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4410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4410A
KR20090014410A KR1020087032006A KR20087032006A KR20090014410A KR 20090014410 A KR20090014410 A KR 20090014410A KR 1020087032006 A KR1020087032006 A KR 1020087032006A KR 20087032006 A KR20087032006 A KR 20087032006A KR 20090014410 A KR20090014410 A KR 20090014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box
main body
air conditioner
dust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2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이치 나카니시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14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44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Abstract

더스트 박스를 분리할 때의 조작성을 높인 에어 필터의 자동 청소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한다. 이 공기 조화기는, 에어 필터(21, 21)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수용하는 더스트 박스(71)를 본체 측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80)를 구비한다. 이 분리부(80)는, 본체 측의 외표면에 노출되어 설치된 버튼이나 레버 등의 조작 부재(81)와, 본체 측에 설치되어, 조작 부재(81)의 조작에 의해 더스트 박스(71)를 본체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밀어냄 부재(8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 부재(81)의 이동량에 따라 더스트 박스(71)가 밀어 내지게 되어 있어, 더스트 박스(71)를 순조롭게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이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 필터의 자동 청소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는, 송풍 팬에 의해 흡입한 실내 공기를, 열교환기를 통과시킴으로써 냉각 또는 가열하여 실내로 반류시키는데,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가 열교환기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교환기의 전면 측에 에어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필터에 먼지가 부착되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하여 통풍 저항이 증대되면, 공기 조화기의 공조 능력이 저하됨과 함께, 소비 전력이 증대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필터의 자동 청소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가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다.
필터를 자동적으로 청소하는 경우, 필터의 전체면을 청소 브러쉬로 청소하기 위해 필터와 청소 브러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에어 필터를 이동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크게 나누어 권취 방식과 루프 방식이 있다. 권취 방식은, 특허 문헌 1(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1-99479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쪽의 롤러에 감겨 있는 띠형상 필터를, 다른쪽의 롤러에 권취함으로써 필터를 이동시키고, 그 과정에 있어서 청소 브러쉬에 의한 청소를 행하는 방식이다. 또, 루프 방식은, 특허 문헌 2(일본 공개 실용신안공보 소62-145019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환상으로 형성된 띠형상 필터를 한 쌍의 롤러로 지지하여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띠형상 필터를 이동시키고 그 과정에 있어서 청소 브러쉬에 의한 청소를 행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이러한 권취 방식이나 루프 방식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는, 청소 브러쉬에 의해 에어 필터로부터 제거한 먼지는 더스트 박스에 모이게 되어 있어, 정기적으로 더스트 박스를 분리하여, 더스트 박스 내의 먼지를 버리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는, 더스트 박스의 분리 방법을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또 분리할 때에 어쩔 수 없이 번거로운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더스트 박스를 안정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많아, 예를 들면 더스트 박스를 급격하게 빼내거나, 더스트 박스가 급격하게 튀어나와 탈락하는 일이 있으면, 더스트 박스 내의 먼지가 주변에 흩날려, 공조기 내부나 실내를 더럽혀 버린다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더스트 박스를 분리할 때의 조작성을 높인 에어 필터의 자동 청소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발명의 공기 조화기는,
에어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 자동 청소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로서,
상기 에어 필터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수용하는 더스트 박스와,
이 더스트 박스를 본체 측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를 구비하고,
이 분리부는,
상기 본체 측에 설치된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상기 더스트 박스를 본체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밀어냄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는, 조작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더스트 박스가 본체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져, 더스트 박스를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더스트 박스의 분리 방법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 더스트 박스를 분리할 때에 어쩔수 없이 번거로운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도 없다.
일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밀어냄 부재는, 상기 본체 측에 설치되고, 그 밀어냄 부재의 밀어냄량이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량에 따라 점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조작 부재의 이동량에 따라 더스트 박스가 밀어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더스트 박스를 순조롭게 분리할 수 있다.
또, 일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분리부는, 상기 밀어냄 부재에 의해 상기 더스트 박스를 밀어낼 때에, 상기 더스트 박스의 상기 본체 측으로부터의 탈락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탈락 규제 부재에 의해, 상기 더스트 박스를 밀어낼 때의 더스트 박스의 본체 측으로부터의 탈락을 규제하므로, 더스트 박스를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더스트 박스 내의 먼지가 흩날려, 공조기 주변이나 실내를 더럽혀 버린다는 문제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분리부는, 상기 더스트 박스의 상기 본체 측으로의 장착 시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박스를 상기 본체 측에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더스트 박스의 상기 본체 측으로의 장착 시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에 의해, 상기 더스트 박스는 본체 측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더스트 박스는 확실히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더스트 박스 내의 먼지가 흩날려, 공조기 주변이나 실내를 더럽혀 버린다는 문제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 일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더스트 박스 및 조작 부재가, 외표면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더스트 박스 및 조작 부재가, 외표면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더스트 박스의 분리 방법을 한눈에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 일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더스트 박스 및 조작 부재가, 상기 본체 측의 전면 패널과 공기 취출구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더스트 박스의 취급이 용이해지고, 또한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성이 좋아진다.
또한 일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더스트 박스는, 상기 본체 측의 전면 패널이 닫힌 상태인 채로 상기 본체 측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전면 패널이 닫힌 상태인 채로, 상기 더스트 박스의 착탈이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전면 패널을 개방하거나, 분리하거나 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으므로, 조작성을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공기 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공기 조화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필터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필터 유닛의 가동 가이드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필터 유닛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필터 유닛의 가동 가이드의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상기 필터 유닛의 필터의 자동 청소 작업중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에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에어 필터의 환상 벨트로의 걸어 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청소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청소 유닛의 더스트 박스의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더스트 박스의 일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더스트 박스의 일단부와 분리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4(a), (b) 및 (c)는, 상기 더스트 박스의 분리 동작을 설명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5(a) 및 (b)는, 상기 더스트 박스의 분리 동작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다음에, 이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구체적인 실시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공기 조화기의 전체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마찬가지로 그 종단면도이다. 공기 조화기는, 본체 유닛(10)과, 필터 유닛(20)과, 외장 케이스(50)와, 청소 유닛(70)을 가지고 있다.
상기 본체 유닛(10)은, 바닥 프레임(11)을 가지며, 이 바닥 프레임(11)에 실내 열교환기(12), 송풍 팬(크로스플로우 팬)(13), 전장품 박스(14) 등이 장착된 것으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냉방, 난방, 제습 등의 공조 운전을 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바닥 프레임(11)의 하면에는 흡입한 조절 후의 공기를, 실내로 반류시키기 위한 공기 취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 유닛(20)은, 에어 필터(21, 21)와, 에어 필터(21, 21)를 이동시키는 이동부(30‥)와, 에어 필터(21, 21)를 이동 경로를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부(40)를 일체적으로 구비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우선, 상기 가이드부(40)에 대해 설명하면, 이 가이드부(40)는, 에어 필터(21, 21)의 이동 경로를 구성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22a, 22b)을 가지며, 각 가이드 프레임(22)(이하, 좌우를 특별히 구별하지 않는 경우에는, 가이드 프레임을 부호 22로 나타낸다)에 각각 에어 필터(21)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2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하는 본체부(23)와, 본체부(23)로부터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아암부(24)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23)에는, 후술하는 필터(21)의 이동부(30, 30)가 장착되고, 또, 상기 아암부(24)는, 그 내측에 홈형상 가이드(25)(도 2 참조)가 형성된 것으로서, 통상 사용시에는 소정 위치에 필터(21)를 유지하고, 필터(21)가 이동할 때에는 그 양측부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 본체부(23)에 있어서의 이동부(30, 30)의 전면측은, 가동 가이드(41)로 되어 있다. 이 가동 가이드(41)는, 그 상단부가 래치 기구를 통하여 횡축(42)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하단부가 전방을 향하여 개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가동 가이드(41)는, 이동 경로를 구성하는 닫힘 상태(도 3 및 도 5 참조)와, 이동 경로를 개방하여 에어 필터(21)의 착탈을 가능하게 하는 열림 상태(도 4 및 도 6 참조)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에어 필터(21)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자 형상의 프레임(21a)에 메쉬(21b)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프레임(21a)의 종방향을 따른 양단부에는, 그 이면 측에 있어서 복수의 돌기(35‥)가 종방향으로 동일 피치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30)는, 도 5 및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에어 필터(21)의 이동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하 한 쌍의 톱니 벨트용 풀리(31, 32)와, 하측 풀리(31)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26)(도 3 참조)와, 양 풀리(31, 32) 사이에 감겨 설치된 환상의 톱니 벨트(3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하측 풀리(31)가 모터(26)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상측 풀리(32)가 종동 회전하여, 환상 벨트(33)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부(30)는, 각 프레임(22)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인 것으로 하여, 2개씩 배치되어 있다.
상기 환상 벨트(33)에는,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소정의 간격(등피치)으로, 끼워맞춤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 필터(21)의 돌기(35‥)를 환상 벨트(33)의 끼워맞춤 구멍(34‥)에 끼워 넣음으로써, 에어 필터(21)가 환상 벨트(33)에 걸어 맞춰지고, 에어 필터(21)의 돌기(35‥)를 환상 벨트(33)의 끼워맞춤 구멍(34‥)으로부터 빼냄으로써, 에어 필터(21)의 환상 벨트(33)로의 걸어 맞춤이 해제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초기 위치(통상의 사용 위치)로서, 필터(21)의 하단부가 하측 풀리(31)의 근방에 위치하도록 장착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터(21)의 상측은, 그 양측으로부터, 프레임(22)의 아암부(24)에 가이드되고 지지되어 있다. 또, 필터(21)의 하측은, 그 전면측으로부터 가동 가이드(41)의 이면에 의해 가이드되고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필터(21)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와 마찬가지로, 실내 열교환기(12)의 풍상(風上)측의 거의 전역을 덮어, 공기 중에 부유하는 먼지에 의해 실내 열교환기(12)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되어 있는 필터 유닛(2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 이, 가이드 프레임(22a, 22b)의 아암부(24, 24)의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적당 간격을 두고 형성한 걸어 맞춤 갈고리(28‥)를, 본체 유닛(10)의 바닥 프레임(11)의 상단부에 걺과 함께, 본체부(23, 23)의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장착편(29, 29)을, 본체 유닛(10)의 바닥 프레임(11)의 취출구(15)의 근방에 나사(16‥)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본체 유닛(10)의 실내 열교환기(12)의 전면측 및 상면측을 덮도록 하여, 본체 유닛(10)의 바닥 프레임(1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필터 유닛(20)을 본체 유닛(10)으로부터 분리하고, 대신에 예를 들면 필터만 혹은 필터와 흡취 기능을 구비한 다른 필터 유닛을 장착함으로써, 자동 청소 기능을 가지지 않는 공기 조화기에 대한 기종 변경이 가능해져, 본체 유닛(10)을 공유화하면서, 저비용으로 복수 기종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다.
상기 외장 케이스(50)는, 본체 유닛(10) 및 필터 유닛(20)을 외측으로부터 덮도록 하여, 필터 유닛(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외장 케이스(50)는, 그 전면 측에 개폐 가능한 전면 패널(60)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전면 패널(60)의 이면 측에, 필터 유닛(20)의 가동 가이드(41, 41)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외장 케이스(50) 전체를 분리하지 않아도, 전면 패널(60) 만을 개방 혹은 분리함으로써, 가동 가이드(41, 41)가 노출되어 개폐 조작이 가능해져, 에어 필터(21, 21)의 착탈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청소 유닛(70)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 필터(21)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수용하는 더스트 박스(71)와, 에어 필터(21)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내는 한 쌍의 회전 브러쉬(72, 72)를 일체적으로 구비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또 한, 회전 브러쉬(72, 72)는, 도시를 생략한 구동 모터 등의 구동부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더스트 박스(71)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지 수납부를 가지는 본체 케이스(74)와, 이 본체 케이스(7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뚜껑 케이스(75)를 조합함으로써, 가로로 긴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뚜껑 케이스(75)에는, 가로로 긴 먼지 취입구(7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더스트 박스(7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먼지 취입구(76)를 이동부(30‥)의 하방에서 개방시키고, 또한, 전면 패널(60)과 공기 취출구(15) 사이에서 공기 조화기의 외표면에 노출된 상태로, 외장 케이스(5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더스트 박스(71)는, 전면 패널(60)이 닫힌 상태(통상 상태)인 채로 외장 케이스(50)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어, 따라서 전면 패널(60)을 개방하거나, 분리하거나 한다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반하는 일 없이 착탈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회전 브러쉬(72)는, 더스트 박스(71)의 뚜껑 케이스(7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축(77)과, 이 회전축(77)의 외주면에 심어진 브러쉬모(78)로 이루어지고, 그 브러쉬모(78)를 먼지 취입구(76)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하여, 더스트 박스(71) 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여 구성된 청소 유닛(70)의 더스트 박스(71)를, 본체 측으로서의 외장 케이스(50)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80)(도 13, 14(a), (b) 및 (c)를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이 분리부(80)는, 도 12 내지 도 14(a), (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로서의 누름 버튼(81)과, 이 누름 버튼(81)의 밀어넣는 조작에 의해 더스트 박스(71)를 본체 외측 방향 즉 외부로 밀어내는 밀어냄 부재(82)와, 이 밀어냄 부재(82)에 의해 더스트 박스(71)를 밀어낼 때에, 더스트 박스(71)의 외장 케이스(50)로부터의 탈락을 규제하는 탈락 규제 부재(83)와, 더스트 박스(71)의 외장 케이스(50)로의 장착 시에 있어서, 더스트 박스(71)를 외장 케이스(50)에 유지하는 유지 부재(8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누름 버튼(81)은, 도 15(a) 및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스트 박스(71)의 측방에 인접하도록 하여, 공기 조화기의 외표면에 노출된 상태로, 외장 케이스(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리부(80)의 조작 부재로서는, 이러한 누름 버튼(81)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공기 조화기의 외표면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 레버 등이어도 된다.
상기 밀어냄 부재(82)는, 도 14(a), (b) 및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50) 하부에 돌출 형성된 지지축(85)과, 이 지지축(85)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체(86)로 이루어진다. 회전체(86)는, 더스트 박스(71)의 일단부 후면에 맞닿는 아암부(87)와, 누름 버튼(81)에 돌출 형성된 핀(88)이 삽입된 긴 구멍(89)을 가지는 연결부(9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누름 버튼(81)을 본체 내측 방향 즉 내부로 밀어넣음으로써, 그 핀(88) 및 긴 구멍(89)을 통하여 연결된 회전체(86)가 회전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아암부(87)가 더스트 박스(71)의 일단부 후면을 외부로 밀어내므로, 이 밀어내진 더스트 박스(71)를 사용자가 손으로 유지하면 서 빼냄으로써, 더스트 박스(71)를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경우, 누름 버튼(81)을 보다 내부로 밀어넣을 수록, 회전체(86)가 크게 회전하여, 더스트 박스(71)를 보다 외방으로 밀어내도록 되어 있다. 즉, 누름 버튼(81)의 이동량 즉 압입량에 따라, 밀어냄 부재(82)에 의한 더스트 박스(71)의 밀어냄량이 점증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회전체(86)에는, 걸림편(91)이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고, 이 걸림편(91)이 더스트 박스(71)의 일단부 측면에 형성된 걸림 돌기(92)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스트 박스(71)의 외장 케이스(50)로의 장착 시에 있어서, 더스트 박스(71)가 외장 케이스(50)로부터 탈락하지 않게 유지된다. 즉, 이들 걸림편(91)과 걸림 돌기(92)에 의해, 유지 부재(84)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탈락 규제 부재(83)는, 더스트 박스(71)의 일단부 측면에 내외측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저항판(95)과, 외장 케이스(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저항판(95)에 가압 접촉하는 판스프링(9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항판(95)은, 도 12 및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내측 방향 즉 내부를 향함에 따라 측방으로의 돌출이 점점 커져, 그 내부측 단부에 있어서 측방으로 크게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판스프링(96)은, 전체적으로 대략 U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되고, 더스트 박스의 일단부 측면에 대향하는 단부가, 저항판(95)을 그 돌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고 있다. 따라서, 밀어냄 부재(82)에 의해 더스트 박스(71)를 밀어낼 때에, 더스트 박스(71)의 밀어냄량이 증가함에 따라, 저항판(95)이 판스프링(96)의 단부 를 보다 크게 측방으로 밀어넣게 되어, 이것에 의해 판스프링(96)의 탄성 가압력이 커져 더스트 박스(71)의 밀어냄 저항이 증가하여, 더스트 박스(71)의 외부로의 탈락을 규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히, 저항판(95)의 내부측 단부가 측방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더스트 박스(71)를 분리하기 직전에 있어서, 밀어냄 저항이 보다 강해져, 이 경우, 누름 버튼(81)에 의한 밀어냄 만으로는, 더스트 박스(71)를 완전하게 분리하지 못하고, 사용자가 손으로 더스트 박스(71)를 잡으면서 외부로 잡아당김으로써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이것에 의해 더스트 박스(71)의 부주의에 의한 탈락을 확실히 방지하고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는, 필터(21)를 도 2 및 도 5에 나타내는 통상 위치에 위치시켜 공조 운전을 행한다. 그리고, 운전 종료시 혹은 소정 시간 운전을 행한 후의 운전 종료시 등에, 필터(21)의 자동 청소 작업을 행한다. 이하, 이 순서에 대해서,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5의 상태(통상 운전시의 상태)에 있어서 필터(21)의 하측 부분을 권취 시단부라고 부르고, 필터(21)의 상측 선단 부분을 권취 종단부라고 부른다. 우선, 도 5의 상태로부터, 각 모터(26)를 구동하여, 환상 벨트(33)를 이동시킴과 함께, 청소 유닛(70)의 회전 브러쉬(72)를 회전 구동한다. 그렇게 하면, 벨트(33)와 함께, 필터(21)는 하강하고, 권취 시단부는 하측 풀리(31)의 주위를 통과하여 이면측(공기 유통 방향의 후측)을 상승해 간다. 이 때, 회전 브러쉬(72)는, 하측 풀리(31)와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필터(21) 표면의 먼지를 긁어 떨어뜨린다. 또 이 때, 필터(21)의 중도 부분에서는, 돌기(35‥)가 순차적으로, 벨트(33)의 끼워맞춤 구멍(34‥)에 끼워맞 춤되어 간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권취 종단부가 회전 브러쉬(72)에 접촉하고, 이 부분의 청소가 완료되면, 환상 벨트(33)의 이동, 및 회전 브러쉬(72)의 회전 구동을 정지하고, 왕로의 청소 작업을 종료한다.
다음에, 귀로의 청소 작업을 행하는데, 이 때에는, 환상 벨트(33)의 이동 방향, 및 회전 브러쉬(72)의 회전 방향을 상기 왕로와는 역으로 한다. 이 경우, 환상 벨트(33)의 이동에 의해, 필터(21)의 권취 종단부가 상승하여, 환상 벨트(33)로부터 이탈한다. 이것은 환상 벨트(33)는, 상측 풀리(32)에 의해, 이면측으로 만곡되어 가지만, 필터(21)는, 그 자체의 강성에 의해, 직립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므로, 양자 간격이 점차 넓어지고, 그리고, 필터(21)가, 도 5에 나타내는 통상 사용 위치에까지 복귀했을 때에 귀로의 청소 작업을 완료한다.
이러한 자동 청소 작업에 의해 긁어내진 먼지는, 먼지 취입구(76)로부터 더스트 박스(71) 내로 낙하하여, 더스트 박스(71) 내에 수용된다. 더스트 박스(71) 내의 먼지가 모이면, 본체측 즉 외장 케이스(50)로부터 더스트 박스(71)를 분리하여, 더스트 박스(71) 내의 먼지를 버리도록 하고 있다.
이 더스트 박스(71)를 분리할 때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스트 박스(71)에 인접하여, 전면 패널(60)과 공기 취출구(15) 사이에서 외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누름 버튼(81)을 밀어 넣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누름 버튼(81)의 밀어냄량에 비례하여, 더스트 박스(71)가 외측 방향으로 서서히 밀어내짐과 함께, 더스트 박스(71)의 탈락이 방지되므로, 더스트 박스(71)를 순조롭게 안정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더스트 박스(71) 내의 먼지가 흩날려, 공 조기 주변이나 실내를 더럽혀 버린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분리한 더스트 박스(71) 내의 먼지를 처분한 후에는, 다시 더스트 박스(71)를 외장 케이스(50)에 장착하는데, 이 외장 케이스(50)로의 장착 시에는, 더스트 박스(71)의 일단부 후면에 의해 아암부(87)가 내부로 밀어넣어지고, 이것에 수반하여 회전체(86)가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에 복귀하면, 더스트 박스(71)의 걸림 돌기(92)와 회전체(86)의 걸림편(91)이 걸어 맞춰져, 더스트 박스(71)의 외장 케이스(50)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한다.
이상으로 이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 발명은 상기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 발명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냉방, 난방, 제습을 행하는 공기 조화기에만 한정되지 않고,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되는 먼지를 포착하는 공기 청정 기능만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필터를 이동시켜 자동 청소 작업을 행하는 공기 조화기에만 한정되지 않고, 청소 브러쉬가 이동하여 에어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구조의 공기 조화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 필터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로서는, 상기 서술한 상하의 풀리와 환상 벨트를 사용한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필터에 형성한 랙을 피니언에 맞물리게 하여, 이 피니언의 회전 구동에 의해 필터를 필터 유닛의 전면측으로부터 후면 측으로 반전시키도록 이송하는 구조의 것이어도 되고, 또 종래와 같이 권취 방식이나 루프 방식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더스트 박스 및 조작 부재는, 반드시 공기 조화기의 외표면에 노출되어 있거나, 전면 패널과 공기 취출구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되며, 예를 들면 전면 패널에 의해 덮여 있어도 된다.
또한 더스트 박스를 본체 측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부로서는,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해 유지 부재의 걸림편과 걸림 돌기의 걸어 맞춤을 해제함으로써, 밀어냄 스프링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더스트 박스가 본체 외측 방향을 향하여 튀어나오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도, 더스트 박스 내의 먼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 탈락 규제 부재는 필요하다. 또한, 조작 부재와 밀어냄 스프링의 양자의 기능을 겸용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가구의 문의 개폐 기구 등에 사용되는 마그넷 캐쳐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7)

  1. 에어 필터(21, 21)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필터 자동 청소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로서,
    상기 에어 필터(21, 21)로부터 제거한 먼지를 수용하는 더스트 박스(71)와,
    이 더스트 박스(71)를 본체 측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분리부(80)를 구비하고,
    이 분리부(80)는,
    상기 본체 측에 설치된 조작 부재(81)와,
    상기 조작 부재(81)의 조작에 의해 상기 더스트 박스(71)를 본체 외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밀어냄 부재(8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밀어냄 부재(82)는, 상기 본체 측에 설치되고, 그 밀어냄 부재(82)의 밀어냄량이 상기 조작 부재(81)의 이동량에 따라 점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80)는, 상기 밀어냄 부재(82)에 의해 상기 더스트 박스(71)를 밀어낼 때에, 상기 더스트 박스(71)의 상기 본체 측으로부터의 탈락을 규제하는 탈 락 규제 부재(83)를 구비하고 있는 공기 조화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80)는, 상기 더스트 박스(71)의 상기 본체 측으로의 장착 시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박스(71)를 상기 본체 측에 유지하는 유지 부재(84)를 구비하고 있는 공기 조화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박스(71) 및 조작 부재(81)가, 외표면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박스(71) 및 조작 부재(81)가, 상기 본체 측의 전면 패널(60)과 공기 취출구(15)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박스(71)는, 상기 본체 측의 전면 패널(60)이 닫힌 상태인 채로 상기 본체 측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
KR1020087032006A 2006-08-31 2007-08-24 공기 조화기 KR200900144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35986 2006-08-31
JP2006235986A JP4175407B2 (ja) 2006-08-31 2006-08-31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4410A true KR20090014410A (ko) 2009-02-10

Family

ID=3913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2006A KR20090014410A (ko) 2006-08-31 2007-08-24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058600B1 (ko)
JP (1) JP4175407B2 (ko)
KR (1) KR20090014410A (ko)
CN (1) CN101501406B (ko)
ES (1) ES2545774T3 (ko)
WO (1) WO200802651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574A (ko) *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필터 교체가 용이한 공기 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0200B2 (ja) * 2008-09-09 2012-09-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フィルタ清掃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5176828B2 (ja) * 2008-09-26 2013-04-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粉塵捕捉装置および投写型画像表示装置
JP2010197014A (ja) * 2009-02-27 2010-09-0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JP5441851B2 (ja) * 2009-12-22 2014-03-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アーフィルター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627355B2 (ja) * 2010-09-06 2014-11-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108118B2 (ja) * 2011-01-11 2012-12-26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ィルタ清掃装置、ダストボックスおよび空気調和機
CN103182645B (zh) * 2013-03-01 2015-05-20 杭州沃镭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空气干燥器装配及检测生产线
JP6297861B2 (ja) * 2014-02-28 2018-03-20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506989B2 (ja) * 2015-03-03 2019-04-2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清浄機構
WO2016157295A1 (ja) * 2015-03-27 2016-10-0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6726561B2 (ja) * 2016-08-09 2020-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11939677B (zh) * 2020-08-10 2021-12-03 嘉兴量创科技有限公司 一种地下工程施工用双筒式抽风设备
KR20220060710A (ko) * 2020-11-05 2022-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5019U (ko) 1986-03-07 1987-09-12
JP2001099479A (ja) 1999-09-30 2001-04-13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電源装置
JP2001201438A (ja) * 2000-01-19 2001-07-27 Horiba Ltd 流体分析装置および流体分析装置用のフィルタユニット
AU2003210851A1 (en) * 2002-02-13 2003-09-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replacing a filter device
CN100416167C (zh) * 2003-09-12 2008-09-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空调机
JP4591683B2 (ja) * 2004-09-03 2010-12-01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574A (ko) * 2019-02-08 2020-08-19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필터 교체가 용이한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58600A4 (en) 2013-12-18
CN101501406B (zh) 2011-02-02
EP2058600A1 (en) 2009-05-13
EP2058600B1 (en) 2015-08-12
JP2008057881A (ja) 2008-03-13
ES2545774T3 (es) 2015-09-15
CN101501406A (zh) 2009-08-05
JP4175407B2 (ja) 2008-11-05
WO2008026512A1 (fr) 200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4410A (ko) 공기 조화기
JP4840565B2 (ja) 空気調和機
JP4780291B2 (ja) 空気調和機
KR101060999B1 (ko) 공기 조화기
JP5108121B2 (ja) フィルタ保持装置、フィルタ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5276166B2 (ja) 空気調和機
JP4780326B2 (ja) 空気調和機
JP5424185B2 (ja) 空気調和機
JP5108118B2 (ja) フィルタ清掃装置、ダストボックスおよび空気調和機
JP4894272B2 (ja) 空気調和機
JP5108119B2 (ja) ダストボックス、フィルタ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9030507A (ja) 衣類乾燥機
JP5175943B2 (ja) フィルタ清掃装置、ダストボックスおよび空気調和機
JP4876590B2 (ja) 空気調和機
WO2012096121A1 (ja) フィルタ保持装置、フィルタ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4428031B2 (ja) 空気調和機
JP2012107816A (ja) 空気調和機
JP6262095B2 (ja) 空気調和機用のフィルター清掃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12087969A (ja) 空気調和機
JP4775185B2 (ja) 空気調和機
JP2019030506A (ja) 衣類乾燥機
KR101076933B1 (ko) 공기청정기
JP6355803B2 (ja) 空気調和機用のフィルター清掃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16038164A (ja) 空気調和機用のフィルター清掃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6223926B2 (ja) 空気調和機用のフィルター清掃装置及び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