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958A - 애완동물용 브러쉬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958A
KR20090011958A KR1020070076026A KR20070076026A KR20090011958A KR 20090011958 A KR20090011958 A KR 20090011958A KR 1020070076026 A KR1020070076026 A KR 1020070076026A KR 20070076026 A KR20070076026 A KR 20070076026A KR 20090011958 A KR20090011958 A KR 20090011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pet
main body
hair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용근
Original Assignee
(주)새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한테크 filed Critical (주)새한테크
Priority to KR1020070076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958A/ko
Publication of KR2009001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53Brushes fitted with ventilation suction, e.g. for removing du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93Brush for use on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ushes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털을 빗질하듯이 손질할 수 있고, 진공청소기와 같이 흡기기능을 갖는 기기에 연결시켜서 이탈된 털을 흡입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중공을 갖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의 중공과 연통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흡기기능을 갖는 기기에 탈부착되는 연결관; 상기 본체의 중공을 개구하는 흡기구멍과 동물의 털을 빗질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브러쉬 핀을 갖추고,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브러쉬 패널;로 이루어진 애완동물용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핀이 배치된 방향과 직각방향인 상기 흡기구멍의 횡단 폭을 줄이기 위해, 상기 브러쉬 패널의 횡방향으로 다수 개의 흡기구멍을 분리하여 형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브러쉬{Pet animal brush}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털을 빗질하듯이 손질할 수 있고, 진공청소기와 같이 흡기기능을 갖는 기기에 연결시켜서 이탈된 털을 흡입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개 또는 고양이 등과 같은 애완용 동물을 기르는 가정이 증가하면서, 애완동물의 사육과 관련한 각종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으로는, 애완동물이 음용할 수 있는 식품 생산과, 동물들의 취사를 위한 각종 용품 제조와, 동물들의 미용을 위한 기구 제작 등이 있다.
예시된 상기 산업은 애완동물은 물론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육자도 그 사용이 용이하며, 편의가 제공되도록 개발된다. 특히, 상기 미용과 관련한 기구생산의 경우, 애완동물의 청결과 미용을 관리하면서도 사용자가 그 사용이 손쉽도록 하는 한편, 해당 기구의 이용이 애완동물은 물론 사용자에게도 유리하도록 이루어진다.
미용과 관련한 기구에는 애완동물용 브러쉬가 있다.
애완동물용 브러쉬는 애완동물의 털을 빗질하여 가지런하게 정렬시키고, 털에 기생하는 각종 해충을 걸러낼 수 있으며, 이탈한 털이 비산하거나 바닥에 무분 별하게 떨어져 방치되면서 실내환경을 훼손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종래 애완동물용 브러쉬는, 진공청소기와 같은 흡기기능을 갖는 기기의 흡기관과 연통하여 흡기가 일어나는 흡기구멍과, 흡기구멍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다수의 브러쉬 핀을 갖춘다.
즉, 종래 애완동물용 브러쉬는,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털을 브러쉬 핀으로 빗질하고, 빗질 시 이탈한 털을 흡기구멍으로 흡입하여, 애완동물의 털이 실내에 비산하거나 바닥에 떨어져 실내환경을 훼손하는 문제를 해결했다.
그런데, 종래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흡기구멍은 그 폭이 흡기기능을 갖는 기기의 흡기관에 상응하도록 크게 형성되고 흡기구멍의 테두리를 따라 브러쉬 핀이 형성되면서, 브러쉬 핀을 통과한 애완동물의 털이 뭉쳐 흡기구멍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으므로 털들을 정렬시키는 것이 곤란하고, 불필요하게 유입된 털들이 흡입력에 의해 장력을 받게 되므로 빗질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털들을 가지런히 정렬시키기 위한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활용이 오히려 털을 뭉치게 함으로서, 종래 애완동물용 브러쉬는 사용자들에게 외면을 받고 있었다.
한편, 애완동물용 브러쉬를 이용해 애완동물의 털을 빗질하면 이탈한 털의 대부분은 흡기구멍을 통해 처리되지만, 그 일부가 브러쉬 핀에 꼬여 감길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브러쉬 핀은 촘촘히 배치되므로, 이탈한 털은 이웃하는 많은 브러쉬 핀에 얽히면서 브러쉬 핀으로부터 털을 분리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진다. 결국, 종래 애완동물용 브러쉬를 이용해 애완동물의 털을 간편하게 손질하면서도 이탈한 털들이 바닥에 떨어지거나 비산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편리함은 제공하 지만, 종래 애완동물용 브러쉬는 브러쉬 핀에 꼬인 털들을 쉽게 분리할 수 없으므로 그 편의성이 퇴색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빗질 시에 애완동물의 털이 엉키거나 장력을 받아 그 이동에 제한됨 없이 원활한 빗질을 가능하게 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제공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브러쉬 핀에 꼬인 애완동물의 털을 쉽게 분리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제공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을 갖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의 중공과 연통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흡기기능을 갖는 기기에 탈부착되는 연결관; 상기 본체의 중공을 개구하는 흡기구멍과 동물의 털을 빗질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브러쉬 핀을 갖추고,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브러쉬 패널;로 이루어진 애완동물용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핀이 배치된 방향과 직각방향인 상기 흡기구멍의 횡단 폭을 줄이기 위해, 상기 브러쉬 패널의 횡방향으로 다수 개의 흡기구멍을 분리하여 형성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이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빗질방향과 나란한 흡기구멍의 횡단 폭을 좁게 하면서 다수 개를 분리시킴으로서, 빗질 시 흡기구멍으로 다수의 털들이 흡입되어 뭉치는 것을 방지하고, 이들 털들이 받는 흡입력에 의해 브러쉬의 진행이 힘들어지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애완동물의 빗질 시에 브러쉬 핀에 감겨 흡입되지 못한 털들을 브러쉬 핀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와이어와 같은 긴 막대를 이용해 다수의 브러쉬 핀에 감긴 많은 털들을 한번에 분리할 수도 있으므로,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빗질 후 처리를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브러쉬(이하 브러쉬)는 본체(100)와, 이 본체(100)와 흡기기능을 갖는 기기(이하 진공청소기)를 연통하여 연결하는 연결관(200)과, 본체(100)에 고정되고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으로 흡기가 일어나는 흡기구멍을 형성하면서 브러쉬 핀(310)을 구비한 브러쉬 패널(30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빗질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다. 즉,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브러쉬 핀(310)이 넓게 배치되면서 애완동물의 털을 효과적으로 빗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브러쉬 패널(300)은 본체(100)와 일체일 수도 있으나 분리 또한 가능하며,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브러쉬 패널(300)에는 체결구(320)가 형성되고, 본체(100)에는 체결구(320)와 맞물리는 걸림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의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구(320)는 브러쉬 패널(300)의 양측에 각각 서로 대향하게 돌출형성되고 말단은 바깥쪽으로 휘게 형성되는 한편 마주하는 내면에는 각각 걸림돌기(321)를 구비한다. 상기 걸림홈(130)은 본체(100)의 양측면에 각각 절개 형성되어서 상기 걸림돌기(321)가 끼워져 맞물릴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체결구(320)의 말단이 바깥쪽으로 휘게 형성되면서 본체(100)를 한 쌍의 체결구(320) 사이로 끼워넣기가 쉽고, 이로인해 브러쉬 패널(300)와의 결합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브러쉬 패널(300)을 본체(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본체(100)의 측면으로부터 벌어진 체결구(320)의 말단을 잡아당길 수 있으므로, 본체(100)와 브러쉬 패널(300) 간의 분리 또한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계속해서, 상기 브러쉬 패널(300)은 흡기구멍(330)을 형성하고, 애완동물의 털을 빗질할 수 있는 브러쉬 핀(310)을 구비한다. 상기 흡기구멍(330)은 연결관(200)과 연통하는 본체(100)의 중공을 개구하므로, 연결관(200)을 매개로 연결된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본체(100)의 중공 내 기압을 떨어뜨리면 흡기구멍(330)을 관통하는 강한 기류를 발생되고, 이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기구멍(330)으로 강하게 유입된다.
상기 브러쉬 핀(310)은 다수 개가 일렬로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애완동물의 털을 빗질할 수 있도록 된다. 이때, 브러쉬 핀(310)은 브러쉬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흡기구멍(33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브러쉬 핀(310)이 애완동물의 털을 빗질할 때 상기 흡기구멍(330)이 이탈한 털을 후방에서 신속히 흡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브러쉬 핀(310)과 흡기구 멍(330)의 상대적 위치는 전술한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상기 브러쉬 핀(310)은 애완동물의 털 종류에 적합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우선, 애완동물의 털이 장모일 경우 브러쉬 핀(310)은 상대적으로 긴 것이 유리한 것이고, 단모일 경우 브러쉬 핀(310)은 상대적으로 짧은 것이 유리할 것이다. 또한, 빗질효율을 높이기 위해 브러쉬 핀(310)을 일렬이 아닌 다열로 배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브러쉬 핀(310)의 말단을 크게 해서, 빗질에 의한 털의 정렬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브러쉬 핀(310)은 털의 부드러운 정도에 따라 연성을 달리하여서, 털이 부드러울수록 연성을 높이고 뻣뻣할수록 휘어짐 정도를 줄인다. 브러쉬 핀(310)의 형상과 재질의 성질 선택은 애완동물의 털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패널의 저면모습을 도시한 저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패널(300, 300)의 흡기구멍(330, 330', 330")은 다수 개로 분리되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렬로 배치되거나 브러쉬 핀(310)을 따라 종렬로 배치될 수도 있다. 물론, 다수 개의 흡기구멍(330, 330', 330")이 횡렬 및 종렬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동일한 면적을 갖는 브러쉬 패널(300)에서, 하나의 흡기구멍(330, 330', 330')이 점유하는 공간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브러쉬 패널(300)에는 커다란 하나의 흡기구멍만을 형성시킬 수도 있으나, 이럴 경우 애완동물의 털 전체가 상기 흡기구멍에 집중적으로 유입되면서 뭉치게 되고, 브러쉬의 이동으로 흡기구멍에 유입된 털이 흡기구멍을 벗어날 때까지 흡입력에 의해 빠져나오지 못하면서 다른 털과 엉키게 된다.
즉, 브러쉬 핀(310)을 이용해 빗질하여 정렬시킨 털이 다시 뭉치면서, 브러쉬의 효과를 무색하게 하고, 다수의 털이 흡기구멍에 엉켜서 흡입력을 받게 되므로 사용자가 브러쉬를 이동시키기 어렵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는 흡기구멍(330, 330', 330")을 다수 개로 분리하여서, 하나의 흡기구멍(330, 330', 330")이 점유하는 면적을 줄이고, 이를 통해 애완동물의 털이 하나의 흡기구멍(330, 330', 330")에 장시간 머무르지 않도록 한다. 결국, 다수의 흡기구멍(330, 330', 330")은 브러쉬 핀(310)을 따라 길게 형성되더라도 횡단 폭은 좁게 함으로서, 빗질을 위해 이동하는 브러쉬는 하나의 흡기구멍(330, 330', 330")에 흡입된 털의 체류시간을 줄이게 된다. 즉, 임의 흡기구멍(330, 330', 330")으로 흡입된 털은 브러쉬의 이동으로 흡기구멍(330, 330', 330")의 테두리에 걸려 해당 흡기구멍(330, 330', 330")으로부터 빠져나오므로, 흡기구멍(330, 330', 330") 하나에 많은 털이 흡입되어 체류하는 것을 막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브러쉬 패널(300)의 평면에는 흡기구멍(330, 330', 330")을 경계하는 구획형 보강돌기(361, 362, 363)가 형성된다. 상기 구획형 보강돌기(361, 362, 363)는 평판 형상의 브러쉬 패널(300)을 보강하고, 흡기구멍(330, 330', 330")과 흡기구멍(330, 330', 330") 사이의 좁은 경계면을 보완하여서 강도에서 취약한 부분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구획형 보강돌기(361, 362, 363)는 브러쉬 패널(300)의 평면상에 돌출되므로 흡기구멍(330, 330', 330") 별로 공간 구획하는데, 이는 흡입력을 흡기구멍(330, 330', 330") 별로 긴밀하게 분배하여, 흡기에 의한 충돌과 와류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구획형 보강돌기(361, 362, 363)에 의한 공간 구획이 없을 경우, 임의 흡기구멍(330, 330', 330")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산란하면서 다른 흡기구멍(330, 330', 330") 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럴 경우, 해당 공기는 다른 흡기구멍(330, 330', 33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충돌하면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는데, 구획형 보강돌기(361, 362, 363)에 의한 공간 구획으로 흡기구멍(330, 330', 330")을 통한 공기의 흐름이 정렬되므로, 공기의 충돌 및 와류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와류의 발생을 줄이는 것은 기류를 원활히 하므로, 흡입력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패널의 모습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브러쉬 패널(300)은 브러쉬 핀(310)에 감긴 털을 용이하게 분리해낼 수 있도록, 브러쉬 핀(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라인(350, 350')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돌출라인(350, 350')은 브러쉬 핀(310)에 인접하게 위치하며, 한 쌍이 각각 브러쉬 핀(310)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하나의 돌출라인(350, 350')이 브러쉬 핀(310)의 일측에만 나란하게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돌출라인(350, 35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쉬 핀(310)과 나란하게 돌출되면서, 브러쉬 핀(310)에 감긴 털이 계속되는 빗질로 인해 밀려 이동할 때 브러쉬 패널(300)의 저면과 맞닿지 않도록 막는다. 즉, 브러쉬 핀(310)을 따라 이동하는 털이 돌출된 돌출라인(350, 350')에 걸리면서, 브러쉬 핀(310)에 감긴 털의 이동이 정지된다.
결국, 브러쉬 핀(310)에 감긴 털은 브러쉬 패널(30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므로, 사용자가 털을 잡아 풀거나 브러쉬 핀(310)을 따라 밀어올리기 용이하고, 털과 브러쉬 패널(300) 사이에 와이어(미도시함)를 끼워넣어 브러쉬 핀(310)을 따라 들어올리면 브러쉬 패널(300) 전체에 감긴 대다수의 털이 상기 와이어에 밀려 브러쉬 핀(310)의 말단까지 이동하므로 한번에 많은 수의 털을 브러쉬 핀(310)으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돌출라인(350, 350')에 의해 브러쉬 패널(300)에 낀 털들을 쉽게 떼어낼 수 있으므로, 브러쉬를 깔끔한 청결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용 브러쉬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패널의 저면모습을 도시한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러쉬 패널의 모습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 본체 110 ; 제1연결프레임
120 ; 제2연결프레임 121 ; 가이드홈
122 ; 회전홈 130 ; 걸림홈
200 ; 연결관
300 ; 브러쉬 패널 310 ; 브러쉬 핀
320 ; 체결구 330, 330', 330" ; 흡기구멍

Claims (5)

  1. 중공을 갖는 본체; 일단이 상기 본체의 중공과 연통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흡기기능을 갖는 기기에 탈부착되는 연결관; 상기 본체의 중공을 개구하는 흡기구멍과 동물의 털을 빗질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브러쉬 핀을 갖추고,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브러쉬 패널;로 이루어진 애완동물용 브러쉬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핀이 배치된 방향과 직각방향인 상기 흡기구멍의 횡단 폭을 줄이기 위해, 상기 브러쉬 패널의 횡방향으로 다수 개의 흡기구멍을 분리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멍과 흡기구멍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흡기구멍 별로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브러쉬 패널을 보강하는 구획형 보강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패널은 본체와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는 각각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러쉬 패널의 양단에는 본체의 양측면을 각각 감싸도록 돌출된 체결구가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측면과 맞닿는 상기 체결구의 내면에는 상 기 걸림홈과 맞물려 끼워지는 걸림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구의 말단은 바깥쪽으로 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핀이 배치된 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형성된 돌출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라인은 브러쉬 핀을 중심으로 양측에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2개 이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브러쉬.
KR1020070076026A 2007-07-27 2007-07-27 애완동물용 브러쉬 KR20090011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026A KR20090011958A (ko) 2007-07-27 2007-07-27 애완동물용 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026A KR20090011958A (ko) 2007-07-27 2007-07-27 애완동물용 브러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958A true KR20090011958A (ko) 2009-02-02

Family

ID=40683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026A KR20090011958A (ko) 2007-07-27 2007-07-27 애완동물용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95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5545A (zh) * 2012-12-23 2014-06-25 何磊 盒状清洁型狗毛梳
CN109792963A (zh) * 2019-02-25 2019-05-24 惠州学院 宠物毛发清理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5545A (zh) * 2012-12-23 2014-06-25 何磊 盒状清洁型狗毛梳
CN109792963A (zh) * 2019-02-25 2019-05-24 惠州学院 宠物毛发清理机
CN109792963B (zh) * 2019-02-25 2023-10-13 惠州学院 宠物毛发清理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2973B2 (en) Vacuum grooming tool
KR100909087B1 (ko) 애완동물용 브러쉬
EP2008563A1 (en)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US20160330933A1 (en) Cassette brush
JP3211274U (ja) 動物用グルーミングブラシ
CN109068837A (zh) 用于梳理毛发的毛刷
US9010276B1 (en) Vacuum brush
US7305731B2 (en) Carpet brush for hair removal
KR20090011958A (ko) 애완동물용 브러쉬
KR102240386B1 (ko) 공기 흡입수단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드라이 빗
US20070113795A1 (en) Tangle-Free Vacuum Comb
KR20090011929A (ko) 애완동물용 브러쉬
KR100602245B1 (ko) 진공청소기용 애완동물 브러쉬
KR20090011956A (ko) 애완동물용 브러쉬
RU2717670C2 (ru) Пароочиститель
US9027511B2 (en) Pet grooming tool
JP3164896U (ja) 動物用タオル
CN218126260U (zh) 一种理毛装置
KR20050123221A (ko) 진공청소기용 애완동물 브러쉬
CN219762203U (zh) 一种梳理宠物用手套
CN217591791U (zh) 毛发梳以及吸尘器
CN213523388U (zh) 实验动物饲养笼具
JP3136026U (ja) クリーナーを利用するペット用ブラシ
CN217986333U (zh) 宠物理毛梳
JPH0711734Y2 (ja) 真空掃除機用吸込み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