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146A - 양봉용 사양기 - Google Patents

양봉용 사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3146A
KR20090013146A KR1020080126468A KR20080126468A KR20090013146A KR 20090013146 A KR20090013146 A KR 20090013146A KR 1020080126468 A KR1020080126468 A KR 1020080126468A KR 20080126468 A KR20080126468 A KR 20080126468A KR 20090013146 A KR20090013146 A KR 20090013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specification liquid
beekeeping
inner cylinder
entran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6590B1 (ko
Inventor
백영근
Original Assignee
백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근 filed Critical 백영근
Priority to KR10200801264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6590B1/ko
Publication of KR20090013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6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65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3/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b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사양액 상에서 부력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되어 사양액 변화량에 따라 승강동작되는 단순한 구조의 조절부재를 통해 취식공간의 사양액 량을 항시 일정한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양봉용 사양기가 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는 취식공간의 사양액 량을 일정한 범위 내로 자동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막힘이 없으며 자동조절의 원활화로 사양액이 넘치지 않고 구조가 단순화 되어 제조비용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고, 구조가 단순한 만큼 고장도 적어 제품 신뢰성 측면에서도 종래 사양기에 비해 유리하다.

Description

양봉용 사양기 {Bee-br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양봉용 사양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양액의 량을 일정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막힘이 없으며 자동조절의 원활화로 사양액이 넘치지 않고 구조가 간소화되어 생산비용이 저렴하고 제품신뢰도가 높은 양봉용 사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꿀벌은 밀원이 풍부한 유밀기에 채집한 꿀을 벌통 내에 저장하여 두고 무밀기까지 식량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양봉업자들은 꿀벌이 사용하고 남는 여분의 꿀을 채집하여 사용하는 것이 맞는데, 양봉업자들이 채집하는 꿀의 량이 점차 증가되면서 요즘에는 꿀벌들이 식량으로 사용할 수 있는 꿀의 량이 부족해 졌다.
따라서 최근 꿀벌들의 식량으로서는 꿀 대신 사람들이 인공적으로 공급해 주는 사양액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사양기는 이러한 사양액의 공급시에 사용되는 것이다.
사양기는 통상 박스형상의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 내부로는 공급관을 통해 꿀벌들이 취식할 수 있도록 사양액이 공급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사양기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종래 사양기는 사양액 공급량이 과도하게 많을 경우 사양액을 취식하러 날아 들어온 꿀벌들이 사양액에 빠져 죽는 일이 허다했으며, 사양액이 본체 주변으로 흘러넘치는 경우에는 흘러넘친 사양액으로 인해 말벌 등이 유인되어 꿀벌들이 말벌에게 공격당하거나 도봉이나 도거 등이 발생될 우려가 많았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정량의 사양액을 본체 내부로 자동 공급하여 사양기 본체 내부의 사양액이 항시 일정 범위 내의 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사양기가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사양액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사양기는 사양액 수위를 감지하는 수단과, 감지된 사양액 수위가 기준치 이하일 경우 본체 내부로 사양액을 보충하는 보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충수단의 경우 오리피스와,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볼 등을 구비하도록 마련되는 밸브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사양기는 사양액량을 일정 범위내로 유지할 수 있어 편리하지만, 상기 감지수단 및 보충수단과 같이 고가이면서 복작한 구조의 장치가 추가되면서 사양기의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통상 설탕액으로 마련되는 사양액은 점성이 높고 끈기가 있으므로, 상기 밸브장치를 갖는 사양기를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상기 오리피스 등이 이러한 사양액에 의해 자주 막히거나 수평이 맞지 않아 사양액이 흘러 넘치게 된다. 이에 반해 상기 수위감지수단과 밸브장치를 포함하는 보충수단을 구비하는 종래 사양기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청소가 용이하지 못한데, 이에 따라 종래 사양기는 제품신뢰성이 그리 높지 못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양액의 량을 일정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막힘이 없으며 자동조절의 원활화로 사양액이 넘치지 않고 구조가 간소화되어 생산비용이 저렴하고 제품신뢰도가 높은 양봉용 사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는 외통과, 상기 외통 내부에 마련되는 내통과, 꿀벌의 사양액 취식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통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내통과 외통 사이에 형성되는 취식공간과, 상기 내통의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공간 사이의 사양액 출입을 위해 마련된 제1출입공을 구비하는 구획판과, 상기 상부공간으로 사양액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공급관과, 상기 내통과 상기 취식공간 사이의 사양액 출입을 위해 상기 하부공간 쪽 내통에 마련되는 제2출입공과, 사양액에 의해 부력을 받아 뜰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하부공간 쪽 사양액의 변화량에 따라 승강동작하면서 상기 제1출입공을 자동 적으로 개폐 조절하도록 마련된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하부공간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몸통부와, 상기 부력부재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1출입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로부터 연장된 가이드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취식공간의 수위가 최대가 되었을 때, 상기 제1출입공을 폐쇄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축부의 상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구간은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원뿔대형상의 원뿔대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1출입공은 원형으로 마련되되, 상기 원뿔대구간 하단의 단면적은 상기 제1출입공보다 크거나 같게 마련되고, 상기 원뿔대구간의 상단의 단면적은 상기 제1출입공보다 작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출입공 둘레의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원뿔대구간의 상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구간 둘레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리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호 대응하는 상기 원뿔대구간 쪽 상기 가이드축부 외면과 상기 지지리브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실링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식공간 바닥에는 꿀벌의 안착을 위한 안착리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리브는 상기 내통과 외통 사이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 상호 이격된 복수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식공간 사양액의 최대 수위는 안착리브의 상단으로부터 4 ~ 7mm 높게 형성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통은 상부로 개방된 통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내통은 하부로 개방된 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내통의 하단 테두리는 상기 외통 바닥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급관의 중도에는 상기 사양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필터링장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링장치는 일단이 개방된 몸통과, 상기 몸통 중앙에 설치되는 필터축과, 상기 축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서로 격자크기를 달리하는 적어도 한 쌍의 필터와, 상기 몸통의 개방된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와 몸통의 폐쇄된 단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입구와, 상기 덮개와 몸통의 폐쇄된 단부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통의 상면에는 수평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는 사양액 상에서 부력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되어 사양액 변화량에 따라 승강동작되는 단순한 구조의 조절부재를 통해 취식공간의 사양액 량을 항시 일정한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는 취식공간의 사양액 량을 일정한 범위 내로 자동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막힘이 없으며 자동조절의 원활화로 사양액이 넘치지 않고 구조가 단순화 되어 제조비용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게 되며, 구조가 단순한 만큼 고장도 적어 제품 신뢰성 측면에서도 종래 사양기에 비해 유리하게 되는 이점을 갖는다.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가 벌통에 설치된 상태의 구조가 도시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양기(4)는 꿀벌들의 식량이 될 수 있도록 설탕액 등으로 마련되는 사양액을 꿀벌에게 공급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벌통(1)의 내부에 설치된다.
벌통(1)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의 본체(2)와, 본체(2)를 덮는 커버(3)를 구비하여 외관을 이루고, 본체(1) 내부에는 다수의 벌집이 배열되는데, 사양기(4)는 꿀벌들이 사양액을 수시로 취할 수 있도록 도 1과 같이, 본체(2) 바닥 일측이나 도 2처럼 커버(3) 내부 벌집(3a)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5는 수평기로써, 후술하게 될 내통(20) 상단에 부착되어 사양기(4)의 설치시 사양기(4)의 수평설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수평기(5)는 내통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양기(4)는 외통(10)과, 외통(10) 내 부에 설치되는 내통(20)과, 내통(20) 내부로 사양액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공급관(30)과, 내통(20)과 외통(10) 사이에 꿀벌들이 들어와 사양액을 취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취식공간(40)을 구비한다.
취식공간(40)은 꿀벌의 출입이 가능하고 상기 공급관(30)을 통해 내통(20) 내부로 공급된 사양액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마련되며, 내통의 일 측벽(21)에는 상기 공급관이 연결되도록 연결구(21a)가 형성된다.
이중 먼저 상기 외통(10)은 상부로 개방된 통형상으로 마련되고, 내통(20)은 하부로 개방된 통형상으로 마련되어 하단을 통해 외통(10) 측벽(11) 안쪽의 바닥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외통(10) 측벽(11) 안쪽의 바닥에는 내통(20)의 하단 테두리 내면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내면지지리브(12)와, 내통(20)의 하단 테두리 외면을 지지하는 외면지지리브(13)가 형성되고, 내통(20)은 하단 테두리가 상기 내면지지리브(12)와 외면지지리브(13) 사이에 지지되도록 삽입됨으로써 외통(10)과 결합된다.
물론 이 상태에서 내통(20)의 하단 테두리가 내면지지리브(12)와 외면지지리브(13) 사이에서 빠지도록 내통(20)을 상부로 잡아 다니게 되면, 내통(20)은 외통(10)으로부터 간단히 분리되며, 이와 같이 내통(20)과 외통(10)이 간편하게 분리되도록 마련된 사양기(4)는 내통(20) 및 외통(10)의 청소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면지지리브(12)와 외면지지리브(13)는 사양액의 유동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각각 소정간격 상호 이격된 복수개로 형성되며, 내통(20)과 외통(10)의 측 벽(21,11) 사이의 공간을 통해 형성되는 취식공간(40)은 상부를 통해 꿀벌이 내부로 출입될 수 있게 된다.
공급관(30)을 통해 내통(20) 내부로 공급된 사양액이 상기 취식공간(40)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사양기(4)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통(20) 내부에는 내통(20) 내부공간을 상부공간(20a)과 하부공간(20b)으로 구획하는 구획판(22)이 형성되고, 상기 공급관(30)은 내통(20)의 상부공간(20a) 쪽으로 연결된다. 또 상기 구획판(22)의 중앙에는 상부공간(20a)과 하부공간(20b) 사이의 사양액의 출입을 위한 제1출입공(23)이 형성되며, 하부공간(20b) 쪽 내통(20)에는 하부공간(20b)과 취식공간(40) 사이의 사양액의 출입을 위한 제2출입공(24)이 형성되며, 외부 사양액공급원(미도시)은 자연낙하 방식으로 공급관(30)을 통해 상부공간(20a) 내부로 사양액을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외부 사양액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관(30)을 따라 내통(20)의 상부공간(20a) 내부로 공급된 사양액은 상기 제1출입공(23)을 통해 내통(20)의 하부공간(20b)으로 이동되며, 하부공간(20b)으로 이동된 사양액은 꿀벌들이 취식할 수 있도록 제2출입공(24)을 통해 취식공간(40)으로 전달된다. 하부공간(20b)으로 전달된 사양액이 보다 신속하게 취식공간(40) 전체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제2출입공(24)은 내통(20)의 하단 쪽 측벽(21)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내통(20)은 상부공간(20a)의 내부 청소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단을 형성하는 상판(25)이 분리가 가능한 분리형으로 마련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4)에는 취식공간(40)의 사양액이 항시 일정량의 범위 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취식공간(40)으로 전달되는 사양액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절부재(50)는 사양액 상에서 부력을 받아 뜰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판형상의 몸통부(51)와, 사양액의 수위에 따른 조절부재(50)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해 몸통부(51)의 상면으로부터 제1출입공(23)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 연장된 가이드축부(5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조절부재(50)는 설탕액 등으로 마련되는 사양액 상에서 부력을 받아 뜰 수 있도록 마련되는 범위 내에서 합성수지나 스티로폼과 같은 다양한 재질을 통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조절부재(50)는 몸통부(51)가 하부공간(20b)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축부(52) 상단이 제1출입공(23)에 통과된 상태로 걸릴 수 있도록 내통(20) 내부에 설치되어 하부공간(20b) 쪽 사양액의 변화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승강동작하면서 제1출입공(23)을 개폐함으로써 취식공간(40)의 사양액 량이 항시 일정 범위 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취식공간(40)과 하부공간(20b)은 상기 제2출입공(24)을 통해 상호 연통되어 취식공간(40)의 사양액은 하부공간(20b)의 사양액과 항시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게 되는데, 취식공간(40) 사양액의 최대 수위를 정해 놓고 이 최대 수위에서 조절부재(50)가 부력을 받아 상승하면서 제1출입공(23)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조절부재(50) 및 제1출입공(23)을 설계하게 되면, 취식공간(40)의 사양액 수위가 최대일 때는 상부공간(20a)의 사양액은 더 이상 하부공간(20b)을 통해 취식공간(40)으로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꿀벌들이 취식공간(40)으로 들어가 사양액을 취식하면서 취식공간(40)의 사양액 량이 최대 수위보다 낮아지게 되면, 조절부재(50)는 하강동작되면서 다시 제1출입공(23)을 개방시켜 상부공간(20a)의 사양액이 하부공간(20b)으로 유입되면서 취식공간(40)의 사양액 량이 증가되도록 한다. 이때 취식공간(40)의 사양액 량은 취식공간(40)의 사양액 량이 최대 수위가 되어 조절부재(50)를 통해 제1출입공(23)이 다시 폐쇄될 때까지 지속되며, 이러한 작용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면서 취식공간(40)의 사양액 량은 항시 일정 범위 내로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조절부재(50)는 취식공간(40)의 수위가 최대가 되었을 때, 상기 제1출입공(23)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이러한 조절부재(5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통부(51)는 소정두께의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축부(52)는 몸통부(51)의 상면 정중앙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축부(52)는 상하길이방향을 따라 하부 쪽 원뿔대형상의 원뿔대구간(53)과, 원뿔대구간(53) 상부 쪽에 원통형상으로 연이어 마련되는 원통구간(54)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출입공(23)은 원형으로 마련되는데,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도록 마련된 원뿔대구간(53)의 하단 단면적은 제1출입공(23)보다 크거나 같게 마련되고, 원뿔대구간(53)의 상단 단면적은 제1출입공(23)보다 작게 마련되며, 상기 원통구간(54)의 상하길이방향 전 구간은 원뿔대구간(53)의 상단 과 같은 단면적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사양기(4)는 취식공간(40)의 사양액 수위가 최대가 되었을 때, 상승 동작되는 조절부재(50)의 상기 원뿔대구간(53)의 외경이 제1출입공(23) 내경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제1출입공(23)을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취식공간(40)의 사양액 수위가 최대지점보다 다시 낮아지면서 조절부재(50)가 하강 동작되면, 취식공간(40)의 사양액 수위가 다시 최대가 될 때까지 제1출입공(23)과 가이드축부(52) 사이를 통해 상부공간(20a)의 사양액이 하부공간(20b)으로 유입되게 되며, 이러한 조절부재(50)의 승강동작은 상단이 제1출입공(23)을 통과하도록 설치된 상기 가이드축부(52)에 의해 가이드된다.
사양액의 최초 주입시 하부공간(20b)에 사양액이 완전히 비워져 있는 상태에서도 가이드축부(52)가 제1출입공(23)에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축부(52)의 원통구간(54) 상단은 몸통부(51)가 하부공간(20b)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도 제1출입공(23)에 삽입되어 걸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출입공(23) 둘레의 구획판(22)에는 가이드축부(52)의 중심과 제1출입공(23)의 중심을 정확히 일치시키고 제1출입공(23)을 폐쇄시킨 상태의 조절부재(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가이드축부(52)의 원뿔대구간(53) 둘레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깔대기 형상의 지지리브(26)가 구획판(2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리브(23)는 본 실시예와 같이 원뿔대구간(53) 전체를 감싸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와 달리 원뿔대구간(53)의 상하 길이방향 중 적어도 일부구간 둘레만을 감싸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조절부재(50)와 제1출입공(23) 쪽 구획판(22)의 구조만을 통해서도 조절부재(50)를 통해 제1출입공(23)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1출입공(23)을 통한 사양액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지만, 제1출입공(23)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1출입공(23)을 통한 사양액의 출입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리브(26) 내면에는 오링형태의 실링부재(27)가 설치된다. 실링부재(27)는 지지리브(26) 내면 대신 제1출입공(23)의 폐쇄시 지지리브(26)에 지지되는 부위의 원뿔대구간(53) 외면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 상기 취식공간(40)의 바닥에는 사양액을 취식하려는 꿀벌들이 안착할 수 있도록 안착리브(41)가 마련된다.
이러한 안착리브(41)는 내통(20)과 외통(10) 사이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 상호 이격된 복수개로 형성되어 내통(20)의 하부공간(20b)으로부터 안착리브(41) 안쪽의 취식공간(40)으로 유입된 사양액이 안착리브(41) 바깥 쪽 취식공간(40)으로 바로 전달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꿀벌은 이러한 안착리브(41)에 안착된 상태에서 사양액을 취식할 수 있게 되어 취식공간(40)에 넉넉한 량의 사양액이 수용된 상태에서도 사양액에 빠져 죽지 않게 된다.
꿀벌이 사양액에 완전히 빠지지 않는 이상 꿀벌이 사양액에 익사될 우려가 없으므로, 꿀벌의 두께를 감안했을 때 취식공간(40)의 사양액 최대 수위는 상기 안착리브(41) 상단으로부터 4 ~ 7 mm 높게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4)는 미세구경의 오리피스나 오리피스 개방을 위한 볼부재와 같이 복잡하고 미세한 구조의 밸브장치 대신 사양액변화에 따라 승강동작하는 단순한 구조의 상기 조절부재(50)를 통해 취식공간(40)의 사양액량을 항시 일정 범위 내로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그 제조비용을 큰 폭으로 줄일 수 있게 되며, 구조가 단순한 만큼 고장도 적어 제품 신뢰성 측면에서도 종래 사양기에 비해 유리하게 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조절부재(50)가 상기 가이드축부(52)를 통해 제1출입공(23)을 개폐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조절부재(50)는 가이드축부(52) 직경을 줄여 가이드축부(52)는 조절부재(50)의 승강동작만을 가이드하도록 하고, 상기 몸통부(51)를 통해 제1출입공(23)을 개폐할 수 있도록 몸통부(51) 상면이 제1출입공(23) 쪽 구획판(22) 하단에 당접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품신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4)는 상기 공급관(30)을 통해 공급되는 사양액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상기 연결구(21a)나 공급관(30) 등이 이물질로 인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링장치(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공급관(30)은 외부 사양액공급원(미도시)과 바로 연결되는 메인공급관(31)과, 각 벌통(1)의 내부에 설치되는 사양기(4)에 사양액을 전달하도록 상기 메인공급관(31)으로부터 분기되는 복수개의 분기공급관(32)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필터링장치(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개방된 몸통(61)과, 필터(63,64)의 설치를 위해 몸통(61) 중앙 내측에 몸통(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필터축(62)과, 상기 필터축(62)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필터(63,64)와, 몸통(61)의 개방된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65)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필터링장치(60)는 상기 매인공급관(31) 중도에 연결된다. 필터링장치(60)의 덮개(65)와 몸통(61)의 폐쇄된 단부에는 각각 상류 쪽 메인공급관(31)에 연결되는 입구(65a)와 하류 쪽 메인공급관(31)에 연결되는 출구(61a)가 형성되며, 상기 입구(65a)와 출구(61a)는 상기 필터축(62)과 엇갈려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63,64)는 외곽이 몸통(61) 내면에 접하도록 형성되고, 필터축(62)에 끼워지도록 마련된 삽입공(63a,64a)을 중앙에 구비하도록 마련되는데, 이러한 필터(63,64)는 입구(65a)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제1필터(63)와, 출구(61a)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제2필터(64)를 포함하여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 필터(63,64)의 격자 크기는 입구(65a)에 인접한 제1필터(63)의 격자크기가 5mm로써 출구(61a)에 인접한 제2필터(64)의 격자크기 2mm 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필터링장치(60)를 사용하게 되면, 사양기(4)로 공급되기 전 상태에서 사양액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할 수 있게 되어 이물질로 인한 사양기(4)의 고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필터링장치(60)는 다른 격자크기를 갖는 복수의 필터(63,64) 를 통해 이물질을 입자크기에 따라 다단으로 필터링할 수 있게 되어 각 필터(63,64)에 걸리는 부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필터(63,64)의 수명이 연장되므로, 필터(63,64)를 자주 교체할 필요도 없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필터(63,64)는 한 쌍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와 달리 필터는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도 각 필터는 상기 입구(65a)에 인접할수록 큰 격자를 갖도록 배치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65)가 분리형으로 마련되고, 각 필터(63,64)를 필터축(62)에서 빼내어 분리할 수 있도록 마련된 상기 필터링장치(60)는 상기 내통(20) 및 외통(10)처럼 내부 청소가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가 벌통의 본채 내부 바닥 쪽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가 벌통의 본체 내부 벌집 상부 쪽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구조를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 내통에 형성된 제1출입공이 조절부재에 의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의 구조를 도시하나 단면도로, 내통에 형성된 제1출입공이 조절부재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봉용 사양기기에 있어서, 필터링장치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로, 필터링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벌집 4: 양봉용 사양기
5: 수평기 10: 외통
20: 내통 20a: 상부공간
20b: 하부공간 22: 구획판
23: 제1출입공 24: 제2출입공
30: 공급관 40: 취식공간
50: 조절부재 51: 몸통부
52: 가이드축부 60: 필터링장치

Claims (13)

  1. 외통과, 상기 외통 내부에 마련되는 내통과, 꿀벌의 사양액 취식이 가능하도록 상기 외통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내통과 외통 사이에 형성되는 취식공간과, 상기 내통의 내부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공간 사이의 사양액 출입을 위해 마련된 제1출입공을 구비하는 구획판과, 상기 상부공간으로 사양액을 공급하도록 마련된 공급관과, 상기 내통과 상기 취식공간 사이의 사양액 출입을 위해 상기 하부공간 쪽 내통에 마련되는 제2출입공과, 사양액에 의해 부력을 받아 뜰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하부공간 쪽 사양액의 변화량에 따라 승강동작하면서 상기 제1출입공을 자동적으로 개폐 조절하도록 마련된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하부공간에 위치되도록 마련된 몸통부와, 상기 부력부재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1출입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로부터 연장된 가이드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취식공간의 수위가 최대가 되었을 때, 상기 제1출입공을 폐쇄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부의 상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구간은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원뿔대형상의 원뿔대구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1출입공은 원형으로 마련되되,
    상기 원뿔대구간 하단의 단면적은 상기 제1출입공보다 크거나 같게 마련되고, 상기 원뿔대구간의 상단의 단면적은 상기 제1출입공보다 작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입공 둘레의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원뿔대구간의 상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구간 둘레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리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호 대응하는 상기 원뿔대구간 쪽 상기 가이드축부 외면과 상기 지지리브 내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실링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취식공간 바닥에는 꿀벌의 안착을 위한 안착리브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리브는 상기 내통과 외통 사이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 상호 이격된 복수개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취식공간 사양액의 최대 수위는 안착리브의 상단으로부터 4 ~ 7mm 높게 형성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은 상부로 개방된 통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내통은 하부로 개방된 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내통의 하단 테두리는 상기 외통 바닥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의 중도에는 상기 사양액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필터링장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장치는 일단이 개방된 몸통과, 상기 몸통 중앙에 설치되는 필터축과, 상기 축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며 서로 격자크기를 달리하는 적어도 한 쌍의 필터와, 상기 몸통의 개방된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와 몸통의 폐쇄된 단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입구와, 상기 덮개와 몸통의 폐쇄된 단부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의 상면에는 수평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사양기.
KR1020080126468A 2008-12-12 2008-12-12 양봉용 사양기 KR100946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468A KR100946590B1 (ko) 2008-12-12 2008-12-12 양봉용 사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468A KR100946590B1 (ko) 2008-12-12 2008-12-12 양봉용 사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146A true KR20090013146A (ko) 2009-02-04
KR100946590B1 KR100946590B1 (ko) 2010-03-09

Family

ID=4068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468A KR100946590B1 (ko) 2008-12-12 2008-12-12 양봉용 사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659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538B1 (ko) * 2010-07-02 2012-05-04 임준혁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KR200464455Y1 (ko) * 2011-08-24 2013-01-02 김장춘 꿀벌용 당액 자동공급기
KR20170002062U (ko) 2015-12-03 2017-06-13 최광호 양봉용 사양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617B1 (ko) 2021-01-05 2021-08-18 (주)하이브폼 다중커버 장착식 수직적층형 벌통
KR102266404B1 (ko) 2021-01-05 2021-06-17 (주)하이브폼 바닥공간 활용도가 향상된 수직적층형 벌통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368U (ko) * 1997-07-15 1999-02-18 김동순 꿀벌사양용 먹이통
KR20000007880U (ko) * 1998-10-08 2000-05-06 김규석 양봉용 사양기의 사양액 개폐장치
KR200211957Y1 (ko) * 2000-08-18 2001-02-01 조용선 꿀벌사양용 먹이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1538B1 (ko) * 2010-07-02 2012-05-04 임준혁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KR200464455Y1 (ko) * 2011-08-24 2013-01-02 김장춘 꿀벌용 당액 자동공급기
KR20170002062U (ko) 2015-12-03 2017-06-13 최광호 양봉용 사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6590B1 (ko)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590B1 (ko) 양봉용 사양기
KR200487694Y1 (ko) 양봉용 사양기
KR101667628B1 (ko) 꿀벌 먹이통
KR101348832B1 (ko) 꿀벌 사양기
KR101117134B1 (ko) 분리형 벌 사양기
KR100954520B1 (ko) 육묘용 베드
EA030819B1 (ru) Улей
KR200489815Y1 (ko) 꿀벌사양기
RU2555573C2 (ru) Кормушка для домашней птицы
KR102266914B1 (ko) 말벌 트랩을 갖춘 양봉용 자동 사양기
KR101141538B1 (ko) 수동식 분리형 벌사양기
KR20150001964U (ko) 배수 및 순환 장치를 구비한 어항
KR200487626Y1 (ko) 양봉용 자동사양기
CN213214888U (zh) 一种蜜蜂饲喂器
KR101168947B1 (ko) 다단 스크린을 구비한 디캔터
KR102264142B1 (ko) 어항
IT201800006493A1 (it) Mangiatoia per l'allevamento di animali con regolazione migliorata del livello di mangime
KR102082142B1 (ko) 하천용 친환경 수중보
KR200433173Y1 (ko) 양봉용 사양기
KR20200141216A (ko) 양봉용 자동 사양기
RU2619235C2 (ru) Рамка ульевая универсальная
KR102464412B1 (ko) 2군 겸용 소문 자동 급수 사양기
KR100499933B1 (ko) 유속감속수단이 구비된 어도용 격벽
KR102548095B1 (ko) 양봉용 사양장치
KR20240059833A (ko) 양봉용 급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