기틀의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의 외경을 배수관 장치 본체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부기틀을 직접 배수관 장치에 체결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점구로 갖는 배수관 장치의 상부기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성인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310)가 형성된 상부기틀(300)과;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310)에 체결되는 외통(320)과 내통(330), 그리고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310)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걸름망(340)을 구비한 취기 역류 방지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기틀(300)에 형성된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310)는 상부기틀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한 깊이(내통, 외통 그리고 걸름망 두께의 합)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그 외주면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상부기틀 삽입부에 삽입 체결되고, 내주면 하단에는 외통 걸림턱(311)이 형성되어 취기 역류 방지구의 외통(320)과 내통(330)이 순차적으로 걸림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통 걸림턱(311) 상단에는 상기 걸름망(340)을 체결 고정할 수 있는 걸름망 고정홈(31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의 외통(320)은,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에서 충분히 유동 가능한 직경을 갖는 외통 몸체(321)와, 상기 외통 몸체(321) 상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310)의 내경과 같은 직경을 갖는 외통 연장부(32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내통(330)은 상기 외통 몸체(32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내통 몸체(331)와, 상기 내통 몸체 상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외통 연장부(322)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내통 연장부(332)를 구비하며, 상기 걸름망(340)은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310)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가지며 다수개의 구멍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걸름망(340) 외주면 중앙에는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310) 내주면 상단에 형성된 걸름망 고정홈(312)에 회전 결합하는 돌출부(341)가 형성되어 내통(330)을 외통(320)에 고정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부기틀과 취기 역류 방지구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궤도홈 본체 및 슬라이더를 갖는 배수관 장치의 슬라이더에 체결되어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거나, 상기 상부기틀의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의 외경을 배수관 장치 본체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부기틀을 직접 배수관 장치에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는 상부기틀에 체결되는 취기 역류 방지구 또는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의 외통은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를 청소 및 점검하기 위한 점검구의 기능을 갖게 된다. 즉, 상기 취기역류 방지구 외통 또는 취기 역류방지구 전체를 들어낸 후, 외통 삽입부 또는 취기역류 방지구 삽입부로 손 을 넣어 배수관 장치 내부와 집수관 체결부 또는 배수구의 청소와 점검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배수관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종래의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는 점검구를 갖는 상부기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3은 도2의 상부기틀에 취기 역류 방지구를 체결하고 궤도홈 본체와 슬라이더에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상부기틀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상부기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집수관 본체 11 : 배수구
12 : 배수관 체결부 13 : 집수관 체결부
20,160 : 궤도홈 본체 21,161 : 궤도홈
30,150 : 슬라이더 31,151 : 상부기틀 체결부
40,100 : 상부기틀 50,170 : 취기 역류 방지구
51,171,220,320 : 외통 52,172,230,330 : 내통
53,173,240,340 : 걸름망 60,200,300 : 상부기틀판
110 : 외틀 111 : 내틀 체결부
120 : 내틀 121 : 외틀 체결부
122 : 고무패킹 삽입홈 123 : 걸림턱
124,224,312 : 걸름망 고정홈 130,310 :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
140 : 고무패킹 210 : 외통 삽입부
211,311 : 외통 걸림턱 221,321 : 외통 본체
222,322 : 외통 연장부 223 : 내통 걸림턱
241,341 : 돌출부 331 : 내통 몸체
332 : 내통 연장부

Claims (9)

  1.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 장치의 취기 역류 방지구가 체결되는 상부기틀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틀은 성인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외통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는 상기 외통 삽입부에 삽입 체결되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개구부 상단에 체결되는 내통 및 걸름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기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틀의 외통 삽입부는,
    상기 상부기틀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 하단에는 외통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취기역류 방지구의 외통은,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에서 충분히 유동 가능한 직경을 갖는 외통 몸체와,
    상기 외통 몸체 상단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평평하게 또는 경사지게 연장 형 성되고 상기 외통 삽입부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외통 연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의 외통은,
    상기 외통의 개구부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내통 걸림턱과,
    상기 내통 걸림턱 상단에 걸름망을 체결 고정할 수 있는 걸름망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틀의 외통 삽입부의 외주면은 배수관 장치 본체에 직접 체결되거나,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상부기틀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
  6. 바닥의 하수를 집수하여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 장치의 취기 역류 방지구가 체결되는 상부기틀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틀은 성인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는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에 체결되는 외통과 내통, 그리고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갖는 걸름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틀의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는,
    상기 상부기틀 저면으로부터 하부로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 하단에는 외통 걸림턱과;
    상기 외통 걸림턱 상단에는 상기 걸름망을 체결 고정할 수 있는 걸름망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는
    상기 배수관 장치 본체 내부에서 충분히 유동 가능한 직경을 갖는 외통 몸체와, 상기 외통 몸체 상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의 내경과 같은 직경을 갖는 외통 연장부를 구비한 외통과;
    상기 외통 몸체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내통 몸체와, 상기 내통 몸체 상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외통 연장부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 내통 연장부를 구비한 내통과;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의 내경과 같은 외경을 가지며 다수개의 구멍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원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면 중앙에는 상기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 내주면 상단에 형성된 걸름망 고정홈에 결합하는 돌출부를 구비한 걸름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장치의 상부기틀.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틀의 취기 역류 방지구 삽입부의 외주면은 배수관 장치 본체에 직접 체결되거나, 배수관 장치를 구성하는 슬라이더의 상부기틀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 장치의 상부기틀.
KR1020070080847A 2007-08-10 2007-08-10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 장치의 상부기틀 KR101013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847A KR101013524B1 (ko) 2007-08-10 2007-08-10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 장치의 상부기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847A KR101013524B1 (ko) 2007-08-10 2007-08-10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 장치의 상부기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309A true KR20090016309A (ko) 2009-02-13
KR101013524B1 KR101013524B1 (ko) 2011-02-10

Family

ID=4068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847A KR101013524B1 (ko) 2007-08-10 2007-08-10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 장치의 상부기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072B1 (ko) * 2012-02-06 2014-01-22 김보섭 배수 트랩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880Y1 (ko) * 1998-09-25 2000-02-15 최해권 세면욕조실 배수관장치
JP5367200B2 (ja) * 1998-11-16 2013-12-1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臭気中和化および液体吸収性廃棄物袋
KR200257127Y1 (ko) 1999-06-30 2001-12-24 최해권 세면욕조실 배수관 장치
KR200182301Y1 (ko) 1999-12-09 2000-05-15 최해권 배수관 장치의 상부 기틀 및 상부기틀판
KR20020057127A (ko) * 2000-12-30 2002-07-11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요리시간 산출방법
KR100507040B1 (ko) * 2000-12-30 2005-08-0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김치냉장고 동작 변환시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0429370B1 (ko) * 2001-05-16 2004-04-28 최귀봉 토목섬유를 이용한 호안 제체 축조를 위한 수중과 지상단위 재하재 및 이를 이용한 축조방법
KR200257153Y1 (ko) 2001-07-18 2001-12-24 오상기 트랩부의 분리가 가능토록된 배수트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072B1 (ko) * 2012-02-06 2014-01-22 김보섭 배수 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524B1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27716A (ko) 세면대용 배수장치
KR20160142711A (ko) 악취 역류방지용 배수트랩
KR100999117B1 (ko) 층상배관용 배수관장치
KR100880459B1 (ko) 세면욕조실 배수 시스템
KR101013524B1 (ko) 취기 역류 방지구를 점검구로 갖는 배수관 장치의 상부기틀
KR101312216B1 (ko) 층상 배수장치
KR100943995B1 (ko) 점검기능을 갖춘 트렌치 배수관 장치
KR100895271B1 (ko) 연결소켓 겸용 배수트랩
KR101119526B1 (ko) 소음과 악취의 역류가 방지되는 배수트랩
KR101208089B1 (ko) 배수트랩의 결합구조
KR200327344Y1 (ko) 착탈식 배수트랩
KR100947107B1 (ko) 점검기능을 갖춘 트렌치 배수관 장치
KR101111528B1 (ko) 층상 배수 배관 시스템용 봉수 구조를 갖는 배수 트랩
CN108691336A (zh) 同层排水防渗漏立管连接件
KR101130189B1 (ko) 서랍형 배수트랩을 갖는 배수관 장치
KR20090132690A (ko) 하수처리의 위생구조물
KR200351785Y1 (ko) 점검구가 구비된 세면대 어셈블리 하부카바
KR101130190B1 (ko) 세면욕실의 층상배관 시스템
KR19980015770U (ko) 배수구
KR200461974Y1 (ko)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배수구조
KR960015897B1 (ko) 아파트 베란다 생활하수 드레인
KR100432272B1 (ko) 기능성트랩 소재구
KR200461517Y1 (ko) 배수전 내부에 장착되는 악취차단장치
KR200270114Y1 (ko) 악취방지용 배수구
KR20120043317A (ko) 층상배관용 배수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04

Effective date: 201009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