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658A - 자동폐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폐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658A
KR20090011658A KR1020070075465A KR20070075465A KR20090011658A KR 20090011658 A KR20090011658 A KR 20090011658A KR 1020070075465 A KR1020070075465 A KR 1020070075465A KR 20070075465 A KR20070075465 A KR 20070075465A KR 20090011658 A KR20090011658 A KR 20090011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otation
closing device
detachable
automatic closing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9568B1 (ko
Inventor
박윤식
Original Assignee
박윤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식 filed Critical 박윤식
Priority to KR1020070075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568B1/ko
Publication of KR2009001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6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self-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47B88/938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의 이동레일에 대한 강한 잠금기능을 갖는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자동폐쇄장치는 직선운동하는 착탈부재, 착탈부재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축회전 부재, 축회전 부재의 회전운동을 선형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연동부재 및 연동부재의 선형운동에 따라 비가역적 탄성운동을 하는 탄성브라켓으로 구성된다. 탄성브라켓은 정상의 제1 위치와 탄성변형된 제2 위치사이를 비가역적 탄성운동을 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의 이동레일은 탄성브라켓의 제1 위치에서 인출이 억제되는 잠금상태에 있게 되고 탄성브라켓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동레일이 인출되게 된다.
자동폐쇄장치,슬라이드,탄성브라켓

Description

자동폐쇄장치{Self-closing device}
본 발명은 자동폐쇄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드의 이동레일에 대한 강한 잠금기능을 갖는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는 각종 서랍에 부착되어 서랍을 본체에 대해 인입,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드에 고급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부착장치로 자동폐쇄장치가 있다. 자동폐쇄장치는 사용자의 부주의로 서랍이 완전히 인입되지 않는 경우에도 서랍(즉 슬라이드)을 자동으로 완전 인입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출원인은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자동폐쇄장치에 관한 기술을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7-
0069975호, 10-2004-0080602호 및 10-2004-0080628호로 출원하였다.
이들 자동폐쇄장치는 모두 이동부재와 이동핀이 왕복운동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고정부재가 슬라이드 고정레일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고, 이동핀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이동핀 가이드부재가 이동레일의 일측 단부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이동부재와 이동핀은 일측은 고정부재에 다른 일측은 이동부재에 결착하는 탄성스프링에 의해 인출위치에서 완전 인입위치로 자동인입되게 된다. 이들 자동폐쇄장치는 일반적인 서랍에 사용하는 슬라이드에 부착할 경우 서랍(즉 슬라이 드)을 자동으로 완전 인입위치로 자동 이동시키므로 매우 편리하다.
드럼세탁기의 하부에는 세제 등을 넣을 수 있도록 설치한 수납부가 있으며, 이 수납부를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해 슬라이드가 사용된다. 드럼세탁기 수납부에 사용되는 슬라이드에는 세탁기의 극심한 진동에 따른 강한 인출력이 반복적으로 작용한다. 전술한 종래의 자동폐쇄장치를 드럼세탁기 수납부에 부착되는 슬라이드에 사용할 경우, 탄성스프링이 반복적인 인출력에 의해 연신, 수축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이동부재가 고정부재와 반복적으로 충돌하며 이 충돌에 따른 큰 소음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는 직선운동하는 착탈부재, 착탈부재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축회전 부재, 축회전 부재의 회전운동에 연계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연동부재 및 연동부재의 회전운동에 따라 비가역적 탄성운동을 하는 탄성브라켓으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비가역적 운동이란 하나의 위치와 다른 위치 사이를 왕복운동하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하나의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또는 그 역으로의 운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착탈부재는 일측에 원호형 곡면부를 갖는 장방형 부재로 구성되며 슬라이드의 이동레일에 고정되어서 이동레일의 인입,인출에 따른 직선운동을 한다.
상기 축회전 부재는 착탈부재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동체부와 제1 동체부의 한쪽 측면에 위치되는 제2 동체부로 구성되되 제1 동체부와 제2 동체부의 단부는 일체로 제1 축회전 형성부를 구성한다. 축회전 부재는 제1 동체부가 상기 착탈부재와 결합 또는 분리시 제1 축회전 형성부를 축으로 하여 축회전운동을 한다
. 상기 축회전 부재의 제1 동체부는 착탈부재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부와, 이 착탈부의 일측에 위치되며 착탈부재가 착탈부에 가하는 힘에 대해 제1 축회전 형성부를 회전축으로 하는 지렛대 역할을 하는 레버부로 구성된다. 이 착탈부는 엄지부와 이 엄지부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되는 검지부로 구성되며, 엄지부에 대한 검지부의 경사각은 4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축회전 부재의 제2 동체부는 다각형 블록의 동체로 구성되며 동체의 한쪽에 제2 축회전 형성부가 위치된다.
연동부재는 장방형 판상부재로 구성되며 판상부재의 한쪽 단부에는 제2 축회전 형성부가 위치되고 다른 쪽 단부에는 제3 축회전 형성부가 위치된다.
탄성브라켓은 슬라이드의 고정레일에 결착하는 고정부와, 그 구성부의 일부가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탄성변형부로 구성된다. 이 탄성변형부는 고정부의 한쪽 측면에 위치되는 U형 단면의 동체로 구성된다. U형 동체의 한쪽 측벽에는 제1 축회전 형성부가 위치되고 다른 쪽 측벽에는 제3 축회전 형성부가 위치된다
. U형 동체의 밑벽에는 U형 동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형태의 탄성변형 수용홈이 형성되어서, 축회전 부재의 축회전이 연동부재를 통해 탄성변형부에 전달되면
, 상기 U형 동체의 다른 쪽 측벽이 탄성변형부를 기준으로 탄성 축회전한다. 탄성브라켓의 고정부에는 슬라이드의 고정레일에 결착하는 결착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축회전 부재의 제1 축회전 형성부와 연동부재의 제2,제3 축회전 형성부는 철(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탄성브라켓의 제1,제3 축회전 형성부와 축회전 부재의 제2 축회전 형성부는 각각 축회전 부재의 철(凸) 형상 제1 축회전 형성부
, 연동부재의 철(凸) 형상 제3 축회전 형성부,연동부재의 철(凸) 형상 제2 축회전 형성부와 맞물리는 요(凹) 형상을 갖는다.
축회전 부재는 제1 동체부의 착탈부가 착탈부재를 향하며 제1 축회전 형성부가 탄성브라켓의 제1 축회전 형성부와 맞물려서 제1 축회전부가 되도록 위치되며, 연동부재는 이 부재의 제2 축회전 형성부와 제3 축회전 형성부가 각각 축회전 부재 제2 동체부의 제2 축회전 형성부와 탄성브라켓의 제3 축회전 형성부와 맞물려서 각각 제2,제3 축회전부가 되도록 탄성브라켓 내에 위치된다.
슬라이드 이동레일의 인입,인출에 따른 착탈부재의 운동은 축회전 부재의 착탈부를 통해 상기 제1 축회전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축회전 부재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운동은 제2 축회전부를 통해 연동부재에 전달되어 연동부재를 회전운동시키고, 연동부재의 운동은 제3 축회전부를 통해 탄성브라켓의 구성부 일부를 탄성변형(탄성 축회전변형)시킨다. 이때 제2 축회전부는 제1 축회전 부와 제3 축회전부를 잇는 직선상의 위쪽에 위치되는 상부 위치와 직선상의 아래 쪽에 위치되는 하부 위치 사이를 비가역적으로 이동함으로써 탄성브라켓을 정상의 제1 위치와 탄성변형된 제2 위치사이를 비가역적 탄성운동을 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슬라이드의 이동레일은 탄성브라켓의 제1 위치에서 인출이 억제되는 잠금상태에 있게 되고 탄성브라켓을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외력(이동레일을 인출시키기 위해 가해지는 인출력)이 가해지는 경우 이동레일이 인출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의 사시도이다.
슬라이드(2)는 고정레일(3), 이동레일(5) 및 두 레일 사이에 위치되는 볼 리테이너(6)로 구성되는 통상적인 2단 접철형 슬라이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1)는 슬라이드의 한쪽 단부에 부착된다. 자동폐쇄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부재(10),축회전 부재(20),연동부재(30) 및 탄성브라켓(50)으로 구성된다.
착탈부재(10)는 일측에 원호형 곡면부(15)를 갖는 장방형 부재로 구성된다.이 곡면부는 착탈부재가 후술 될 축회전부재의 착탈부(23), 특히 엄지부(29)에 힘을 가하면서 부드럽게 이탈할 수 있도록 한다.도시된 실시예에는 부착의 편의를 위해 원호형 곡면부가 부재의 양측에 구성되어 있으나, 최소한 하나의 곡면부만 형성되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착탈부재에는 부재를 관통하는 홈 형태의 고정홈부(13)가 형성되어서 나사 또는 리벳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이동레일(5)의 한쪽 측면에 고정된다. 도1에 도시된 방향의 반대방향의 착탈부재에는 부재를 관통하지 않는 형태의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동레일의 상응하는 홈(9)에 의해 나사 등에 의해 더욱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동레일에 고정된 착탈부재는이동레일의 인입,인출에 따른 직선운동을 한다.
축회전부재(20)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체부(21)와 제2 동체부(31)로 구성된다.제2 동체부는 제1 동체부 측면의 일측에 위치되며 제1 동체부와 제2 동체부 단부는 일체로 제1 축회전 형성부(33)를 구성한다. 이 축회전 형성부(33)는 밖으로 볼록한 철(凸) 형상을 가지며 그 폭은,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 체부와 제2 동체부의 전체 폭보다도 약간 작고 제2 동체부 쪽으로 치우쳐 있다.
제1 동체부(21)는 착탈부(23)와 이 착탈부의 일측에 위치되는 레버부(25)로 구성되며 전체적인 형상은 사람의 손 모양을 하고 있다. 착탈부는 엄지부(29)와 이 엄지부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되는 검지부(27)로 구성되되 서로 부드럽게 연결되어서 전체적으로 단면모양이 C 형상이 된다. 엄지부에는 검지부를 향하는 내측방향에 평평한 평면부(30)가 형성되며 검지부는 엄지부보다 길게 형성된다. 엄지부와 검지부의 각도(α)는 30 ~ 55°범위가 바람직하며, 예시된 실시예의 경우 45°이다. 한편,레버부(25)는 일반적인 단면모양이 역L자 형상을 갖는다.
제2 동체부(31)는 다각형 블록의 동체로서 동체의 한쪽,즉 검지부(27)에 대향하는 방향에 제2 축회전 형성부(35)가 위치된다. 이 축회전 형성부(35)는 안으로 볼록한 요(凹) 형상을 갖는다. 이 축회전 형성부(35)는 후술될 연동부재의 제2 축회전 형성부(43)와 서로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제2 동체부(31)에는 상기 축회전 형성부(35)의 상부에 지지부(39)가 형성되는 지지부(39)의 후방에 평평한 윗면(37)이 형성된다. 이 윗면(37)은 제1 축회전 형성부(33)를 기준으로 볼 때, 지지부(39)보다 낮게 위치된다.
연동부재(40)는,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판상부재로 이 판상부재의 한쪽 단부에는 제2 축회전 형성부(43)가 위치되고 다른 쪽 단부에는 제3 축회전 형성부(45)가 위치된다. 이들 축회전 형성부(43,45)는 연동부재의 폭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며 밖으로 볼록한 철(凸) 형상을 갖는다.
탄성브라켓(50)은,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고정부(53)와 이 고정부의 한쪽 측면에 위치되는 탄성변형부(61)로 구성된다.
고정부(53)는 전체적으로 장방형 판상부재로 구성되며 탄성브라켓을 슬라이드의 고정레일(3)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고정부에는 이 고정부를 고정레일에 결착시키는 결착수단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 결착수단으로 고정레일(3)의 적당한 위치에 형성되는 장방형 제1 결착홈(7)의 슬릿홈(7')으로 삽입되는 결착돌기(56)와 고정레일(3)의 적당한 위치에 형성되는 제2 결착홈(8)과 짝을 이루는 고정홈(57)이 형성된 것을 보여준다. 상기 결착돌기(56)에는 고정레일의 제1 결착홈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돌기판(55)이 고정부 부재와 나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결착돌기(56)와 돌기판
(55)을 고정레일의 제1 결착홈(7)으로 삽입하고, 결착돌기(56)를 제1 결착홈의 슬릿홈(7') 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릿홈에 삽입하여 고정하면, 돌기판(55)은 고정부
(53)가 고정레일(3)의 평평한 단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한다.한편, 제2 결착홈(8)과 고정홈(57)으로는 나사 또는 리벳 같은 고정수단이 삽입됨으로써 고정부(53)를 고정레일(3)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결착수단으로 결착돌기(56)와 고정홈(57)의 어느 하나만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결착돌기(56)가 슬릿홈(7')에 삽입되어 1차 고정된 후 고정홈(57)으로 나사 또는 리벳 같은 고정수단으로 2차 고정할 수 있도록 결착돌기와 고정홈 양자가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변형부(61)는 두개의 측벽(65,67)과 이들 측벽(65,67)을 연결하는 밑벽
(69)을 갖는 U형 단면의 동체로 구성된다. 하나의 측벽(65)에는 제1 축회전 형성부
(77)가 그리고 다른 측벽(67)에는 제3 축회전 형성부(79)가 위치된다.이들 축회전 형성부(77,79)는 모두 안으로 볼록한 요(凹) 형상을 가지며, 축회전 형성부(77)는 축회전부재의 제1 축회전 형성부(33)와 그리고 축회전 형성부(79)는 연동부재의 제3 축회전 형성부(45)와 서로 맞물려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응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밑벽(69)에는 측벽(67)방향으로 치우친 적당한 위치에 U형 동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호형 홈 형태의 탄성변형 수용홈(71)이 형성된다. 이 탄성변형 수용홈(71)은, 측벽(67)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 측벽(67)을 탄성변형 수용홈(71)을 축으로 탄성변형적으로 축회전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처럼 탄성브라켓, 보다 상세하게는 탄성변형부는 그 구성부 일부가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적어도 탄성브라켓의 탄성변형부는 위와 같은 탄성변형을 위해 적당한 강도와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동폐쇄장치 전체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장치 전체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면, 장치를 간편하게 사출성형할 수 있어서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제조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
전술한 탄성브라켓의 구성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U형 동체의 한쪽 측벽(65)의 상단부에 밑벽(69)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면(73)이 형성된다. 이 연장면의 폭은 상기 한쪽 측벽(65)의 폭보다 상기 축회전부재(20)의 제1 동체부(21) 두께만큼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연장면에는 측면(75)이 위치된다.
이하에서는 자동폐쇄장치의 상기 각 부재 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착탈부재(10)와 탄성브라켓(50)은 각각 이동레일(5)과 고정레일(3)에 전술한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축회전부재(20)는 제1 동체부의 착탈부(23)가 착탈부재(10)를 향하며 제1 축회전 형성부(33)가 탄성브라켓의 제1 축회전 형성부(77)와 맞물려서 제1 축회전부가 되도록 위치되어서, 축회전부재는 그 구성부의 일부는 탄성브라켓 내에 위치되고 나머지는 탄성브라켓 외부에 위치된다. 이 위치에서 제2 동체부 블록의 지지부
(39)는 탄성브라켓의 연장면(73)에 걸리는 상태로 되고 평평한 윗면(37)은 연장면
(73)의 밑면과 약간 이격하여 연장면(73)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또한 제1 동체부
(21)의 한쪽 면(제2 동체부를 향하는 면)은 상기 연장면의 측면(75)과 밀착하게 된다. 연장면(73)은 ,축회전부재(20)가 제1 축회전부를 축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축회전 할 때, 축회전부재가 일정각도 이상으로 축회전하지 못하도록 제2 동체부의 지지부(39)를 밀착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착탈부(23)는 이동레일이 완전 인입된 상태에서 엄지부(29)가 착탈부재(10) 하단부와 맞닿도록 위치되며, 이러한 위치에서 착탈부(23)는 착탈부재(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연동부재(40)는 이 부재의 제2 축회전 형성부(43)와 제3 축회전 형성부(45)가 각각 축회전부재 제2 동체부(31)의 제2 축회전 형성부(35)와 탄성브라켓(50)의 제3 축회전 형성부(79)와 맞물려서 각각 제2,제3 축회전부가 되도록 탄성브라켓 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부재가 결합되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축회전부재의 제1 동체부(21)와 이동레일(5)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간격이 있어서 이동레일(5)은 인입,인출 이동 중에 상기 제1 동체부(21)와 충돌 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도7 내지 도9는 슬라이드(2)와 자동폐쇄장치(1)의 부분 정면도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볼리테이너(6)는 도시하지 않았다. 슬라이드의 이동레일(5)은 드럼세탁기의 수납부(미도시)에 고정되며 고정레일(3)은 드럼세탁기 본체(미도시)에 고정되며, 이동레일의 인입 또는 인출은 드럼세탁기 수납부의 인입 또는 인출에 해당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이동레일(5)이 완전 인입된 상태에서는 이동레일(5)과 고정레일(3)의 각 단부는 서로 정렬된 위치에 있게 된다.이때 이동레일에 고정된 착탈부재(10)는 축회전부재(20)의 착탈부(23)에 결착한 상태, 보다 정확하게는, 엄지부(29)의 내측면과 접한 상태에 있게 되고, 검지부(27)는 경사지게 위치된다. 탄성브라켓의 탄성변형부(61)는 정상상태를 유지하며 제2 축회전부(B)는 제1 축회전부(A)와 제3 축회전부(C)를 잇는 직선상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동레일(5)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출시키는 경우, 착탈부재(10)는 축회전부재의 엄지(29)를 가압하고 이는 레버부(25)를 통해 제1 축회전부(A)를 중심으로 축회전부재(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연동부재(40)는 제2 축회전부(B)를 형성하는 단부를 통해 축회전부재(20)를 탄성브라켓의 탄성변형부 측벽(65)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전술한 축회전부재의 시계방향 회전운동에 저항하게 된다. 이 저항력은 탄성변형부(61)의 재질, 두께, 탄성변형 수용홈(71)의 위치와 크기,형상 등에 의존하므로 이들 인자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저항력을 적 당한 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인출력이 상기 저항력보다 크게 되는 시점에서부터 축회전부재(20)는 제1 축회전부(A)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축회전부재의 회전은 연계부재
(40)를 제3 축회전부(C)를 회전축으로 하여 제2 축회전부(B)가 제1 축회전부(A)와 제3 축회전부(C)를 잇는 직선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때 제2 축회전부(B)에서도 회전운동이 있게 된다. 연계부재의 제1 축회전부(A)와 제3 축회전부(C)를 잇는 직선 방향으로의 회전은 제3 축회전부(C)를 통해 탄성변형부(61)의 측벽(67)에 이동레일의 인출방향으로 큰 힘을 가하도록 작용하며, 이 힘에 의해 측벽(67)은 탄성변형 수용홈(71)을 회전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도8은 각 부재의 이러한 일련의 회전운동에 의해 제2 축회전부(B)가 제1 축회전부(A)와 제3 축회전부(C)를 잇는 직선상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탄성변형부
(61)의 측벽(67)에 가장 큰 힘이 가해진다.
이동레일의 계속적인 인출방향으로의 이동은 제2 축회전부(B)가 제1 축회전부(A)와 제3 축회전부(C)를 잇는 직선상에 위치한 상태를 지나 상기 직선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제2 축회전부(B)는 탄성변형부 밑벽(69)에 밀착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이 상태에서 탄성변형부 측벽
(67)은 도8에 도시된 상태보다 약간 원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축회전부재(20)의 검지(27)는 직립한 상태로 되고, 엄지(29)는 밑벽(69)을 기준으로 할 때 가장 낮은 위치에 있게 된다.이러한 엄지(29)의 위치에서, 엄지의 평면부(30)가 최상측면을 구성한다. 이때 착탈부재(10)는 축회전부재의 착탈부(23)로부터 분리되어 이탈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비로소 이동레일은 자동폐쇄장치로부터 완전히 해제되어 자유롭게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이동레일이 자동폐쇄장치에서 해제되어 인출된 위치에서 인입방향(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화살표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착탈장치(10)는 축회전부재의 엄지(29)를 자유롭게 통과하여 직립한 검지(27)와 충돌하여 검지를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은 전술한 이동레일이 자동폐쇄장치로부터 해제되는 과정의 역방향 운동을 일으키면서 최종적으로 도7에 도시된 잠금상태로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는 종래의 자동폐쇄장치와 달리 탄성스프링을 그 구성부재로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슬라이드의 이동레일을 완전 인입위치에서 잠그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의 재질, 두께, 탄성변형 수용홈의 위치와 크기,형상과 같은 인자를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비교적 큰 인출력이 가해질 때만 이동레일이 잠금상태에서 해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드럼세탁기 수납부에 사용되어 세탁기의 극심한 진동에 따른 강한 인출력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도 이동레일이 확실한 잠금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의 사시도이다.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를 구성하는 축회전부재의 전방 및 후방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를 구성하는 선형이동부재의 사시도이다.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를 구성하는 탄성브라켓의 전방 좌측 및 우측 사시도이다.
도7 ~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폐쇄장치의 작동상태 설명도이다.

Claims (9)

  1. 고정레일과 이동레일을 포함하는 슬라이드에 부착되는 자동폐쇄장치에 있어서,
    (1) 일측에 원호형 곡면부를 갖는 장방형 부재로 구성되며 슬라이드의 이동레일에 고정되어서 이동레일의 인입,인출에 따른 직선운동을 하는 착탈부재;
    (2) 상기 착탈부재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동체부와 제1 동체부의 한쪽 측면에 위치되는 제2 동체부로 구성되되 제1 동체부와 제2 동체부의 단부는 일체로 제1 축회전 형성부를 구성하여서 제1 동체부가 상기 착탈부재와 결합 또는 분리시 제1 축회전 형성부를 축으로 하여 축회전운동을 하는 축회전 부재;
    (3) 장방형 판상부재로 구성되며 판상부재의 한쪽 단부에는 제2 축회전 형성부가 위치되고 다른 쪽 단부에는 제3 축회전 형성부가 위치되는 연동부재;
    (4) 판상동체로 구성되며 슬라이드의 고정레일에 결착하는 고정부와, 그 구성부의 일부가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탄성변형부를 갖는 탄성브라켓;
    으로 구성되어서,슬라이드 이동레일의 인입,인출에 따른 착탈부재의 운동이 상기 축회전 부재를 축회전시키면 이 축회전이 상기 연동부재를 통해 전달되어 탄성브라켓을 비가역적 탄성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드를 자동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축회전 부재의 제1 축회전 형성부와 연동부재의 제2,제3 축 회전 형성부가 철(凸)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회전 부재의 제1 동체부가 착탈부재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부와, 이 착탈부의 일측에 위치되며 착탈부재가 착탈부에 가하는 힘에 대해 제1 축회전 형성부를 회전축으로 하는 지렛대 역할을 하는 레버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축회전 부재의 착탈부가 엄지부와 이 엄지부에 대해 경사지게 위치되는 검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부에 대한 검지부의 경사각이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회전 부재의 제2 동체부는 다각형 블록의 동체로 구성되며 동체의 한쪽에 제2 축회전 형성부가 위치되되, 이 제2 축회전 형성부는 연동부재의 철(凸) 형상 제2 축회전 형성부와 맞물리는 요(凹)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브라켓의 탄성변형부가 고정부의 한쪽 측면에 위치되는 U형 단면의 동체로 구성되며,
    U형 동체의 한쪽 측벽에는 제1 축회전 형성부가 위치되고 다른 쪽 측벽에는 제3 축회전 형성부가 위치되되, 이들 제1 축회전 형성부와 제3 축회전 형성부는 각각 철(凸) 형상을 갖는 축회전 부재의 제1 축회전 형성부와 연동부재의 제3 축회전 형성부와 맞물리는 요(凹) 형상을 가지며,
    U형 동체의 밑벽에는 U형 동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형태의 탄성변형 수용홈이 형성되어서, 축회전 부재의 축회전이 연동부재를 통해 탄성변형부에 전달되면, 상기 U형 동체의 다른 쪽 측벽이 탄성변형 수용홈을 중심으로 탄성 축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U형 동체의 한쪽 측벽의 상단부에 밑벽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면이 형성되되, 이 연장면의 폭은 상기 한쪽 측벽의 폭보다 상기 축회전 부재의 제1 동체부 두께만큼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탄성브라켓의 고정부에 슬라이드의 고정레일에 결착하는 결착수단이 형성되되, 이 결착수단이 슬라이드의 고정레일에 형성된 제1 결착홈의 슬릿홈으로 삽입되는 결착돌기와 슬라이드의 고정레일에 형성된 제2 결착홈과 짝을 이루어서 나사 또는 리벳 같은 고정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고정홈의 어느 하나 또는 결착돌기와 고정홈이 동시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폐쇄장치.
KR1020070075465A 2007-07-27 2007-07-27 자동폐쇄장치 KR101129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465A KR101129568B1 (ko) 2007-07-27 2007-07-27 자동폐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465A KR101129568B1 (ko) 2007-07-27 2007-07-27 자동폐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658A true KR20090011658A (ko) 2009-02-02
KR101129568B1 KR101129568B1 (ko) 2012-03-27

Family

ID=4068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465A KR101129568B1 (ko) 2007-07-27 2007-07-27 자동폐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5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966A (ko) * 2015-06-17 2016-12-2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아이스버킷 록킹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아이스버킷 록킹장치의 설치 방법
KR20160148968A (ko) * 2015-06-17 2016-12-2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아이스버킷 록킹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아이스버킷 록킹장치의 설치 방법
US9770795B2 (en) 2015-06-17 2017-09-26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CN113539128A (zh) * 2021-07-13 2021-10-22 深圳市沃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功能的露天电子显示屏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302B1 (ko) * 2005-07-27 2009-03-06 박윤식 선형이동 안내장치를 갖는 하부장착형 슬라이드
KR20070043460A (ko) * 2005-10-21 2007-04-25 박윤식 3단 접철형 슬라이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966A (ko) * 2015-06-17 2016-12-2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아이스버킷 록킹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아이스버킷 록킹장치의 설치 방법
KR20160148968A (ko) * 2015-06-17 2016-12-2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아이스버킷 록킹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아이스버킷 록킹장치의 설치 방법
US9593877B2 (en) 2015-06-17 2017-03-14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locking device of ice bucket
US9770795B2 (en) 2015-06-17 2017-09-26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US9995527B2 (en) 2015-06-17 2018-06-12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Refrigerator hav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and method for installing locking device for ice bucket
CN113539128A (zh) * 2021-07-13 2021-10-22 深圳市沃威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功能的露天电子显示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9568B1 (ko) 201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8134B2 (en) Drawer fixing apparatus
EP1809143B1 (en) Self closing apparatus mounted to a slide
CN107847050B (zh) 用于可动家具部件的推出装置
KR101406781B1 (ko) 서랍용 슬라이드 탈착장치
WO2007111424A1 (en) Self closing means
KR101129568B1 (ko) 자동폐쇄장치
US9850692B2 (en) Glove box for an automobile
JP2018514668A (ja) 移動可能な家具部品用の排出デバイス
JP4945138B2 (ja) 移動側部材の引き込み装置
KR20060009912A (ko) 자가 폐쇄형 텔레스코핑 기구
JP6945021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
KR101129565B1 (ko) 복식 스프링을 갖는 자동폐쇄장치
KR100726267B1 (ko) 푸시버튼형 잠금장치
KR101106844B1 (ko) 자동폐쇄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에 랙과 피니온 조립체의피니온을 부착시키는 결착구
KR101056874B1 (ko)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JP2019532719A (ja) 引き出し機構のための後退デバイス
KR101129570B1 (ko) 측부에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KR101056919B1 (ko) 하부장착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KR101129569B1 (ko) 우연적인 해제가 방지되는 이동핀을 갖는 자동폐쇄장치
KR100890902B1 (ko) 자동폐쇄장치용 이동부재
KR100639925B1 (ko) 분리장치가 부착된 슬라이드
KR101056922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자동폐쇄장치
TW200924669A (en) Device for snap coupling and releasing a movable part to/from a fixed part of a furniture piece
KR101056917B1 (ko) 긴 행정거리를 갖는 자동폐쇄장치
KR101129571B1 (ko) 선단부에 댐퍼가 부착된 자동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