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414A - 인터넷 콘텐츠의 가치 평가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인터넷 콘텐츠의 가치 평가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414A
KR20090014414A KR1020090004875A KR20090004875A KR20090014414A KR 20090014414 A KR20090014414 A KR 20090014414A KR 1020090004875 A KR1020090004875 A KR 1020090004875A KR 20090004875 A KR20090004875 A KR 20090004875A KR 20090014414 A KR20090014414 A KR 20090014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g
valuation
evaluation
valu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이준호
Original Assignee
넷다이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넷다이버(주) filed Critical 넷다이버(주)
Publication of KR20090014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창작한 인터넷 콘텐츠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방법, 장치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평가를 원하는 특정 콘텐츠의 주소가 입력되면 분석 수단이 해당 주소로부터 콘텐츠를 전송받아 평가를 위한 각종 팩터들을 추출하고, 추출한 팩터들을 소정의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평가액을 산정한다. 또한, 상기 추출된 팩터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 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콘텐츠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체계적인 콘텐츠의 평가 및 순위 관리를 대비한다.
블로그, 인터넷 콘텐츠, UCC, 평가

Description

인터넷 콘텐츠의 가치 평가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method, apparatus for evaluation of internet contents and recoding media that saves program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창작한 인터넷 콘텐츠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방법, 장치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에서의 정보와 지식은 디지털 경제의 가장 중요한 자원이며 지배적인 경쟁 우위의 요소이다. 과거에는 특정 집단이 정보와 지식을 독점하였지만 현재는 개인이 주체적인 생산자인 동시에 참여자 또는 소비자로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발전하고 있다. 공동 창작과 협력이라는 집단 지성을 통해 새로운 정보와 지식, 문화를 만들어가고 소비하는 개인 중심의 플랫폼으로 진화하며 수많은 인터넷 이용자들은 개인으로부터 생산된 양질의 콘텐츠 즉, 지식, 지혜, 경험 및 일상 생활을 끊임없이 요구하며 소비하고 있는 추세이다.
UCC(User Created Contents)는 인터넷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만들어낸 정보로서 텍스트·그림·사진·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다. 이제 사용자들은 다양한 저작 도구를 가지고 콘텐츠를 생성·변형·가공과정을 거쳐 정보로서 가치를 지닌 콘텐츠를 생산하는 좀 더 전문적인 수준까지 올라가고 있다. 그동안 수동적으로 정보를 습득해오던 사용자들이 이제는 여기에 만족하지 않고 적극적으로 정보 생산에 참여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UCC는 본인만 보고 만족하는 수준이 아니라 이제는 오프라인 방송과 같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중요 수단으로 등장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창작한 인터넷 콘텐츠 또는 해당 콘텐츠를 포함하는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의 가치를 자동화된 로봇에 의해 신뢰성 있게 평가함으로써 고부가가치 있는 콘텐츠의 창작을 유도하고, 나아가 고부가가치가 인정된 인터넷 콘텐츠를 통한 새로운 상거래 문화를 개척하는 발판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치 평가를 의뢰하는 사용자 및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함으로써 고부가가치의 콘텐츠를 보유한 진성 사용자에 대한 차별화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인터넷 콘텐츠를 통해 사용자가 일기 형식으로 자유롭게 글을 올리고, 불특정 다수와 개방된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등의 행위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팩터들(게시물, 댓글, 트랙백, 노출 건수, 방문자 수, 페이지 뷰 등)을 소정의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가치를 평가하는 방법, 장치 및 이를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인터넷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위치의 콘텐츠로부터 소정의 평가요소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한 평가요소들을 소정의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상기 콘텐츠의 가치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가치평가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콘텐츠의 가치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 상기 인터넷 콘텐츠의 기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또는 일정 단위의 기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가치평가결과에 가치 신뢰도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한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는 인터넷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모듈과, 상기 위치의 콘텐츠로부터 소정의 평가요소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로봇모듈과, 상기 추출한 평가요소들을 소정의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상기 콘텐츠의 가치를 평가하는 가치평가모듈 및 상기 가치평가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을 포함하는 인터넷 콘텐츠의 가치 평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입력모듈은 상기 인터넷 콘텐츠의 기본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치평가모듈은 일정 단위의 기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가치평가결과에 가치 신뢰도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한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는 상기 가치 평가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재의 모든 가치는 개인으로부터 생산되고 확대된다는 개념을 가장 잘 대변하는 UCC(User Created Contents)(일례로 포스트)를 대상으로 블로그 운영자와 구독자 사이의 행동 양식에 따른 결과물(태그, 인용과 참조, 댓글, 트랙백 등)을 평가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서 사람의 경험, 지식, 지혜가 포함된 UCC에 대한 바람직한 평가 모델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창작한 인터넷 콘텐츠 또는 해당 콘텐츠를 포함하는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의 가치를 자동화된 방식으로 공정하고 신뢰성 있게 평가할 수 있으므로 양질의 콘텐츠 창작을 유도하는 한편 콘텐츠가 곧 자산이라는 개념을 확산시켜 새로운 분야의 인터넷 산업 창출을 위한 교두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품질의 콘텐츠를 보유한 사용자가 주로 자진하여 가치 평가를 의뢰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가치 평가 방법을 통해 상대적으로 고부가가치의 콘텐츠 및 이를 보유한 진성 사용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콘텐츠 간 순위 산정의 진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기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 콘텐츠 가치 평가 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터넷 콘텐츠는 개인이 창작한 게시 글, 디지털 비디오, 디지털 오디오, 포드캐스팅(podcasting), 모바일 폰 사진 및 동영상, 그리고 위키(wikis)와 같이 웹을 매개로 한 개인 미디어 활동의 창작물을 망라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평가의 대상은 상술한 개인 창작물 자체가 될 수도 있고, 그러한 창작물들을 포함하는 인터넷 홈페이지, 간략화된 미니 홈페이지, 블로그나, 포털 사이트의 게시판, 인터넷 클럽, 인터넷 카페 등과 같은 커뮤니티 단위의 콘텐츠가 될 수도 있다. 개인의 창작물은 웹사이트 이용자에 의해 생산된 콘텐츠를 일컫는 말로 서 미디어 조직에 속하지 않은 일반인들의 비직업적 활동의 산물로 웹 공간에 공표한 콘텐츠를 의미하며, UCC(User Created Contents)라 불리기도 한다.
이하, 상기에서 나열한 인터넷 콘텐츠 중 UCC의 대표격인 블로그(blog)를 하나의 실시예로 하여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실시예에서는 특정 블로그에 대하여 다음의 세 가지 분야를 평가한다고 가정한다.
1) 블로거(blogger)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을 평가하는 것으로서, 포스트(post)를 비롯한 각종 게시물 또는 UCC의 생성 빈도, 트랙백(trackback)에 대한 덧글(comment) 작성 빈도, 타인이 작성한 덧글에 대한 댓글(reply) 작성 빈도, 댓글에 대한 댓글 작성 빈도, 태그 수, 작성 빈도 및 포스트 카테고리 등을 통해 블로거의 행동 패턴 및 방문자들의 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블로거의 유형을 판단한다.
블로거의 유형의 일례로 스스로 블로그 콘텐츠를 창작하는 자수성가형, 주로 타인의 블로그 콘텐츠를 퍼오는 의존형, 주기적으로 꾸준히 블로그를 업데이트하는 개미형, 블로그의 업데이트가 불규칙하고 자주 이루어지지 않는 메뚜기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예로의 유형화가 가능하다.
2) 블로그(blog)
사람이 배제된 블로그 자체의 가치를 평가하는 것으로서, 방문객 수, 포스트 수, 덧글 수, 트랙백 수, 블로그가 포함하는 포스트 수 등의 정량적인 값을 이용하여 블로그의 가치를 평가한다. 블로그의 평가는 해당 블로그에 대한 각종 평가 요 소들을 감안하여 하나의 종합 점수로 산출할 수도 있고, 해당 블로그에 대한 미디어 지수, 브랜드 지수, 커머스 지수 등으로 다양한 분야별로 산출할 수도 있다. 상기 분야별 평가 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3) 포스트(post)
블로그를 구성하는 특정 포스트 즉, 특정 UCC(User Create Content)를 평가하는 것으로서, 해당 포스트에 대한 덧글 수, 인용 및 참조 수, 태그의 유무 및 개수, 댓글 수, 트랙백 수 및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등의 첨부파일 유무 등과 같은 링크구조를 바탕으로 개별 포스트에 대한 가치를 평가한다.
상술한 블로거, 블로그 및 포스트는 일단 한 번 평가되면 소정의 기간 동안에만 그 유효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즉, 블로거, 블로그 및 포스트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므로 가치 평가의 유효성을 무한정으로 인정할 수 없으며, 이를 "가치 평가 유효기간"이라 한다. 블로거 및 블로그는 상대적으로 그 변화 주기가 긴 편이므로 가치 평가 유효기간을 1주 내지 2주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스트는 그 변화 주기가 짧으므로 가치 평가 유효기간을 평가 당시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블로그의 주제, 블로거가 속한 지역 등을 감안하여 적절한 값으로 변형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특히 블로그에 대한 3가지 분야의 가치 평가 기준에 대하여 상술한다. 이와 같은 분야별 평가 기준을 가치 지수(value index)라 부르기로 한다. 블로그에 대한 가치 지수는 반드시 아래의 3가지 종류 모두가 측정되는 것은 아니 며 가치 측정의 용도에 따라 특정 지수만이 측정될 수도 있다.
브랜드 지수(brand index)
브랜드 지수는 해당 블로그가 상품 또는 서비스의 이름으로서 어느 정도의 가치를 가지는가에 대한 지표를 나타낸다. 해당 블로그가 실생활에 유익한 정보나 특정 연구 분야에 결정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등으로 양질의 서비스를 꾸준히 제공함으로써 해당 블로그의 관련 분야에서 신뢰성을 쌓아간다면 해당 블로그의 이름은 단순한 정보제공의 장소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잠재적 수요자인 방문자들에게 있어 고부가가치의 브랜드명이 될 수도 있다.
이를 감안할 때, 브랜드 지수는 해당 블로그가 얼마만큼의 좋은 이미지로 얼마만큼 널리 대중에게 알려졌는지를 분석하여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종 RSS(Really Simple Syndication/Rich Site Summary)에 등록되어 타인이 해당 블로그의 포스트를 자주 구독하는지 여부, 트랙백을 통해 덧글 또는 댓글이 활발하게 게시되는지 여부, 각종 검색 사이트를 통해 빈번하게 노출되는지 여부, 방문자 수가 많은지 여부, 재방문자 수가 많은지 여부 등을 분석하여 브랜드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미디어 지수(media index)
미디어 지수는 해당 블로그가 정보 전달 수단으로서 대중에게 어느 만큼의 영향력을 가지는가에 대한 지표를 나타낸다. 이는 대중에의 접근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하는 척도로서, 전술한 브랜드 지수의 평가 요소들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다만, 동일한 평가 요소라도 대중에의 전파 가능성이 반드시 브랜드 가치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브랜드 가치가 미디어 가치보다 우선시되므로 특정 평가 요소에 대한 브랜드 지수를 먼저 산출하고 총 지수에서 브랜드 지수를 뺀 나머지 부분을 미디어 지수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머스 지수(commerce index)
커머스 지수는 해당 블로그가 가지는 금전적인 가치를 가리키는 지표로서, 간편하게는 전술한 브랜드 가치와 커머스 가치를 합산하여 결정할 수 있고 여기에 블로그 구축 및 유지/관리 비용 등 기타 고려 사항을 더 고려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임의의 블로그에 대한 포스트 수, 트랙백 수, 댓글 수, 링크 수, 태그 수, 하루 평균 방문자 수 및 포스트/댓글/트랙백 작성에 의한 블로그 활동량을 가치 평가의 요소로 하여 상술한 브랜드 지수, 미디어 지수 및 커머스 지수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에 대한 일례를 수식으로 확인해 보도록 한다.
상기에서 나열한 가치평가요소의 대부분은 블로그가 생성된 이후부터 평가하기 전까지를 누계한 것이 의미가 있지만, 하루 평균 방문자 수와 블로그 활동량은 원하는 일정 기간 동안의 기록만이 의미가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가치평가일을 포함하여 최근 1개월까지를 기준으로 한다.
블로그에 포스트가 총 k개 있다고 가정할 때, k개의 포스트 중에서 일부는 타 블로그에 트랙백 될 수 있다. 이를 간단히 수식으로 나타내면 블로그 중에서 트 랙백이 된 포스트의 총 개수는
Figure 112009003846217-PAT00001
이다. 여기서, Y ij 는 i번째 포스트가 j개의 트랙백을 가짐을 의미한다. 일례로, 블로그에 포함된 5개의 포스트 중에서 1번째 포스트는 트랙백이 3번 되고 3번째 포스트는 트랙백이 1번 되었다고 가정하면 블로그의 트랙백 수는 모두 4개(3+0+1+0+0=4)가 된다.
k개의 포스트 중 일부에는 댓글이 작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포스트에 최대 10개까지의 댓글을 인정하며 10개 이상의 댓글은 모두 충분한 댓글 수로 인정하여 동일한 가치로 취급하기로 한다. 이를 간단히 수식으로 표현하면 블로그 중에서 댓글의 총수는
Figure 112009003846217-PAT00002
개이다. 여기서, Y ij 는 i번째 포스트가 j개의 댓글을 가짐을 의미한다.
또한, k개의 포스트 중 일부에는 링크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이를 간단히 수식으로 표현하면 블로그 중에서 링크의 총수는
Figure 112009003846217-PAT00003
개이다. 여기서, Y ij 는 i번째 포스트가 j개의 링크를 가짐을 의미한다.
또한, k개의 포스트 중 일부에는 태그가 작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포스트에 최대 6개까지의 태그를 인정하며 6개 이상의 태그는 충분한 태그 정보로 인정하여 동일한 가치로 취급하기로 한다. 이를 간단히 수식으로 표현하면 블로그 중에서 태그의 총수는
Figure 112009003846217-PAT00004
개이다. 여기서, Y ij 는 i번째 포스트가 j개의 태그를 가짐을 의미한다.
또한, 가치평가일을 포함하여 최근 1개월(30일) 동안의 하루 평균 방문자 수를 간단히 수식으로 표현하면
Figure 112009003846217-PAT00005
이다. 블로그 활동량은 가치평가일을 포함하여 최근 1개월(30일) 동안에 작성된 포스트 수, 트랙백 수, 댓글 수를 기준으로 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Figure 112009003846217-PAT00006
(단, 1개의 포스트에 6개의 댓글 인정)이다.
이상을 도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03846217-PAT00007
상기에서 가치평가결과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결과값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가치 평가에 있어서 기간별로 서로 다른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시간의 변화를 반영하는 기법을 사용한다. 일례로, 기간은 [기간 1: 가치평가 측정일 ~ (-90)일], [기간 2: (-91)일~(-180)일], [기간 3: (-181)일~(-365)일], [기간 4: (-366)일 이후]와 같이 4단계로 구분한 후, [기간 1]의 가치평가결과에 가중치 1을 곱하고, [기간 2]의 가치평가결과에 가중치 0.8을 곱하고, [기간 3]의 가치평가결과에 가중치 0.5를 곱하고, [기간 4]의 가치평가결과에 가중치 0.3을 곱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를 도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측정일~(-90일) (-90일)~(-180일) (-180일)~(-365일) (-365일)~
가중치 1 0.8 0.5 0.3
한편, 상기의 가치평가요소들을 이용하여 브랜드 지수, 미디어 지수 및 커머스 지수를 결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수식에서 X i 는 i번째 가치평가요소를 가리키고, Z i 는 i번째 가치평가요소에 대한 평가 가격(평가액)을 가리키며, K i 는 i번째 가치평가요소에 대한 브랜드 지수 비율을 가리킨다.
브랜드 지수는 각 가치평가요소에 미리 정해진 평가 가격을 곱한 후에 해당 가치평가요소가 브랜드로서 차지하는 비율을 곱하여 산출한다. 모든 가치평가요소를 고려한 브랜드 지수를 간단히 수식으로 표현하면
Figure 112009003846217-PAT00008
이다. 이를 풀어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03846217-PAT00009
미디어 지수 역시 각 가치평가요소에 미리 정해진 평가 가격을 곱한 후에 해당 가치평가요소가 미디어로서 차지하는 비율을 곱하여 산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브랜드 가치는 단순한 전파성 개념의 미디어 가치보다 특별한 의미를 가지므로 미디어로서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지수에서 브랜드 지수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이해할 수 있고, 이는 곧‘1-브랜드 지수 비율’로 표현할 수 있다. 모든 가치평가요소를 고려한 미디어 지수를 간단히 수식으로 표현하면
Figure 112009003846217-PAT00010
이다.
Figure 112009003846217-PAT00011
커머스 지수는 블로그가 가지는 총체적 가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가장 간편하게는 상기 브랜드 지수와 미디어 지수를 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를 간단히 수식으로 표현하면
Figure 112009003846217-PAT00012
이다. 이를 풀어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03846217-PAT00013
이상에서 설명한 각 가치평가요소에 대한 평가 가격 및 브랜드 지수의 비율에 대한 일례를 도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03846217-PAT00014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적용된 가치 평가 방법을 수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표 1 및 표 3의 가치평가요소 X1 ~ X7 는 아래 표 4의 A ~ G 에 각각 대응한다.
Figure 112009003846217-PAT00015
참고로, 표 4에서는 평가 가격(또는 등급 가격)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A+, A0, A- ~ D+, D0, D- 의 12등급으로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브랜드 지수, 미디어 지수 및 커머스 지수의 산출식은 7개의 가치평가요소를 감안하여 표현하였으나, 이들 각각을 가치평가요소의 개수에 제한을 두지 않은 일반화된 모델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9003846217-PAT00016
한편, 상기 알고리즘에 의해 산출된 결과는 평점, 금전적인 액수 또는 평가글로 표현될 수 있다. 즉, 평점은 총점을 100점으로 하여 해당 블로그의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등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금전적인 액수는 가치 평가된 항목을 재화적인 측면으로 환산하여 자산 가치로 표현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평가글은 해당 블로그에 대한 운영자의 성향, 블로그의 성향, 이용자(방문자)들의 성향 등과 같은 글로써 표현할 수 있다. 물론, 평가된 가치를 어떤 방식으로 표현할 것인가에 대한 하나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되어 표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가치 평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블로그의 가치 평가를 수행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참고로, 도 2는 본 발명의 가치 평가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사용자는 블로그 가치 평가를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블로그 가치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하고, 평가받고자 하는 대상 블로그의 위치 정보 또는 주소 정보(일례로 URL)를 입력한다(S110). 즉, 블로그 가치 평가를 위한 프로그램은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Java 스크립트, ActivX, .Net 등을 이용하는 웹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양자를 통틀어 가치 평가 프로그램이라 부르기로 한다.
가치 평가 프로그램은 상기 입력받은 위치 정보를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해당 주소로부터 블로그 관련 파일들을 읽어와서 해당 블로그의 유형을 파악하고(S120), 해당 블로그로부터 소정의 평가요소(factors)들을 추출해 낸다(S130). 블로그의 유형은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블로그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형과 자신의 홈페이지에 직접 블로그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설치형이 대표적이며, 그 외에도 PC 설치형, 단독 개발형 등의 방식이 있다. 설치형의 경우 블로그 관련 파일에의 접근이 용이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본 발명의 가치 평가가 수월하다. 또한, 블로그로부터 평가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소정의 로봇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가치 평가 장치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한편, 블로그로부터 추출해야 할 평가요소는 그 평가의 대상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즉, 제1 평가요소는 블로그를 운영하는 블로거의 성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정 기간 동안의 포스트 생성 빈도, 타인의 포스트에 대한 덧글(comment) 작성 빈도, 타인이 작성한 덧글에 대한 댓글(reply) 작성 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는 블로거가 얼마나 적극적으로 블로그를 유지/관리하는지, 이웃/방문객에 대한 대처 방식은 어떠한지 또는 타인의 블로그에 대한 참여도가 어떠한지 등에 관한 평가를 위한 요소라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상기 블로거에 대한 평가 기준에서 전술한 바 있다.
제2 평가요소는 블로그 자체에 대한 평가를 위한 것으로서, 블로그를 구성하는 전체 포스트 수, 월별 포스트 수, 방문자 수, 재 방문자 수, 댓글 수, 스크랩 수 및 이웃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는 제공되는 블로그 서비스의 브랜드 가치가 얼마나 되는지, 대중 전파성에 의한 미디어 가치는 얼마나 되는지 및 블로그로 인해 창출되는 상업적 가치는 얼마나 되는지를 평가하기 위한 요소라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상기 블로그에 대한 평가 기준에서 전술한 바 있다.
제3 평가요소는 블로그를 구성하는 특정 포스트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 것으로서, 특정 포스트에 대한 댓글 수, 스크랩 수 및 피드백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는 특정 포스트가 저작물로서 또는 정보 제공의 소스로서 어느 정도 가치를 가지는가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역시 상기 포스트에 대한 평가 기준에서 전술한 바 있다.
한편, 블로그로부터 추출해야 할 평가요소는 실제로 가치 평가에 이용되는가에 따라 공통 요소와 특화 요소로 구분할 수도 있다. 즉, 공통 요소는 블로거, 블로그 및 포스트의 평가를 위해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요소를 가리키며, 특화 요소는 가치 평가에 직접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향후 가치 평가 결과를 2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별도로 관리하는 요소를 가리킨다. 공통 요소는 상술한 제1 내지 제3 평가요소가 이에 해당하며, 특화 요소는 블로그 별 각종 통계 자료가 이에 해당할 수 있고 별도의 제3 데이터베이스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치 평가 프로그램은 상기 제1 내지 제3 평가요소를 소정의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블로거, 블로그 및 특정 포스트에 대한 가치 평가를 수행하며, 특히 블로그에 대해서는 브랜드 지수, 미디어 지수 및 커머스 지수를 산출한다(S140). 블로그를 평가하기 위한 소정의 알고리즘은 전술한 바 있으며, 특정 포스트에 대한 평가 역시 블로그의 평가 방법에 준하여 대동소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블로거에 대하여는 상기 블로그의 평가 방법에 준하여 평가하되, 수치적인 평가 결과에 대응하는 문구들로 이루어진 블로거 유형 보고서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치 평가 프로그램은 블로거의 유형별 및 해당 유형의 정도별(또는 수치별)로 미리 준비된 멘트를 다수 저장하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멘트는 일반 텍스트 또는 음성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가치 평가를 수행한 결과는 보고서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S150). 이를 분석 결과 리포트라 한다. 특정 블로그에 대한 분석 결과 리포트의 구체적인 화면 구성의 일례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서 보듯, 분석 결과 리포트는 크게 두 가지 섹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 번째 섹터는 블로그에 대한 평가 결과로서 해당 블로그의 브랜드 지수, 미디어 지수 및 커머스 지수를 금액으로 환산하여 출력한다. 두 번째 섹터는 해당 블로그를 운영하는 블로거에 대한 평가 결과로서, 해당 블로거의 유형 및 해당 유형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또는 컨설팅 결과를 텍스트로 구성하여 출력한다.
한편, 상기 분석 결과 리포트는 가치 평가 알고리즘이 기계적으로 해석한 1차적인 결과물이므로, 사용자로부터 해당 블로그에 대한 기본 정보를 더 입력받는 단계를 더 추가하여 좀 더 완성도가 높은 최종 결과 리포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4는 이와 같은 경우에 따른 본 발명의 가치 평가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즉, 상기 분석 결과 리포트가 출력된 후(S150), 가치 평가를 의뢰한 사용자는 상기 리포트의 일정 부분에 구비된 "회원 등록" 메뉴를 선택하여 블로그 및 블로거에 대한 각종 기본 정보를 입력하고 회원 등록을 수행한다(S160). 가피 평가 프로그램은 상기 입력된 기본 정보를 상기 분석 결과 리포트에 더 추가하여 최종적인 결과 리포트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S170).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상기 기본 정보에는 블로그 제목, 블로그 주소, 블로그 설명, 등록 카테고리(검색 포털 사이트의 디렉토리 서비스에 대응하는), 블로그 태그, 블로거 성명 및 RSS 주소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회원등록단계(S160)는 가치 평가 및 결과 보고 단계(S120~S150) 이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회원등록을 거쳐야만 다음 단계(S120~S150)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기본 정보 입력을 강제할 수도 있다.
상술한 기본 정보 입력 단계를 통해 해당 블로그 및 블로거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상세한 정보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추가 정보는 상기 가치 평가 과정을 통해 축적된 각종 블로그 관련 가치 정보와 더불어 향후 블로그 가치 순위를 평가하거나 블로그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가치 평가 결과는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차후, 본 발명의 평가 프로그램을 통해 평가받은 블로그를 대상으로 순위를 산정하기 위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가치 평가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편의상 가치 평가 장치라 할 때, 본 발명의 가치 평가 장치는 인터넷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모듈(도면에 미도시)과, 상기 위치의 콘텐츠로부터 소정의 평가요소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로봇모듈(도면에 미도시)과, 상기 추출한 평가요소들을 소정의 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상기 콘텐츠의 가치를 평가하는 가치평가모듈(도면에 미도시) 및 상기 가치평가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모듈(도면에 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입력 모듈은 블로그의 기본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특히 로봇모듈은 블로그로부터 제1 평가요소를 추출하기 위한 제1로봇(BlogBotI)을 포함하며, 여기에 블로그로부터 제2 평가요소를 추출하기 위한 제2로봇(BlogBotT) 및/또는 블로그로부터 제3 평가요소를 추출하기 위한 제3로봇(BlogBot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같은 로봇 모듈은 종래의 검색 포털 사이트에서 웹 검색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므로 구체적인 구현 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히, 상술한 실시예는 인터넷 콘텐츠로서 블로그를 선택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블로그 이외의 각종 인터넷 콘텐츠들에도 어려움 없이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가치 평가를 위해 웹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독립된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독립된 애플리케이션은 지정된 특정 웹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 콘텐츠 가치 평가 방법의 개념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치 평가 방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블로그의 분석 결과 리포트에 대한 구체적인 화면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이와 같은 경우에 따른 본 발명의 가치 평가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Claims (1)

  1. 인터넷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인터넷 콘텐츠로부터 평가요소들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평가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인터넷 콘텐츠의 가치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콘텐츠의 가치 평가에 대한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콘텐츠의 가치 평가 방법.
KR1020090004875A 2007-01-16 2009-01-21 인터넷 콘텐츠의 가치 평가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 KR200900144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866 2007-01-16
KR20070004866 2007-01-1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256A Division KR100941140B1 (ko) 2007-01-16 2007-02-06 블로그의 가치 평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414A true KR20090014414A (ko) 2009-02-10

Family

ID=404834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256A KR100941140B1 (ko) 2007-01-16 2007-02-06 블로그의 가치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20090004875A KR20090014414A (ko) 2007-01-16 2009-01-21 인터넷 콘텐츠의 가치 평가 방법, 장치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256A KR100941140B1 (ko) 2007-01-16 2007-02-06 블로그의 가치 평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9411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013B1 (ko) * 2009-04-30 2011-07-19 엔에이치엔(주) 대표자의 신뢰도를 이용한 검색 결과 순위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041B1 (ko) * 2019-03-18 2021-01-21 주식회사 기가월드 온라인 쇼핑몰 임대 및 유무형 가치 거래를 위한 쇼핑몰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322953B1 (ko) * 2019-11-19 2021-11-09 데이터킹주식회사 가상부동산 거래 및 가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
CN112613692A (zh) * 2020-11-24 2021-04-06 中国传媒大学 融媒体传播效果评估方法、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102523298B1 (ko) * 2022-03-21 2023-04-18 정채린 개인계정의 가상부동산화를 이용한 권리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628A (ko) * 2000-04-18 2000-08-05 김광덕 인터넷을 이용한 사이트 매매 정보 지원 시스템
KR20030051956A (ko) * 2001-12-20 2003-06-26 (주) 코리아디지털컨텐츠 인터넷을 통한 콘텐츠 가치 평가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40067587A (ko) * 2003-01-24 2004-07-30 디엠엔 정보기술 주식회사 웹사이트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78811A (ko) * 2003-06-27 2003-10-08 최인철 사이트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27845B1 (ko) * 2003-09-15 2006-09-26 에누리닷컴 주식회사 인터넷 웹 게시판에서 우수 컨텐츠 선정방법
KR100952391B1 (ko) * 2005-04-14 2010-04-14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인터넷 네트워크에서 콘텐츠의 평가에 따른 가치 분석시스템,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컴퓨터로 읽을 수있는 기록 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013B1 (ko) * 2009-04-30 2011-07-19 엔에이치엔(주) 대표자의 신뢰도를 이용한 검색 결과 순위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236A (ko) 2009-01-07
KR100941140B1 (ko) 2010-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oks et al. An empirical test of stage models of e-government development: Evidence from Dutch municipalities
Citro From multiple modes for surveys to multiple data sources for estimates
Millar et al. Social return on investment (SROI) and performance measurement: The opportunities and barriers for social enterprises in health and social care
Carrillo et al. A knowledge transfer framework: The PFI context
Gouscos et al. A general model of performance and quality for one-stop e-government service offerings
Yang et al. A research frontier in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performance and assessment of social benefits
Holtz et al. Understanding nurse perceptions of a newly implemented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Tsolas Modelling profi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Greek-listed construction firms: an integrated DEA and ratio analysis
Mendes et al. Investigating web size metrics for early web cost estimation
Lai et al. Managing dependence in logistics outsourcing relationships: evidence from China
Lyall et al. Assessing end-use relevance of public sector research organisations
Emmenegger Specificity versus replaceability: the relationship between skills and preferences for job security regulations
Parent et al. National sport organization governance design archetype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Chirra et al. Barriers to sustainable supply chain flexibility during sales promotions
Mendes et al. Early Web size measures and effort prediction for Web costimation
Ozmen-Ertekin et al. Dynamic data maintenance for quality data, quality research
Agrifoglio et al. Success factors for using case management system in Italian courts
US200802089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internet contents, and recording media for storing program implementing the same
Khan et al. Variations in the diffusion of social media content across different cultures: A communicative ecology perspective
KR100941140B1 (ko) 블로그의 가치 평가 방법 및 장치
Melo et al. Business intelligence and analytics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Barrera-Lozano et al. Disaggregation of sectors in social accounting matrices using a customized Wolsky method
Patil et al. Digital Marketing Adoption by Start-Ups and SMEs.
Wirtz et al. Public social media services: A citizen’s perspective
Mohapatra et al. Assessing the overall value of an online writing commun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