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259A - 자동차 위법 전조등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위법 전조등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259A
KR20090010259A KR1020070072676A KR20070072676A KR20090010259A KR 20090010259 A KR20090010259 A KR 20090010259A KR 1020070072676 A KR1020070072676 A KR 1020070072676A KR 20070072676 A KR20070072676 A KR 20070072676A KR 20090010259 A KR20090010259 A KR 20090010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headlight
vehicle
illegal
ana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2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0905B1 (ko
Inventor
전병태
Original Assignee
전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태 filed Critical 전병태
Priority to KR1020070072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90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0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위법 전조등 자동 단속 시스템으로 기존의 수작업에 의한 단속 방법의 한계점을 개선하고 위법 전조등으로 인한 교통사고 유발 방지 및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을 감지하고 촬영하기 위한 촬영장치 및 감지 센서 제어부; 촬영된 차량 영상에서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을 추출하는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 추출부;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의 특징(영역의 밝기, 크기, 모양) 정보와 기준(정상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위법 사항을 판정하는 전조등 위반 사항 검증부; 전조등에 관한 모든 분석 정보를 보유하고 전조등 위반 사항 검증부에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전조등 정보 관리부; 위법 차량에 대한 정보를 처리·저장하고 전송을 위한 정보 저장 및 전송부; 전송된 정보를 모니터 또는 전광판에 출력하는 전조등 정보 출력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조등 위법 차량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차량, 자동차, 위법 전조등, 헤드램프, 전조등, 안개등, 차량등

Description

자동차 위법 전조등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egulating illegal headlight vehicles }
도 1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위법 전조등 자동 단속 시스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위법 전조등 자동 단속 시스템에 있어서, 감광 필터를 부착한 촬영 장치와 감지 센서의 구성에 따라 이동식 또는 고정식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위법 전조등 자동 단속 시스템에 있어서, 전조등 및 안개등 위치를 찾는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 추출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위법 전조등 자동 단속 시스템에 있어서, 추출된 전조등의 위반 여부를 판정하는 전조등 위반 사항 검증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위법 전조등 자동 단속 시스템에 있어서, 전조등 위반 판단을 위한 기준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전조등 정보 관리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위법 전조등 자동 단속 시스템에 있어서, 위반 차량 정보를 저장·관리하고 전송하는 정보 저장 및 전송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 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촬영 장치(이동식, 고정식) 및 감지 센서 제어부
200 :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 추출부
300 : 전조등 위반 사항 검증부
400 : 전조등 정보 관리부
500 : 정보 저장 및 전송부
600 : 전조등 정보 출력장치
[문헌1] 차량 번호판 자동 인식 방법
(특허 등록 번호 : 10-0132460-00-00)
[문헌2] 이동식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특허 출원 번호 : 2006-0029535)
[문헌3] 차량의 헤드 램프를 자동으로 감광하는 제어 시스템
(공개번호 : 2001-0005899)
[on-line], 2007.7.(검색일 : 2007.7.19)
차량 번호판 자동 인식 방법(특허 등록 번호 : 10-0132460-00-00)은 이동 중 인 차량을 감지 센서에 의하여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은 촬영 장치로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은 영상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번호판 영역 추출하고 인식한다. 인식된 번호판은 경찰청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수배 차량과 비교하여 범법 차량을 단속하는 시스템이다.
이동식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특허 출원 번호 : 2006-0029535)은 도로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운영하는 기존의 주정차 단속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촬영장치, 영상처리 장치, GPS 수신 장치 등 여러 장치를 소형화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차량에 탑재할 수 있는 이동식 주정차 위반 단속 시스템이다.
차량의 헤드 램프를 자동으로 감광하는 제어 시스템(공개번호 : 2001-0005899)은 광학 장치와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 차량 전조등 감광 제어 장치이다. 광학 장치는 헤드렘프와 테일렘프을 식별함과 아울러 헤드램프 및 테일 렘프로부터의 광선을 픽셀 센서 어레이의 다른 부분에 접속시키도록 구성한다. 화상 처리 장치는 물론 광학 장치는 다른 차량의 해드램프와 테일 램프의 고도 식별을 제공하고 제어 차량의 수평각도는 물론 거리의 계수로서 제어 차량의 고비임 헤드렘프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기존의 전조등 위법 차량의 단속 방법은 자동차 정기 검진 또는 경찰관의 수작업 단속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서 전조등 위법 사항이란 규정 이상의 광도(光度, 칸델라 : cd)를 갖는 전조등 불법 개조, 전조등 각 상향 조정 등 전조등과 관련된 위법 상항을 말하는 것이다.
위법 차량들은 자동차 정기 검진 받을 때만 적법하게 바꾼 다음 다시 불법 개조를 하는 사례가 많아 정기 검진의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고, 경찰의 수작업에 의한 단속은 장비와 인력이 많이 소요되며, 경찰관의 야간 단속으로 눈의 피로감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단속의 효율성과 지속성이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조등 위법 차량을 자동으로 단속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고안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기존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전조등 위법 차량 단속을 위한 자동화 방법이 고안의 주목적이라고 볼 수 있다.
촬영장치 및 센서의 선택에 따라 고정식/이동식 시스템으로 설계가 가능하고, 번호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 범위를 축약하고, 영역 추출을 위한 기준선 설정 정보를 제공하며, 위반 차량 번호 인식을 위한 중요한 정보로 사용한다. 현장 조명 분석을 통하여 자동 임계값 정보와 주야 정보를 추출한다.
실시간 처리를 위하여 차량 번호판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 범위를 제한하고, 제한된 범위에서 구해진 자동 임계값으로 전처리를 수행한다. 전처리 후, 영역화를 수행한다. 차량 번호판 정보를 이용하여 검사 기준선을 설정하고, 검사 기준선과 영역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을 추출한다. 추출된 전조등은 전조등 정보 관리부에서 제공 받은 정보를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위반 사항을 판단하고 정보를 해당 관청에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본 고안을 통하여 위법 전조등 단속의 효율성과 지속성을 보장하고 위법 차량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킴으로서 교통안전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촬영 장치 및 감지 센서의 종류에 따라 이동식 또는 고정식 방식으로 설계가 가능하도록 고안했으며, 촬영된 영상에서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영역의 밝기와 크기를 비교하여 위반 여부를 판정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위반 차량 자동 단속 시스템 전체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자동차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 감지된 순간 차량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고정식 또는 이동식 촬영 장치)로 구성된 촬영장치 및 감지 센서 제어부(100); 촬영된 차량 영상에서 전조등 및 안개등의 위치와 영역을 추출하는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 추출부(200); 전조등 및 안개등의 특징 정보(영역 크기, 밝기, 모양)를 전조등 정보 관리부에서 제공되는 기준(정상 차량) 정보와 비교하여 위법 사항을 판정하는 전조등 위반 사항 검증부(300); 전조등에 관한 모든 분석 정보를 보유하고 위법 사항 판정에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전조등 정보 관리부(400); 위법 차량에 대한 정보를 처리·저장하고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관청에 정보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와 필요시 위법 차량에 대한 경고 또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송 장치로 구성된 정보 저장 및 전송부(500); 전송된 정보를 모니터 또는 전광판에 출력하는 전조등 정보 출력장치(600)로 구성된 전조등 위법 사항 단속 시스템.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촬영장치 및 감지 센서 제어부(100)에 대하여 구체 적으로 설명한 구성도이다. 위법 차량이 고 광도의 전조등을 사용하였을 경우, 빛의 퍼짐 현상과 블러링 현상이 전조등 주변부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전조등 영역 추출에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빛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감광 필터를 촬영 장치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본 시스템은 촬영장치 및 감지 센서의 선택에 따라 이동식 또는 고정식 시스템으로 설계 할 수 있다. 고정식 시스템이란 일정 장소에 시스템을 고정적으로 설치·운영하는 시스템을 말하고, 이동식 시스템이란 장비를 소형 경량화 하여 단속 장소를 이동하면서 단속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고정식 시스템(110)은 감광 필터가 부착된 촬영 장치(111)와 지하에 매설하는 매설식 센서 또는 지상에서 차량과의 접촉 없이 감지하는 비 매설식 감지 센서(112)를 이용하여 고정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동식 시스템(120)은 이동식에 적합한 감광 필터가 부착된 촬영장치(121), 차량과 접촉 없이 차량을 감지하는 비 매설식 감지 센서(122), 현재 단속 지점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GPS 수신 장치(123)를 이용하여 이동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촬영장치 및 감지 센서 제어부에서 (OR)의 의미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 시스템 중 하나로 선택하여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 추출부(2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구성도이다.
차량 번호판 영역 추출(210) 단계에서 차량 번호판 위치를 추출한다. 추출된 차량 번호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전처리 과정에서 처리 범위를 제한하고, 전조등 및 안개등 추출을 위해 검사 기준선 설정 하며, 최종 전조등 영역 검증 과정에서 전조등 및 안개등 후보 영역들과 번호판 위치와 상관관계 분석에 중요한 기준 정보로 사용된다.
현장 조명 변화 정보 분석(220) 단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현장 영상을 탄력적으로 분석하여 영상 전처리를 위한 적응적 임계값을 자동적으로 계산하고, 현재 상태가 주간인지 야간인지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적응적 임계값에 의한 영상의 전처리(230) 단계는 현장 조명 정보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적응적 임계값을 이용하여 영상의 전처리를 수행한다. 실시간 처리를 위하여 도 3-1처럼 전체 영상을 처리하지 않고 추출된 차량 번호판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처리 범위를 제안한다.
영역화(240) 단계는 전처리 후 생성되는 각 구성 요소들에 대해 영역화를 수행한다.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 추출(250) 단계는 도 3-2과 같이 전조등은 번호판 하단, 안개등은 차량 번호판의 상단의 약간 윗선으로 전조등 및 안개등 검사 기준선으로 설정한다. 설정된 기준선을 중심으로 각 영역들은 번호판과의 상호 위치, 영역간의 거리, 영역의 크기 등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최종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을 추출 한다.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의 모양은 제조 회사마다 다르고, 촬영 장치의 특성, 촬영 현장 주변의 조명 간섭으로 추출된 전조등 영역이 반드시 원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1의 전조등 위반 사항 검증부(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 구성도이다.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 특징 정보 추출(310) 단계는 추출된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에서 영역의 특징 정보(크기, 밝기, 모양 정보)를 추출 한다. 차량 전조등 위반 사항 분석 및 판정(320) 단계에서는 추출된 특징 정보와 전조등 정보 관리부에서 제공하는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위반 여부를 판정한다. 현장 조명 변화 정보 분석(220) 단계에서 구해진 주·야간 정보를 이용하여 주간인지 야간인지를 판단(321)한다.
주·야간 판단(321) 결과 주간일 경우, 전조등 영역의 밝기 정보와 전조등 정보 관리부에서 제공받은 정상 주간 전조등 정보와 비교(322)하여 전조등의 점등 상태를 파악한다. 만약 전조등이 꺼져있다면 위반 차량으로 판정한다. 주간 전조등 위반 적용은 주간 전조등 켜기가 법제화 되었을 때 사용한다.
주·야간 판단(321) 결과 야간일 경우, 전조등의 크기와 밝기를 전조등 전보 관리부에서 제공받은 야간 정상 전조등 기준 정보와 비교(324)하여 정상 차량보다 밝거나, 크기가 크거나, 모양이 정상 전조등이 아닐 경우 위반 차량으로 판정한다. 안개등의 밝기에 따라 안개등의 점멸 상태를 판정(323)하고, 안개등이 켜져 있지 않은 상태를 위반으로 검출 한다. 안개등 정보는 위법 판정이 목적이라기보다는 해당 운전자에게 안내 또는 경고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사용한다. 도 4-1는 야간에 상황에서 전조등 위반 사항 판정의 예 보여준다.
위반 판정(325) 결과 위반 차량일 경우, 해당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정 보 저장 및 전송부에 전송한다. 만약 위반 차량이 아닐 경우, 정상 전조등이므로 정상 차량 전조등 정보 분석(420) 단계로 정보를 전송하여 분석하고 저장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1의 전조등 정보 관리부(4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구성도이다. 전조등 정보 관리부는 시·공간적 주변 환경에 따른 모든 전조등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정보 관리부이다. 차량과 관련된 차량 규격 및 전조등 규격 정보(410)를 전조등 종합 정보 분석(430) 단계에 전송한다. 전조등 위반 사항 분석 및 판정(320) 단계에서 구해진 정상 전조등 정보(정상 전조등의 크기 및 밝기)를 정상 차량 전조등 정보 차량 분석 단계(420)에서 분석하여 전조등 종합 정보 분석(430) 단계에 전송한다. 현장 조명 변화 정보 분석 단계(220)에서 구해진 적응적 임계값 정보와 주·야간 판별 정보를 전조등 종합 정보 분석(430) 단계에 전송한다. 전조등 종합 정보 분석(430) 과정에서 위와 같은 모든 정보들을 기존에 축적된 전조등 정보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참조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정보를 생성하여, 전조등 정보 데이터베이스(440)에 저장하고, 전조등 위반 사항 분석 및 판정(320) 단계에 정상 전조등의 기준 정보를 제공한다.
도 6를 참조하면, 도 1의 정보 저장 및 전송부(5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 구성도이다. 위반 차량으로 인식된 차량 번호를 위반 차량 관리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하고 위반 차량 정보 처리(520) 단계에서 위반 차량에 대한 정보 처리하며, 유무선 인터페이스(530)을 통하여 관할(경찰청 및 해당 관청)에 정보를 전송한다. 위법 차량에 대한 경고 또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은 전송 장치(540)로 전송하며, 전송된 정보는 전조등 정보 출력장치(600)를 통하여 모니터 또는 전광판에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법 전조등 자동 단속 시스템 장치에 따르면, 주·야간 실시간 위법 전조등을 단속함으로서 상대편 차량의 안전 운행에 도움을 주고 교통사고 방지 및 감소를 꾀 할 수 있다. 또한 안개가 많이 낀 고속도로, 터널구간, 대교의 경우 전조등 또는 안개등을 킬 경우 다른 차량의 근접 및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교통사고의 예방 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만약 우리나라도 기후 변화 심하게 발생하는 구간, 터널과 같은 위험 구간에 전조등을 켜지 않는 차량에 대해 전조등 켜기를 유도함으로서 교통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선진 외국의 경우, 스웨덴이 지난 77년 주간 차량 전조등 의무화를 실시한데 이어 노르웨이(88년), 캐나다(89년), 덴마크, 폴란드(90년) 등지에서도 시행되고 있다. 이들 나라에서는 주간 전조등 켜기 의무화 이후 교통사고 감소율이 8.3%를 기록했다는 보고가 있다. 이는 주간에 차량이 전조등을 켜고 운행할 경우 다른 차량 운전자나 보행자에게 차의 움직임을 쉽고 빠르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교통사고 예방에 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우리나라도 선진 외국처럼 주간 전조등 켜기가 법제화 되었을 때 주간에 전조등을 켜지 않는 차량을 적발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감광 필터가 부착된 촬영장치 및 감지 센서의 구성에 따라 이동식, 고정식 시스템으로 구성할 수 있는 촬영장치 및 감지 센서 제어부;
    촬영된 차량 영상에서 전조등과 안개등의 위치 및 영역을 추출하는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 추출부;
    추출된 전조등 특징 정보(영역의 크기, 밝기, 모양 정보)와 기준(정상 차량) 정보를 비교하여 위법 사항을 판정하고, 안개등의 점멸 상태를 판정하는 전조등 위반 사항 검증부;
    전조등에 관한 모든 정보를 자동적으로 갱신하고 생성하여 위법 사항 판정에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전조등 정보 관리부;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관청에 위법 차량 정보를 전송하고, 위법 차량에 대해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저장 및 전송부, 해당 정보를 모니터 또는 전광판에 출력하는 정보 출력 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위법 전조등 자동 단속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촬영 장치 및 감지 센서 제어부는 여러 종류의 촬영 장치와 센서의 조합으로 이동식 또는 고정식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위법 차량이 고 광도 전조등을 사용하였을 경우, 빛의 퍼짐 현상과 블러링 현상이 전조등 주변부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전조등 영역 추출에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 하기 위하여 빛의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감광 필터가 부착된 촬영 장치와 감지 센서를 구비한 자동차 위법 전조등 자동 단속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 추출부는, 차량 번호판 영역 추출 단계와, 현장 조명 변화 정보 분석 단계와, 적응적 임계값에 의한 영상 전처리 단계와, 영역화 단계와,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 추출 단계로 구성된 자동차 위법 전조등 자동 단속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전조등 위반 사항 검증부는, 전조등 및 안개등 특징 정보를 추출 하는 단계와, 전조등 정보 관리부에서 판정의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제공받은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전조등 위반 사항 분석 및 판정 단계와, 위반 차량의 전조등 및 안개등 차량 번호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로 구성된 자동차 위법 전조등 자동 단속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전조등 정보 관리부는, 현장 조명 변화 정보 분석 정보, 차량과 관련된 차량 규격 및 전조등 규격 정보, 정상 차량 전조등 정보 분석 과정에서 얻어진 정보들을 기존에 축적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참조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차량 전조등 종합 정보 분석 단계로 구성된 자동차 위법 전조등 단속 자동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정보 저장 및 전송부는, 이동식일 경우 GPS 수신 장치를 통하여 정보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단계와, 위반 차량 정보 처리 과정에서 위반 차량으로 인식된 차량 번호를 위반 차량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관할 관청(경찰청 및 해당 관청)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위법 차량에 대한 경고 또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할 때 전송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전송된 정보는 전조등 정보 출력장치를 통하여 모니터 또는 전광판에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된 자동차 위법 전조등 자동 단속 시스템.
  7. {A} : 감지 센서(매설식 센서, 비 매설식 센서)가 이동 중인 차량을 감지하고, 차량이 감지된 순간 감광 필터가 부착된 촬영 영치로 영상을 촬영하는 감지 및 촬영하는 단계와;
    {B} : 차량 번호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 범위를 제안하고 현장 조명 변화 정보 분석 과정에서 구해지는 적응적 임계값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전처리를 수행하며, 영역화를 수행하고,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 추출 단계와;
    {C} : 추출된 전조등 및 안개등의 특징(밝기, 크기, 모양) 정보를 추출 하고, 전조등 정보 관리부에서 판정의 기준 정보를 제공받아 전조등 위반 사항 분석 및 판정을 수행하며, 위법 전조등에 대하여 차량 번호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와;
    {D} : 현장 조명 변화 정보 분석 정보와, 차량 규격 및 전조등 규격 정보와, 정상 전조등 정보 분석 과정에서 분석된 정보들을 기존에 축적된 전조등 정보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참조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정보의 생성 및 갱신하는 차량 전 조등 정보 종합 분석 과정과, 분석된 정보를 전조등 종합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하며, 전조등 위반 사항 분석 및 판정 단계에 정상 전조등의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E} : 위반 차량으로 판정된 차량 번호를 위반 차량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위반 차량 정보 처리 과정에서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관할 관청에 정보를 전송하는 하며, 위법 차량에 대한 경고 또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을 위하여 전송 장치로 전송하는 방법과, 전송된 정보는 전조등 정보 출력장치를 통하여 모니터 또는 전광판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A} 단계와, {B} 단계와, {C} 단계와, {D} 단계와, {E}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 위법 전조등 단속 방법.
  8. 제 7항 {B} 단계의, 추출된 차량 번호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전처리 과정에서 처리 범위를 제한하는 방법과, 전조등 추출을 위해 검사 기준선 설정 방법과, 최종 전조등 영역 검증 과정에서 전조등 및 안개등 후보 영역들과 번호판 위치와 상관관계 분석에 중요한 기준 정보로 사용하는 방법과,
    현장 조명 변화 정보 분석 단계에서 적응적 임계값과 주·야간 상황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과, 적응적 임계값을 이용하여 영상의 전처리를 수행하는 방법과,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 추출을 위해 추출된 번호판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전조등 및 안개등 검사 기준선을 설정하는 방법과, 설정된 기준선 중심으로 각 영역들은 번호판과의 상호 위치, 영역간의 거리, 영역의 크기 등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을 추출 방법을 포함하는 자동차 위법 전조등 단속 방법.
  9. 제 7항 {C} 단계의, 추출된 전조등 및 안개등 영역의 크기, 밝기, 모양 정보를 특징 정보로 추출하는 방법과, 전조등의 특징 정보와 기준(정상 차량) 정보의 비교통하여 위법 사항을 판정하는 방법과, 전조등 정보 관리부에서 전조등에 관한 모든 분석 정보를 보유하고 위법 사항 판정에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판정 결과 위반 차량일 경우, 해당 차량의 번호판을 인식하고 정보 저장 및 전송부에 전송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자동차 위법 전조등 단속 방법.
  10. 제 7항 {D} 단계의, 현장 조명 변화 정보 분석 과정에서 구해진 정보와, 차량과 관련된 차량 규격 및 전조등 규격 정보와, 정상 차량 전조등 정보 분석 과정에서 분석된 정상 전조등 정보(정상 전조등의 크기, 밝기, 모양 정보)를 취합하여 전조등 종합 정보 분석 과정에서 분석하여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과, 생성된 정보를 전조등 정보 분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하며, 전조등 위반 사항 분석 및 판정 단계에 정상 전조등의 기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자동차 위법 전조등 단속 방법.
KR1020070072676A 2007-07-20 2007-07-20 자동차 위법 전조등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10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676A KR100910905B1 (ko) 2007-07-20 2007-07-20 자동차 위법 전조등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2676A KR100910905B1 (ko) 2007-07-20 2007-07-20 자동차 위법 전조등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259A true KR20090010259A (ko) 2009-01-30
KR100910905B1 KR100910905B1 (ko) 2009-08-05

Family

ID=40489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2676A KR100910905B1 (ko) 2007-07-20 2007-07-20 자동차 위법 전조등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9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24148A1 (de) 2012-12-11 2014-06-12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Kommunikationssignals, insbesondere einer Lichthupe, entsprechende 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CN108721884A (zh) * 2018-04-27 2018-11-02 榛硕(武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娱乐平台及其控制方法
CN110019947A (zh) * 2017-12-29 2019-07-16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提取方法及装置
CN110321823A (zh) * 2019-06-24 2019-10-11 杭州诚道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深度学习的斑马线礼让行人违法二次检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60306B (zh) * 2013-03-13 2016-12-28 深圳力电世纪科技有限公司 智能雾灯及其诱导控制系统
CN104484996B (zh) * 2014-12-18 2017-02-22 中设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多源数据的路段交通状态判别方法
CN110189524B (zh) * 2019-06-19 2021-07-30 刘先进 一种主动式违章违规识别方法、系统和电子设备
CN113470371B (zh) * 2021-05-27 2022-05-20 北京万集科技股份有限公司 识别违规车辆的方法、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293A (ko) * 1997-12-12 1999-07-05 최종욱 무인 단속 시스템 및 단속 방법
JP2001216597A (ja) 2000-02-04 2001-08-10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JP4855672B2 (ja) 2004-12-10 2012-01-18 富士通株式会社 特定部位抽出プログラ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24148A1 (de) 2012-12-11 2014-06-12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zum Erzeugen eines Kommunikationssignals, insbesondere einer Lichthupe, entsprechende 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CN110019947A (zh) * 2017-12-29 2019-07-16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提取方法及装置
CN110019947B (zh) * 2017-12-29 2021-06-04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提取方法及装置
CN108721884A (zh) * 2018-04-27 2018-11-02 榛硕(武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车载娱乐平台及其控制方法
CN110321823A (zh) * 2019-06-24 2019-10-11 杭州诚道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深度学习的斑马线礼让行人违法二次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0905B1 (ko)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905B1 (ko) 자동차 위법 전조등 단속 시스템 및 그 방법
US8543254B1 (en) Vehicular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roadway width
JP6698163B2 (ja) 自動車両の周囲領域内の物体を識別する方法、運転者支援システム、及び自動車両
KR100812397B1 (ko) 버스를 이용한 버스전용차로 위반차량의 단속방법
CN102034087A (zh) 用于对汽车进行分类的装置和方法
KR20090010935A (ko) 보행자 보호 장치
CN105185114A (zh) 一种车辆违章变道行为取证装置及方法
CN102298845A (zh) 一种远光灯视频检测方法及系统
CN211827564U (zh) 一种用于检测车辆夜间是否开启远光灯的识别装置
CN105390027A (zh) 一种道路安全监控预警设备及方法
WO2017038125A1 (ja) 違反抑止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違反抑止システム
CN103380447A (zh) 用于机动车辆的驾驶员辅助系统和方法
KR102159144B1 (ko) 보행신호등 주변의 위반차량 무인단속시스템
CN106482931B (zh) 道路光源监测装置、监测方法及监测系统
CN210777141U (zh) 违规远光灯抓拍系统
CN113487880A (zh) 一种基于横向窄缝的车辆远光灯常开检测装置
KR101895011B1 (ko) 도로 라인 인식을 통한 교통 법규 위반 단속 시스템
KR20220071514A (ko) 영상 기반의 객체 인식 및 주변 환경 감지를 통한 보행 신호 제어 장치
JP5097651B2 (ja) 道路照明制御装置および道路照明制御システム
KR100861572B1 (ko) 차량 탑재형 주,정차 금지구역 단속 시스템 및 방법
CN107735822B (zh) 违章制止装置及具备其的违章制止系统
KR102659132B1 (ko) 조명 밝기 자동 조절 기능을 가지는 차량 번호 인식 방법
JP2003009140A (ja) 歩行者検出装置
KR102464003B1 (ko) 가로등을 이용한 지능형 방범 장치
KR100980376B1 (ko) 버스탑재형 무인 교통단속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