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345U -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345U
KR20090010345U KR2020080004597U KR20080004597U KR20090010345U KR 20090010345 U KR20090010345 U KR 20090010345U KR 2020080004597 U KR2020080004597 U KR 2020080004597U KR 20080004597 U KR20080004597 U KR 20080004597U KR 20090010345 U KR20090010345 U KR 200900103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aroma
container
bott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석
Original Assignee
한경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석 filed Critical 한경석
Priority to KR2020080004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345U/ko
Publication of KR200900103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3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어 물이 내부에 채워지는 용기와,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용기의 내부로 산소의 공급을 허용하는 유입통로 및 용기의 외부로 산소의 유출을 허용하는 유출통로가 형성된 덮개와, 덮개의 유입통로에 연결되어 용기의 물속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유입관과, 덮개의 유출통로가 시작되는 부분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아로마 병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개시된 고안은 아로마 병의 착탈이 용이하여 아로마 액의 소진 시에 아로마 액의 재공급이 용이하며, 수중에서 폭기된 산소가 아로마 병을 통과함으로써 실내 측으로 향기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Figure P2020080004597
용기, 덮개, 산소 유입관, 원형부, 나사식 체결, 아로마 병

Description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 {Atomizing device for improving air condition}
본 고안은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소가 수중에서 폭기되어 산소와 함께 습기를 공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아로마 향을 산소 및 습기와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의 실내는 창문이나 도어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환기가 이루어진다. 또한, 사무실과 같은 오피스 건물은 창문을 열어 자연적인 환기를 하기도 하지만, 환풍구에 연결되어 있는 환기장치를 통해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도 있다.
실내의 환기는 실내공기가 신선한 외부공기로 채워지는 측면에서 필수적이며, 외부공기에 의해 습도가 자연적으로 조절되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실내공기는 환기를 통해서도 상쾌한 공기로 교체가 가능하지만 잦은 환기는 실내온도를 크게 변화시키므로 보통 하루에 한번 하게 된다.
또한, 실내는 환기뿐만 아니라 인위적인 방식에 의해서도 습도의 조절이 가능하고, 상쾌한 공기를 조성할 수 있다. 즉, 습도는 가습기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상쾌한 공기는 향을 제공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러한 실내공기 개선을 위해 산소 및 습기를 공급하는 분무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종래의 분무장치는 물 속에 산소공급관을 잠기게 하여 물속에서 산소 버블이 생기면서 산소와 수증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아로마 향에 의한 정신 안정 및 치료 효과 등의 의학적 효능이 밝혀짐에 따라 아로마 향을 산소 및 습기와 함께 실내에 공급하는 분무 장치도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분무장치의 물 속에 아로마 액을 넣어 산소 버블을 발생시키면 아로마 액 자체의 특성에 의해 기포가 심하게 발생되어 아로마 액이 물 속에서 끓어 넘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실내에 습기 및 향을 제공하는 종래기술이 등록실용신안 제20-028990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산소발생기로부터 산소의 공급여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치료향의 발산으로 환자의 치료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산소발생기용 가습물통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산소발생기와 흡입마스크의 사이에 구비되고, 뚜껑을 갖고 물이 수용되는 몸체의 일 측으로 토출관이 구비되어 인체로 공급되는 산소가 물을 통과하도록 하여 가습을 시키는 가습물통을 포함하며, 몸체의 내부로 토출관과 수평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지지관, 지지관의 하부에서 그 내부로 일부 돌출되어 구 비되는 향 배출 세관, 향 배출 세관의 하부를 감싸도록 부착되고 내부에 치료향을 수용하는 향수용 케이스로 구성되는 향배출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산소발생기로부터 산소의 공급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동시에 치료향의 발산으로 환자의 치료를 도울 수 있고, 산소의 배출여부를 쉽게 알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한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향을 제공하는 치료향이 향배출부에서 소진되는 경우 향 배출 세관과 결합되어 있는 향배출부의 교체를 위한 탈착이 어려웠으며, 향배출부의 치료향이 지지관에서 산소 및 수증기와 합류하여 실내로 배출되게 유동이 구성되어 실내 측에 대한 치료향의 공급이 원활하지는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향기의 소진으로 인한 향기 공급 수단의 교체가 용이하며, 실내 측으로 향기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를 제공함이 목적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의 구성은 상부가 개방되어 물이 내부에 채워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의 내부로 산소의 공급을 허용하는 유입통로 및 상기 용기의 외부로 산소의 유출을 허용하는 유출통로가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의 유입통로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물속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유입관과, 상기 덮개의 유출통로가 시작되는 부분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아로마 병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분무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아로마 병이 내측으로 나사결합되는 원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부에는 상기 산소 유입관에 의해 상기 용기에서 유출된 산소를 상기 아로마 병의 내측으로 유동시키는 안내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상기 용기 측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체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의 일측에는 덮개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아래로 연장되는 평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의 좌우 가장자리는 단차를 두고 아 래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의 소정의 위치에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못과 같은 체결수단을 상기 체결홀을 통해 벽에 고정시켜 본 고안의 분무장치를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분무장치는 상기 덮개를 보호하고 분무장치를 벽 등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및 보호 케이스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정 및 보호 케이스는 상기 평면부의 좌우 가장자리 부분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 본 고안의 분무장치의 설치 및 분해가 간편하다.
더불어, 상기 아로마 병에는 액체상태의 아로마를 기화작용에 의해 상기 유출통로 측으로 유출시키는 모세관 현상 유발 소재, 예를 들어 선형스펀지 또는 면봉 소재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는 뚜껑부에 아로마 병이 탈착 가능하게 나사결합됨으로써 아로바 병의 아로마가 소진상태에서 아로마 병의 착탈이 용이하여 아로마 병에 아로마를 주입한 후 아로마의 재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물속을 통과한 산소버블이 아로마 병을 직접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됨으로써 아로마 병에서 외부 측으로 아로마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은 산소가 물 속에서 경괘하게 기포를 발생하면서도 아로마 병에서 나오는 아로마 향이 산소 및 수증기와 적절하게 혼합되어 자연발향 효과가 증대되고 실내 공기가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덮개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덮개와 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는 상부가 개방되어 물이 내부에 채워지는 용기(100)와, 용기(1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용기(100)의 내부로 산소의 공급을 허용하는 유입통 로(115) 및 용기(100)의 외부로 산소의 유출을 허용하는 유출통로(116)가 형성된 덮개(110)와, 덮개(110)의 유입통로(115)에 연결되어 용기(100)의 물속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유입관(125)과, 덮개(110)의 유출통로(116)가 시작되는 부분(116a)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아로마 병(130)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산소는 산소 유입관(125)을 통해 용기(100)의 내부로 공급되어 물속에서 폭기되고, 기포형태로 물속에서 부상하여 유출통로(1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산소는 수증기와 함께 유출통로(116)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고, 수증기가 외부로 공급되어 실내의 습도가 조절된다.
또한, 아로마 병(130)에 있는 아로마 액은 휘발성이 있어 기화가 되며, 산소와 함께 유출통로(116)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다. 아로마 병(130)의 아로마 액이 소진된 후에는 아로마 병(130)을 덮개(110)에서 분리하고 아로마 액을 내부에 채워 덮개(11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10)의 저면에는 아로마 병(130)이 내측으로 나사결합되는 원형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원형부(120)의 내면에는 아로마 병의 상단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또한, 원형부(120)에는 산소 유입관(125)에 의해 용기(100)의 물 속에서 폭기되어 유출되는 산소를 아로마 병(130)의 내측으로 유동시키는 안내로(122)가 형성된다(도 5 참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서 폭기된 산소는 상방으로 유동하여 안내로(122)에 의해 아로마 병(130)의 내측으로 유동된 후 다시 상방으로 유동하여 유출통로(11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물속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도 산 소와 같은 경로를 거쳐 실내로 공급된다. 즉, 산소와 수증기는 안내로(122)에 일단 유입된 후 아로마 병(130)에서 기화된 아로마 향과 함께 섞인 후 유출통로의 입구(116a)로부터 유출통로의 출구(116b)로 배출되는 것이다. 유출통로의 입구(116a)로부터 유출통로의 출구(116b) 사이는 산소, 수증기 및 아로마 향이 유동가능하도록 연통되어 있다.
이때, 산소 및 수증기가 아로마 병(130)의 내측을 통과하여 실내로 배출될 때 아로마 병(130)의 상부와 하부의 압력 차이에 의해 아로마 병(130)의 내부에서 아로마 액의 기화작용은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실내로 아로마의 공급량이 원활하게 증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유출통로의 입구(116a)와 출구(116b) 사이에는 유체 유도관이 설치되어 산소, 수증기 및 아로마 향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유출통로의 입구(116a)와 출구(116b) 사이는 연통되어 있어 유체의 유동이 가능한 공간이면 본 고안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덮개(110)의 저면에는 용기(100)측에 광을 조사하는 발광체(132)가 구비되어 수중에서 부상하는 산소버블 및 물속에서 빛의 굴절을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적인 볼거리를 제공한다.
한편, 덮개(110)의 일측에는 덮개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아래로 연장되는 평면부(142)가 형성되고, 평면부(142)에 체결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됨으로써 평면부(142)가 평면의 물체의 밀착된 후 나사가 체결홀을 통해 물체에 결합됨으로써 용 기(100)는 물체에 고정이 가능하고 일정높이로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분무장치에는 덮개(110)를 보호하고 분무장치를 벽 등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및 보호 케이스(160)가 추가로 제공된다. 고정 및 보호 케이스(160)는 평면부(142)의 좌우 가장자리 부분(144)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도 1, 도 2 및 도 3 참조).
더불어, 아로마 병(130)에는 액체상태의 아로마를 기화작용에 의해 유출통로(116) 측으로 유출시키는 모세관 현상 유발 소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모세관 현상 유발 소재로는 선형 스펀지 또는 면봉 소재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선형스펀지(150)에는 아로마 액이 쉽게 흡수되므로 아로마 액은 선형스펀지(150)를 따라 아로마 병(130)의 상부까지 이동이 가능하며, 안내로(122)를 통해 아로마 병(130)의 상부를 유동하는 산소 및 수증기에 의한 아로마 액의 기화작용이 활발해져서 실내 측으로 아로마의 공급량은 증가된다. 도 5에는 선형스펀지(150)가 아로마 병(130)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선형 스펀지(150)는 필요에 따라 아로마 병(130)의 상부로 돌출되어 유출통로(116)의 공간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아로마 액의 기화 및 유출통로(116)로의 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선형스펀지(150)가 없는 실시예를 배제하는 것이 아님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 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덮개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덮개와 용기가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용기 110: 덮개
115: 유입통로 116: 유출통로
116a: 유출통로 입구 116b: 유출통로 출구
120: 원형부 122: 안내로
125: 산소 유입관 130: 아로마 병
132: 발광체
142: 평면부 144: 평면부 가장자리
150: 선형스펀지
160: 고정 및 보호 케이스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어 물이 내부에 채워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용기의 내부로 산소의 공급을 허용하는 유입통로 및 상기 용기의 외부로 산소의 유출을 허용하는 유출통로가 형성된 덮개와,
    상기 덮개의 유입통로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물속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유입관과,
    상기 덮개의 유출통로가 시작되는 부분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아로마 병을 포함하는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저면에는 아로마 병이 내측으로 나사결합되는 원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원형부에는 상기 산소 유입관에 의해 상기 용기에서 유출된 산소를 상기 아로마 병의 내측으로 유동시키는 안내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로마 병에는 액체상태의 아로마를 기화작용에 의해 상기 유출통로 측으로 유출시키는 모세관 현상 유발 소재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 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
KR2020080004597U 2008-04-07 2008-04-07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 KR200900103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597U KR20090010345U (ko) 2008-04-07 2008-04-07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597U KR20090010345U (ko) 2008-04-07 2008-04-07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345U true KR20090010345U (ko) 2009-10-12

Family

ID=4153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597U KR20090010345U (ko) 2008-04-07 2008-04-07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34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0773B2 (en) Vortex humidifier
JP2005337704A (ja) 改良された紫外線消毒作用を有する加湿器
CN104019515B (zh) 一种加湿器
KR101406864B1 (ko) 방향 패치를 이용한 팬 타입 복합 기능 피톤치드 향 발산장치
US20190083671A1 (en) Humidifier with aromatherapy tray
CN101225986A (zh) 一种空气加湿器
KR20220000392U (ko) 디퓨져
JP2012149812A (ja) 滴下式気化機
JP2012254301A (ja) 香発生装置
KR101569062B1 (ko) 천연 약초 향 발산기
KR20090010345U (ko) 실내공기 개선을 위한 분무장치
KR20130023559A (ko) 하방향 수증기 배출 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KR200459540Y1 (ko) 가습 겸용 산소발생장치
KR101679577B1 (ko) 상부급수식 초음파 가습기
KR20120111258A (ko) 휘산기
JP2022090949A (ja) オゾンミスト発生装置
CN211050629U (zh) 一种壁挂式高流量氧疗加湿装置
KR101894757B1 (ko) 가열증발식 전기발향기
KR20110045506A (ko) 대나무숯 가습 장치 및 대나무숯 가습 장치를 포함하는 분경 장치
RU225676U1 (ru) Установка испарения солевого раствора
KR101293540B1 (ko) 소음 방지형 산소 토출기
JP2019152389A (ja) 加湿器
JP3123392B2 (ja) 加湿器
KR102421169B1 (ko) 피톤치드 배출기
KR200494341Y1 (ko) 발향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