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696B1 - 옥외용 퍼걸러 - Google Patents

옥외용 퍼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696B1
KR100979696B1 KR1020100025718A KR20100025718A KR100979696B1 KR 100979696 B1 KR100979696 B1 KR 100979696B1 KR 1020100025718 A KR1020100025718 A KR 1020100025718A KR 20100025718 A KR20100025718 A KR 20100025718A KR 100979696 B1 KR100979696 B1 KR 100979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main support
support
pair
support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도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도조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도조경
Priority to KR1020100025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외용 퍼걸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옥외용 퍼걸러는 구조물의 2개소 코너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좌우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길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들; 상기 한 쌍의 지지브라켓들의 이격방향인 좌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인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각각 일측이 상기 지지브라켓들에 결합되며, 상기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와 직교하는 상측 플랜지부 및 하측 플랜지부를 가지는 한 쌍의 메인 지지블럭들; 상기 각 메인 지지블럭의 중심부와 상측 플랜지부와 하측 플랜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삽입채널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각 메인 지지블럭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마감캡들; 각각 상기 좌우 폭방향을 가로 질러서 한 쌍의 메인 지지블럭들에 결합되고, 상기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그늘막부재들; 및 상기 그늘막부재의 상측에서 상기 그늘막부재와 메인 지지블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텐션을 가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각 지지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그늘막부재와 메인 지지블럭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와이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옥외용 퍼걸러{Pergola}
본 발명은 옥외용 퍼걸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소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측면에서부터 내부로 들어오는 태양광의 차단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옥외용 퍼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외용 퍼걸러는 보통 '파고라'라고 칭해지는 것으로, 목재 또는 목재와 철재를 혼용하는 형태로 제작되어지며, 파고라 상측에는 직선형태의 그늘막 구조가 설치되어짐에 따라 측면부 일사광선의 차단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천연목재 또는 방부목재로 제작되는 파고라는 수축에 의한 크랙 및 부식발생, 방부액의 용해유출로 인한 환경적인 위해요인이 발생할 소지가 있으며, 정기적인 오일스테인 도장 등의 사후관리비용이 발생하고 내구성이 짧은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내구성이 좋은 합성목재로 옥외용 퍼걸러를 제작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러한 옥외용 퍼걸러의 제작에 있어서 구성이 간소하면서 디자인의 심플함 또는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측면 태양광의 차단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한 옥외용 퍼걸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조물의 2개소 코너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좌우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길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들; 상기 한 쌍의 지지브라켓들의 이격방향인 좌우 폭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인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각각 일측이 상기 지지브라켓들에 결합되며, 상기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중심부, 상기 중심부와 직교하는 상측 플랜지부 및 하측 플랜지부를 가지는 한 쌍의 메인 지지블럭들; 상기 각 메인 지지블럭의 중심부와 상측 플랜지부와 하측 플랜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삽입채널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각 메인 지지블럭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마감캡들; 각각 상기 좌우 폭방향을 가로 질러서 한 쌍의 메인 지지블럭들에 결합되고, 상기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그늘막부재들; 및 상기 그늘막부재의 상측에서 상기 그늘막부재와 메인 지지블럭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텐션을 가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각 지지브라켓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그늘막부재와 메인 지지블럭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와이어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옥외용 퍼걸러는 제품의 구성의 간소화 및 시공의 용이함을 이룰 수 있고 심플하며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제품에 부여할 수 있는 장점과 측면 태양광 차단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내부 이용공간과 외부조명시야가 확충되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퍼걸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옥외용 퍼걸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그늘막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합성목재 성형장치의 사시도.
도 6 내지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성형장치에 의한 동작과정도.
도 11은 다른 형상을 가지는 그늘막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합성목재 성형장치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퍼걸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퍼걸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옥외용 퍼걸러는, 지지브라켓(100)들과 한 쌍의 메인 지지블럭(110)들과 한 쌍의 마감캡(120)들과 다수의 그늘막부재(130)들과 와이어(14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브라켓(100)들은, 구조물의 2개소 코너 부분을 받쳐 줌으로써 그 구조물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지지시킬 수 있도록, 좌우 폭방향(A; 이하 '폭방향'이라 함)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각 메인 지지블럭(110)은, 상기 폭방향(A)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그 폭방향(A)과 직교하는 방향인 전후 길이방향(B)(이하 '길이방향'이라 함)으로 길게 형성되는 곡선형 라인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상기 지지브라켓(100)들에 결합된다.
이러한 메인 지지블럭(110)은, 그늘막부재(130)들을 견고히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길이방향(B)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중심부(114), 그 중심부(114)와 직교하는 상측 플랜지부(115) 및 하측 플랜지부(116)를 구비한다. 즉, 상기 메인 지지블럭(110)은 대략 'I'빔 또는 'H'빔 형상을 가진다. 상기 상측 플랜지부(115)와 하측 플랜지부(116)는 각각 중심부(114)를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고 그 중심부(114)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됨으로써, 삽입채널을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메인 지지블럭(110)과 지지브라켓(100)들 간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 간소화되어 있다.
즉, 상기 각 지지브라켓(100)은, 그늘막부재(130)를 사이에 두고 하측에 위치한 하측 지지부재(102)와 상측에 위치한 상측 지지부재(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측 지지부재(104)와 하측 지지부재(102)는 각각 메인 지지블럭(11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지지블럭(110)은 상측 지지부재(104)와의 결합을 위한 상측 결합부(112)와 하측 지지부재(102)와의 결합을 위한 하측 결합부(111)를 구비한다.
또한, 상측 지지부재(104)는 상측 결합부(112)가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가지는 상측 메인기둥(104a)을 구비하고, 하측 지지부재(102)는 하측 결합부(111)가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가지는 하측 메인기둥(102a)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상측 지지부재(104)는 상측 메인기둥(104a)을 감싸는 형태로 그 상측 메인기둥(104a)에 결합되는 상측 마감기둥(104b)을 구비하고 상기 하측 지지부재(102)는 하측 메인기둥(102a)을 감싸는 형태로 그 하측 메인기둥(102a)에 결합되는 하측 마감기둥(102b)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측 메인기둥(104a)과 하측 메인기둥(102a)은 각각 상기 구조물을 지면에 견고히 지지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철재, 알루미늄, 구리, 스테인레스 강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 마감기둥(104b)과 하측 마감기둥(102b)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옥외용 퍼걸러의 외관을 미려(美麗)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목재 재질 바람직하게는 합성목재(Wood-plastic composite)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하측 메인기둥(102a)의 내측에 각 메인 지지블럭(110)의 하측 결합부(111)가 삽입된 상태에서, 하측 마감기둥(102b) 및 하측 메인기둥(102a)을 순차로 관통하는 스크류가 하측 결합부(111)에 체결됨으로써, 지지브라켓(100)들과 메인 지지블럭(110)들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한다. 결국, 본 실시예는, 하측 결합부(111)가 하측 메인기둥(102a)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브라켓(100)과 메인 지지블럭(11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조립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측 메인기둥(104a)의 내측에 메인 지지블럭(110)의 상측 결합부(1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측 마감기둥(104b) 및 상측 메인기둥(104a)을 순차로 관통하는 스크류가 상측 결합부(112)에 체결됨으로써, 상측 지지부재(104)와 메인 지지블럭(11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결국, 본 실시예는 상측 결합부(112)가 상측 메인기둥(104a)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측 지지부재(104)와 메인 지지블럭(11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조립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140)의 일단부가 상측 마감기둥(104b)에 결합됨으로써 그 와이어(140)를 지지브라켓(100)에 견고히 지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각 마감캡(120)은 상기 삽입채널에 삽입됨으로써, 각 메인 지지블럭(110)에 결합된다. 이러한 마감캡(120)은 본 발명에 의한 옥외용 퍼걸러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메인 지지블럭(110) 내에 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마감캡(1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제품의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고 심플하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제품에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그늘막부재(130)들은, 상기 구조물의 차양 역할을 하는 것으로 태양광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그늘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각 그늘막부재(130)는 상기 폭방향(A)을 가로 질러서 한 쌍의 메인 지지블럭(110)들에 결합되고, 상기 길이방향(B)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각 그늘막부재(130)는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구조물의 측면에서 그늘막부재(130)의 하측으로 들어오는 태양광을 직선형 타입에 비해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한다.
본 실시예는 메인 지지블럭(110)과 그늘막부재(130)들 간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 간소화되어 있다.
즉, 상기 각 메인 지지블럭(110)은, 길이방향(B)으로 나열된 복수의 끼움리브(113)들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는, 상기 끼움리브들(113)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끼움리브(113)들 사이에 각 그늘막부재(130)의 일측이 끼워맞춤됨으로써, 그늘막부재(130)와 메인 지지블럭(11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결국, 그늘막부재(130)와 메인 지지블럭(110) 간의 결합을 위한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게 되고, 조립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각 와이어(140)는, 일단부가 각 지지브라켓(10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그늘막부재(130)와 메인 지지블럭(110)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됨으로써, 그늘막부재(130)의 상측에서 그늘막부재(130)와 메인 지지블럭(11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텐션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은 메인 지지블럭(110)들과 그늘막부재(130)들이 한 쌍의 지지브라켓(100)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구조물의 4개소 코너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두 쌍의 지지브라켓(100)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에 비하여, 구성의 간소화 및 공간활용의 폭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반면 한 쌍의 지지브라켓(100)에 지지되어 있지 않는 부분에서 구조물의 하중 때문에 쳐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그늘막부재(130)와 메인 지지블럭(110)들 중 어느 하나에 텐션을 가하는 와이어(140)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퍼걸러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곡선형 그늘막부재(130)가 채용된 것이 아니라 직선형 그늘막부재(200)가 채용되었다. 이러한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비해 측면에서 그늘막부재(200)의 하측으로 들어오는 태양광의 차단효율을 떨어지나, 제품 제작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옥외용 퍼걸러에 대해 설명하였다.
한편, 상기 그늘막부재(130)는 목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금형 내에 배합원료를 넣어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원재료인 직선형 합성목재를 가공하여 성형된 곡선형 합성목재가 채용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옥외용 퍼걸러에 채용되는 곡선형 그늘막부재(이하 '곡선형 합성목재'라 함)의 성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그늘막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합성목재 성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성형장치의 동작과정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늘막부재와 마감캡과 같은 곡선형 합성목재(22)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장치는, 한 쌍의 몰딩용 리브(10)와 원재료 공급장치(12)와 가열 유니트와 상대이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몰딩용 리브(10)는, 동일한 곡선형 라인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몰딩용 케이스(16) 내에서 서로 접근 및 이격가능하도록 그 몰딩용 케이스(16)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몰딩용 리브(10)들은, 어느 하나의 몰딩용 리브(10)에 대해 다른 하나의 몰딩용 리브(10)가 접근되면서, 그 몰딩용 리브(10)들 사이에 위치한 겔링화된 원재료를 압착시킴으로써 일정한 폭을 가지는 곡선형 합성목재(22)의 성형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원재료로는, 직선형 합성목재(18) 또는 사용하고 남은 짜투리 합성목재(20) 등이 사용될 수 있고, 합성목재 성형을 위한 배합원료의 사용도 가능하다. 특히, 상기 짜투리 합성목재(20)의 경우 상기 곡선형 합성목재(22)의 폭을 균일하게 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두께가 일정한 직선형 합성목재(18)만을 원재료로 한 경우에 곡선형 합성목재(22)의 폭이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곡선형 합성목재(22)를 성형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미리 계산된 실험데이타를 통해 적절한 짜투리 합성목재(20)가 사용될 것이 요구된다.
상기 몰딩용 케이스(16)는, 하부케이스(16a)와 상부케이스(16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케이스(16a)에는 상기 몰딩용 리브(10)들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6b)는 상기 하부케이스(16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6b)의 상기 하부케이스(16a)에 대한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예컨대 후술한 이송스크류(24)나 가이드부재(28)가 채택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 원재료 공급장치(12)는, 상기 한 쌍의 몰딩용 리브(10) 사이로 원재료인 합성목재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몰딩용 케이스(16)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열코일(14)이 내장되어 있는 하판(12a)과 상기 하판(12a)을 폐쇄 및 개방시키기 위하여 그 하판(12a)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판(1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가열코일(14)은 상기 가열 유니트를 구성하는 요소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원재료 공급장치(12)의 구성에 대한 설명 및 원재료 공급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판(12a)은, 상기 원재료인 합성목재를 상기 몰딩용 케이스(16)의 외부로부터 상기 몰딩용 케이스(16)의 내측으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합성목재를 상기 가열코일(14)에 의해 가열하여 상기 원재료의 겔링화를 가능하게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12a)에 원재료가 놓여지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2b)이 하판(12a)에 대해 하강하면서 그 하판(12a)을 폐쇄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하판(12a)에 내장되어 있는 가열코일(14)이 상기 원재료를 가열하면서 상기 원재료의 겔링화가 진행되고, 상기 하판(12a)이 상기 몰딩용 케이스(16) 측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 이후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2b)이 하판(12a)에 대해 상측으로 상승함으로써 상기 원재료가 상기 몰딩용 케이스(16) 측으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10를 참조하여 상기 상대이동수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대이동수단은, 상기 한 쌍의 몰딩용 리브(10)들 중 어느 하나의 몰딩용 리브(10)를 다른 하나의 몰딩용 리브(10)에 대해 상대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몰딩용 리브(10) 사이로 공급된 겔링화된 합성목재를 상기 한 쌍의 몰딩용 리브(10)들로 압착시킴으로써 상기 곡선형 라인에 상응하고 일정 폭을 가지는 곡선형 목재를 성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대이동수단으로는 이송스크류(24)와 고정너트(26)가 채용되었다. 상기 이송스크류(24)는, 일단이 모터(미도시)의 구동축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그 구동축에 동력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각 몰딩용 리브(10)와 함게 이동은 가능하고 회전은 자유로울 수 있도록 그 몰딩용 리브(10)에 결합된다.
상기 고정너트(26)는 상기 이송스크류(24)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스크류(24)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성형장치는, 상기 이송스크류(24)의 이동시에 상기 몰딩용 리브(10)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가이드부재(2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대이동수단을 구비하는 성형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딩용 리브(10)들 중 어느 하나가 위치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몰딩용 리브(10)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송스크류(24)와 함께 상기 어느 하나의 몰딩용 리브(10) 측으로 접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다른 하나의 몰딩용 리브(10)가 어느 하나의 몰딩용 리브(10) 측으로 접측하면서, 상기 겔링화된 원재료를 일정한 폭을 가지는 곡선형 합성목재(22)가 되도록 압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몰딩용 케이스(16)의 상부케이스(16b)가 상기 하부케이스(16a) 측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몰딩용 리브(10)들과 함께 상기 겔링화된 원재료를 압착함으로써,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지는 곡선형 합성목재(22)가 성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곡선형 합성목재(22)의 성형이 완료되고 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른 하나의 몰딩용 리브(10)가 어느 하나의 몰딩용 리브(10)에 대해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11은 다른 형상을 가지는 그늘막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합성목재 성형장치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성형장치는, 몰딩용 리브(10)들의 형상만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이 앞에서 설명한 성형장치와 동일하다. 즉, 앞에서 설명한 성형장치의 몰딩용 리브(10)는 대략 'S' 형상이고, 본 성형장치는 대략 반원형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채용된 성형장치는, 상기 몰딩용 리브(10)의 형상 만을 교체함으로써 서로 다른 곡선 형상을 가지는 합성목재의 성형을 가능하게 한다. 결국, 하나의 성형장치로 다양한 형상의 곡선형 합성목재(22)의 성형이 가능해 짐으로써, 설비투자비용 및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옥외용 퍼걸러에 대한 주요부호의 설명*
100:지지브라켓 102:하측 지지부재
102a:하측 메인기둥 102b:하측 마감기둥
104:상측 지지부재 104a:상측 메인기둥
104b:상측 마감기둥 110:메인 지지블럭
111:하측 결합부 112:상측 결합부
113:끼움리브 114:중심부
115:상측 플랜지부 116:하측 플랜지부
120:마감캡 130:그늘막부재
140:와이어 A:폭방향
B:길이방향
*합성목재 성형장치에 대한 주요부호의 설명*
10: 몰딩용 리브 12:원재료 공급장치
12a:하판 12b:상판
14:가열코일 16:몰딩용 케이스
16a:하부케이스 16b:상부케이스
18:직선형 합성목재 20:짜투리 합성목재
22:곡선형 합성목재 24:이송스크류
26:고정너트 28:가이드부재

Claims (5)

  1. 구조물의 2개소 코너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좌우 폭방향(A)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길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100)들;
    상기 한 쌍의 지지브라켓(100)들의 이격방향인 좌우 폭방향(A)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인 전후 길이방향(B)을 따라 연장되고, 각각 일측이 상기 지지브라켓(100)들에 결합되며, 상기 전후 길이방향(B)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중심부(114), 상기 중심부(114)와 직교하는 상측 플랜지부(115) 및 하측 플랜지부(116)를 가지는 한 쌍의 메인 지지블럭(110)들;
    상기 메인 지지블럭(110)과 동일한 라인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각 메인 지지블럭(110)의 중심부(114)와 상측 플랜지부(115)와 하측 플랜지부(116)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삽입채널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각 메인 지지블럭(110)에 결합되는 한 쌍의 마감캡(120)들;
    각각 상기 좌우 폭방향(A)을 가로 질러서 한 쌍의 메인 지지블럭(110)들에 결합되고, 상기 전후 길이방향(B)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그늘막부재(130)들; 및
    상기 그늘막부재(130)의 상측에서 상기 그늘막부재(130)와 메인 지지블럭(11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텐션을 가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각 지지브라켓(10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그늘막부재(130)와 메인 지지블럭(110)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와이어(140)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퍼걸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브라켓(100)은, 상기 그늘막부재(130)를 사이에 두고 하측에 위치한 하측 지지부재(102)와 상측에 위치한 상측 지지부재(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 지지부재(104)와 하측 지지부재(102)는 각각 상기 각 메인 지지블럭(110)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퍼걸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지지블럭(110)들은, 상기 각 지지브라켓과 만나는 위치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상측 결합부(112)와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 하측 결합부(111)를 구비하고,
    상기 각 지지브라켓(100)의 상측 지지부재(104)는, 상기 각 메인 지지블럭(110)의 상측 결합부(112)가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가지는 상측 메인기둥(104a)을 구비하며, 상기 각 지지브라켓(100)의 하측 지지부재(102)는, 상기 각 메인 지지블럭(110)의 하측 결합부(111)가 내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가지는 하측 메인기둥(102a)을 구비하여서,
    상기 각 상측 메인기둥(104a)과 하측 메인기둥(102a)의 내측에 상기 각 메인 지지블럭(110)의 상측 결합부(112)와 하측 결합부(111)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 메인기둥(104a)과 하측 메인기둥(102a)을 관통하는 스크류가 각각 상기 상측 결합부(112)와 하측 결합부(11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지지브라켓(100)들과 메인 지지블럭(110)들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퍼걸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메인 지지블럭(110)은, 전후 길이방향(B)을 따라 나열된 끼움리브(113)들을 구비하여서,
    상기 끼움리브(113)들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끼움리브(113)들 사이에 상기 각 그늘막부재(130)의 일측이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퍼걸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그늘막부재(130)는 곡률반경을 가지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외용 퍼걸러.
KR1020100025718A 2010-03-23 2010-03-23 옥외용 퍼걸러 KR100979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718A KR100979696B1 (ko) 2010-03-23 2010-03-23 옥외용 퍼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718A KR100979696B1 (ko) 2010-03-23 2010-03-23 옥외용 퍼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9696B1 true KR100979696B1 (ko) 2010-09-02

Family

ID=43009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718A KR100979696B1 (ko) 2010-03-23 2010-03-23 옥외용 퍼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6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660U (ko) * 1989-07-28 1991-03-25
JPH0418102U (ko) * 1990-06-05 1992-02-14
KR200441914Y1 (ko) 2007-05-18 2008-09-22 이종훈 지붕막 장치
KR20090010324A (ko) * 2007-07-23 2009-01-30 경민산업주식회사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9660U (ko) * 1989-07-28 1991-03-25
JPH0418102U (ko) * 1990-06-05 1992-02-14
KR200441914Y1 (ko) 2007-05-18 2008-09-22 이종훈 지붕막 장치
KR20090010324A (ko) * 2007-07-23 2009-01-30 경민산업주식회사 강구조용 하이브리드 구조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696B1 (ko) 옥외용 퍼걸러
KR101168864B1 (ko) 옥외용 퍼걸러
CN203887032U (zh) 用于全自动一次成型龙骨机的接头冲压剪切机构
CN208894933U (zh) 一种金属门窗加工用冷压成型装置
CN203092122U (zh) 一种装配汽车水箱用斜面工作台
CN203766035U (zh) 一种塑钢型材结构的成型工艺用的成型机
KR100982040B1 (ko) 곡선형 벤치
CN205840256U (zh) 一种用于钢结构厂房外墙装饰的罗马柱结构
CN212678687U (zh) 一种装饰材料用的多角度放置架
CN103114785B (zh) 一种门套立板安装结构及安装方法
CN204276585U (zh) 多曲面成型铝单板雨罩组件加工设备
CN103921104B (zh) 天窗玻璃密封条压合设备用压合部件
CN202164730U (zh) 一种阳光房
CN209413799U (zh) 一种断桥易拆卸防护栏
CN217319281U (zh) 一种防变形效果好的亚克力管弯曲定型装置
CN205736010U (zh) 一种自动皮雕包边机
CN220841779U (zh) 一种门套线热压贴皮装置
CN107524374A (zh) 一种便于拆卸的升降窗户固定框架
CN220413793U (zh) 一种可对布面整平的夹持机构
CN101352299A (zh) 长度可调的通用型窗帘机
CN207825439U (zh) 一种木塑门框型材定型模具
CN207669612U (zh) 一种景观仿木纹制作用模具
CN204418921U (zh) 隐形铝框木移门防变形铝框
CN211776354U (zh) 一种钢结构遮雨棚的调节机构
CN212494739U (zh) 一种frp采光板铁边滚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