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682A -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682A
KR20090014682A KR1020070078792A KR20070078792A KR20090014682A KR 20090014682 A KR20090014682 A KR 20090014682A KR 1020070078792 A KR1020070078792 A KR 1020070078792A KR 20070078792 A KR20070078792 A KR 20070078792A KR 20090014682 A KR20090014682 A KR 20090014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gital
error
voice signal
sampl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4682A/ko
Priority to CNA2007101866478A priority patent/CN101364850A/zh
Publication of KR20090014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5Monitoring of client processing errors or hardware failur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04N21/42638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involving a hybrid front-end, e.g. analog and digital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2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audio buffe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처리장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중 비트 에러가 발생한 오류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오류 데이터의 전후로 수신되는 정상적인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오류 데이터를 보상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오디오 환경이 개선된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Figure P1020070078792
NICAM, 모노, 스테레오

Description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BROADCASTING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Nicam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으로 방송신호를 송신하는 방송 규격 중 NICMA(Near Instantaneously Companded Audio Multiplex)은 아날로그 방송시스템 중 유일하게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방식(QPSK 변조)으로 전송하는 방송규격의 하나이다. NICAM은 주로 유럽(영국, 스웨덴, 스페인, 프랑스, 북/동유럽국가)과 중국 및 호주 등의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NICAM 방송은 디지털 방송이지만 전송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트 에러(bit error)에 대한 보완이 완벽하지 않다. 따라서, NICAM 방송을 수신하는 지역 특히 디지털 신호의 수신이 약한 지역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방식으로 모노신호만을 별도로 복조하여 NICAM 방송신호와 함께 전송하고 있다. 텔레비전은 입력되는 아날로그 방송신호와 NICAM 방송신호를 모두 수신하여 NICAM 방송신호의 비트 에러 개수에 따라 NICAM 방송신호를 출력하거나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비트 에러 개수에 따라, 즉 비트 에러의 개수가 소정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출력되고, 비트에러의 개수가 소정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NICAM 방송신호가 출력된다. 하지만, 비트 에러의 개수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더라도 임계값에 근사한 값을 갖는 경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질은 매우 낮아 노이즈가 많은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디오 환경이 개선된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처리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중 비트 에러가 발생한 오류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오류 데이터의 전후로 수신되는 정상적인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오류 데이터를 보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처리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복수의 비트데이터와 패러티(parity)를 포함하며, 상 기 제어부는 상기 패러티를 체크하여 상기 비트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버퍼링하는 버퍼부와; 정상적인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을 이용하여 보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보상부와; 상기 버퍼부에 버퍼링되어 있는 정상적인 상기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보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선택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현이 복잡한 배율기(multiplier)와 같은 계산부를 포함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보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데이터 보상부는 가산기(adder) 및 시프터(shifter)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처리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음성신호 및 디지털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중 비트 에러가 발생한 오류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오류 데이터의 개수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아날로그 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오류 데이터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오류 데이터를 보상한 보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처리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 때, 정상적인 상기 디지털 데이터 사이에 연속적으로 두 개의 상기 오류 데이터가 검출된 경우, 상기 오류 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상기 보상 데이터는 다음식에 해당할 수 있다.
[수학식 1] C1 = S1+[(S1+S2)/2]/2
[수학식 2] C2 = S2+[(S1+S2)/2]/2
S1 : 오류 데이터 전에 수신된 정상적인 디지털 데이터
S2 : 오류 데이터 후에 수신된 정상적인 디지털 데이터
C1 : 첫 번째 오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보상 데이터
C2 : 두 번째 오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보상 데이터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아날로그 음성신호 및 디지털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중 비트 에러가 발생한 오류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오류 데이터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 데이터의 개수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아날로그 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오류 데이터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오류 데이터를 보상한 보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 환경이 개선된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제1실시예에서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방송처리장치로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1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상세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는 신호수신부(10), 디지털 처리부(2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신호수신부(10)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는 NICMA(Near Instantaneously Companded Audio Multiplex) 규격이 적용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NICAM은 주로 유럽(영국, 스웨덴, 스페인, 프랑스, 북/동유럽국가)과 중국 및 호주 등의 지역에 서 사용되고 있으며, 영상신호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송신되지만, 음성신호는 디지?? 방송으로 변조되어 송신된다. 신호수신부(10)는 도시하지 않은 튜너, 복수의 대역필터와 증폭기 등을 포함하여, 입력되는 방송신호 중 디지털 음성신호를 추출하여 디지털 처리부(20)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음성신호의 처리에 관하여서 설명하며, 기술되지 않은 영상신호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다.
디지털 처리부(20)는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복조하고 디코딩하여 디지털 데이터인 디지털 샘플데이터를 출력한다. 도3과 같이, 디지털 처리부(20)는 QPSK(quarter phase shift keying) 복조부(21) 및 NICAM 디코딩부(23)를 포함한다. QPSK 복조부(21)는 디지털 변조방식의 하나인 QPSK 방식으로 변조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복조하고, 복조된 디지털 음성신호는 NICAM 디코딩부(23)에서 디코딩된다.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경되기 위하여 진폭을 갖는 파형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짧은 간격마다 연속적으로 샘플링되고, 진폭에 대응하는 값이 수치화된다. 이러한 디지털 음성신호가 NICAM 디코딩부(23)를 통하여 디코딩되면 도2와 같은 디지털 샘플데이터가 된다. 디지털 샘플데이터(1)는 10 비트(bi)의 음성 데이터(X0~X9)와 MSB(most significant bit)의 단부에 추가된 패러티(parity; P)로 구성된다. 패러티는 10 비트의 음성데이터에 오류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추가된 1비트의 데이터이다. 제어부(30)는 패러티를 체크하여 디지털 샘플데이터에 비트 에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패러티를 이용한 비 트 에러의 검출은 공지된 기술에 해당한다. 도2의 디지털 샘플데이터는 일례에 해당하며 신호수신부(10)로 수신되는 디지털 샘플데이터의 비트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30)는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디지털 샘플데이터(1) 중 비트 에러가 발생한 오류 샘플데이터를 검출하고, 오류 샘플데이터의 전후로 수신되는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터를 이용하여 오류 샘플데이터를 보상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30)는 버퍼부(31), 데이터 보상부(33) 및 선택 출력부(35)를 포함한다.
버퍼부(31)는 NICAM 디코딩부(23)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샘플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버퍼링한다. 오류 샘플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하여 버퍼부(31)는 디지털 샘플데이터를 소정 시간 지연시켜 저장하며, 디지털 샘플데이터가 지연되는 시간은 오류 샘플데이터가 보상되기 위한 시간에 대응된다.
데이터 보상부(33)는 오류 샘플데이터의 전후로 수신되는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을 이용하여 보상 샘플데이터를 생성한다.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경되기 전의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연속적인 파형을 가지므로 인접한 디지털 샘플데이터의 크기는 연속성을 지닌다. 하지만, 비트 오류가 발생한 오류 샘플데이터는 인접한 디지털 샘플데이터와의 연속성을 상실한 채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터의 크기보다 매우 크거나 매우 작은 값을 가진다. 데이터 보상부(33)는 오류 샘플데이터의 전후에 수신되는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을 오류 샘플데이터로 교체할 수 있는 보상 샘플데이터로 설정한다.
선택출력부(35)는 버퍼부(31)에 버퍼링되어 있는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 터와 데이터 보상부(33)에 보상 샘플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제어부(30)는 버퍼부(31)의 디지털 샘플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다가 오류 샘플데이터가 출력되는 시점에 보상 샘플데이터를 출력되도록 한다. 결국, 선택출력부(35)에서는 오류 샘플데이터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노이즈가 감소한 음성신호를 청취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출력부(35)는 멀티플렉서(multiplexer)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는 신호수신부(100), SIF 검파부(200), 아날로그 처리부(300), 디지털 처리부(400)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로 구성된다. 디지털 처리부(400)를 구성하는 QPSK 복조부(410)와 NICAM 디코딩부(42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신호수신부(100)는 디지털 음성신호와 함께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NICAM 방송은 디지털 방송이지만 전송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트 에러에 대한 보완이 완벽하지 않다. 따라서, NICAM 방송을 수신하는 지역 특히 디지털 신호의 수신이 약한 지역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방식으로 모노신호만을 별도로 복조하여 NICAM 방송신호와 함께 전송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신호수신부(100)는 아날로그 방송신호와 NICAM 방송신호를 모두 수신한다.
SIF(sound intermediate frequency) 검파부(200)를 거친 음성신호 중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아날로그 처리부(300)에 입력되고, 디지털 음성신호는 디지털 처리부(400)로 입력된다. 아날로그 처리부(300)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방향성이 없는 모노(mono) 신호이고, 디지털 처리부(400)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왼쪽 및 오른쪽 으로 구분되는 스테레오(stereo) 신호 또는 외국어를 지원하는 듀얼(dual)신호이다.
제어부(500)는 제1실시예와 달리 두 개의 선택출력부(530, 540)를 포함한다. 제1선택출력부(540)는 아날로그 처리부(300)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 또는 디지털 처리부(400)에서 출력된 디지털 음성신호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기 위한 멀티플렉서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0)는 디지털 샘플데이터 중 비트 에러가 발생한 오류 샘플데이터를 검출하고, 오류 샘플데이터의 개수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디지털 음성신호의 노이즈가 허용 범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반면, 오류 샘플데이터의 개수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오류 샘플데이터의 개수가 임계값 이하이기 때문에 디지털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경우라도 오류 샘플데이터의 개수가 임계값에 도달하기 직전의 값을 가지는 경우 사용자는 매우 노이즈가 심한 소리를 듣게 된다. 한편,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임계값을 낮게 설정하면 방송환경이 조금만 나빠져도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테레오 신호 또는 외국어 방송을 청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500)는 오류 샘플데이터가 발생한 경우 이를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상한다.
버퍼부(510), 데이터 보상부(520) 및 제2선택출력부(530)는 제1실시예의 제어부(30)에 포함되어 있는 구성요소와 유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오류 샘플데이터를 보정 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5a는 시간에 따라 버퍼부(510)에 저장되는 디지털 샘플데이터의 크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5b는 데이터 보상부(520)에서 생성된 보상 샘플데이터의 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샘플데이터의 크기는 시간에 따라 연속성을 가진다. 한편, 도 5a에는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터(S1, S2) 사이에 비트 에러가 발생한 오류 샘플데이터(E1, E2)가 하나씩 도시되어 있다. 정상적인 경우 제1오류 샘플데이터(E1)는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터(S1, S2) 사이의 가상 샘플데이터(V)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1오류 샘플데이터(E1)는 비트 에러로 인하여 인접하게 수신되는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터(S1, S2)과의 연속성을 깨고 매우 적은 크기를 갖는다.
데이터 보상부(520)는 오류 샘플데이터(E1)의 전후에 수신되는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터의 평균값을 갖는 보상 샘플데이터(C1)를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보상부(520)는 복잡한 구조를 갖는 배율기(multiplier)와 같은 계산부를 포함하지 않도록 가산기(adder) 및 시프터(shifter)로 구성된다. 예컨대, 제1오류 샘플데이터(S1)가 1001000010이고 제2오류 샘플데이터(S2)가 0011110101인 경우, 가산기에 의하여 합해지면, 1100110111이 된다. 합산된 데이터는 별도의 연산을 거치지 않고 시프트를 통과하게 된다. 중간값을 구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있도록 합산된 데이터(1100110111)는 시프트를 통하여 한 자리수 이동하게 되고, 보상 샘플데이터(C1)는 0110011011이 된다. 보상 샘플데이터(C1)와 가상 샘플데이터(V)가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지만 보상 샘플데이터(C1)는 오류 샘플데이터(E1)에 비하여 정상적인 크기에 근접한 값을 갖는다. 정리하면, 보상 샘플데이터(C1)는 (S1+S2)/2의 크기를 갖는다.
도 6a 및 도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다른 오류 샘플데이터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샘플데이터는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터(S1, S2) 사이에 비트 오류가 발생한 두 개의 오류 샘플데이터(E1, E2)를 갖는다. 제1오류 샘플데이터(E1)는 제1가상 샘플데이터(V1)에 비하여 매우 적은 크기를 가지며, 제2오류 샘플데이터(E2)는 제2가상 샘플데이터(V2)에 비하여 매우 큰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오류 샘플데이터(E1, E2)를 가산기 및 시프터를 이용하여 보상하기 위하여 데이터 보상부(520)는 우선,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터(S1, S2)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 평균값과 각 디지털 샘플데이터(S1, S2)의 평균값을 구한다. 즉, 도6b와 같이 제1오류 샘플데이터(E1)를 보상한 제1보상 샘플데이터(C1)는 S1+[(S1+S2)/2]/2 가 되고, 제2오류 샘플데이터(E2)를 보상한 제2보상 샘플데이터(C2)는 S2+[(S1+S2)/2]/2 가 된다. 제1보상 샘플데이터(C1) 및 제2보상 샘플데이터(C2)가 제1가상 샘플데이터(V1) 및 제2가상 샘플데이터(V2)와 일치하지는 않지만, 오류 샘플데이터(E1, E2)에 비하여 정상적인 크기에 근접한 값을 갖는다.
도 7은 본 2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우선,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아날로그 음성신호 및 디지털 음성신호로 분류된 다음,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아날로그 처리부(300)에서 복조되고, 디지털 음성신호는 디지털 처리부(400)에서 복조 및 디코딩된다(S10).
NICAM 디코딩부(420)에서 디코딩된 디지털 샘플데이터는 제어부(500)로 입력 되어 버퍼링된다. 제어부(500)는 버퍼링된 디지털 샘플데이터 중 비트 오류가 발생한 오류 샘플데이터를 검출하고(S20), 오류 샘플데이터의 개수를 파악한다(S30). 또한, 제어부(500)는 오류 샘플데이터가 발생한 시점에 대한 시간 정보도 파악한다.
만약, 오류 샘플데이터의 개수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 제어부(500)는 디지털 샘플데이터가 제2선택 출력부(5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오류 샘플데이터의 보상을 진행한다. 먼저,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터 사이에 존재하는 오류 샘플데이터의 개수가 하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0). 오류 샘플데이터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터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S1+S2)/2의 크기를 갖는 보상 샘플데이터(C1)를 생성한다(S50).
반면,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터 사이에 존재하는 오류 샘플데이터의 개수가 하나가 아닌 경우, 제어부(500)는 오류 샘플데이터의 개수가 두 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60), 제1보상 샘플데이터(C1) 및 제2보상 샘플데이터(C2)를 생성한다(S70).
그런 다음, 제어부(500)는 제2선택 출력부(530)를 통하여 버퍼부(510)에서 지연된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터와 보상 샘플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S80). 제2선택 출력부(530)를 통하여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제1선택 출력부(540)를 경유하여 외부로 출력된다.
한편, 오류 샘플데이터의 개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또는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터 사이에 존재하는 오류 샘플데이터의 개수가 세 개 이상이 되는 경 우 제어부(500)는 제1선택 출력부(540)를 통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한다. 제어부(500)는 상기의 경우 비트 에러의 개수가 보상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의 오디오 환경을 위하여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임계값 및 정상적인 디지털 샘플데이터 사이에 존재하는 오류 샘플데이터의 개수는 특정 값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방송신호가 전송되는 지역적 환경 및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방송처리장치로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1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상세 제어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오류 데이터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6a 및 도6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다른 오류 데이터를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신호수신부 20, 400 : 디지털 처리부
30, 500 : 제어부 31, 510 : 버퍼부
33, 520 : 데이터 보상부 35, 530 : 선택 출력부
300 : 아날로그 처리부

Claims (12)

  1. 방송처리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중 비트 에러가 발생한 오류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오류 데이터의 전후로 수신되는 정상적인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오류 데이터를 보상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복수의 비트데이터와 패러티(parity)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러티를 체크하여 상기 비트 에러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버퍼링하는 버퍼부와;
    정상적인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을 이용하여 보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보상부와;
    상기 버퍼부에 버퍼링되어 있는 정상적인 상기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보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선택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보상부는 가산기(adder) 및 시프터(shif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5. 방송처리장치에 있어서,
    아날로그 음성신호 및 디지털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신호 수신부와;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 처리부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중 비트 에러가 발생한 오류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오류 데이터의 개수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아날로그 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오류 데이터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오류 데이터를 보상한 보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복수의 비트데이터와 패러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러티를 체크하여 상기 비트 에러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버퍼링하는 버퍼부와;
    상기 오류 데이터의 전후로 수신되는 정상적인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을 산출하여 보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보상부와;
    상기 버퍼부에 버퍼링되어 있는 정상적인 상기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보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선택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정상적인 상기 디지털 데이터 사이에 연속적으로 두 개의 상기 오류 데이터가 검출된 경우, 상기 오류 데이터에 대응하여 생성된 상기 보상 데이터는 다음식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수학식 1] C1 = S1+[(S1+S2)/2]/2
    [수학식 2] C2 = S2+[(S1+S2)/2]/2
    S1 : 오류 데이터 전에 수신된 정상적인 디지털 데이터
    S2 : 오류 데이터 후에 수신된 정상적인 디지털 데이터
    C1 : 첫 번째 오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보상 데이터
    C2 : 두 번째 오류 데이터에 대응하는 보상 데이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보상부는 가산기(adder) 및 시프터(shif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10. 아날로그 음성신호 및 디지털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디지털 데이터 중 비트 에러가 발생한 오류 데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오류 데이터의 개수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 데이터의 개수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아날로그 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오류 데이터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오류 데이터를 보상한 보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복수의 비트데이터와 패러티를 포함하며,
    상기 오류 데이터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패러티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수신되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버퍼링하는 단계와;
    상기 오류 데이터의 전후로 수신되는 정상적인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평균값 또는 중간값을 이용하여 상기 보상 데이터를 형성하는 단계와;
    버퍼링되어 있는 정상적인 상기 디지털 데이터와 상기 보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처리장치.
KR1020070078792A 2007-08-06 2007-08-06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14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92A KR20090014682A (ko) 2007-08-06 2007-08-06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A2007101866478A CN101364850A (zh) 2007-08-06 2007-11-21 广播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92A KR20090014682A (ko) 2007-08-06 2007-08-06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682A true KR20090014682A (ko) 2009-02-11

Family

ID=40391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792A KR20090014682A (ko) 2007-08-06 2007-08-06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014682A (ko)
CN (1) CN1013648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575B1 (ko) * 2009-01-20 2011-02-16 주식회사 코아로직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
KR20140026790A (ko) * 2012-08-23 2014-03-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의 아날로그적 사운드 처리 방식을 갖는 오디오 출력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54585A (zh) * 2023-12-06 2024-01-05 深圳感臻智能股份有限公司 一种针对视频网络丢包的优化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575B1 (ko) * 2009-01-20 2011-02-16 주식회사 코아로직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
KR20140026790A (ko) * 2012-08-23 2014-03-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의 아날로그적 사운드 처리 방식을 갖는 오디오 출력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64850A (zh)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83380A1 (en) Receiver
US8370724B2 (en) Audio reproduction device, information reproduction system, audio reproduction method, and program
JP5174623B2 (ja) 放送受信回路および放送受信装置
KR20090014682A (ko) 방송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270825A (ja) 受信機及びディジタル放送受信方法
JP2006287841A (ja) デジタル放送受信状態表示装置および方法
US10439745B2 (en) Error concealment
JP200621701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携帯用電子機器
KR100708123B1 (ko) 자동으로 오디오 볼륨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3093813A (ja) 車載用受信装置
JP2008167143A (ja) 記録装置、記録制御方法、記録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4364272A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9183838B2 (en) Digital audio transmitter and receiver
JP2006261760A (ja) 受信回路
JP6756588B2 (ja) 放送受信装置
JP2009065317A (ja) 放送システム並びに放送受信端末及び放送送信端末
JP2008154062A (ja) 放送受信装置
US200702366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radio frequency signal reception
KR20000002038A (ko) 디지털/아날로그 방송 겸용 오디오 신호처리장치
JP2006042210A (ja) 光無線受信装置
US20090080464A1 (en) Multimedia data synchronization method and system
JP2014204189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JP2009065317A5 (ko)
JPH05207401A (ja) 伝送信号再生装置
US8374711B2 (en)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for selecting an audio data source for a multimedia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