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6055A -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6055A
KR20090016055A KR1020070080413A KR20070080413A KR20090016055A KR 20090016055 A KR20090016055 A KR 20090016055A KR 1020070080413 A KR1020070080413 A KR 1020070080413A KR 20070080413 A KR20070080413 A KR 20070080413A KR 20090016055 A KR20090016055 A KR 20090016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information
palette
area
emo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은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문은배색채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문은배색채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문은배색채디자인
Priority to KR1020070080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6055A/ko
Publication of KR20090016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06F3/1475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with conversion of CRT control signals to flat panel control signals, e.g. adapting the palette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컨텐츠의 색채 디자인을 위해 표준화된 색상 및 톤 데이터를 제공하고, 그 표준화된 색상 및 톤을 기준으로 감성적인 이미지 언어에 적합한 색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표준화된 색상 및 톤을 적용하여 색상환 도구, 톤 도구, 팔레트 도구를 통해 색상 및 톤 선택과, 선택된 색의 색 대비를 수행하는 색만들기 과정과, 다수의 감성적인 이미지 언어에 적합한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구축되고서,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 언어에 대한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가 가시적으로 조회 가능하게 표시되는 감성배색 과정 및, 상기 색만들기 과정 상에서 사용되는 색상환 도구, 톤 도구, 팔레트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감성배색 과정에서 생성된 감성 언어에 따른 색채정보 및 배색 정보를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색상 및 톤으로 변경하여 원래의 감성 언어에 따른 색채정보 및 배색정보와 가시적으로 비교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색채계획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팔레트, 색상환, 톤, 배색, 면적비례, 감성, 언어, 단어

Description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Color Palette Based on Sensitivity}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한 디지털 색채 팔레트에 있어서 감성적인 이미지 언어에 적합한 배색 모델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영화나 게임, 애니메이션 등과 같은 영상 컨텐츠는 시각적인 기획 및 디자인의 성공적인 적용 여부에 따라 컨텐츠 개발의 성패가 좌우되고 있는 상황인 바, 해당 영상 컨텐츠에 적합한 색채를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시각적인 기획 및 디자인의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최근에는 컴퓨터 기술의 발전에 따라 영상 컨텐츠 제작의 전반 또는 컨텐츠 작업 일부를 컴퓨터 단말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비중이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고, 이를 위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영상이나 게임 그래픽, 컬러 프리젠테이션 문서 등의 디지털 영상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각종의 영상, 그래픽 툴이나 문서 작성 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는 바, 이러한 디지털 영상 컨텐츠의 제작시에도 보다 전문화되고 특화된 색채 정보의 개발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현재에는 디지털 영상 컨텐츠의 제작을 위한 각종의 영상, 그래픽 툴이나 문서 작성 프로그램 등에 색채 디자인을 위한 팔레트 도구를 접목하여 보다 직접적으로 전문화된 색채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색채 팔레트 시스템을 각각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색채 팔레트 시스템은, 인터넷 홈페이지 및 웹사이트 페이지를 제작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나모웹에디터에 적용된 것으로서, 해당 나모웹에디터에서 지원하는 컬러모드는 16개의 기본색 컬러를 기본으로 하여 설정되어 있으며, 사용자 정의 메뉴 항목에서 웹디자인에 사용할 수 있는 RGB, HSV, HTML 방식의 16진수와 픽커(Picker)를 통해 웹페이지의 글자색 및 배경색에 대한 색채 선택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색채 팔레트 시스템은, 한글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아래아 한글 프로그램의 컬러 팔레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48색의 기본 색상에서 선택하거나 픽커를 통한 색채 선택, 사용자 지정에 의해 사용자가 직접 생성한 색상을 지정색으로 하여 글자색, 배경색, 그래픽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영화, 애니메이션, 웹데이터 컨텐츠 등의 영상 컨텐츠가 다량으로 범람하고 있는 상황에서 색채의 차별화를 통한 컨텐츠의 문화적인 다양성 및 전문성을 기하기 위해서는 인간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미적인 감각에 의한 감성(Sensibility)을 적절히 이용해야 하며, 감성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수 단으로서 색채가 가장 강력하고 중요한 매개체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 적용되는 색채 팔레트 시스템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개인적인 감성적 수준에 의존하여 컨텐츠에 적용할 색채를 주관적으로 선택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비체계적이고 신뢰성이 낮은 감성적 색채의 표현을 양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더욱이, 감성적인 색채를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주변 색채와의 조화 관계를 적절히 고려해야 하고, 컨텐츠의 감성적인 표현과 관련하여 그래픽의 형상 및 면적, 문자의 내용 및 의미 등과 같은 다양한 상태를 고려한 배색 관계의 규격화 또는 신뢰성의 확보가 필요하지만, 종래의 색채 팔레트 시스템에서는 색채 조화 관계 및 배색 관계를 고려한 색채 도구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최근에는 색채의 조화 관계 표현이 가능하고, 배색 관계의 규격화 또는 신뢰성이 확보된 색채 도구를 갖춘 색채 팔레트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종 컨텐츠의 색채 디자인을 위해 표준화된 색상 및 톤 데이터를 제공하고, 그 표준화된 색상 및 톤을 기준으로 감성적인 이미지 언어에 적합한 색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성적인 이미지 언어에 적합한 배색 정보를 제공하여 광범위한 컨텐츠 디자인에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준화된 색상 및 톤 데이터의 제공과, 감성적인 이미지 언어에 적합한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의 제공이 클라이언트-서버 가반으로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표준화된 색상 및 톤 데이터의 제공과, 감성적인 이미지 언어에 적합한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의 제공이 컴퓨터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표준화된 색상 및 톤을 적 용하여 색상환 도구, 톤 도구, 팔레트 도구를 통해 색상 및 톤 선택과, 선택된 색의 색 대비를 수행하는 색만들기 과정과, 다수의 감성적인 이미지 언어에 적합한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구축되고서,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 언어에 대한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가 가시적으로 조회 가능하게 표시되는 감성배색 과정 및, 상기 색만들기 과정 상에서 사용되는 색상환 도구, 톤 도구, 팔레트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감성배색 과정에서 생성된 감성 언어에 따른 색채정보 및 배색 정보를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색상 및 톤으로 변경하여 원래의 감성 언어에 따른 색채정보 및 배색정보와 가시적으로 비교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색채계획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표준화된 색상 및 톤의 정보를 색상환 및 톤 도구, 팔레트 도구를 통해 제공하고, 다양한 감성 언어에 적합한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 언어에 대한 색채 및 배색 관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영상 컨텐츠를 비롯하여 색채가 중요시되는 다양한 문화 컨텐츠에 대한 색채오차를 해소할 수 있는 적합한 색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게 되어 문화 컨텐츠 창작물의 색채 활용 및 상용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감성 색채의 이해도 향상에 따른 색채의 활용도가 보다 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여타 응용 프로그램과의 콤포넌트화가 가능하게 되어 응용 프로그램과의 직접적인 작업 연계가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색채 활용도의 향상 및 색채 적용 결과물의 질이 대폭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시스템은, 컴퓨터 단말기(10)와, 색채팔레트 제공 서버(20), 색채정보 데이터베이스(30)로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 단말기(10)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색채팔레트 제공 서버(20)에 접속하여 색채 구현을 위한 정보 교환이 가능하도록 모뎀 및 랜카드 등과 같은 네트워크 어댑터와, 웹브라우저 프로그램이 탑재되고서, 상기 색채팔레트 제공 서버(20)로부터 인터넷망 상에서 제공되는 웹사이트의 색채 팔레트 웹페이지를 실행하여 표준화된 색상 및 톤의 정보를 조회함과 더불어, 원하는 감성적인 이미지 언어를 검색하여 해당 감성적인 이미지 언어에 적합한 색채 정보 및 배색 관계의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상기 색채팔레트 제공 서버(20)는 인터넷망을 통해 색채 팔레트 웹페이지가 포함된 웹사이트를 제공하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터 단말기(10)의 조작에 따라 색채 팔레트 웹페이지 상에서 표준화된 색상 및 톤의 정보를 제공함과 더불어, 다양한 감성적인 이미지 언어에 각각 적합한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구축하고서, 상기 컴퓨터 단말기(10)에서 원하는 감성 언어에 적합한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를 해당 색채 팔레트 웹페이지를 통해 제공한다.
상기 색채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표준화된 색상 및 톤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다양한 감성적인 이미지 언어에 대해 실질적인 디자인으로 채택이 가능하도록 적합한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표준화된 색상 및 톤 정보는 국제 표준 규격에 따른 색상 및 톤을 갖는 것으로서, 모니터의 감마(Gamma)가 2.4(Standard-RGB)일때 표준이 되고, RGB, CMYK, HSL, KS계통 색명, Munsell, HTML, XYZ, Yxy, L*a*b*, L*C*h°, L*u*v*가 있다.
상기 다양한 감성적인 이미지 언어에 각각 적합한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는, 실생활과 디자인 작업 및 배색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감성 언어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언어에 대해 배색을 적용하였으며, 예컨대 애니메이션, 게임, 영화, 회화, 예술 영상 등의 장르별로 영상 컨텐츠를 수집하여 각각 색채를 분석함에 의해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를 추출하였고, 관련 전문가 및 전문 집단의 검증 작업을 통해서 언어의 유사성, 언어와 배색의 적합성, 컨텐츠 구성 감성 언어의 적합성, 컨텐츠 기능의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감성 언어별로 적절한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를 규격화하여 저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감성 언어별 배색 정보에는 면적 비례표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직접적인 배색 수정 또는 배색 생성시에, 면적 비례에 따른 색채를 적용하여 면적별 색채의 느낌을 시연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에,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컴퓨터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컴퓨터 단말기(10)는 키보드(40)와, 마우스 장치(42), 네트워크 어댑터(44), 하드디스크 드라이브(46), 메모리(48), 메인보드 유니트(50), CPU(52), 비디오 처리부(54), 표시 모니터(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보드(40)는 인터넷망을 통한 상기 색채팔레트 제공 서버(20)로의 접속을 위한 키입력 및 감성적인 이미지 언어의 검색 또는 직접 입력을 위한 키입력 조작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마우스 장치(42)는 마우스 커서의 이동 및 실행 조작에 의해 색채 팔레트 웹페이지 상에서 색상 및 톤 정보의 조회와, 감성 언어에 따른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의 조회를 위한 메뉴 조작을 수행한다.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44)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색채팔레트 제공 서버(20)에 접속하여 색채 팔레트 웹페이지 상에서의 웹정보 교환을 위한 모뎀 및 랜카드 등의 데이터 변복조 및 인터넷웹 접속 연결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46)는 해당 컴퓨터 단말기(10)의 시스템 운영을 위한 운영 프로그램과, 인터넷 웹주소의 접속 및 웹데이터 조회를 위한 웹브라우저 프로그램, 색채의 표현을 위한 비디오 드라이버 파일, 모니터 드라이버 파일 등의 각종 프로그램 파일이 저장되어 있고, 인터넷 웹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인터넷 임시 저장 공간이 할당되어 있다.
상기 메모리(48)는 색채 팔레트 웹페이지를 통한 색상 및 톤 정보의 조회, 감성 언어에 따른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의 조회를 위한 각종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상기 메인보드 유니트(50)는 해당 컴퓨터 단말기(50)의 사용자 입력 조작과, 인터넷 접속을 통한 웹정보의 교환, 시스템 운영 프로그램의 실행 상에서의 응용 프로그램 구동, 관련 드라이버의 구동, 비디오 데이터의 처리에 관련된 전반적인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CPU(52)는 상기 메인보드 유니트(50)의 전반적인 데이터 처리에 있어서 주요 데이터의 중앙 처리를 담당한다.
상기 비디오 처리부(54)는 상기 표시 모니터(56) 상에서 색채 팔레트 웹페이지의 색상 및 톤 정보 조회를 위한 표시와, 감성 언어에 따른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의 표시를 위한 비디오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컴퓨터 단말기(10)는 인터넷망을 통해 색채팔레트 제공 서버(20)에 접속하여 인터넷 웹사이트의 색채팔레트 웹페이지를 통해 색상 및 톤 정보의 조회와, 감성 언어에 따른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의 조회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지만, 인터넷망을 통한 온라인 정보 조회를 통하지 않고, 해당 컴퓨터 단말기(10)에 상기 색채팔레트 웹페이지에서의 색상 및 톤 정보 조회 기능과, 감성 언어에 따른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의 조회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갖춘 색채 팔레트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오프라인 상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46)에는 색채 팔레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네트워크 어댑터(44)를 통한 온라인 상의 정보 교환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상기 색채 팔레트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메인보드 유니트(50) 상의 CPU(52)의 데이터 처리 하에서 상기 키보드(40) 및 마우스 장치(42)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색상 및 톤 정보의 조회와, 감성 언어에 따른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의 조회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30)에 설치된 색채 팔레트 프로그램에는 상기 색채정보 데이터베이스(30)와 동등하게 표준화된 색상 및 톤 정보와, 다양한 감성적인 이미지 언어에 대해 실질적인 디자인으로 채택이 가능하도록 적합한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보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에, 상기 컴퓨터 단말기(10) 내에서 구동되는 색채 팔레트 프로그램 실행시의 메인 화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나 있는 바, 상기 색채팔레트 제공 서버(20)에서 제공하는 색채팔레트 웹페이지에서도 상기 도 5의 메인 화면 구성과 동등한 메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채 팔레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메인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색채 팔레트의 메인 화면에는 메뉴 항목(60)과, 데이터 영역(62), 상세정보 항목(64), 선택색상 영역(66), 대비 영역(68), 배색 영역(70), 색만들기 메뉴버튼(72), 감성배색 메뉴버튼(74), 색채계획 메뉴버튼(76), 정보보기 버튼(78)을 포함한다.
상기 메뉴 항목(60)은 해당 색채 팔레트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는 새파일 생성, 파일 저장, 프로그램 종료를 선택할 수 있는 파일 메뉴와, 색만들기와, 감성배색, 색채계획, 정보보기의 메뉴 선택이 가능한 보기 메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62)은 선택한 색상의 기본적인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으로서, 이는 RGB, CMYK, L*a*b*, HTML, Gamma, Hue, Tone, Hue N, Serial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색상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RGB는 적(Red), 녹(Green), 청(Blue)에 의해 색을 정의하는 색모델이고, CMYK(Cyan, Magenta, Yellow, Black)는 인쇄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색 표시 모델이며, L*a*b*에서 L*은 인간의 시감과 같은 명도, a*는 Green∼Red의 관계, b*는 Yellow∼Blue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고, HTML은 웹페이지 생성을 위한 하이퍼 텍스트 언어로서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Gamma는 모니터의 Gamma가 2.4(Standard-RGB)일때 표준이 되고, Hue는 12색상환의 색상의 약호에 해당하며, Tone은 해당 색채 팔레트 프로그램의 상징톤을 의미하고, Hue N은 Hue Number의 약자로 12색상환의 색상 명칭을 의미하며, Serial은 색상 및 세부톤의 일련번호를 의미한다.
상기 상세정보 항목(64)은 확인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데이터 영역(62)보다 더 상세한 데이터값을 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RGB, CMYK, L*a*b*, HTML, Gamma, Hue, Tone, Hue N, Serial을 더 상세한 데이터값으로 표시한다.
상기 선택색상 영역(66)은 상기 색만들기 메뉴버튼(72)의 실행에 의한 색만 들기 영역, 상기 감성배색 메뉴버튼(74)의 실행에 의한 감성배색 영역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색을 각각 순차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대비 영역(68)은 각각 선택한 색의 대비효과를 조회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명도 대비(같은 명도의 색이 배경에 의하여 달라져 보이는 현상), 채도 대비(배경에 따라서 같은 색상이 다른 채도로 보이는 현상)로 분류된다.
상기 배색 영역(70)은 다른 팔레트에서 선택한 색과 상관없이 사용자가 주제의 표현을 위해 색상을 선정하는 방식과, 그에 따른 기능적 특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배색 형식으로 2색 배색, 분열 보색, 3색 배색, 4색 배색, 5색 배색, 6색 배색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색만들기 메뉴버튼(72)은 색상 및 톤 정보의 조회를 위한 색만들기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색 만들기 메뉴에서는 색상환 도구와 톤 도구, 팔레트 도구를 통해 색상 및 톤 정보를 사용자가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감성배색 메뉴버튼(74)은 감성 언어에 따라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의 조회를 위한 감성배색 메뉴를 실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감성배색 메뉴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감성 언어에 대한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색채계획 메뉴버튼(76)은 사용자가 직접 색을 선택할 수 있는 색채계획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색채계획 메뉴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색을 선택하여 면적비례표를 만들거나, 상기 감성배색 메뉴에서 조회되는 면적비례표를 수정 및 보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정보보기 버튼(78)은 해당 색채 팔레트 프로그램의 기본 정보와 사용법을 볼 수 있는 정보보기 메뉴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색만들기 메뉴버튼(72)에 의해 실행되는 색만들기 메뉴에서는 색상환 도구와, 톤 도구, 팔레트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색을 선택하고, 선택된 색에 대한 기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러한 색만들기 메뉴는 3가지의 색만들기 모드(562 모드, 전체 모드, 팔레트 모드)로 이루어진다.
첫번째의 562 모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만들기 메뉴 화면 상에 Red, Orange, Yellow, Yellow Green, Green, Blue Green, Cyan, Blue, Violet, Purple, Magenta, Red Purple의 총 12색상을 나타내는 12색상환 도구(80)와, 색상환에서 선택된 색을 미리보기할 수 있는 미리보기창(82), 총 562톤으로 이루어져서 12색상환 도구(80)에서 선택된 색에 대한 각 색상별 톤을 볼 수 있도록 나타내는 톤 도구(84), 상기 톤 도구(84)에서 선택된 색상 톤을 미리보기 할 수 있는 미리보기창(86)을 포함한다.
두번째의 전체 모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120개의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120색상환 도구(94)와, 그 120색상환 도구(94)에서 선택된 색을 미리 볼 수 있는 미리보기창(96), 상기 120색상환 도구(94)에서 선택된 색에 대한 각 색상별 톤을 볼 수 있도록 나타내는 톤도구(98), 해당 톤도구(98)에서 선택된 색상 톤을 미리보기 할 수 있는 미리보기창(100)을 포함한다.
세번째의 팔레트 모드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의 색상에 대한 톤의 위치를 나타내는 톤위치 표시도구(88)와, 총 12색상 562톤과 10단계의 무채색 을 배열하고 있는 팔레트 도구(90), 상기 팔레트 도구(90)에서 선택된 색상을 미리보기할 수 있는 미리보기창(92)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감성배색 메뉴버튼(74)의 조작에 의해 실행되는 감성배색 메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성 언어 1개당 총 9개의 4색 배색을 보여주는 4색 배색 영역(102)과, 4색 배색을 확대하여 보여주기 위해 실행되는 확대 버튼(104), 전체보기, 형용사, 게임 애니메이션, 예술사조, 영화 등과 같은 분류 중에서 원하는 분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분류 선택 다이얼로그박스(106), 찾고자 하는 감성언어의 단어를 직접 입력하여 검색하기 위한 단어 입력창(108), 상기 분류 선택 다이얼로그박스(106) 및 단어 입력창(108)에서 검색된 단어를 보여주는 단어 선택 다이얼로그박스(110), 감성 언어의 각 단어들이 형성 할 수 있는 이미지(즉, Warm, Cool, Hard, Soft)를 각 이미지군별로 보여주는 이미지 스케일(112), 감성 언어에 따른 배색 관계를 보여주는 면적비례 표시영역(114), 상기 면적비례 표시영역(114) 내에서 선택한 색을 하나씩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단색 팔레트(116), 4색을 면적비례로 배색할 수 있도록 각각 다른 도형 형태를 갖는 4색 배색부(118), 4색을 면적비례에 의한 색채를 적용하여 각 면적별 색채의 느낌을 시연할 수 있도록 하는 면적비례표(120)를 포함한다.
그 다음에, 상기 색채계획 메뉴버튼(76)의 조작에 의해 실행되는 색채계획 메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상환 도구와 톤도구를 갖춘 색선택 영역(130)과, 상기 색선택 영역(130)의 색상환 도구와 톤도구를 이용하여 면적비례표의 색상 및 톤을 직접 수정할 수 있는 면적비례 수정 영역(132)을 포함한다.
상기 면적비례 수정 영역(132)에서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색선택 영역(130)을 사용하여 면적비례표의 색상 및 톤을 새롭게 작성하거나, 상기 감성배색 메뉴에서 생성한 감성 언어별 면적비례표를 임의적으로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세정보 항목(64)의 확인 버튼을 사용자가 조작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RGB, CMYK, L*a*b*, HTML, Gamma, Hue, Tone, Hue N, Serial을 더 상세한 데이터값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에, 도 7의 감성배색 메뉴에서 분류 선택 다이얼로그박스(106)와, 단어 입력창(108), 단어 선택 다이얼로그박스(110)를 선택 입력하여 원하는 감성 언어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분류 선택 다이얼로그박스(106)가 조작되어 전체보기, 형용사, 게임 애니메이션, 예술사조, 영화 등과 같은 분류 중에서 특정 분류가 선택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단어 입력창(108)에 원하는 단어를 직접 입력하여 검색하거나, 단어 선택 다이얼로그박스(110)에서 원하는 단어를 검색하여 선택하게 되면, 이미지 스케일(112) 상에서 각 단어들이 형성하고 있는 이미지 언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이미지 스케일(112)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를 연상할 수 있는 군을 선택하게 되면, 역으로 상기 단어 선택 다이얼로그박스(110)에 해당 선택 군에 속하는 복수의 연관 단어가 나타나고, 그 선택 군에 속한 단어 중에서 특정 단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상기 이미지 스케일(112)에 있는 단어들 중에서 특정 단어가 선택되거나, 상기 단어 선택 다이얼로그박스(110)에서 특정 단어가 선택되면, 도 11a에 도시된 바 와 같아 상기 4색배색 영역(102)에는 4색 배색이 총 9가지로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4색배색 영역(102)에 표시되는 총 9가지의 4색 배색은 각 감성 언어의 언어적인 특징에 따라 연상이 되는 색들을 4개의 색으로 각기 다른 도형 형태를 갖도록 조합하여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도 11a와 같이 총 9가지의 4색 배색이 표시되는 4색배색 영역(102) 상에서 특정한 4색배색을 선택하게 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적비례 표시영역(114)상에는 해당 선택된 4색 배색의 각 단색이 단색 팔레트(116)에 각각 표시되고, 상기 4색 배색이 각기 다른 도형 형태로 4색배색부(118)에 나타남과 동시에, 면적비례표(120)에는 각각의 색상이 면적별로 나타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4색배색 영역(102)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다른 4색배색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블럭으로 이루어진 면적비례 표시영역(114) 상에서 이전에 선택되어 표시된 4색배색 부분(도 11b 참조)이 첫번째 블럭으로부터 두번째 블럭으로 이동하고, 신규하게 선택된 4색배색에 따른 단색 팔레트(116)와, 4색배색부(118), 면적비례표(120)가 첫번째 블럭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4색배색 영역(102) 상에서 또 다른 4색배색이 선택되면, 면적비례 표시영역(114)의 두번째 블럭으로 이동되었던 4색배색이 없어지고, 첫번째 블럭 부분의 4색 배색이 두번째 블럭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면적비례 표시영역(114)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색 팔레트(116)와, 4색배색부(118), 면적비례표(120)와 더불어 이동 버튼(140)과, 배경색 변경 버튼(142)을 포함하고 있는 바, 상기 이동 버튼(14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동 조작에 따라 상기 면적비례표(120)에 있는 서로 다른 면적을 이루는 색상이 순차적으로 바뀌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경색 변경 버튼(142)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 조작에 따라 해당 면적비례 표시영역(114)의 배경색을 특정한 색상(예컨대 회색, 백색, 흑색)으로 변경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단색 팔레트(116)에서 사용자가 특정한 단색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선택된 단색의 색정보를 알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되고, 상기 단색 팔레트(116) 이외의 다른 영역을 사용자가 조작하게 되면 단색정보의 선택이 해제된다.
그 다음에, 상기 색채계획 메뉴버튼(76)의 조작에 의해 실행되는 색채계획 메뉴에서는,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색을 조합하여 4색배색의 면적비례표를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상환-톤 영역(130)의 색상환 도구 및 톤도구를 이용하여 색을 선택하게 되면, 면적비례 표시영역(132)에는 사용자가 선택한 각각의 색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4색배색의 면적비례표를 작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색채계획 메뉴에서는 상기 감성배색 메뉴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감성 언어에 따른 4색배색의 면적비례표를 수정하거나 보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감성배색 메뉴를 실행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감성 언어에 따른 4색배색과, 그 4색배색이 적용되는 면적비례표가 작성되면,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채계획 메뉴버튼(76)의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색채계획 메뉴를 실행하여 4색 배색 및 면적비례표의 색을 수정 및 보완할 조건을 형 성하게 된다.
상기 색채계획 메뉴의 실행 상에서,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색상환 도구 및 톤도구를 조작하여 색을 선택함에 의해 해당 4색배색 및 면적비례표의 색을 수정 및 보완할 수 있도록 하고, 색의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지고 나서 다시 감성배색 메뉴버튼(74)의 조작에 의해 감성배색 메뉴로 복귀하게 되면, 도 1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색배색 영역(102)에 있는 원래의 감성 언어에 따른 배색과, 면적비례 표시영역(132)에서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수정된 배색 간의 전체적인 느낌을 사용자가 가시적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뉴 항목(60)의 파일 저장 메뉴를 실행함에 의해 화면 상에 나타나는 색상 이미지를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는 선택 색상과, 감성 배색, 면적비례표 등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이미지 파일(예컨대 비트맵 이미지(*.bmp))이나, 일러스트레이터 파일(예컨대 SVG 파일(*.svg)) 또는, 텍스트 파일(예컨대 Text 파일(*.txt)) 형태로 선택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선택 색상을 이미지 파일이나 일러스트레이터 파일로 저장한 경우에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 프로그램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면적비례표를 이미지 파일이나 일러스트레이터 파일로 저장한 경우에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기 감성 배색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선택 색상이나, 감성 배색 또는 면적비례표를 텍스트 파일로 저장한 경 우에는,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장 프로그램이나 MS 워드 프로그램, 아래아 한글 프로그램과 같은 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해당 텍스트 내용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는 DLL(Dynamic Linking Library) 파일과 같은 프로그램 링크 파일에 의해 본 발명의 감성 색채 팔레트 프로그램을, 아래아 한글, MS 워드 등과 같은 워드 프로그램이나, 어도비 포토샵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작성 프로그램의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과 연결하는 컴포넌트화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색채 팔레트 시스템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색채 팔레트 시스템의 다른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컴퓨터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채 팔레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메인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메인 화면 상의 색만들기 메뉴에 적용되는 색상-팔레트 톤 모듈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채 팔레트의 감성배색 화면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색채 팔레트의 색채계획 화면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작업중인 색채 데이터의 상세정보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색채 팔레트의 감성배색 화면에서 이미지 언어를 검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색채 팔레트의 감성배색 화면에서 배색의 선택에 따라 면적비례표의 배색 영역이 순차적으로 이동하 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색채 팔레트의 감성배색 화면에서 면적비례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감성배색 화면 상의 면적비례표에서의 이동 버튼 조작에 따라 색상의 면적이 순차적으로 바뀌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감성배색 화면 상의 면적비례표에서의 배경색 변경 버튼 조작에 따라 배경색이 바뀌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색채계획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배색을 진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감성배색 화면 상에서 선택된 배색을 색채계획 화면을 통해 수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7a 내지 도 17c는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된 배색 파일을 여타의 다른 응용 프로그램에서 활용하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컴퓨터 단말기, 20:색채 팔레트 제공 서버,
30:색채정보 데이터베이스, 40:키보드,
42:마우스장치, 44:네트워크 어댑터,
46:하드디스크 드라이브, 48:메모리,
50:메인보드 유니트, 52:CPU,
54:비디오 처리부, 56:표시 모니터.

Claims (9)

  1. 표준화된 색상 및 톤을 적용하여 색상환 도구, 톤 도구, 팔레트 도구를 통해 색상 및 톤 선택과, 선택된 색의 색 대비를 수행하는 색만들기 과정과;
    다수의 감성적인 이미지 언어에 적합한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구축되고서,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 언어에 대한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가 가시적으로 조회 가능하게 표시되는 감성배색 과정; 및
    상기 색만들기 과정 상에서 사용되는 색상환 도구, 톤 도구, 팔레트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색채 정보 및 배색 정보를 생성하거나, 상기 감성배색 과정에서 생성된 감성 언어에 따른 색채정보 및 배색 정보를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색상 및 톤으로 변경하여 원래의 감성 언어에 따른 색채정보 및 배색정보와 가시적으로 비교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색채계획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만들기 과정은, 12색으로 이루어진 12색상환 도구와, 562색으로 이루어진 톤 도구를 이용하는 562 모드와, 120가지의 색으로 이루어진 120색상환 도구와, 각 색상의 톤을 볼 수 있는 톤 도구를 이용하는 전체 모드, 12색상의 팔레트 도구를 이용하는 팔레트 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통해서 색상 및 톤의 선택과, 선택된 색의 색 대비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기반 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배색 과정은, 분류 선택 다이얼로그박스를 통해 다수의 감성 언어에 대한 분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분류 상에서 단어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단어를 직접 입력하거나, 단어 선택 다이얼로그박스에 나타나는 해당 분류의 단어 중에서 특정 단어를 선택하는 단계,
    이미지 스케일을 통해 상기 선택된 단어와 연관된 이미지 군의 단어가 배열 표시되고, 그 배열 표시된 단어 중에서 특정 단어가 선택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감성 언어의 단어에 적합한 색상의 배색 정보가 배색 영역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배색 과정은, 이미지 스케일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를 연상할 수 있는 군을 선택하는 단계와,
    단어 선택 다이얼로그박스에 해당 선택 군에 속하는 복수의 연관 단어가 나타나고, 그 선택 군에 속한 단어 중에서 특정 단어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감성 언어의 단어에 적합한 색상의 배색 정보가 배색 영역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단어에 적합한 색상의 배색 정보가 배색 영역에 표시되는 단계에서, 상기 배색 영역에는 해당 감성 언어에 적합한 복수의 색상이 각각 조합되어 각기 다른 형태의 도형으로 구현된 복수의 배색 정보가 표시되고,
    상기 각 배색 정보에 대해, 각 배색의 단색을 나타내는 단색 팔레트와, 해당 배색 관계를 각기 다른 도형으로 표현한 복수색의 배색부, 복수색의 배색 관계를 각기 다른 면적으료 비례 표시하는 면적 비례표가 별도의 면적비례 표시영역에 표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비례 표시영역은 상기 단색 팔레트, 복수색의 배색부, 면적비례표를 각각 갖는 복수개의 블럭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배색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배색 정보 중에서 특정 배색 정보를 사용자가 선택할때마다 해당 배색 정보의 단색 팔레트, 복수색의 배색부, 면적비례표가 하나의 블럭에서 다른 블럭으로 이동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비례 표시영역에는, 이동 버튼의 조작에 의해 면적비례표의 서로 다른 면적을 이루는 색상들이 순차적으로 변경되고, 배경색 변경 버튼의 조작에 따라 해당 면적비례 표시영역의 배경색을 변경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만들기 과정에서 선택된 선택 색상과, 상기 감성배색 과정에서 생성된 감성 배색 및 면적비례표를 이미지 파일이나, 일러스트레이터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만들기 과정과 감성배색 과정 및 색채계획 과정은, 컴퓨터 단말기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형태 또는, 인터넷망을 통해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인터넷 웹사이트에서의 색채 팔레트 웹페이지의 형태 중에서 어느 하나의 형태를 동작시켜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
KR1020070080413A 2007-08-10 2007-08-10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 KR20090016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413A KR20090016055A (ko) 2007-08-10 2007-08-10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413A KR20090016055A (ko) 2007-08-10 2007-08-10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055A true KR20090016055A (ko) 2009-02-13

Family

ID=40685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413A KR20090016055A (ko) 2007-08-10 2007-08-10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605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968B1 (ko) * 2009-04-06 2011-01-31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색상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KR101024954B1 (ko) * 2009-06-29 2011-03-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색채와 감정 간의 관계에 기초한 영상의 색 변환 방법
US9076243B2 (en) 2010-03-30 2015-07-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igital interio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08893A (ko) 2015-03-09 2016-09-21 한동수 성향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배색이미지 팔레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41130B1 (ko) 2019-02-10 2019-11-06 주식회사 한영나염 자동 배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1368351A (zh) * 2020-03-30 2020-07-03 西安理工大学 感性信息“转嫁-映射”下的产品cmf情感化设计方法
KR102248468B1 (ko) * 2021-03-04 2021-05-04 김영 색상 배색 제공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968B1 (ko) * 2009-04-06 2011-01-31 성결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색상 지원 장치 및 그 방법
KR101024954B1 (ko) * 2009-06-29 2011-03-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색채와 감정 간의 관계에 기초한 영상의 색 변환 방법
US9076243B2 (en) 2010-03-30 2015-07-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igital interio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08893A (ko) 2015-03-09 2016-09-21 한동수 성향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배색이미지 팔레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41130B1 (ko) 2019-02-10 2019-11-06 주식회사 한영나염 자동 배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1368351A (zh) * 2020-03-30 2020-07-03 西安理工大学 感性信息“转嫁-映射”下的产品cmf情感化设计方法
KR102248468B1 (ko) * 2021-03-04 2021-05-04 김영 색상 배색 제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nert Gnuplot in action: understanding data with graphs
Kurt Menke et al. Mastering QGIS
RU2387010C2 (ru) Окрашенные предварительные изображения шаблонов
EP0684584B1 (en) Objective-based color selection system
US7272785B2 (en) Data editing for improving readability of a display
KR20090016055A (ko) 감성 기반의 색채 팔레트 제공 방법
JP4337878B2 (ja) 配色支援装置、配色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配色支援方法、並びに配色支援システム
JP200109282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1036137B (zh) 显示装置、用于显示装置的控制方法
US6167410A (en)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for adding predetermined design types to an original document
CN105474198A (zh) 具有动态调色板的分层z顺序和微调颜色字体
CN102375981A (zh) 图像处理装置
Shi et al. Colorcook: Augmenting color design for dashboarding with domain-associated palettes
WO1999009492A1 (en) A computerised method of compiling reports
US10789735B2 (en) Intelligent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a dynamic color combination for a design output
JP4005672B2 (ja) 文書処理装置、文書処理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及び文書処理方法
US10593067B2 (en) Intelligent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color hierarchy and aesthetic design computation
JP4127140B2 (ja) 文書処理装置及び文書処理プログラム、並びに文書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13003906A (ja) 電子文書装飾装置及び電子文書装飾プログラム
Kondratova et al. Culturally appropriate web user interface design study: Research methodology and results
Miura et al. A Color Scheme Explorer Based on a Practical Color Design Framework
US5539904A (en) Method for designation of data in a data bank and extraction
WO2022259513A1 (ja) 単語評価値取得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Yip et al. Roadmap feature analysis: Viewing ‘roadmaps’ as maps
JP4775122B2 (ja) ドキュメント印象評価装置及びドキュメント印象評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