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390A - 이어 러버 - Google Patents

이어 러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390A
KR20090010390A KR1020070073462A KR20070073462A KR20090010390A KR 20090010390 A KR20090010390 A KR 20090010390A KR 1020070073462 A KR1020070073462 A KR 1020070073462A KR 20070073462 A KR20070073462 A KR 20070073462A KR 20090010390 A KR20090010390 A KR 20090010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
ear canal
shape
rubb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2215B1 (ko
Inventor
박기범
Original Assignee
박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범 filed Critical 박기범
Priority to KR1020070073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221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0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5Determination of the acoustic seal of ear moulds or ear tips of hear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 러버에 관한 것으로서, 헤드셋 또는 이어폰의 이어 러버에 있어서, 헤드셋 또는 이어폰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는 몸체와, 몸체에 마련되고, 몸체가 외이도에 삽입시 외이도의 구조에 따라 형상이 변화됨으로써 외이도에 밀착되는 형상변형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외이도에 장착되는 이어 러버가 사용자의 외이도 구조에 따라 형상의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사용자의 외이도에 맞도록 밀착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뛰어난 착용감을 제공하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헤드셋, 이어폰, 이어 러버, 주름, 밀착리브, 변형리브, 밀착커버

Description

이어 러버{EAR RUBBER}
본 발명은 사용자의 외이도에 장착되는 이어 러버가 사용자의 외이도 구조에 따라 형상의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사용자의 외이도에 맞도록 밀착되어 착용감을 개선시키는 이어 러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셋이나 이어폰은 다양한 음향 기기, 예를 들면, MP3 플레이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라고도 함),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 어학 학습기, 컴퓨터, 노트북 등으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함으로써 사용자가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헤드셋이나 이어폰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기에 적합한 형상 및 크기로 제작된다.
이러한, 종래의 헤드셋이나 이어폰은 음향 기기로부터 출력된 전기적 신호를 음향으로 변경하는 스피커 유닛, 스피커 유닛이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부 등을 포함하고 있다.
최근에는,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을 가지는 헤드셋이나 이어폰이 널리 보급되어 근거리에서 음향 기기 등과 무선으로 연결되는데, 이러한 블루투스 헤드셋이나 이어폰은 근거리의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로, 일반적 으로 내부에 블루투스칩을 포함하는 전자모듈과 주파수 변조 및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회로부로 구성된 본체와, 전원 및 작동을 조절하는 조절스위치와, 이에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작동 표시부(LCD 또는 LED)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유닛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헤드셋의 경우 사용자의 귀에 고정되기 위한 걸이부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헤드셋이나 이어폰은 유선인 경우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기능의 무선인 경우에도 사용자의 외이도에 장착되기 위해 스피커 유닛이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부에 이어 러버(ear rubber)가 필수적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헤드셋이나 이어폰에 마련되는 이어 러버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되고, 헤드셋이나 이어폰으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의 품질만큼이나 중요한 착용감의 기준이 되므로 사용자의 헤드셋이나 이어폰 선택의 기준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헤드셋이나 이어폰의 이어 러버는 대량 생산의 특성상 그 형태가 일정할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마다 다른 구조를 가진 외이도에 맞추기란 불가능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의 착용감을 개선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장시간 착용시에 피로감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헤드셋 또는 이어폰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외이도에 장착되는 이어 러버가 사용자의 외이도 구조에 따라 형상이 변화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뛰어난 착용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 러버는, 헤드셋 또는 이어폰의 이어 러버에 있어서, 헤드셋 또는 이어폰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는 몸체와, 몸체에 마련되고, 몸체가 외이도에 삽입시 외이도의 구조에 따라 형상이 변화됨으로써 외이도에 밀착되는 형상변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헤드셋 또는 이어폰에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의 외이도에 장착되는 이어 러버가 사용자의 외이도 구조에 따라 형상의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사용자의 외이도에 맞도록 밀착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뛰어난 착용감을 제공하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피로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이어 러버가 사용자의 외이도 구조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착용감 개선 및 피로도 절감을 가져오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 러버(100)는 헤드셋 또는 이어폰에 마련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에 마련되어 외이도의 구조에 따라 형상이 변화되는 형상변형수단(1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어 러버(100)는 헤드셋의 본체(10)에 설치됨을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이어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유선은 물론 불루투스 기능을 가진 헤드셋이나 이어폰에도 적용된다 하겠다.
몸체(110)는 헤드셋 또는 이어폰의 사용자가 착용시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고, 헤드셋 또는 이어폰의 본체(10)에서 스피커 유닛(미도시)이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부(11)의 고정부(12)에 결합되어 고정되기 위하여 중심부에 고정부(1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부(111)가 형성된다.
결합부(111)는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12)의 형상에 상응하도록 홀 형태를 가지는데, 이에 한하지 않고 고정부(12)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고정부(1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걸림턱(13)에 걸리도록 내주면에 걸림돌기(112)가 형성될 수 있다.
형상변형수단(120)은 몸체(110)에 마련되고, 몸체(110)가 외이도에 삽입시 외이도 내측면으로부터 가압됨으로써 형상이 변화되며, 이로 인해 외이도에 밀착됨으로써 몸체(110)도 외이도에 밀착되도록 한다.
형상변형수단(120)은 본 실시예에서 휨이 가능하도록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 과 같은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110)에 길이방향, 즉 몸체(110)가 외이도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몸체(110)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주름(121)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몸체(110)는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주름(121)에 의해 접힘과 펼쳐짐에 의하여 외형의 크기 및 형태 등이 변화될 수 있는 자바라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100)는 사용자가 헤드셋이나 이어폰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의 외이도에 장착시 외이도의 내측이 주름(121)을 가진 몸체(110)를 가압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121)이 접힘 또는 펼쳐짐 등의 변화를 가져와서 몸체(110)가 변형되어 사용자의 외이도 형상에 따라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외이도가 좁은 경우 주름(121)의 수축에 의해 몸체(110)가 외이도에 밀착되고, 외이도가 넓은 경우 주름(121)이 팽창하여 몸체(110)가 외이도에 밀착되어 사용자의 착용감을 개선시킨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200)는 헤드셋과 이어폰의 본체(10)에 마련되는 스피커 설치부(11)의 고정부(12)에 고정되는 몸체(210)와, 몸체(210)에 마련됨으로써 외이도의 구조에 따라 형상이 변화됨으로써 외이도에 밀착되는 형상변형수단(2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수단(220)은 몸체(210) 외주면에 길이방향, 즉 몸체(210)가 외이도에 삽입되는 방향인 몸체(210)의 중심부위로부터 가장자리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밀착리브(221)로 이루어진다.
밀착리브(221)는 몸체(21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몸체(21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다수로 이루어지고, 휨이 가능하도록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몸체(210)와 일체로 이루어질 경우 몸체(210)와 함께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가 외이도에 삽입시 몸체(210) 외주면에 돌출하도록 형성된 밀착리브(221)가 외이도의 내측면에 가압됨으로써 가압 방향으로 휨에 의한 변형을 일으키게 되어 밀착되며, 이로 인해 몸체(210)도 사용자의 외이도 형상에 따라 밀착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비교적 얇은 두께를 가지는 밀착리브(221)의 변형에 의해 사용자마다 다른 외이도의 구조에 대응하여 유연한 형태로 변화됨으로써 몸체(210)가 서로 다른 구조의 외이도마다 밀착되어 사용자의 착용감을 개선시킨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300)는 이전의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헤드셋 등의 본체(10)에 마련되는 스피커 설치부(11)의 고정부(12)에 고정되는 몸체(310)와, 몸체(310)에 마련되어 외이도의 구조에 따라 형상이 변화됨으로써 외이도에 밀착되는 형상변형수단(3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형상변형수단(320)은 몸체(310)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변형리브(321)와, 변형리브(321)에 의해 몸체(310)에 연결되는 밀착커버(322)를 포 함한다.
변형리브(321)는 스피커 설치부(11)의 고정부(12)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11)가 형성되는 몸체(310)의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배열되어 휨이 가능하도록 합성수지 또는 고무 등의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데, 몸체(310)와 일체로 이루어질 경우 몸체(310)와 후술하는 밀착커버(322)와 함께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밀착커버(322)는 몸체(310)의 외측에 위치하여 몸체(310)를 감싸게 되고, 변형리브(321) 각각이 내측면에 부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몸체(310)에 연결되고, 변형리브(321)와 마찬가지로 휨이 가능한 합성수지, 고무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변형리브(321)는 몸체(310)의 외주면에 몸체(310)가 외이도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변형리브(321)가 몸체(3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휘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이어 러버(300)가 장착되는 측에 대한 회전의 용이성을 반영하여, 몸체(310) 끝단에서 본 단면도인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리브(321)가 반시계방향으로 휘어져 있는 경우는 오른쪽 귀에 사용되고, 몸체(310) 끝단에서 본 단면도인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리브(321)가 시계방향으로 휘어져 있는 경우는 왼쪽 귀에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300)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가 외이도에 삽입시 돌리는 방향, 예컨대 변형리브(321)가 휘어져 있는 반대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변형리브(321)가 몸체(310) 외주면에 눕게 되어 밀착커버(322)가 수축되고, 변형리브(321)가 휘어져 있는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변형리브(321)가 몸체(310) 외주면에 수직되게 서게 되어 밀착커버(322)가 팽창된다. 이 때, 도 9a 및 도 9b에서 표현하지 않았으나, 밀착커버(322)는 플렉시블한 특성상 수축시 굴곡과 주름 등의 변형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300)는 착용시에 밀착커버(322)가 수축되는 방향으로 이어 러버(300)를 돌리면서 착용하고, 착용상태에서는 헤드셋 등의 자중이나 변형리브(321)와 밀착커버(322)의 복원력에 의해 밀착커버(322)가 사용자의 외이도에 밀착되어 부정형의 외이도 내측면에 따라 변형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의 형상변형수단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의 형상변형수단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어 러버의 형상변형수단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스피커 설치부
12 : 고정부 13 : 걸림턱
110,210,310 : 몸체 111,311 : 결합부
112 : 걸림돌기 120,220,320 : 형상변형수단
121 : 주름 221 : 밀착리브
321 : 변형리브 322 : 밀착커버

Claims (5)

  1. 헤드셋 또는 이어폰의 이어 러버에 있어서,
    상기 헤드셋 또는 상기 이어폰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외이도에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마련되고, 상기 몸체가 상기 외이도에 삽입시 상기 외이도의 구조에 따라 형상이 변화됨으로써 상기 외이도에 밀착되는 형상변형수단
    을 포함하는 이어 러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휨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형상변형수단은 상기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 둘레를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주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러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수단은,
    상기 몸체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배열되며, 휨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밀착리브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러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변형수단은,
    상기 몸체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배열되어 휨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다수의 변형리브와,
    상기 몸체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변형리브에 의해 상기 몸체에 연결되고, 휨이 가능하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밀착커버
    를 포함하는 이어 러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변형리브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으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휘어져 있는 상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 러버.
KR1020070073462A 2007-07-23 2007-07-23 이어 러버 KR100952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462A KR100952215B1 (ko) 2007-07-23 2007-07-23 이어 러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462A KR100952215B1 (ko) 2007-07-23 2007-07-23 이어 러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390A true KR20090010390A (ko) 2009-01-30
KR100952215B1 KR100952215B1 (ko) 2010-04-09

Family

ID=4048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462A KR100952215B1 (ko) 2007-07-23 2007-07-23 이어 러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22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720A1 (ko) * 2016-04-16 2018-08-02 주식회사 공훈 커널형이어폰과 오픈형이어폰의 음향을 결합한 이어폰
KR20190010637A (ko) * 2016-05-24 2019-01-30 이노바 디자인 솔루션즈 리미티드 고막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생리 모니터
JP2020522197A (ja) * 2017-06-16 2020-07-27 ヴェーデクス・アクティーセルスカプ 補聴器用フレキシブル・イヤーピース
KR20210069034A (ko) * 2018-10-03 2021-06-10 사아티 에스.피.에이. 오디오 장치용 어쿠스틱 프로텍터 및 상기 프로텍터를 구비하는 오디오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510Y1 (ko) * 2000-06-29 2000-11-15 변기만 이어폰 커버
DE10062236C2 (de) * 2000-12-14 2003-11-27 Phonak Ag Staefa Fixationselement für ein implantierbares Mikrofon
KR20060013340A (ko) * 2005-10-04 2006-02-09 허명선 소음 및 이물질 차폐를 위한 이어폰 보조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720A1 (ko) * 2016-04-16 2018-08-02 주식회사 공훈 커널형이어폰과 오픈형이어폰의 음향을 결합한 이어폰
KR20190010637A (ko) * 2016-05-24 2019-01-30 이노바 디자인 솔루션즈 리미티드 고막 온도를 측정하도록 구성된 휴대용 생리 모니터
JP2020522197A (ja) * 2017-06-16 2020-07-27 ヴェーデクス・アクティーセルスカプ 補聴器用フレキシブル・イヤーピース
US11838729B2 (en) 2017-06-16 2023-12-05 Widex A/S Flexible ear piece for hearing aid
KR20210069034A (ko) * 2018-10-03 2021-06-10 사아티 에스.피.에이. 오디오 장치용 어쿠스틱 프로텍터 및 상기 프로텍터를 구비하는 오디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2215B1 (ko) 201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0648B2 (en) Earpiece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WO2020038482A1 (zh) 一种眼镜
US10182281B2 (en) Sound output device and sound guiding device
JP4992062B2 (ja) 骨伝導ヘッドセット
JP4401396B2 (ja) 音出力装置
US7324655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5531605B2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骨伝導ヘッドホン装置
US9774963B1 (en) Ear-wing
WO2010005039A1 (ja) イヤホン
CN104185108A (zh) 耳机定位和保持
US9282395B1 (en) Flexible transducer for soft-tissue and acoustic audio production
CN103227967A (zh) 头戴式耳机
EP3422733A1 (en) Wearable device
US20190200109A1 (en) Speaker Box
WO2011007448A1 (ja) イヤホン及び電子機器
WO2016151952A1 (ja) ウェアラブル装置
KR100952215B1 (ko) 이어 러버
JP2008538887A (ja) 携帯用ラウドスピーカ収納体
WO2016165319A1 (zh) 一种扬声器装置及应用该扬声器的智能腕带装置
KR100730737B1 (ko) 골전도 헤드셋
US9485593B2 (en) Acoustic device
JP2017112446A (ja) ヘッドホン用イヤパッド及びヘッドホンおよびイヤーマフ
US11805353B2 (en) Headphone
KR100850988B1 (ko) 이탈방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셋
EP2230859B1 (en) Earpie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