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324A -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324A
KR20090010324A KR1020070073332A KR20070073332A KR20090010324A KR 20090010324 A KR20090010324 A KR 20090010324A KR 1020070073332 A KR1020070073332 A KR 1020070073332A KR 20070073332 A KR20070073332 A KR 20070073332A KR 20090010324 A KR20090010324 A KR 20090010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teel
structural
hole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8066B1 (ko
Inventor
이한욱
Original Assignee
경민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민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민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3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066B1/ko
Publication of KR20090010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wood and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공사에 있어서 형강 등을 이용한 강구조(鋼構造)로 구축된 골조 주위에 구조용집성재를 덧판으로 부착하여 강재와 목재를 일체화하여 하이브리드화한 구조재 및 그 구조재의 제조방법으로서, 강구조용 형강(型鋼) 주위에 목재로 된 구조용집성재를 기둥은 4면에 보 등은 3면에 고정부착하여 건축물의 마감 내장재로 사용 할 뿐만 아니라 내화피복 덧판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형강에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일체화시킨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강구조물은 철골조를 노출시키는 방법과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피복하고 그 위에 다른 재료로 마감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어떤 방법이든 내화처리와 마감처리를 하는 것이 필수적인 방법이다. 그러므로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피복재로 사용하여 강제와 일체화 하게 되면 강구조는 내화성능과 구조성능이 더욱 향상되고 모든 강구조에서 요구되는 내화성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목재로 제조된 구조용집성재를 강재 위에 부착함으로서 외관상으로 목구조와 같은 아름답고 온화한 감을 주는 내장재의 역할을 하게 되어 현대 대규모 목조건축물은 물론 문화재 건축 등 전통 목구조 건축물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마감재료를 겸할수 있다.
구조용집성재 덧판은 현장에서 시공이 간편하도록 공장에서 정확하게 규격화하여 제조 할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정확하며 신속한 시공이 가능함으로 공사기 간을 단축 할 수 있어 경제적인 Hybrid 구조재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이미 구축된 철골구조물 위에 설계도에 의거 가공된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기둥은 형강(型鋼)의 4면에, 보 등은 형강의 3면에, 형강을 감싸듯 다수의 구멍이 뚫린 형강의 플랜지(Frange)와 Web쪽의 3면과 4면에 부착하는 1단계와 이 구조용 집성재 덧판을 접착재와 적당한 간격으로 배치된 볼트, 철물크립, 라그나사못 및 목재다보로 체결하고 모든 철물을 은폐하기 위하여 목재마개로 Bolt 구멍을 막는 2단계로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강구조, 형강, 구조용집성재, 하이브리드

Description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 { the production method of Hybrid structure with steel structure and Glued laminated timber }
본 발명은 내화성능이 우수한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강구조물의 골조주위에 부착 일체화 하여 강구조를 화재로부터 보호하는 내화구조물의 피복재로 사용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의장성이 있는 목질 내장재로 사용 될 수 있는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구조물은 건축법규에 따라 내화구조로 구축해야 함으로 골조주위에 내화성능을 가진 석고보드 등 내화재료를 별도로 설치하거나 내화페인트를 도장하는 방법 또는 그 위에 내화우레탄을 분사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내화페인트를 도장하는 방법은 도료의 가격과 도장 방법에 따라 많은 경비가 소요되고 내화페인트의 숙성에 소요되는 장기간이 단점이며 우레탄 도료의 분사방법은 마감면의 품질 때문에 마감 재료가 필요 없는 용도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그러므로 어느 방법이든 미장을 위한 마감 재료의 시공이 2중,3중으로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건축구조재의 요건은 강도성능이 우수하고 내화구조재로 인정된 재료로서 마감(화장)재료의 성능이 우수한 재료가 되어야 한다.
이 중에서 구조용집성재는 내화성능이 우수하여 강구조로 형성된 골조주위에 간단한 방법으로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피복재료로 일체화하여 복합하게 되면 강재에 부족한 좌굴응력 등을 보강 할 수 있어 강도성능이 우수해지고 1시간 내화성능을 보유하고 있어 내화구조재로 사용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관상 목구조와 같은 아름다운 느낌을 주는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모든 구조용집성재 덧판은 공장에서 정밀하게 제조하여 현장에서 조립 설치하게 됨으로 시공이 간단하고 정확하며 특별한 기능을 필요치 않으며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고 유독성 내화재료의 뿜칠이나 페이트의 도포 등으로 발생하는 공해도 없는 환경친화적이며 경제적인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에 관한 것으로; 강구조로된 골조주위에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피복재로 부착하여 강도성능과 내화성능 및 내장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강구조 건축에 있어 형강의 3면 또는 4면에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부착하여 일체화 하는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형강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관통공과 이 형강 주위를 감싸고 상기 관통공에 대응되는 체결 공이 형성되어 있는 3개~4개의 분할된 덧판으로 이뤄지는 피복재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덧판의 맞닿은 접촉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시키는 제1단계: 및 상기 형강과 덧판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덧판의 체결공과 상기 형강의 관통공에 체결구를 삽입 체결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일반적인 강구조물을 형성하는 골조에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부착하여 일체화한 Hybrid 구조재로 강도성능이 향상되고 내화구조재로 인정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목구조와 같이 친환경적인 내장재의 역할을 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피복재로 하여 강구조를 이루는 형강에 부착하여 Hybrid화한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그 특징을 이해 할 수 있다.
이때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100)의 제 1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형강(型鋼)(110)과, 그 형강(11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형강(110)의 외부를 감싸는 피복재인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형강(110)은 일예로서 H형강(111)을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H형강(111)은 플랜지(111a, 111b)가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그 사이에 수직으로 웹(111c)이 일체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은 상기 형강(110)의 외부를 감싸게 되어 상기 형강(111)의 내화성능을 향상시키고 의장적(意匠的) 내장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을 피복재로 이용한다.
이 때,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은 목재가 지니고 있는 본연의 아름다움과 고유특성을 유지하면서 특별한 강도등급에 의하여 선정된 판재를 목리 방향으로 평행하게 집성 접착하여 공학적으로 특정 응력에 견딜 수 있도록 생산된 고강도 목질 재료료서, 내화성능이 우수하고 내화건축물의 구조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은 상기 형강(110)의 형상과 동일한 접합부(120a)가 형성되며, 2개의 분할된 구조용집성재 덧판(120’, 120”)로 분할 구성되어 공장이나 현장에서 형강(110)의 외부를 그대로 피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상기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은 다수의 분할된 구조용집성재 덧판(120’, 120”)과 맞닿는 접촉부(121)에는 접착제를 도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접착제(140)는 접착성능이 우수하고 공극 충진성을 지니고 있어 집성재나 복합재의 구조용 접착제(140)로 사용되는데 특히 비행기, 선박 등에 주로 사용된다.
한편, 상기 형강(110)의 표면에는 관통공(112)을 형성하고, 상기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에는 상기 형강(110)의 표면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공(112)과 연통되는 체결공(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형강(110)의 외부에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부착 한 후 체결구(150)를 상기 체결공(122)과 관통공(112)을 관통시켜 체결시켜 줌으로서 더욱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15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볼트 및 너트를 결합시켜 주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구(150)인 볼트 헤드와 너트는 체결공(122) 내부에 삽입지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의 체결공(122) 후측에 와샤가 들어갈 수 있는 체결공(122a)를 더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와샤구멍(122a)에는 체결구(150)인 볼트와 너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목질재로 이루어지는 마개(160)를 끼워줌으로서 마무리를 하게 된다.
이하, 도 1내지 도 2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강구조에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부착한 Hybrid 구조재의 제조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A) 준비 단계 ;
먼저, 표면에 관통공(112)이 형성되는 형강(110)과, 상기 형강(110)을 감싸되 상기 관통공(112)에 대응되는 체결공(122)이 형성되는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을 준비한다.
이 때, 형강(110)을 이용하여 골조 구조물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현장에서 구조용집성재덧판(120)을 설치할 수 있다.
(B) 접착단계 ;
상기 단계(A)로부터 자재를 준비한 다음, 1차로 상기 형강(110)의 표면에 상기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을 구성하는 다수의 분할된 구조용집성재 덧판(120’, 120”)의 접합부(120a)를 상기 형강(110)에 밀착 지지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형강(110)를 감싸는 분할된 덧판(120’, 120”)의 맞닿는 접촉부(121)에는 2차 접착제(140)를 도포하여 분할된 덧판(120’, 120”)들 끼리의 강한 접착력을 유지하게 된다.
(C) 체결단계 ;
상기 단계(B)로부터 형강(110)과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의 체결공(122)과 상기 형강(110)의 관통공(112)에 체결구(150)을 삽입 체결하여 줌으로서, 형강(110)으로부터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이 분리됨을 방지하게 된다. 특, 체결구(150)인 볼트를 상기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의 체결공(122)과 상기 형강(110)의 관통공(112)에 관통시킨 후 너트를 관통공(122)의 와샤구멍(122a)에 삽입하여 체결하여 줌으로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D) 마감처리 단계;
상기 단계(C)로부터 체결구(150)를 이용하여 견고히 조립한 후, 그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의 결합공(122) 후단의 와샤구멍(122a)에는 체결구(15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목(木)재질로 이루어지는 마개(160)를 박아 체결 하 게 된다.
한편,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100)의 제2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그 형강(110)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홈이 형성되며 그 표면에 체결공(122)이 형성되는 구조용집성재 덧판(120)를 밀착 지지 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은 다수의 분할된 덧판(120’, 120”)로 이루어지며, 따라서, 상기 분할된 덧판(120’, 120”)끼리 맞닿는 부분은 접착제(140)를 도포하여 분할된 덧판(120’, 120”)들 끼리의 강한 접착력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에 형성되는 체결공(122)에는 체결구(150)을 체결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체결구(150)으로는 분할된 덧판(120’, 120”)끼리만 결합시켜 주기 위해 목다보를 사용하여 체결시켜 주게 된다. 이와 같이 목다보만을 이용하여 견고히 체결하여 줌으로서, 상기 제1실시 예에서의 마감처리단계(D)가 필요 없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형강(110)의 형상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중앙부분에는 상기 체결공(122)에 대응되어 체결구(150)이 관통 체결되는 보조체결공(172)을 가지는 일반적인 목재블럭(170)으로 채워줌으로서,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100)의 제3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그 형강(110)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용집성재 덧판(120)를 밀착 지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은 다수의 분할된 덧판(120’, 120”)로 이루어지며, 표면에는 다수의 체결공(12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체결공(122)에는 체결구(150)을 체결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체결구(150)로 분할된 덧판(120’, 120”)끼리만 결합시켜 주는 경우에는 공지(公知)의 라그스크류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형강(110)과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을 결합 시켜 주기 위해서는 공지(公知)의 브라인드볼트(157)를 이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라인드볼드(157)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부(157a)의 일단부에 걸이부재(157b)가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타단부에 와샤(157c)가 채워진 상태에서 너트(157d)로 나사결합시켜 주면서 조여주게 된다.
상기 걸이부재(157b)는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의 체결공(122)과 형강(110)의 관통(112)을 통과하는 경우 걸개(157a)가 자동으로 회동되어 이탈이 방지되고, 그 상태에서 너트(157d)를 조여줌으로서 견고히 고정된다.
한편, 상기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의 체결공(122)과 형강(110)의 관통 공(112)의 후축와샤구멍(112a)에는 목재질의 마개(160)를 박아 마감처리 된다.
또한, 도 7은 발명에 따른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100)의 제4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사각형강(112)의 표면에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을 밀착 지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은 다수의 분할된 덧판(120’, 120”)로 이루어지며, 표면에는 다수의 체결공(12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체결공(122)에는 체결구(150)로 체결하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체결구(150)는 분할된 덧판(120’, 120”)끼리만 결합시켜 주는 경우에는 목다보를 이용하여 체결하고, 형강(110)과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을 결합시켜 주기 위해서는 브라인드볼트를 이용하게 된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100)의 제5 내지 제6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으로 I형강 등 형강(110)을 이용하여 철골 구조물을 형성한 후 콘크리트 타설 등으로 인해 형강(1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부분은 별도의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사용하지 않고 나머지 노출되는 부분만을 구조용집성재 덧판(120)과 체결구(150)를 이용하여 형강(110)의 표면을 피복처리 하게 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100)의 제7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H형강(111)의 플랜지(111a,111b)의 외부면에 구조용집성재 덧판으로 이루어지는 분할 된 덧판(120’)을 대고 그 양측면을 따라 ‘ㄱ’자 형상의 고정크립(150a)을 이용하여 플랜지(111a, 111b)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할 된 덧판(120’)의 양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별도의 분할된 덧판(120”)를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분할된 덧판(120”)은 다수의 체결공(122)이 형성되어 있어 그 체결공(122)에 체결구(150)인 라그나사(rag screw)로 체결하여 분할된 덧판(120”)을 다른 분할된 덧판(120’)에 고정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그 체결공(122)을 마개(160)로 막아 마무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공방법에 H형강(111)의 사면(四面)을 마감처리할 수 있어 기둥구조물에 적합하다.
또한,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100)의 제8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H형강(111)의 플랜지(111a, 111b)사이에 몰재블럭(170)을 채우고 일측 플랜지(111a)의 외부면에 구조용집성재 덧판으로 이루어지는 분할 된 덧판(120’)을 대고 그 양측면을 따라 “ㅡ”자 형상의 고정크립(150a’)을 이용하여 목재블럭(170)과 분할된 덧판(120’)을 결합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할된 덧판(120’) 및 목재블럭(170)의 외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별도의 분할된 덧판(120”)을 밀착시킨다.
이때, 상기 분할된 덧판(120”)은 다수의 체결공(122)이 형성되어 있어 그 체결공(122)이 형성되어 있어 그 체결공(122)에 체결구인 라그나사(rag screw)를 체결하여 분할된 덧판(120”)을 분할된 덧판(120’) 및 목재블럭(170)에 고정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그 체결공(122)을 마개(160)로 막아 마무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공방법에 의해 H형강(111)의 삼면(三面)을 마감처리할 수 있어 보구조물에 적합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이며 기둥부재로 사용되는 형강(型鋼)주위에 2개의구조용 집성재 덧판을 접착제와 볼트에 의해 일체화 된 부재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구조용집성재 덧판과 강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이며 4개의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형강 주위에 목재다보로 조립 일체화한 부재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구조용집성재 덧판과 형강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이며 4개의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형강 4면에 블라인드 볼트와 라그나사못으로 조립 일체된 부재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블라인드 볼트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이며 4각형강(四角型鋼)주위에 4개의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블라인드 볼트와 목재다보로 조립 일체화 된 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이며 보 부재로 사용되는 형강주위 3면에 2개의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접착제와 볼트에 의해 조립 일체화 된 부재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이며 형강주위 3면에 3개의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볼트와 목재다보에 의해 조립 일체화 된 부재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이며 이미 구축된 철골 구조물의 기둥부재에 4면을 4개의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고정크립과 라그나사못으로 부착 조립된 도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의 단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 예이며 보 부재의 3면을 3개의 구조용집성재 덧판을 고정크립과 라그나사못으로 조립 일체화 된 부재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구조용집성재 덧판과 형각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하이브리드 구조재 110: 형강
120: 덧판 120',120": 분할된 덧판
150: 체결구 160: 마개

Claims (9)

  1. 강구조 건축물을 형성하는 형강(110)과 그 형강(110)의 외부를 감싸 형강(110)의 피복재로 부착하는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형강(110)의 표면에는 상기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을 부착하고, 상기 형강(110)의 표면에는 관통공(112)을 형성하고, 상기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의 표면에는 상기 체결공(122)을 형성하여, 상기 체결공(122)과 관통공(112)에는 체결구(150)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의 관통공(122) 후단에는 와샤구멍(122a)이 형성되고, 그와샤구멍(122a)에는 체결구(15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재마개(160)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150)는 브라인트볼트, 목다보, 라그스크류, 한쌍의 볼트/너트중에 어느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은 상기 형강이 안착되는 플랜지홈(120a)이 형성되는 다수의 분할돈 덧판(120”,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분할된 덧판(120”,120”)의 접촉부(121)에는 접착제(140)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6. 표면에 관통공(112)이 형성되는 형강(110)과, 구조용집성재 덧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형강(110)을 감싸되 사기 관통공(112)에 대응되는 체결공(122)이 형성되는 다수의 분할된 덧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에 있어서, 상기 분할된 덧판의 맞닿는 접촉부(121)에는 접착제(140)를 도포하여 접착시키는 제1단계; 및 상기 형강(110)과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을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구조용집성재 덧판 결공(122)과 상기 형강(110)의 관통공(112)에 체결구를 삽입 체결하는 제2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의 제조방법.
  7. 플랜지(111a,111b)를 가지는 H형강(111)과, 구조용집성재 덧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H형강(111)을 감싸는 다수의 분할된 덧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에 있어서, H형강(111)과 플랜지(111a,111b)의 외부면에 분할된 덧판(120’)을 대고 그 양측면을 따라 ‘ㄱ’자 형상의 고정크립(150a)을 이용하여 플랜지(111a,111b)에 고정하는 제1단계;
    상기 분할된 덧판(120’)에 체다수의 결공(122)이 형성되는 분할된 덧판(120”)을 밀착시키고, 상기 체결공(122)에 체결구인 라그나사(rag screw)를 체결하여 분할된 덧판(120”)을 분할된 덧판(120’)에 고정시는 제2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의 제조방법.
  8. 플랜지(111a,111b)를 가지는 H형강(111)과, 구조용집성재 덧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H형강(111)을 감싸는 다수의 분할된 덧판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11a,111b) 사이에 목재블럭(170)을 채우고 일측 플랜지(111a)의 외부면에 분할된 덧판(120’)을 대고 그 양측면을 따라 ‘ㅡ’자 형상의 고정크립(150a’)을 이용하여 목재블럭(170)과 분할된 덧판(120’)을 결합하는 제1단계;
    상기 분할된 덧판(120’) 및 목재블럭(170)의 외부면에 별도의 분할된 덧 판(120”)을 밀착시키고 다수의 체결공(122)이 형성되는 상기 분할된 덧판(120”)에 체결구인 라그나사(rag screw)를 체결하여 분할된 덧판(120”)을 분할된 덧판(120’) 및 목재블럭(170)에 고정시키는 제2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의 제조방법.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지 제2단계를 거친 후, 상기 체결구가 체결된 상기 구조용집성재 덧판(120)의 결함공(122)후단에 목(木)재질로 이루어지는 마개(160)를 체결하는 제 3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의 제조방법.
KR1020070073332A 2007-07-23 2007-07-23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98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332A KR100898066B1 (ko) 2007-07-23 2007-07-23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3332A KR100898066B1 (ko) 2007-07-23 2007-07-23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324A true KR20090010324A (ko) 2009-01-30
KR100898066B1 KR100898066B1 (ko) 2009-05-15

Family

ID=4048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3332A KR100898066B1 (ko) 2007-07-23 2007-07-23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06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696B1 (ko) * 2010-03-23 2010-09-02 주식회사 남도조경 옥외용 퍼걸러
KR101687375B1 (ko) * 2015-07-17 2016-12-16 용성종합건설(주) 건축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JP2018096068A (ja) * 2016-12-12 2018-06-21 大成建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構造材の製造方法及びハイブリッド構造材
CN111648526A (zh) * 2020-03-10 2020-09-11 天津大学 一种冷弯薄壁钢胶合木组合构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199Y1 (ko) 2009-06-10 2012-01-30 비엔지 주식회사 마감재 결합이 용이한 에이치 형강 기둥 조립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5039B2 (ja) * 2004-09-22 2010-01-0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築構造材、建築物の骨組み及び建築物
KR100579702B1 (ko) 2005-07-19 2006-05-15 한진수 건축용 구조부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696B1 (ko) * 2010-03-23 2010-09-02 주식회사 남도조경 옥외용 퍼걸러
KR101687375B1 (ko) * 2015-07-17 2016-12-16 용성종합건설(주) 건축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JP2018096068A (ja) * 2016-12-12 2018-06-21 大成建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構造材の製造方法及びハイブリッド構造材
CN111648526A (zh) * 2020-03-10 2020-09-11 天津大学 一种冷弯薄壁钢胶合木组合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8066B1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9021B2 (en) Modular wall segments
US4193240A (en) Exterior wall composition
KR100898066B1 (ko)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
JP4272180B2 (ja) 鋼製構造物とその補強方法
DE10254043A1 (de) Verbundkonstruktion hoher Tragfähigkeit
KR20100134294A (ko)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
US5666781A (en) Metal fasteners for wood construction use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house
US20070283659A1 (en) Modular truss system
Gillespie et al. Adhesives in building construction
AU2008101057B4 (en) A panel and process for preparing a panel
JPH0327145Y2 (ko)
Olorunnisola et al. Design of wood connections
RU2245970C2 (ru) Трехслой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Kairi 4.4 Glued/screwed joints/screw glued wooden structures
WO2024070374A1 (ja) 木軸トレーラー、木軸部材用固定金具、及び木軸トレーラーの製造方法
JP7412057B1 (ja) 木軸トレーラー、木軸部材用固定金具、及び木軸トレーラーの製造方法
JP2515569Y2 (ja) 化粧材被覆角形鋼管からなる柱と梁との接合構造
US11072927B1 (en) Framing assembly
JP2948716B2 (ja) 木造軸組パネル構造
KR102077442B1 (ko) 건축물의 외장재
JPS6073931A (ja) 構造用部材とその製造方法
JP3181707U (ja) Θシータパイプ
JPH06330574A (ja) 分割柱を用いた内外一体軽量壁面体家屋の建築工法
JPH0225849Y2 (ko)
JPH032347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