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2832U - 수산물 상자 - Google Patents

수산물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2832U
KR20090012832U KR2020080007818U KR20080007818U KR20090012832U KR 20090012832 U KR20090012832 U KR 20090012832U KR 2020080007818 U KR2020080007818 U KR 2020080007818U KR 20080007818 U KR20080007818 U KR 20080007818U KR 20090012832 U KR20090012832 U KR 200900128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shellfish
ice
box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유신
Original Assignee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컨테이너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7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2832U/ko
Publication of KR20090012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8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3Containers presenting a continuous stacking profile along the upper or lower edge of at least two opposit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5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draining or discharging the liquid contents, e.g. soup, mil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어패류의 보관시에 충진하는 얼음의 액화로 인한 발생하는 해빙수를 원활하게 배출하여 해빙수에 의한 얼음의 급격한 해빙을 방지하여 상자 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어패류의 신선도를 떨어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에 걸친 운반시에도 어패류의 신선도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표면이 외부와 밀폐되며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2)를 가지는 몸체(3)를 포함하는 수산물 상자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3)의 상단 내부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안치턱(4)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3)의 바닥은 중앙부(5)가 테두리부(6)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경사진 테이퍼면(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두리부(6)에는 외부와 연통된 배수공(8)이 구비되며, 상기 안치턱(4)에는 상기 배수공(8)과 연결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공(9)이 형성되어 있는 수산물 상자를 제공한다.
상자, 운반상자, 어류상자, 수산물, 어패류.

Description

수산물 상자{A case for the finny tribe}
본 고안은 어패류를 수용하여 보관 및 운반을 할 수 있도록 된 수산물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패류의 보관시에 충진하는 얼음의 액화로 인한 발생하는 해빙수를 원활하게 배출하여 해빙수에 의한 얼음의 급격한 해빙을 방지하여 상자 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어패류의 신선도를 떨어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장시간에 걸친 운반시에도 어패류의 신선도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수산물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패류를 보관하거나 운반하는 상자는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를 가지며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공간부에 충진된 얼음이 해방되어 발생하는 해빙수를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하여 해빙수에 의해 얼음이 연쇄적으로 해빙되는 것을 방지하여 어패류를 신선하게 보관 및 운반을 하도록 되어 있다.
즉 기존의 수산물 상자로 어패류를 보관 및 운반을 할 때에는 얼음을 충진하여 상자의 공간부의 온도를 감온한 후 어패류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얼음과 함께 보관 및 운반되는 어패류는 얼음에 의해 저온의 상태로 보관 및 운반됨으로써,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어패류의 운반 및 보관시에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다층으로 적층되어 보관 및 운반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근자에는 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스치로폼 재질로 성형되어 얼음과 어패류가 수납된 후 완전 밀폐하여 운반을 하도록 된 수산물 운반상자가 제안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산물 상자는 다수의 통공에 의해 외기와 어패류와의접촉에 따라 보관된 얼음의 해빙을 촉진시켜 상자 내부의 온도를 급격히 상승시키며, 어패류가 외기와 접촉되어 쉽게 부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통공을 통해 얼음이 해빙된 해빙수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지만 이와 더불어 외기와의 접촉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얼음에 열전달이 용이하여 해빙이 빨리 이루어져 상지의 내부 온도를 급격히 격감시키어 어패류의 신선도를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유발되고 있었다.
또한 스치로폼으로 이루어진 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상자의 경우, 완전밀폐를 통해 외기와의 접촉을 방지하여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있으나, 얼음이 해빙되어 발생하는 해빙수의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해빙수와 어패류와의 접촉에 의해 어패류가 훼손되거나 부패하는 또 다른 문제점을 유발하여 신선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어패류의 보관시에 충진하는 얼음의 액화로 인한 발생하는 해빙수를 원활하게 배출하여 해빙수에 의한 얼음의 급격한 해빙을 방지하여 상자 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외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함으로써 어패류의 신선도를 장시간에 걸친 운반시에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수산물 상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산물 상자는 표면이 외부와 밀폐되며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를 가지는 몸체를 포함하는 수산물 상자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의 상단 내부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안치턱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바닥은 중앙부가 테두리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두리부에는 외부와 연통된 배수공이 구비되며, 상기 안치턱에는 상기 배수공과 연결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수산물 상자는 상기 개방된 몸체의 상부를 덮개 또는 또 다른 상지로 적충하여 밀폐함으로써 외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며, 어패류의 보관시에 충진하는 얼음의 액화로 인한 발생하는 해빙수를 배수공 및 배출공을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하여 해빙수에 의한 얼음의 급격한 해빙을 방지하여 내부의 온도가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해빙수와 어패류와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하여 어패류의 신선도를 장시간에 걸친 운반시에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산물 상자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수산물 상자를 보인 도면 으로서, 본 실시에의 수산물 상자(1)는 표면이 외부와 밀폐되며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2)를 가지는 몸체(3)를 포함하는 수산물 상자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3)의 상단 내부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안치턱(4)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3)의 바닥은 중앙부(5)가 테두리부(6)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경사진 테이퍼면(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두리부(6)에는 외부와 연통된 배수공(8)이 구비되며, 상기 안치턱(4)에는 상기 배수공(8)과 연결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공(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몸체(3)의 외주면에는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된 손잡이(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의 수산물 상자(1)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적층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덮개로 상부가 폐쇄되도록 하여 수산물(어패류)를 보관 및 운반하는 것에 사용이 된다.
이때 몸체(3)의 공간부(2)에는 얼음을 채워 공간부(2)의 온도를 적정온도로 감온시키고, 얼음이 채워진 적정온도의 공간부(2)에 어패류가 보관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공간부(2)에 어패류가 수용되면 도시되지 않은 덮개로 공간부(2)의 상부를 밀폐하여 외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보관 및 운반하거나,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본 실시예의 상자를 적층하여 공간효율을 높인 후 보관 및 운반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상자가 적층될 때에는 몸체(3)의 저면이 상기 안치 턱(4)의 상면과 몸체(3)의 상부 내주면에 밀착되어 적층이 된다.
그리고 적층될 때에 상기 배수공(8)과 배출공(9)이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즉 배수공(8)과 배출공(9)이 서로 연통되어 공간부(2)에서 발생되는 해빙수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얼음과 어패류가 수용된 후 공간부(2)의 상부가 또 다른 상자 또는 덮개로 폐쇄되어 외기와의 접촉이 최소화됨으로써 얼음의 해빙속도를 늦출 수 있어 장시간 공간부(2)의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얼음의 해빙에 따른 해빙수는 몸체(3)의 바닥을 이루는 테이퍼면(7)을 따라 바닥의 테두리부(6)로 유도된 후 배수공(8)과 배출공(9)을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즉 해빙수가 테이퍼면(7)을 따라 테두리부(6)로 원활하게 유도되어 외부로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산물 상자는 외기와의 접촉을 최소화되어 있고, 바닥면에 형성된 테이퍼면에 의해 해빙수가 원활하게 유도되어 배수공과 배출공으로 방출되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임을 부언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에 의한 수산물 상자를 보인 사시 예시도,
도 2는 동 사용상태 예시도,
[도면 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자, 2 : 공간부,
3 : 몸체, 4 : 안치턱,
5 : 중앙부, 6 : 테두리부,
7 : 테이퍼면, 8 : 배수공,
9 : 배출공, 10 : 손잡이.

Claims (1)

  1. 표면이 외부와 밀폐되며 상부가 개방된 공간부(2)를 가지는 몸체(3)를 포함하는 수산물 상자에 있어서;
    상기한 몸체(3)의 상단 내부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안치턱(4)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3)의 바닥은 중앙부(5)가 테두리부(6)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경사진 테이퍼면(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테두리부(6)에는 외부와 연통된 배수공(8)이 구비되며;
    상기 안치턱(4)에는 상기 배수공(8)과 연결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공(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물 상자
KR2020080007818U 2008-06-12 2008-06-12 수산물 상자 KR200900128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818U KR20090012832U (ko) 2008-06-12 2008-06-12 수산물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818U KR20090012832U (ko) 2008-06-12 2008-06-12 수산물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832U true KR20090012832U (ko) 2009-12-16

Family

ID=49299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818U KR20090012832U (ko) 2008-06-12 2008-06-12 수산물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283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05151T3 (es) Recipiente de pescado y mariscos
ES2177669T3 (es) Contenedor aislado para almacenamiento/transporte de productos pere cederos.
AU2018233044B2 (en) Emersed shellfish storage
JP2007084072A (ja) 発泡合成樹脂製容器
KR20090012832U (ko) 수산물 상자
JP2008001389A (ja) 発泡合成樹脂製魚介箱
KR101703936B1 (ko) 수송용 커버식 보냉 컨테이너
JP2007030952A (ja) 発泡合成樹脂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ロケット包装体の収納方法
CA3080074A1 (en) Packaging
JP2007020551A (ja) 活貝類の輸送用梱包容器
KR20090001984U (ko) 활어 수송용기
CN212638329U (zh) 一种速冻海产品托盘
CN207346417U (zh) 一种便携式存储盒
JPH0744614U (ja) 活魚類の輸送用・保存用容器及び該活魚類用容器の収納用箱
US653567A (en) Package for shipping lobsters, &c.
US20180334309A1 (en) Contoured ice pack system for a fish body
JP3182225U (ja) 水産包装箱
JP2020083371A (ja) 発泡合成樹脂製蓋体、及び発泡合成樹脂製容器
KR200353177Y1 (ko) 활 오징어 운반상자
JP3115061U (ja) 活き海老輸送容器の補助容器
US20200187514A1 (en) Method for preserving crustaceans and sea foods
JPH04267828A (ja) 魚類運搬方法
KR200363120Y1 (ko) 딸기포장용 소쿠리
JP3128988U (ja) 冷凍海老包装体
JPH01289431A (ja) 甲殻類の活魚輸送方法ならびにその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