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875A - 파 솔트본드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파 솔트본드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875A
KR20090013875A KR1020070077979A KR20070077979A KR20090013875A KR 20090013875 A KR20090013875 A KR 20090013875A KR 1020070077979 A KR1020070077979 A KR 1020070077979A KR 20070077979 A KR20070077979 A KR 20070077979A KR 20090013875 A KR20090013875 A KR 20090013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alt
far
infrared rays
emitting f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 종 김
Original Assignee
남 종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 종 김 filed Critical 남 종 김
Priority to KR1020070077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3875A/ko
Publication of KR20090013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87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3/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0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9/00Adhesives based on natural macromolecular compounds or on derivatives thereof,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9J101/00 -C09J107/00 or C09J189/00 - C09J197/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건축자재에 필요한 접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는 소금과 점력이 강한 식물 쇠비름, 알로애, 선인장 등의 천연액과 점력이 좋은 곡 분류를 혼합하여 수분이 침투할 수 있는 실내건축자재와 생활용품을 접착할 수 있고 먹을 수 있는 친환경제품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으며 이에 사용되는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발명특허 제0603211호에 의하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적외선 방사소금이 침투력이 뛰어난 점을 착안하여 특허출원 10- 2005- 0121709 원적외선 방사소금을 함유한 가정용 항균보드에 이어 소금몰탈과 소금수성페인트 그리고 소금접착제 파 솔트본드를 출원하며 친환경적인 원적외선을 함유한 방사 소금을 이용하므로 청결한 환경 및 건조상태를 유지시켜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증진케 하는데 널리 사용가능하다.
원적외선 방사 소금, 쇠비름, 알로에, 선인장, 소금접착제(파 솔트본드)

Description

파 솔트본드와 그 제조방법{The adhesives to include a salt that a unit emission far-infrared ray and the Method of Producing Thereof}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한 접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접착제는 건축분야 및 생활환경에 꼭 필요한 제품으로 항상 접착제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로 인체에 항상 문제 시 되고 있어 항균 및 살균, 살충 효과가 우수한 원적외선 방사 소금과 식물의 천연액에 곡 분류를 혼합한 접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일명 VOC라고도 한다.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과 공존하면 햇빛의 작용으로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존 및 팬(PAN:퍼옥시아세틸 나이트레이트) 등 광화학 산화성 물질을 생성시켜 광화학스모그를 유발하는 물질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대기오염물질이며 발암성을 지닌 독성 화학물질로서 광화학산화물의 전구물질이기도 하다. 또한 지구온난화의 원인물질이며 악취를 일으키기도 한다.
국내의 대기환경보전법시행령 제39조 제1항에서는 석유화학제품·유기용제 또는 기 타 물질로 정의하는데, 환경부고시 제1998-77호에 따라 벤젠·아세틸렌·휘발유 등 31개 물질 및 제품이 규제대상이다. 산업체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매에서 화학 및 제약공장이나 플라스틱 건조공정에서 배출되는 유기가스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끓는점이 낮은 액체연료, 파라핀, 올레핀, 방향족화합물 등 생활주변에서 흔히 사용하는 탄화수소류가 거의 해당된다.
배출원은 토양과 습지·초목·초지 등의 자연적 배출원과 유기용제사용시설·도장시설·세탁소·저유소·주유소 및 각종 운송수단의 배기가스 등의 인위적 배출원이 있는데, 배출량은 세계적으로 유기용제사용시설과 자동차 등의 이동 오염원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환경과 인체에 큰 영향을 끼치므로 대부분의 국가들이 배출을 줄이기 위하여 정책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95년에 개정한 대기환경보전법에 근거하여 여천공업기지와 울산·미포 및 온산공업단지를 특별대책지역으로 지정하였다. 1997년 12월에는 대기환경보전법시행령을 개정하여 규제대상의 범위를 탄화수소류 중 레이드증기압이 27.6㎪ 이상인 물질에서 10.3㎪ 이상인 물질로 확대하고 주유소를 규제대상시설로 추가하였으며, 1999년 10월에는 대기환경보전법시행령을 개정하여 10.3㎪ 이하의 물질 중의 유해한 물질도 관리할 수 있도록 레이드증기압의 범위제한을 두지 않도록 하였다. 대기환경규제지역으로 지정된 지역 안의 석유정제 및 석유화학제품 정제 제조시설이나 저장 및 출하시설, 저유소, 주유소, 세탁시설 등은 배출억제 및 방지시설 을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접착제에서 다량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새집증후군)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천연 물질에 접착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최근에 개발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이 일반 소금에 비하여 일반 생물에 미치는 유해성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인체 유익한 건강광선인 원적외선이 다량 방사되고 항균 및 살균, 살충 효능이 매우 우수하고 침투력이 뛰어난 점을 착안하고 점력이 강하며 번식력이 좋고 식용하지 않는 쇠비름과 알로에, 선인장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 합성용 물질 대신에 이용 가능한 천연물질로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접착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35%, 식용하는 곡 분류를 20%와 식물에서 축출한 천연액을 약45%로 혼합하며 색상은 천연색소로 다양한 색상을 제조한다.
이때, 주원료인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소금이 습기에 잘 녹는 성분은 제거하였고 인체 유해한 전자파와 수맥을 차단하는 아주대학 산학협력단 오흥국교수로부터 검 증을 받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저감하는 검증도 서울대 이영규박사팀으로부터 받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천일염의 가열과정을 통하여 옥의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흡수한 소금을 말한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맥반석 및 목문옥을 함유하는 내열성 용기에 천일염을 투입하고; 상기 천일염이 투입된 용기를, 외벽이 3겹 이상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화벽돌의 최내측 2겹에 상기 내열성 용기와 동일 성분으로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가마에 적재하고;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750~850℃로 상승시킨 후, 6 내지 8시간 동안 유지시켜 상기 내열성 용기를 가열하고; 및 상기 가마내의 온도를 실온으로 냉각시켜 얻어진다.
상기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제조할 때, 내열성 용기의 성분과 가마의 내화벽돌의 코팅층 성분은 벤토나이트를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추가하여 장석, 규석, 카오링 및 활성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한 2 이상의 성분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용기자체의 안정성과 내열성을 위해서 필요한 것이기도 하지만 부족 광물의 보충의 역할도 한다. 또한, 상기 내열성 용기의 성분과 상기 가마의 내화벽돌의 코팅층 성분은 맥반석, 목문옥, 벤토나이트, 장석, 규석, 카오링 및 활석을 모두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맥박석 15 내지 40%중량%, 목문옥 15 내지 40중량%, 벤토나이트 1 내지 4중량%, 장석 7 내지 15중량%, 규석 5 내지 12중량%, 카오링 6 내지 13% 및 활석 2 내지 5%을 함유하 는 것이 더더욱 바람직하고, 맥박석 20 내지 32중량%, 목문옥 15 내지 32중량%, 벤토나이트 2 내지 3중량%, 장석 9 내지 10중량%, 규석 7 내지 8중량%, 카오링 7 내지 9중량% 및 활석 3 내지 4중량%을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용기 제조의 바인더로서 석회석을 2 내지 6중량% 추가적으로 함유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제조할 때의 내열성 용기는 목문옥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가열단계에서 원적외선을 방출하며, 또한 맥반석 등의 특수 세라믹 용기로 제작되므로 1,000℃ 이상의 고온에서도 내열성을 유지한다. 또한, 목문옥은 일반적인 옥보다 유익 광물질인 게르마늄, 셀레늄, 코발트 등의 함량이 월등하며 특히 게르마늄 성분은 1 g당 38 ppm으로 함유량이 일반게르마늄 온천수의 12배 이상이다. 또한, 맥반석은 1 ㎤당 3~15만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흡착성이 강하고 약 2만 5000여 종의 무기염류를 함유하고 있고, 중금속과 이온을 교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해금속을 제거하는데 탁월하며, 목문옥과 더불어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화학적 구성 성분은 대략, NaCl 95~98중량%, Na2O 0.06~0.08중량%, MgO 0.02~0.04중량%, K2O 0.01~0.03중량%, SiO2 0.02~0.03중량%, Al203 0.01~0.02중량%, Fe2O3 0.01~0.02중량%, CaO 0.002~0.003중량%를 함유하고 있으며, 기타 희귀미량원소 0.01~0.02중량%를 함유하고 있다.
원적외선 방사 소금의 구성성분은 필수 광물질의 함량이 천일염보다 훨씬 높은 반 면 인체에 해를 미치는 납, 비소 등의 성분은 검출 한계치 이하이다. 천일염에는 칼슘, 마그네슘, 철, 망간, 인, 유황 등 갖가지 광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를 원적외선 방사 소금으로 전환하면 이들 광물질의 함량이 상당히 변할 뿐만 아니라 나트륨, 칼륨, 염소, 칼슘, 마그네슘, 철, 망간, 인, 실리콘, 유황, 아연의 함량이 크게 증가한다. 또한, 원적외선 방사 소금은 천일염에 다량으로 함유된 불순물과 간수, 납, 구리, 비소, 수은 등은 검출되지 않으므로, 인체에 대단히 유익하다.

Claims (3)

  1. 쇠비름, 알로에, 선인장 등 점력이 좋은 식물을 원재료로 만든 접착제
  2. 소금을 원재료로 만든 접착제
  3. 곡 분류를 원재료로 만든 접착제
KR1020070077979A 2007-08-03 2007-08-03 파 솔트본드와 그 제조방법 KR20090013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979A KR20090013875A (ko) 2007-08-03 2007-08-03 파 솔트본드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979A KR20090013875A (ko) 2007-08-03 2007-08-03 파 솔트본드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875A true KR20090013875A (ko) 2009-02-06

Family

ID=4068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979A KR20090013875A (ko) 2007-08-03 2007-08-03 파 솔트본드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38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441A (ko) * 2014-10-13 2016-04-21 고계석 천일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미장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3441A (ko) * 2014-10-13 2016-04-21 고계석 천일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건축용 미장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3098B1 (ko) 시멘트가 함유되지 않은 몰탈 조성물
KR101440943B1 (ko) 건축 내외장용 불연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97600A (ko) 환경친화형 수성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8438B1 (ko) 친환경 기능성 도배풀 조성물
CN105396551B (zh) 水稻根制备含铁生物炭及其在吸附固化重金属离子中的应用
KR101915782B1 (ko) 유기농 토양개량과 식물성장촉진을 위한 조성물
KR101624292B1 (ko) 항균, 항진균 및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0662B1 (ko) 곰팡이 방지를 위한 친환경 천기토를 이용한 방수페인트 조성물 제조방법
KR20060122228A (ko) 천연소재를 이용한 폐수정화 및 토양개선제의 제조방법
KR100956843B1 (ko) 항균성 광촉매, 광촉매 도포 항균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3875A (ko) 파 솔트본드와 그 제조방법
KR20100124396A (ko) 기능성 숯 바름재 조성물
CN103551115A (zh) 一种硼酸改性活性炭及其制备方法
KR100568892B1 (ko) 무기질 세라믹 도료
KR101165053B1 (ko) 천연광물을 이용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1158A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출하는 세라믹과 금강토를포함하는 건축물 마감재용 조성물.
US7879252B1 (en) Functional cotton spray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building material using the same
Naamane et al. Characterization of calcined sewage sludge for its incorporation in cement
KR100794322B1 (ko) 원적외선 방사 소금을 함유한 가정용 항균 보드 및 이의제조방법
KR20060017354A (ko)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발생되는 수용성 도료 제조방법
KR20070041704A (ko) 천매암을 포함하는 도료
KR101600543B1 (ko) 친환경 기능성 세라믹 볼 및 그 제조방법
KR100879178B1 (ko) 탈취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46063A (ko) 음식물 찌꺼기와 식물성 찌꺼기를 이용하여 칼슘석회석과(Caco3) 마그네슘(MGO) 장석운모 바이오와재오라이트석 가루를 60매시로 배합하여 숙성시킨칼슘석회질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
KR101646215B1 (ko) 건축용 파우더형 친환경 마감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