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5515A -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영상신호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영상신호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5515A
KR20090015515A KR1020070079894A KR20070079894A KR20090015515A KR 20090015515 A KR20090015515 A KR 20090015515A KR 1020070079894 A KR1020070079894 A KR 1020070079894A KR 20070079894 A KR20070079894 A KR 20070079894A KR 20090015515 A KR20090015515 A KR 20090015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lor space
wavelength band
space signal
signal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9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6135B1 (ko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9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13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5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신호처리방법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색공간 신호 중에서 가장 짧은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만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영상을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영상신호처리장치{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image signal processor}
실시 예는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영상신호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영상신호처리장치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영상신호처리방법은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판독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하나의 예로서,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영상신호처리장치는 단말기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단말기는 카메라 모듈과 같은 영상획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사진 또는 배경 영상 등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런데, 카메라 모듈에 구비된 렌즈의 촛점거리 내에 위치된 물체에 대하여 영상 획득을 시도하는 경우에는 촛점이 맞지 않게 됨으로써, 영상을 획득하고 판독하는데 있어 오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 예는 영상획득부의 촛점거리 내에 위치된 물체에 대하여 영상 획득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영상신호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신호처리방법은,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색공간 신호 중에서 가장 짧은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만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영상을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신호처리장치는,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와,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색공간 신호 중에서 가장 짧은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만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영상을 판독하는 영상판독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는 영상획득부의 촛점거리 내에 위치된 물체에 대하여 영상 획득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동통신사는 2차원 인식코드(모바일 코드)를 통해 사용자가 단말기를 사용하여 원하는 컨텐츠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접속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단말기를 사용하여 2차원 인식코드를 획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11)의 영상획득부를 통하여 2차원 인식코드(13)를 획득하고 판독하면, 상기 인식코드(13)에 해당되는 컨텐츠에 자동으로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단말기(11)는 무선인터넷 등의 방식으로 상기 인식코드(13)에 연결된 컨텐츠에 접속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말기(11)에서 상기 인식코드(13)를 획득하고 판독하는 개체는 카메라 모듈과 같은 영상획득부이다. 카메라 모듈의 화소수가 증가되면서 원거리 배경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려는 사용자가 많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에 있어서도 포커스(focus)되는 지점이 원거리 쪽으로 이동되고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의 촛점거리가 원거리 쪽에 고정된 경우에는, 근거리 예컨대 30cm 이하에 위치된 물체의 영상을 획득함에 있어 촛점이 맞지 않게 된다.
사용자가 2차원 인식코드(13)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에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단말기(11)의 영상획득부를 상기 2차원 인식코드(13)에 근접시켜 영상 획득을 시도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단말기(11)에 구비된 영상획득부의 촛점거리가 원거리 쪽에 고정된 경우에는 상기 2차원 인식코드(13)를 인식하는데 있어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색(B), 녹색(G), 적색(R) 파장에 따라 거리별 색수차가 발생된다. 도 2는 RGB 파장의 차이에 의하여 거리별 색수차가 발생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색(R) 파장대역은 상대적으로 물체로부터 원거리에 촛점거리가 맺히고, 청색(B) 파장대역은 상대적으로 근거리에 촛점거리가 맺히며, 녹색(G) 파장대역은 촛점거리가 중간에 맺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는 거리변화에 따른 RGB 포커스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상대적으로 물체로부터 근거리에 위치된 지점에서의 RGB 포커스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색(B) 파장대역의 포커싱이 가장 잘 맞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상대적으로 물체로부터 중간거리에 위치된 지점에서의 RGB 포커스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녹색(G) 파장대역의 포커싱이 가장 잘 맞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상대적으로 물체로부터 원거리에 위치된 지점에서의 RGB 포커스 이미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색(R) 파장대역의 포커싱이 가장 잘 맞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장대역에 따라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위치에 차이가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파장대역에 따른 색수차를 이용하여 촛점거리 이내에 위치된 물체의 영상을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신호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신호처리방법에 의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영상을 획득한다(단계 61).
이때,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색공간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획득된 영상에 대한 색공간 신호는 영상획득부의 구현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색공간 신호는 청색 파장대역, 녹색 파장대역, 적색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색공간 신호 중에서, 가장 짧은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만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영상을 판독한다(단계 63)
가령,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색공간 신호가 청색 파장대역, 녹색 파장대역, 적색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인 경우에는 청색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를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에 대한 판독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획득된 영상을 판독함에 있어, 상기 획득된 영상의 2차원 영상을 효과적으로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2차원 영상은 획득된 영상 중에서 관심영역의 2차원 영상 예컨대 2차원 인식코드(모바일 코드)일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영상획득부의 촛점거리 내에 위치된 물체 예컨대 2차원 인식코드에 대하여, 생성된 색공간 신호 중에서 가장 짧은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만을 이용하여 영상 판독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영상을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가장 짧은 파장대역의 촛점거리가 상대적으로 물체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촛점거리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 의하면 촛점거리 내에 위치된 물체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영상을 획득하고 판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영상을 획득함에 있어 복수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영상을 획득함에 있어, 2차원 인식코드(모바일 코드)와 같이 컬러 영상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영상획득부에서 가장 짧은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만을 생성하도록 제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영상획득부에서 생성될 수 있는 색공간 신호가 청색 파장대역, 녹색 파장대역, 적색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인 경우에는 청색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만을 생성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신호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신호장치(10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을 획득 하는 영상획득부(110)와,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색공간 신호 중에서 가장 짧은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만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영상을 판독하는 영상판독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획득부(110)는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파장대역에 해당되는 색공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영상획득부(110)는 청색 파장대역, 녹색 파장대역, 적색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를 포함하는 색공간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판독부(120)는 상기 생성된 색공간 신호 중에서 가장 짧은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만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영상에 대한 판독을 수행한다. 가령,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색공간 신호가 청색 파장대역, 녹색 파장대역, 적색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영상판독부(120)는 청색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를 이용하여 획득된 영상에 대한 판독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영상판독부(120)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판독함에 있어, 상기 획득된 영상의 2차원 영상을 효과적으로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2차원 영상은 획득된 영상 중에서 관심영역의 2차원 영상 예컨대 2차원 인식코드(모바일 코드)일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획득부(110)의 촛점거리 내에 위치된 물체 예컨대 2차원 인식코드에 대하여, 생성된 색공간 신호 중에서 가장 짧은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만을 이용하여 영상 판독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영상을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가장 짧은 파장대역의 촛점거리가 상대적으로 물체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촛점거리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실시 예에 의하면 촛점거리 내에 위치된 물체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영상을 획득하고 판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영상을 획득함에 있어 복수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영상을 획득함에 있어, 2차원 인식코드(모바일 코드)와 같이 컬러 영상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영상획득부(110)에서 가장 짧은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만을 생성하도록 제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영상획득부(110)에서 생성될 수 있는 색공간 신호가 청색 파장대역, 녹색 파장대역, 적색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인 경우에는 청색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만을 생성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은 단말기를 사용하여 2차원 인식코드를 획득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RGB 파장의 차이에 의하여 거리별 색수차가 발생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거리변화에 따른 RGB 포커스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신호처리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영상신호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영상신호처리장치
110... 영상획득부
120... 영상판독부

Claims (8)

  1.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색공간 신호 중에서, 가장 짧은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만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영상을 판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색공간 신호는 청색 파장대역, 녹색 파장대역, 적색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에 있어, 청색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만을 생성하는 영상신호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영상을 판독함에 있어, 상기 획득된 영상의 2차원 영상을 판독하는 영상신호처리방법.
  5.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색공간 신호 중에서, 가장 짧은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만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영상을 판독하는 영상판독부;
    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색공간 신호는 청색 파장대역, 녹색 파장대역, 적색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획득부는 상기 영상을 획득함에 있어 청색 파장대역의 색공간 신호만을 생성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판독부는 상기 획득된 영상을 판독함에 있어 상기 획득된 영상의 2차원 영상을 판독하는 영상신호처리장치.
KR1020070079894A 2007-08-09 2007-08-09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영상신호처리장치 KR101316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894A KR101316135B1 (ko) 2007-08-09 2007-08-09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영상신호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9894A KR101316135B1 (ko) 2007-08-09 2007-08-09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영상신호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515A true KR20090015515A (ko) 2009-02-12
KR101316135B1 KR101316135B1 (ko) 2013-10-08

Family

ID=40685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9894A KR101316135B1 (ko) 2007-08-09 2007-08-09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영상신호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1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6359A (ja) * 1993-03-18 1994-09-30 Fuji Xerox Co Ltd カラー画像読取装置
JPH07264355A (ja) * 1994-03-18 1995-10-13 Fuji Xerox Co Ltd カラー画像読取装置
JP2004287808A (ja) * 2003-03-20 2004-10-14 Olympus Corp 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4578797B2 (ja) 2003-11-10 2010-11-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6135B1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92000B2 (ja) バーコードを走査し寸法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217394B1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20170064184A1 (en) Focusing system and method
JP6031587B2 (ja) 撮像装置、信号処理方法、信号処理プログラム
US9854151B2 (en) Imaging device and focusing control method
JP2011513818A (ja) 統合されたバーコード・スキャニングを備えた画像キャプチャ・デバイス
JP2010136223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5779726B2 (ja) 撮像装置及び露出決定方法
US20220030174A1 (en) Optical scope system for capturing an image of a scene
CN107172352A (zh) 对焦控制方法、装置、计算机可存储介质和移动终端
CN103888663A (zh) 图像处理设备、图像拾取设备和图像处理方法
JP2005197914A (ja) 顔画像認識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デジタルカメラ
KR102506363B1 (ko) 정확히 2개의 카메라를 갖는 디바이스 및 이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2개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WO2014098143A1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936150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5807125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合焦制御方法
KR101316135B1 (ko) 영상신호처리방법 및 영상신호처리장치
JP5058128B2 (ja) 撮像装置及び携帯機器
CN107770447B (zh) 图像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电子设备
JP2007249000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US20220413258A1 (en) Imag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terchangeable lens
JP4271648B2 (ja) 画像合成装置、撮像手段、およびプログラム
JP5625499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198052B2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WO2013147303A1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