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630A - 감시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 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630A
KR20090014630A KR1020070078708A KR20070078708A KR20090014630A KR 20090014630 A KR20090014630 A KR 20090014630A KR 1020070078708 A KR1020070078708 A KR 1020070078708A KR 20070078708 A KR20070078708 A KR 20070078708A KR 20090014630 A KR20090014630 A KR 200900146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it
communication module
operating
camer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7302B1 (ko
Inventor
박덕희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302B1/ko
Publication of KR2009001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001Analogue/digital/analogue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연결되는 기능별 연결선을 최소화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가 적어도 1축에 대하여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부와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부로 전송하는 카메라 작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 작동부가 무선 통신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시 카메라 시스템{Surveillance camera system}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닝(panning), 틸팅(tilting), 및 줌(zoom)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갖는 카메라를 제어 및/또는 구동하여 작동시키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특정 장소 또는 이동식으로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대상을 인식하여 특정 지역을 감시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지능형 감시 경계 로봇, GOP(Gerenal OutPost) 과학화 시스템, 사회안전 로봇 시스템과 같이 영상을 이용한 시큐러티 시스템(security system) 전반에 걸쳐 사용될 수 있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장/단 거리 및 주/야간 원격 제어에 의하여 침입자를 탐지 및 추적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은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또는 주차관리 시스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갖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의하여 원하는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이 패닝(panning), 틸팅(tilting), 및 줌(zoom) 등의 기능을 갖출 필요가 있다. 또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이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전원, 제어 신호, 및 구동 신호를 주고받을 필요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유선을 통하여 각각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전원, 제어 신호, 및 구동 신호를 주고받는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기능이 추가되고 복잡해질수록 연결되는 선의 가닥수가 증가하여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카메라가 상하 좌우로 빈번하게 움직일 수밖에 없는데,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 케이블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연결되는 기능별 연결선을 최소화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가 적어도 1축에 대하여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부와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부로 전송하는 카메라 작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 작동부가 무선 통신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부가,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결합되는 줌 렌즈, 상기 줌 렌즈를 구동하는 줌 구동부, 및 상기 카메라 및/또는 줌 구동부와 연결되어 외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 작동부가, 상기 카메라부를 패닝 및/또는 틸팅 작동시키는 카메라 작동 구동부, 및 상기 제1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부가 카메라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일면에 장착되는 와이퍼,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는 조명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줌 구동부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와이퍼 및/또는 상기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부가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영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통신모듈과 연결되는 제1 코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작동부가 상기 제2 통신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통신모듈을 통하여 입력받은 상기 디지털 영상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영상을 생성하는 제2 코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가 적어도 1축에 대하여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부와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부로 전송하는 카메라 작동부; 상기 제어신호, 상기 카메라부의 정보, 및 상기 카메라 작동부의 정보 중 의 적어도 하나를 중계하는 컨트롤 박스; 및 상기 카메라부 및/또는 상기 카메라 작동부와 상기 컨트롤 박스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 및/또는 상기 카메라 작동부의 상태 정보를 입력 및/또는 상기 카메라부 및/또는 상기 카메라 작동부를 제어하는 운영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 작동부, 및/또는 상기 컨트롤 박스가 무선 통신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컨트롤 박스가 상기 제1 통신모듈 및/또는 상기 제2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3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 의하면, 각각의 구성요소들 사이에 연결되는 기능별 연결선을 최소화함으로써,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에서 패닝(panning) 및 틸팅(tilting)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100a)의 외관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하나의 운영 시스템(240)에 복수개의 컨트롤 박스(230)가 연결되고, 각각의 감시 카메라(200a)가 각각의 컨트롤 박스(230)를 통하여 운영 시스템(240)과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2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 200)에서는, 패닝(panning), 틸팅(tilting), 및 줌(zoom) 중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갖는 카메라를 제어 및/또는 구동하여 작동시키는 것으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무선 통신에 의하여 각각의 구성 요소들 상호간에 제어 신호가 전송되어,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데 필요한 연결선들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 200)에서는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케이블 파손으로 인한 문제를 방지 또는 저감시킬 수 있다.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은 감시 카메라(100a); 컨트롤 박스(130); 운영 시스템(14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감시 카메라(100a)는 카메라부(110)와 카메라 작동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부(110)는 운영 시스템(140)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된다. 카메라 작동부(120)는 카메라부(110)가 적어도 1축에 대하여 작동 가능하도록 카메라부(110)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부(110)가 카메라 작동부(120)에 의하여 제1축에 대하여 좌우로 회동 즉 패닝(panning) 가능하고, 제2축에 대하여 상하로 회동 즉 틸팅(tilting)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카메라부(110)가 카메라 작동부(120)에 의하여 롤링(rolling) 또는 직선 운동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작동부(120)는 외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카메라부(110)로 전송한다. 이때, 카메라부(110)로부터 카메라 작동부(120)를 통하여 운영 시스템(140)으로 카메라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10)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는 카메라의 메뉴 제어신호, 줌 렌즈의 근거리(near), 원거리(far), 광각(wide), 망원(tele) 등이 줌 제어신호, 카메라의 각종 경고 데이터(alarm data) 등의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줌 렌즈의 줌 정보, 및 포커스 모터의 위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운영 시스템(140)으로부터 카메라 작동부(120)에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는 팬 틸트 동작 제어 신호가 포함될 수 있으며, 카메라 작동부(120)로부터 운영 시스템(140)으로 전송되는 정보에는 팬 틸트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부(110)와 카메라 작동부(120)는 무선 통신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 시스템(100)에서는 카메라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위한 신호 연결선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100a)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한편, 감시 카메라(100a)는 특성상 카메라부(1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120)가 좌우 회전(패닝) 및/또는 상하(틸팅)로 빈번히 움직인다. 또한, 감시 카메라(100a)는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온도가 낮은 환경에서는 굵은 연결 케이블이 동결된 상태에서 카메라부(110)가 움직이는 경우에 케이블이 파손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100a)는 카메라부(110)와 카메라 작동부(120) 사이의 연결 케이블이 없어지거나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으므로, 케이블 파손으로 인한 문제를 방지 또는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카메라부(110)와 카메라 작동부(120) 사이가 모두 무선으로 연결되고, 모든 연결 케이블을 없앨 수 있다. 다만, 카메라부(1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1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선과 같은 일부 케이블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자기 공명을 이용한 전원 무선 송수신 기술 등에 의하여 전원이 무선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및 Wi-Fi 방식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30)는 운영 시스템(140)과 카메라부(1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120) 사이에 연결되어, 카메라부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의 제어신호, 카메라부의 정보, 및 카메라 작동부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중계할 수 있다.
운영 시스템(140)은 카메라부(1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120)와 컨트롤 박스(130)를 통하여 연결된다. 운영 시스템(140)은 카메라부(1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120)의 상태 정보를 입력 및/또는 카메라부(1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120)를 제어한다.
상기 카메라부(110)는 카메라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도록 하여, 카메라부(11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110)와 카메라 작동부(120)를 포함하여 감시 카메라(100a)가 이루어지고, 감시 카메라(100a)는 프레임(150) 위에 설치되고, 프레임(150)의 하단에 감시 카메라(100a)로부터 일정한 거리 떨어져 컨트롤 박스(130)가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130)는 운영 시스템(14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200)에서는 하나의 운영 시스템(240)에는 복수개의 컨트롤 박스들(230)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컨트롤 박스(230)에는 감시 카메라(200a)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운영 시스템(240)이 복수대의 감시 카메라(200a)를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운영 시스템(140, 240)과 컨트롤 박스(130, 2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130, 230)와 감시 카메라(100a, 200a) 사이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무선 통신 모듈(314, 322)을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3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감시 카메라 시스템(300)은 감시 카메라(300a); 컨트롤 박스(330); 운영 시스템(34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감시 카메라(300a)는 카메라부(310)와 카메라 작동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부(310)는 운영 시스템(340)으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된다. 카메라부(310)는 카메라(311), 줌 렌즈(312), 줌 구동부(313), 및 제1 통신모듈(314)을 포함한다.
카메라(311)는 운영 시스템(340)으로부터 컨트롤 박스(230) 및 카메라 작동부(320)을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며, 외부로부터 영상을 입력받는다. 줌 렌즈(312)는 카메라(311)와 결합되어, 근거리(near), 원거리(far), 광각(wide), 망원(tele) 등의 줌 기능을 수행한다.
줌 구동부(313)는 줌 렌즈(312)를 구동하여 줌 렌즈(312)가 근거리(near), 원거리(far), 광각(wide), 망원(tele) 등의 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1 통신모듈(314)은 카메라(311) 및/또는 줌 구동부(312)와 연결되고, 카메라부(310)가 외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줌 구동부(313)가 카메라부(310)의 카메라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도록 하여, 카메라(311) 및 줌 렌즈(312)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호 회동 가능하도록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카메라 하우징과 카메라 작동부(320) 사이에 영상과 전원 관련 케이블을 제외한 어떠한 케이블도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작동부(320)는 카메라부(310)가 적어도 1축에 대하여 작동, 바람직하게는 패닝(panning), 틸팅(tilting), 및 줌잉(zooming) 작동 가능하도록 카메라부(310)와 결합된다. 카메라 작동부(320)는 카메라 작동 구동부(321), 및 제2 통신모듈(322)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작동 구동부(321)는 카메라부(310)를 패닝 및/또는 틸팅 작동시킨다. 제2 통신모듈(322)은 제1 통신모듈(314)과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부(310)는 카메라 하우징 내부에 수납될 수 있으며, 카메라 작동부(320) 별도의 하우징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통신모듈(314)의 안테나인 제1 안테나(314a)가 카메라 하우징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2 통신모듈(322)의 안테나인 제2 안테나(322a)가 별도의 하우징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통신모듈(314a)은 카메라부(310)의 내부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RS-485 직렬 통신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즉, 카메라(311) 및/또는 줌 구동부(323)가 제1 통신모듈(314a)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모듈(322a)은 카메라 작동부(320)의 내부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RS-485 직렬 통신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즉, 카메라 작동 구동부(321)가 제2 통신모듈(322a)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 박스(330)는 운영 시스템(340)과 카메라부(3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320) 사이에 연결되어, 카메라부(3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320)의 제어신호, 카메라부(310)의 정보, 및 카메라 작동부(320)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중계할 수 있다.
운영 시스템(340)은 카메라부(3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320)와 컨트롤 박스(330)를 통하여 연결된다. 운영 시스템(340)은 카메라부(3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320)의 상태 정보를 입력 및/또는 카메라부(3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320)를 제어한다.
즉, 운영 시스템(340)은 카메라부(3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320)로부터 각각의 상태 정보를 컨트롤 박스(330)를 통하여 전송 받아, 카메라부(3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320)의 제어를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운영 시스템(340)에서 생성된 카메라부(3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320)의 제어 신호가 유선으로 컨트롤 박스로 전송되고, 그 제어 신호의 일부는 유선으로 다른 일부는 무선으로 카메라부(3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320)에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운영 시스템(340)으로부터 카메라부(310)에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는 조리개 제어신호, 줌/포커스 제어신호, 카메라 메뉴 제어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신호들은 컨트롤 박스(330)로부터 제2 통신모듈(322)까지 유선으로 전송되고, 제2 통신모듈(322)로부터 제1 통신모듈(314)로 무선으로 전송되고, 제1 통신모듈(314)로부터 카메라(311) 및/또는 줌 구동부(313)로 유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운영 시스템(340)으로부터 카메라 작동부(320)에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는 카메라 작동 구동부(321)의 모터 구동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 구동신호는 컨트롤 박스(330)를 통하여 유선으로 카메라 작동 구동부(321)에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부(310)의 상태 정보에는 카메라(311) 및/또는 줌 렌즈(312)에서 발생되는 각종 경보 신호, 줌 렌즈의 줌 정보, 포커스 모터의 위치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상태 정보는 제1 통신모듈(314)까지 유선으로 전송되고, 제1 통신모듈(314)로부터 제2 통신모듈(322)까지 무선으로 전송되고, 제2 통신모듈(322)로부터 운영 시스템(340)까지 유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다만, 카메라(311)가 외부로부터 받아들여 생성된 영상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카메라(311)로부터 컨트롤 박스(330)를 통하여 운영 시스템(340)에 유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박스(330)를 통하여 카메라부(3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320)에 입력되는 전원은 유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작동부(320)의 상태 정보는 카메라 작동 구동부(321)의 모터 위치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모터 위치신호는 유선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유선 통신은 RS-485와 같은 직렬 통신이 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안테나(314a, 322a)를 통한 제1 통신모듈(314)과 제2 통신모듈(322) 사이의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및 Wi-Fi 방식 중의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와이퍼(415)와 조명장치(416)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4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400)은 도 3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300)에 대하여 와이퍼(415)와 조명장치(416)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와이퍼(415)는 카메라 하우징의 일 면, 바람직하게는 카메라의 렌즈가 위치되는 부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퍼는 카메라 하우징 전면에 있는 유리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카메라(411)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제어의 용이성을 위하여 와이퍼(415)는 전동 와이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명장치(416)는 카메라 하우징의 일 측,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하우징 외부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조명장치(416)는 카메라(411)의 성능의 중요한 요소인 빛의 양이 줄어드는 야간에 가시광선 및/또는 적외선을 발생하여 보다 더 나은 카메라 성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의 줌 구동부(313)가 줌/와이퍼/조명장치 구동부(413)가 되도록 하고, 줌/와이퍼/조명장치 구동부(413)에서 와이퍼(415)와 조명장치(416)를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그 제어 신호들은 유선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 모듈인 제1 통신모듈(414)을 통하여 제2 통신모듈(422)과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영상 신호 변환을 위한 영상 코덱들(517, 523)이 포함되어, 영상 신호 케이블이 제거된 감시 카메라 시스템(5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500)은 도 3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300)에 대하여 영상 신호 변환을 위한 영상 코덱들인 제1 코덱(517)과 제2 코덱(523)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코덱(517)은 카메라부(510)에 포함되는 것으로, 아날로그 신호인 영상을 무선 통신에 적당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영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제1 통신모듈(514)과 연결된다. 디지털 영상은 제1 통신모듈(514)과 제2 통신모듈(522) 사이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제2 통신모듈(522)로 전송된다.
제2 코덱(523)은 카메라 작동부(520)에 포함되는 것으로, 제2 통신모듈(522) 과 연결되어 제2 통신모듈(522)을 통하여 입력받은 디지털 영상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영상을 생성한다. 이 아날로그 영상은 유선 통신에 의하여 컨트롤 박스(530)를 통하여 운영 시스템(540)에 전송된다.
이 경우, 제1 코덱(517)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카메라(511)에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무선 통신에 적당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영상 신호도 무선 통신에 의하여 운영 시스템(540)에 전송 가능하다. 따라서, 영상 신호 전송을 위한 케이블을 추가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500)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보다 더욱 개선된 설치 및 유지보수의 편리성과 내구성을 갖는 장점이 있다.
다만, 카메라(511)가 직접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제1 코덱(517) 및 제2 코덱(523)이 없이도, 영상 신호를 직접 무선 통신에 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카메라부(610)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620)와 컨트롤 박스(630)가 무선 통신 모듈(614, 622, 631)에 의하여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60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600)은 도 3의 감시 카메라 시스템(300)에 대하여 컨트롤 박스(630)에 별도의 무선 통신 모듈인 제3 통신모듈(631)이 더 구비되는 것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통신모듈(631)은 컨트롤 박스(630)에 포함되는 것으로, 제1 통신모듈(614) 및/또는 제2 통신모듈(622)과 무선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컨트롤 박스(630)의 외부에는 제3 통신모듈(631)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안테나(631a)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감시 카메라(600a)와 컨트롤 박스(630) 사이를 무선 통신에 의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시 카메라(600a)와 컨트롤 박스(630) 사이의 통신 케이블을 추가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감시 카메라(600a)와 컨트롤 박스(630) 사이의 거리가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있으므로, 컨트롤 박스(630)에 별도의 무선 통신 모듈인 제3 통신모듈(631)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부(610)와 컨트롤 박스(630) 사이의 통신을 카메라 작동부(620)를 통하지 아니하고 직접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통신모듈(622)의 부하를 줄일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모듈 상호 간의 병목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1 통신모듈(314), 제2 통신모듈(322), 및 제3 통신모듈(631) 사이의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및 Wi-Fi 방식 중의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무선 통신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한 통신 방식 이외의 임의의 가능한 무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 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서, 패닝 및 틸팅이 가능한 감시 카메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하나의 운영 시스템에 복수개의 컨트롤 박스가 연결되고, 각각의 감시 카메라가 각각의 컨트롤 박스를 통하여 운영 시스템과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조명장치와 와이퍼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영상 신호선이 제거된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 카메라부 및/또는 카메라 작동부와 컨트롤 박스가 무선 통신 모듈에 의하여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500, 600: 감시 카메라 시스템,
310, 410, 510, 610: 카메라부,
320, 420, 520, 620: 카메라 작동부,
130, 230, 330, 430, 530, 630: 컨트롤 박스,
140, 240, 340, 440, 540, 640: 운영 시스템.

Claims (14)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가 적어도 1축에 대하여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부와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부로 전송하는 카메라 작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 작동부가 무선 통신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작동부가 상기 카메라부를 패닝(panning) 및/또는 틸팅(tilting) 가능한 감시 카메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의 정보가 상기 무선 통신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카메라 작동부로 전송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가,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결합되는 줌 렌즈, 상기 줌 렌즈를 구동하는 줌 구동부, 및 상기 카메라 및/또는 줌 구동부와 연 결되어 외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및/또는 상기 줌 구동부와 상기 제1 통신모듈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작동부가, 상기 카메라부를 패닝 및/또는 틸팅 작동시키는 카메라 작동 구동부, 및 상기 제1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모듈 및/또는 상기 제2 통신모듈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및 Wi-Fi 방식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한 통신 모듈인 감시 카메라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가 카메라 하우징 내부에 수납되고,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일면에 장착되는 와이퍼, 및 상기 카메라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는 조명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줌 구동부에서 상기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와이퍼 및/또는 상기 조명장치를 제어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가 아날로그 신호인 상기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영상을 생성하는 것으로 상기 제1 통신모듈과 연결되는 제1 코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작동부가 상기 제2 통신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제2 통신모듈을 통하여 입력받은 상기 디지털 영상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아날로그 영상을 생성하는 제2 코덱을 더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10.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가 적어도 1축에 대하여 작동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부와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부로 전송하는 카메라 작동부;
    상기 제어신호, 상기 카메라부의 정보, 및 상기 카메라 작동부의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중계하는 컨트롤 박스; 및
    상기 카메라부 및/또는 상기 카메라 작동부와 상기 컨트롤 박스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부 및/또는 상기 카메라 작동부의 상태 정보를 입력 및/또는 상기 카메라부 및/또는 상기 카메라 작동부를 제어하는 운영 시스템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 작동부, 및/또는 상기 컨트롤 박스가 무선 통신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시스템에 복수개의 컨트롤 박스가 연결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가, 영상을 입력받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와 결합되는 줌 렌즈, 상기 줌 렌즈를 구동하는 줌 구동부, 및 상기 카메라 및/또는 줌 구동부와 연결되어 외부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작동부가, 상기 카메라부를 패닝 및/또는 틸팅 작동시키는 카메라 작동 구동부, 및 상기 제1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2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박스가 상기 제1 통신모듈 및/또는 상기 제2 통신모듈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제3 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20070078708A 2007-08-06 2007-08-06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247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08A KR101247302B1 (ko) 2007-08-06 2007-08-06 감시 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708A KR101247302B1 (ko) 2007-08-06 2007-08-06 감시 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630A true KR20090014630A (ko) 2009-02-11
KR101247302B1 KR101247302B1 (ko) 2013-03-25

Family

ID=40684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708A KR101247302B1 (ko) 2007-08-06 2007-08-06 감시 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3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466B1 (ko) * 2010-07-02 2011-02-14 주식회사보다텍 줌 렌즈의 화각을 이용한 자동 조명 제어 시스템
KR20110064217A (ko) * 2009-12-07 2011-06-1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슬립-링이 제거된 감시 카메라
KR101238250B1 (ko) * 2011-05-03 2013-02-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946B1 (ko) * 2000-04-19 2002-03-13 이병호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KR100814426B1 (ko) * 2001-07-14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 채널 영상 중계 처리기 및 이를 적용한 다 채널 영상보안 시스템
KR100533831B1 (ko) * 2003-03-03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치조정이 가능한 감시카메라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044601B1 (ko) * 2004-08-31 2011-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의 컨트롤 정보 설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4217A (ko) * 2009-12-07 2011-06-1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슬립-링이 제거된 감시 카메라
KR101013466B1 (ko) * 2010-07-02 2011-02-14 주식회사보다텍 줌 렌즈의 화각을 이용한 자동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238250B1 (ko) * 2011-05-03 2013-02-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302B1 (ko)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10219A1 (en) Intelligent monitoring camera apparatus and image monitoring system implementing same
US8305439B2 (en) Pan, tilt, zoom dome camera with optical data transmission method
KR20170045196A (ko) Led 가로등 내에 카메라를 내장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80079809A1 (en) Surveillance camera and surveillance camera system with laser positioning function
CN105453535A (zh) 照相机设备和滤波器单元
WO2015147573A1 (ko) 조명 융합형 무선 감시 카메라 시스템
CA2868230A1 (en) Interface device for video cameras
KR101247302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US20050024523A1 (en) Slip ring laser illuminator for speed domes
JP2007310303A (ja) レンズシステム
KR20060135131A (ko) 씨씨티브이 카메라 조명제어장치
KR100926179B1 (ko) 무인 화상 방범 시스템
KR20150030835A (ko) 가스절연개폐기 감시 카메라 및 이를 구비하는 감시 시스템
KR20080037451A (ko) 감시 카메라 장치
JPH09284612A (ja) 電動雲台
KR101187905B1 (ko)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150114287A (ko) 감시 카메라
KR101113801B1 (ko) 고성능 무인 감시장치의 영상 멀티 전송체계 시스템
KR102116091B1 (ko) 구획 필터들을 가진 감시 카메라
US20130155232A1 (en) Surveillance camera,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n or the surveillance camera
KR200395204Y1 (ko) 씨씨티브이 카메라 조명제어장치
KR100804017B1 (ko) 씨씨티브이 카메라 조명제어장치
KR102170690B1 (ko) 감시카메라 장치
CA2435431C (en) Slip ring laser illuminator for speed domes
KR200313714Y1 (ko) 리시버가 장착된 카메라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