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467A - 분리된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분리된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467A
KR20090010467A KR1020070073580A KR20070073580A KR20090010467A KR 20090010467 A KR20090010467 A KR 20090010467A KR 1020070073580 A KR1020070073580 A KR 1020070073580A KR 20070073580 A KR20070073580 A KR 20070073580A KR 20090010467 A KR20090010467 A KR 20090010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sub data
user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대원
강일구
권순현
Original Assignee
손대원
권순현
강일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대원, 권순현, 강일구 filed Critical 손대원
Priority to KR1020070073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467A/ko
Publication of KR20090010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2Protecting executable soft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분리된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콘텐츠 제공 방법은,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수신된 콘텐츠의 서브 데이터를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의 전용 플레이어를 통해 수신된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서브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에서 분리된다.
콘텐츠,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전용 플레이어, 영상 서비스, 스트리밍, 광고

Description

분리된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CONTENTS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PARATED CONTENTS AND ADVERTISEMENT}
음성 혹은 영상 콘텐츠에 대한 서비스는 크게 스트리밍과 다운로드에 의한 방법으로 나뉜다. 현존하는 스트리밍이나 다운로드 서비스 모두 막대한 회선비용 및 저장공간을 필요로 하고 정해진 사용자에게 정해진 방식으로 콘텐츠를 재생시키는 방식으로 DRM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이란 디지털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해주는 기술과 서비스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서, 불법 복제와 변조를 방지하는 기술 등을 제공한다. 즉, DRM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의미하며, 콘텐츠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불법복제를 막고 사용료 부과와 결제대행 등 콘텐츠의 생성에서 유통·관리까지를 일괄적으로 지원하는 기술이다.
DRM을 이용하는 DRM 시스템은 과금체계와 연결되어 암호화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전송(혹은 다운로드)하고 허락된 사용자가 정해진 암호 키를 이용하여 암호 화된 콘텐츠를 복호화함으로써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DRM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서버(101)는 사용자 단말기(102)의 요청에 따라 콘텐츠 식별자(103) 및 암호화된 콘텐츠(103)를 사용자 단말기(102)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기(102)가 포함하는 재생 소프트웨어는 콘텐츠 식별자(103)를 토대로 서버(101)에 라이센스 정보를 요청(105)한다. 이때, 서버(101)는 라이센스 정보 요청(105)에 따라 라이센스 정보 데이터베이스(106)에서 콘텐츠 식별자에 해당하는 라이센스 정보(107)를 추출하고, 암호화하여 사용자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이센스 정보(107)는 콘텐츠 식별자와 암호키 그리고, 암호키의 사용이 가능한 조건을 나타내는 허락조건 등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2)에서의 유저 키(user key) 인증이 정확하고, 라이센스 정보가 변형되어 있지 않고, 사용방법이 허락조건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암호키가 사용자 단말기(102)로 이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2)에서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콘텐츠(104)를 복호화함으로써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있어서,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서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사용자 단말기(201)에서 서비스 또는 파일 등의 콘텐츠를 요청하는 경우, 센터 서버(202)는 우선 복수의 캐쉬 서버 중 해당하는 캐쉬 서버(203)의 URL을 사용자 단말기(201)로 전송하고, 데이터 서버(204)로 파일 전송 또는 스트리밍 서비스 를 제공할 것을 요청한다. 이러한 센터 서버(202)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서버(204)는 캐쉬 서버(203)로 파일을 전송하거나 또는 스트리밍하고 사용자 단말기(201)는 캐쉬 서버(203)를 통해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DRM을 사용한 다운로드 서비스의 경우에는 재생을 위한 모든 파일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있기 때문에 해킹의 개연성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한번 해킹 당한 콘텐츠에 대해서는 대안 및 보완 대책을 세우기 힘들고, 다운로드나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 서비스를 위한 주요 비용 요인 중 서버 및 회선 비용이 접속된 사용자 수, 요청되는 파일의 수 및 파일의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동일 콘텐츠에 대한 동시요청이 많은 경우, 캐쉬 서버 구축 등의 비용과 같이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특히, 파일의 크기가 오디오 데이터보다 월등하게 큰 영상 데이터의 경우에는 그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서버 및 회선 비용은 현존하는 DRM 시스템과 결합되어 줄어들기 힘든 구조를 지니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디지털화된 영상 콘텐츠물은 정보로서의 속성을 지니며 이러한 속성은 정보의 비경합성(정보를 타인과 나누어도 자신의 효용은 줄지 않는다.), 비배제성(이미 타인에게 전해진 정보에 대해서는 구속력을 가지기 힘들다)의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특징은 시장의 실패(디지털 콘텐츠를 근간으로 한 사업화)를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배포된 영상 파일과 분리되어 제공되는 광고 방법을 토대로 저작권자의 저작 재산권을 보호하고 그 수익을 확대, 배분 시키고, 이용자의 이용 접근성을 극대화 시키고 서비스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 시키며 광고주들에게는 효율적 광고 집행과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전송 채널을 통해 다운로드된 콘텐츠가 전용 플레이어를 통해서만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콘텐츠의 배포 경로를 제한하지 않고,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 서비스에 필요한 서버 및 회선에 필요한 비용을 감소시키고,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콘텐츠 제공자 및 제작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콘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정보의 일부분인 서브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에서 추출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를 통해 상기 서브 데이터가 제거된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요청되는 경우에만 상기 서브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콘텐츠가 상기 전용 플레이어를 통해서만 재생되도록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콘텐츠의 인코딩 시 상기 콘텐츠에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추가하고, 상기 콘텐츠의 재생 시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검출하여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광고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상기 광고에 대한 수익을 콘텐츠 제작자에게도 배분함으로써 불 법 다운로드 콘텐츠의 제조 및 유통경로를 양성화할 수 있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의 서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에서 분리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브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 및 상기 콘텐츠의 재생에 필수적인 인덱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덱스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가 포함하는 영상블록의 시퀀스 정보, 음성블록의 시퀀스 정보, 상기 영상블록 및 상기 음성블록의 재생 흐름에 따른 동기화 정보, 상기 영상정보의 일부분 또는 상기 음성정보의 일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은 상기 콘텐츠를 상기 서브 데이터 및 메인 데이터로 분리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메인 데이터는 파일의 전송이 가능한 모든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의 서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유지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의 사용자가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이 포함하는 로그인 기능을 통해 입력한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서브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용 플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는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인증되고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콘텐츠 식별자와 연관되어 저장된 상기 서브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용 플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 또는 쿠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 또는 상기 쿠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전용 플레이어로 상기 암호화된 서브 데이터의 해독키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의 서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유지하는 서브 데이터 유지부 및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브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에서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포된 영상 파일과 분리되어 제공되는 광고 방법을 토대로 저작권자의 저작 재산권을 보호하고 그 수익을 확대, 배분 시키고, 이용자의 이용 접근성을 극대화 시키고 서비스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 시키며 광고주들에게는 효율적 광고 집행과 관리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전송 채널을 통해 다운로드된 콘텐츠가 전용 플레이어를 통해서만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콘텐츠의 배포 경로를 제한하지 않고,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 서비스에 필요한 서버 및 회선에 필요한 비용을 감소시키고,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콘텐츠 제공자 및 제작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정보의 일부분인 서브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에서 추출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를 통해 상기 서브 데이터가 제거된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요청되는 경우에만 상기 서브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콘텐츠가 상기 전용 플레이어를 통해서만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콘텐츠의 인코딩 시 상기 콘텐츠에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추가하고, 상기 콘텐츠의 재생 시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검출하여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광고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상기 광고에 대한 수익을 콘텐츠 제작자에게도 배분함으로써 불법 다운로드 콘텐츠의 제조 및 유통경로를 양성화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기"라 함은 PDC(Personal Digital Cellular)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폰, CDMA-2000(1X, 3X)폰, WCDMA(Wideband CDMA)폰, 듀얼 밴드/듀얼 모드(Dual Band/Dual Mode)폰,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폰, 스마트(Smart)폰, 핸드폰 등과 같은 통신 기능이 포함될 수 있는 휴대용 기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 헬드 PC(Hand-Held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와이브로(WiBro) 단말기, MP3 플레이어, MD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 그리고 국제 로밍(Roaming) 서비스와 확장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핸드 헬드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의미하는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nfrared Data Association), 유무선 랜카드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위치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GPS 칩이 탑재된 무선 통신 장치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일정한 연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해석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의 개괄적인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영상 파일 제작자 또는 자막 제작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영상 파일 제작자 또는 상기 자막 제작자의 단말기(301)로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302)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영상 파일 제작자는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302)을 이용하여 콘텐츠(303)를 기선정된 컨테이너 포멧으로 인코딩함으로써 콘텐츠(303)로부터 서브 데이터(304)와 메인 데이터(305)로 분리할 수 있고, 상기 자막 제작자는 콘텐츠(303)의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302)을 이용하여 자막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코딩된 서브 데이터(304)는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302)을 통해 콘텐츠 제공 시스템(300)으로 전송되고, 데이터베이스(306)에 저장되어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데이터(303)는 다양한 전송 채널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7)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전송 채널을 통해 메인 데이터(303)를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307)의 사용자가 콘텐츠(303)의 재생을 원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콘텐츠 제 공 시스템(300)이나 기타 다른 경로를 통해 전용 플레이어(308)를 다운로드하여 전용 플레이어(308)를 통해 콘텐츠(303)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전용 플레이어(308)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300)으로 서브 데이터(304)를 요청하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서브 데이터(304)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콘텐츠(303)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과정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300)으로의 로그인, 쿠키를 통한 인증 또는 사용자 단말기(307)의 기기정보를 이용한 인증 등과 같은 상기 사용자가 콘텐츠(302)의 재생에 대한 자격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모든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텐츠에서 서브 데이터를 분리하고,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상기 서브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콘텐츠가 재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콘텐츠 제공자 및 제작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콘텐츠(303)는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과 함께 콘텐츠 제공 시스템(300)을 통해 제공되거나 또는 영상 파일 제작자에 의해 제작된 콘텐츠일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공 시스템(300)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303)는 저작권자와 사용 계약이 채결되었거나 무단 사용이 허용된 콘텐츠일 수 있다. 상기 저작권자와의 사용 계약을 채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1을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계(S401)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의 서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유지한다. 이때, 상기 서브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 및 상기 콘텐츠의 재생에 필수적인 인덱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덱스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가 포함하는 영상블록의 시퀀스 정보, 음성블록의 시퀀스 정보, 상기 영상블록 및 상기 음성블록의 재생 흐름에 따른 동기화 정보, 상기 영상정보의 일부분 또는 상기 음성정보의 일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은 상기 콘텐츠를 상기 서브 데이터 및 메인 데이터로 분리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메인 데이터는 파일의 전송이 가능한 모든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영상 파일 제작자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제공받아 상기 콘텐츠를 인코딩하여 상기 서브 데이터 및 상기 메인 데이터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보관되고, 상기 메인 데이터는 웹 스토리지, p2p, 메신져 등 파일의 전송이 가능한 모든 경로를 통해 전파될 수 있다.
즉,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의 사용자가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이 포함하는 로그인 기능을 통해 입력한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서브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그인, 쿠키 등을 통해 인증된 인코딩 사용자만이 상기 전용 인 코딩 프로그램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로그인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 또한 상기 인증된 인코딩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판권 또는 저작권이 확보된 콘텐츠를 개인 사용자가 자유롭게 인코딩하여 다양한 전송 경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콘텐츠명, 콘텐츠 암호화 정보 등과 같은 상기 인코딩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콘텐츠를 인코딩한 상기 인코딩 사용자의 정보까지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데이터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일의 전송이 가능한 모든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 파일 제작자와 같은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의 사용자는 상기 메인 데이터를 다양한 전송 경로를 통해 상기 메인 데이터를 배포할 수 있고,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의 재생에 필수적인 데이터인 상기 서브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려는 사용자는 상기 메인 데이터를 파일의 전송이 가능한 모든 경로를 통해 쉽게 얻을 수 있고,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상기 서브 데이터를 얻음으로써 상기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단지 작은 용량의 상기 서브 데이터만을 저장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콘텐츠 제공자 및 제작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도 5를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S402)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용 플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상기 전용 플레이어를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사용자에게 로그인을 위해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 받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비밀번호는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는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인증되고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콘텐츠 식별자와 연관되어 저장된 상기 서브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콘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정보의 일부분인 서브 데이터를 추출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를 통해 상기 서브 데이터가 제거된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요청되는 경우에만 상기 서브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콘텐츠가 상기 전용 플레이어를 통해서만 재생되도록 할 수 있고,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콘텐츠 제공자 및 제작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6을 통해, 상기 전용 플레이어에 대해서는 도 7을 통해 각각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S403)에서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광고를 제공한다.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은 상기 콘텐츠를 인코딩하는 동안 상기 콘텐츠에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콘텐츠의 재생 중 또는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오픈한 시점에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추가된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검출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생 시점, 종료 시점 및 재생 중 임의의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수신한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스트리밍 형태로 상기 광고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일시 중지하고, 상기 광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재생한 후 상기 콘텐츠를 다시 재생할 수 있다.
단계(S404)에서 상기 광고에 대한 노출정보를 확인 및 유지한다. 상기 노출 정보는 상기 광고의 재생 횟수, 클릭 횟수,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이러한 상기 노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수익을 콘텐츠 제공자, 영상 파일 제작자 또는 자막 제작자 등에게 배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통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501)은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501)을 사용하려는 영상 파일 제작자 또는 자막 제작자가 로그인 등을 통해서 인증되는 경우에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501)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인증된 상기 영상 파일 제작자 또는 상기 자막 제작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501)이 포함하는 로그인 기능을 통해 상기 영상 파일 제작자 또는 상기 자막 제작자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영상 파일 제작자 또는 상기 자막 제작자가 인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501)은 콘텐츠를 인코딩(502)하여 서브 데이터(503)와 메인 데이터(504)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505)으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 또는 상기 인코딩 사용자가 제작한 콘텐츠일 수 있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505)으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의 경우에는 저작권자와의 사용 계약이 채결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막 제작자는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501)을 통해 자막을 제작할 수 있다. 즉,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501)은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데이터를 생성하는 자막 데이터 생성 기능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자막 데이터 생성 기능은 상기 자막 데이터를 자막 데이터(506) 및 자막 인덱스 데이터(507)로 분리하여 생성하는 자막 제작 기능(50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막 인덱스 데이터(507)는 서브 데이터(503)와 함께 콘텐츠 제공 서버(505)로 전송될 수 있고, 자막 데이터(506)는 메인 데이터(504)와 함께 다양한 전송 경로로 배포(509)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브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단계(S601) 내지 단계(S604)는 도 4를 통해 설명한 단계(S402)에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다.
즉, 단계(S402)에서 인증된 사용자만이 상기 서브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4에서 설명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 또는 쿠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S601),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 또는 상기 쿠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S602), 상기 전용 플레이어로 상기 암호화된 서브 데이터의 해독키를 전송하는 단계(S603) 및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S604)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브 데이터 없이는 콘텐츠의 재생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인증된 사용자에 한해서만 상기 서브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콘텐츠 제공자 및 제작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할 수 있다.
도 7은 전용 플레이어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콘텐츠에서 분리된 메인 데이터(701)는 웹스토리지, P2P, 메신저, 파일 복사 등과 같이 파일의 전송이 가능한 모든 경로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포함하는 전용 플레이어(702)를 통해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는 전용 플레이어(702)를 통해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콘텐츠 제공 시스템(703)에 로그인(704)할 수 있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703)은 로그인(704)을 통해 인증된 상기 사용자에게 콘텐츠 식별자를 이용하여 해당하는 서브 데이터(705)를 찾아 제공할 수 있고, 서브 데이터(705)를 획득한 전용 플레이어(702)는 메인 데이터(701)와 서브 데이터(705)를 결합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공 시스템(703)은 서브 데이터(705)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 맞춤형의 광고(707)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광고(707)의 제공은 전용 플레이어(702)에서 콘텐츠(701)에 포함된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검출하여 콘텐츠 제공 시스템(703)으로 전송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고, 전용 플레이어(702)는 콘텐츠(701)가 재생 중이었다면 콘텐츠(701)의 재생을 일시 중지하고,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되는 광고(707)를 노출한 후 다시 콘텐츠(701)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는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에서 상기 콘텐츠가 인코딩되는 경우, 상기 콘텐츠에 추가될 수 있고, 전용 플레이어(702)는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인코딩된 상기 콘텐츠가 아닌 다른 콘텐츠의 경우에는 로그인 없이 바로 재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광고는 전용 플레이어의 특정 영역에 광고를 노출 또는 재생시키거나, 팝업 창을 통해 노출시키거나, 콘텐츠의 재생 중간에 광고를 스트리밍 형태로 제공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이러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의 일례로서 상기 콘텐츠의 재생 중간에 스트리밍 형태로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콘텐츠 제공 시스템(801)은 저작권자와 사용권 계약(802)이 채결된 콘텐츠를 보유할 수 있고, 또한 광고 클라이언트로부터 광고(803)를 데이터의 형태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801)은 영상 파일 제작자 또는 자막 제작자(804)에게 상기 콘텐츠 및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영상 파일 제작자 또는 자막 제작자(804)는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화질로 상기 콘텐츠를 인코딩하여 서브 데이터 및 메인 데이터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데이터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801)으로 전송되고, 상기 메인 데이터는 메신저 프로그램, 각종 웹스토리지, 각종 P2P 프로그램 또는 CD, DVD, 외장 하드 또는 네트워크 망 등의 하드웨어적 전송을 통해 사용자(805)에게 배포될 수 있다.
사용자(805)는 다운로드 받은 상기 서브 데이터를 제외한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포함하는 전용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시스템(801)으로 상기 서브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801)은 사용자(805)가 인증된 경우에 한해 상기 서브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서브 데이터와 상기 메인 데이터를 결합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고, 상기 콘텐츠로부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의 검출을 시도한다. 즉,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가 상기 콘텐츠에서 검출되는 경우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시스템(801)으로 전송할 수 있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801)이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에 따라 송출하는 광고(803)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일시 중지하고 광고(803)를 노출시킬 수 있고, 광고(803)의 노출이 완료된 후 상기 콘텐츠를 이어서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텐츠 제공 방법을 이용하여 광고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광고에 따른 광고 수입을 콘텐츠 제작자나 저작권자, 인코딩 사용자, 또는 자막 제작자 등에게 배분할 수 있다.
도 9는 광고의 수익을 분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여기서, 도 8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를 재생시키고자 하는 사용자(901)는 콘텐츠가 포함하는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고를 수신할 수 있고, 상기 광고의 노출에 대해 광고 클라이언트(902)는 광고료를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사업자(903)에게 지불할 수 있다. 이때,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사업 자(903)는 이러한 광고 수익을 콘텐츠 저작권자(904), 영상 파일 제작자(905) 또는 자막 제작자(906) 등과 배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콘텐츠의 인코딩 시 상기 콘텐츠에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추가하고, 상기 콘텐츠의 재생 시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검출하여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광고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상기 광고에 대한 수익을 콘텐츠 제작자에게도 배분함으로써 불법 다운로드 콘텐츠의 제조 및 유통경로를 양성화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0)은 서브 데이터 유지부(1001), 서브 데이터 전송부(1002), 광고 제공부(1003) 및 노출 정보 유지부(1004)를 포함한다.
서브 데이터 유지부(1001)는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의 서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유지한다. 이때, 상기 서브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 및 상기 콘텐츠의 재생에 필수적인 인덱스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인덱스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가 포함하는 영상블록의 시퀀스 정보, 음성블록의 시퀀스 정보, 상기 영상블록 및 상기 음성블록의 재생 흐름에 따른 동기화 정보, 상기 영상정보의 일부분 또는 상기 음성정보의 일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은 상기 콘텐츠를 상기 서브 데이터 및 메인 데이터로 분리하여 서브 데이터 유지부(1001)으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메인 데이터는 파일의 전송이 가능한 모든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영상 파일 제작자 또는 자막 제작자를 포함하는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10) 및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제공받아 상기 콘텐츠를 인코딩하여 상기 서브 데이터 및 상기 메인 데이터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데이터는 서브 데이터 유지부(1001)에서 보관되고, 상기 메인 데이터는 웹 스토리지, p2p, 메신져 등 파일의 전송이 가능한 모든 경로를 통해 전파될 수 있다.
즉, 서브 데이터 유지부(1001)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이 포함하는 로그인 기능을 통해 입력한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서브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그인, 쿠키 등을 통해 인증된 인코딩 사용자만이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로그인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에게만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콘텐츠 또한 상기 인증된 인코딩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판권 또는 저작권이 확보된 콘텐츠를 개인 사용자가 자유롭게 인코딩하여 다양한 전송 경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서브 데이터 유지부(1001)는 콘텐츠명, 콘텐츠 암호화 정보 등과 같은 상기 인코딩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콘텐츠를 인코딩한 상기 인코딩 사용자의 정보까지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데이터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일의 전송이 가능한 모든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영상 파일 제작자와 같은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의 사용자는 상기 메인 데이터를 다양한 전송 경로를 통해 상기 메인 데이터를 배포할 수 있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0)은 상기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의 재생에 필수적인 데이터인 상기 서브 데이터만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려는 사용자는 상기 메인 데이터를 파일의 전송이 가능한 모든 경로를 통해 쉽게 얻을 수 있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0)을 통해 상기 서브 데이터를 얻음으로써 상기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0)은 단지 작은 용량의 상기 서브 데이터만을 저장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콘텐츠 제공자 및 제작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할 수 있다.
서브 데이터 전송부(1002)는 사용자 단말기(1020)를 통해 수신된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020)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20)는 전용 플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사용자 단말기(102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020)의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해 상기 전용 플레이어를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사용자에게 로그인을 위해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 받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비밀번호는 콘텐츠 제공 시스 템(1000)으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사용자 단말기(1020)의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를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는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고, 서브 데이터 전송부(1002)는 사용자 단말기(1020)의 사용자가 인증되고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콘텐츠 식별자와 연관되어 저장된 상기 서브 데이터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기(1020)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콘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정보의 일부분인 서브 데이터를 추출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를 통해 상기 서브 데이터가 제거된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요청되는 경우에만 상기 서브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콘텐츠가 상기 전용 플레이어를 통해서만 재생되도록 할 수 있고,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콘텐츠 제공자 및 제작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할 수 있다.
광고 제공부(1003)는 사용자 단말기(1020)를 통해 수신된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20)로 광고를 제공한다.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은 상기 콘텐츠를 인코딩하는 동안 상기 콘텐츠에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콘텐츠의 재생 중 또는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오픈한 시점에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추가된 상기 광 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검출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생 시점, 종료 시점 및 재생 중 임의의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된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고 제공부(1003)는 스트리밍 형태로 상기 광고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일시 중지하고, 상기 광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재생한 후 상기 콘텐츠를 다시 재생할 수 있다.
노출 정보 유지부(1004)는 상기 광고에 대한 노출정보를 확인 및 유지한다. 상기 노출정보는 상기 광고의 재생 횟수, 클릭 횟수,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콘텐츠 제공 시스템(1000)은 이러한 상기 노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의 수익을 콘텐츠 제공자, 영상 파일 제작자 또는 자막 제작자 등에게 배분할 수 있다.
도 11은 콘텐츠의 저작권자와의 사용권 계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 계약을 위해 저작권자가 사용권 계약 홈페이지(1101)에 접속하면, 사용권 계약 홈페이지(1101)는 상기 저작권자에게 영상광고 수익의 분배를 전제로 한 사용권 계약의 허용(1102)에 대한 동의를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저작권자가 동의한 경우, 상기 저작권자로부터 아이디, 즉 상기 저작권자의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등록(1103)한다.
상기 저작권자가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상기 비밀번호를 통해 사용권 계약 홈페이지(1101)에 로그인(1104)하면, 상기 저작권자로부터 영상 장르, 저작권자, 연출자, 출연자, 줄거리, 제작년도 등의 상기 콘텐츠에 대한 기본 정보를 등록(1005) 받는다. 또한, 상기 저작권자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해 무조건 허용, 수익 분배 조건부 허용 또는 불허와 같은 2차 저작물의 제작의 허용 여부를 선택(1006)하도록 하고, 방송 소스로서의 사용 허락 여부(1007), 즉 녹화 및 가공의 허용 및 불허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 계약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 또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이용하면, 배포된 영상 파일과 분리되어 제공되는 광고 방법을 토대로 저작권자의 저작 재산권을 보호하고 그 수익을 확대, 배분 시키고, 이용자의 이용 접근성을 극대화 시키고 서비스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 시키며 광고주들에게는 효율적 광고 집행과 관리를 할 수 있고, 다양한 전송 채널을 통해 다운로드된 콘텐츠가 전용 플레이어를 통해서만 재생되도록 함으로써 콘텐츠의 배포 경로를 제한하지 않고,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 서비스에 필요한 서버 및 회선에 필요한 비용을 감소시키고,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막아 콘텐츠 제공자 및 제작자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정보의 일부분인 서브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에서 추출하여 별도로 저장하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를 통해 상기 서브 데이터가 제거된 상기 콘텐츠의 재생이 요청되는 경우에만 상기 서브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콘텐츠가 상기 전용 플레이어를 통해서만 재생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콘텐츠의 인코딩 시 상기 콘텐츠에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추가하고, 상기 콘텐 츠의 재생 시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검출하여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상기 광고에 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상기 광고에 대한 수익을 콘텐츠 제작자에게도 배분함으로써 불법 다운로드 콘텐츠의 제조 및 유통경로를 양성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있어서, DRM의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있어서,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서버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의 개괄적인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서브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전용 플레이어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8은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9는 광고의 수익을 분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콘텐츠의 저작권자와의 사용권 계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콘텐츠 제공 시스템
302: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
304: 서브 데이터
308: 전용 플레이어

Claims (25)

  1.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의 서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유지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 및 상기 콘텐츠의 재생에 필수적인 인덱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덱스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가 포함하는 영상블록의 시퀀스 정보, 음성블록의 시퀀스 정보, 상기 영상블록 및 상기 음성블록의 재생 흐름에 따른 동기화 정보, 상기 영상정보의 일부분 또는 상기 음성정보의 일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은 상기 콘텐츠를 상기 서브 데이터 및 메인 데이터로 분리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데이터는 파일의 전송이 가능한 모든 경로를 통해 전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의 서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유지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의 사용자가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이 포함하는 로그인 기능을 통해 입력한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서브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용 플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용 플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는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인증되고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콘텐츠 식별자와 연관되어 저장된 상기 서브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용 플레이어를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 또는 쿠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 또는 상기 쿠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전용 플레이어로 상기 암호화된 서브 데이터의 해독키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은 상기 콘텐츠에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추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광고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용 플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콘텐츠의 재생 중 또는 상기 콘텐츠를 포함하는 파일을 오픈한 시점에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검출하여 상기 콘텐츠의 재생 시점, 종료 시점 및 재생 중 임의의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전송한 후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일시 중지하고, 상기 광고를 스트리밍 형태로 수신하여 재생한 후 상기 콘텐츠를 다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에 대한 노출정보를 확인 및 유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출정보는 상기 광고의 재생 횟수, 클릭 횟수,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은 상기 콘텐츠에 대응하는 자막 데이터를 생성하는 자막 데이터 생성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기능은 상기 자막 데이터를 자막 데이터 및 자막 인덱스 데이터로 분리하는 자막 데이터 분리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 인덱스 데이터는 상기 서브 데이터와 함께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자막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에서 상기 서브 데이터가 분리된 데이터인 메인 데이터와 함께 배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콘텐츠의 서브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 및 유지하는 서브 데이터 유지부; 및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브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 및 상기 콘텐츠의 재생에 필수적인 인덱스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덱스 데이터는 상기 콘텐츠가 포함하는 영상블록의 시퀀스 정보, 음성블록의 시퀀스 정보, 상기 영상블록 및 상기 음성블록의 재생 흐름에 따른 동기화 정보, 상기 영상정보의 일부분 또는 상기 음성정보의 일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은 상기 콘텐츠를 상기 서브 데이터 및 메인 데이터로 분리하여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데이터는 파일의 전송이 가능한 모든 경로를 통해 전송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서브 데이터 유지부는,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의 사용자가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이 포함하는 로그인 기능을 통해 입력한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고,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서브 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용 플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상기 콘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경우, 상기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용 플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용 플레이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는 콘텐츠의 콘텐츠 식별자를 포함하고,
    서브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인증되고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콘텐츠 식별자와 연관되어 저장된 상기 서브 데이터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전용 플레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 또는 쿠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인증 정보 수신부;
    상기 사용자 식별자 및 비밀번호 또는 상기 쿠키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인증부;
    상기 전용 플레이어로 상기 암호화된 서브 데이터의 해독키를 전송하는 해독키 전송부; 및
    상기 서브 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서브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인코딩 프로그램은 상기 콘텐츠에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를 추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수신된 상기 광고 송출 요청 데이터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에 대한 노출정보를 확인 및 유지하는 노출정보 유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노출정보는 상기 광고의 재생 횟수, 클릭 횟수,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070073580A 2007-07-23 2007-07-23 분리된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90010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580A KR20090010467A (ko) 2007-07-23 2007-07-23 분리된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580A KR20090010467A (ko) 2007-07-23 2007-07-23 분리된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467A true KR20090010467A (ko) 2009-01-30

Family

ID=40489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580A KR20090010467A (ko) 2007-07-23 2007-07-23 분리된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4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62908A3 (en) * 2010-06-23 2012-03-29 Google Inc. Ad privacy manag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62908A3 (en) * 2010-06-23 2012-03-29 Google Inc. Ad privacy mana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861B1 (ko) Drm 제공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90147143A1 (en) Decoupling rights in a digital content unit from download
US86714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rights object from one device to another device via server
EP0989710B1 (en) Secure distribution system for digital contents
US10097347B2 (en) Content providing system, content reproducing device, content reproduc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539233B2 (en) Binding content licenses to portable storage devices
JP5557897B2 (ja) デジタルメディアコンテンツ保護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78337B1 (ko) 호스트 장치의 drm 유형을 기초로한 암호화 키를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4350320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ト用の安全配布システム
CA2519116A1 (en) Secure streaming container
KR101259549B1 (ko) 사용자 단말 시스템,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101350479B1 (ko) Drm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drm 기능과 부가 기능을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010467A (ko) 분리된 콘텐츠 및 광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및시스템
KR20090010468A (ko) 새로운 컨테이너 포멧, 상기 컨테이너 포멧을 이용한drm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광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WO2007049942A1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etween user terminals supporting differment drm methods each other in drm gateway and drm gateway of enabling the method
JP4213501B2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方法
KR102186901B1 (ko) 데이터 변조를 통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암호화 장치 및 방법
KR100814520B1 (ko) Drm 컨텐츠 제공/재생 방법 및 장치
KR101742217B1 (ko) 불법 유포 및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디지털 동영상 콘텐츠의 제공 시스템, 이의 방법
JP2005235170A (ja) 注文型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1532927B1 (ko) 호스트 장치의 drm 유형을 기초로한 암호화 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2288045A (ja) 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装置及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KR100727085B1 (ko) 디알엠 기반의 오프라인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29008A (ko) Drm 모듈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Gikas Term Paper Constantine Gikas & Anas Lahrim ISA 767 May 4th 2006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