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0109U - 방한겸용 우의 - Google Patents

방한겸용 우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0109U
KR20090010109U KR2020080004291U KR20080004291U KR20090010109U KR 20090010109 U KR20090010109 U KR 20090010109U KR 2020080004291 U KR2020080004291 U KR 2020080004291U KR 20080004291 U KR20080004291 U KR 20080004291U KR 20090010109 U KR20090010109 U KR 200900101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user
cover member
raincoat
c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4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근
Original Assignee
김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근 filed Critical 김대근
Priority to KR2020080004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0109U/ko
Publication of KR200900101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1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41D3/04Raincoa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8Means for ventilation
    • A41D27/285Means for ventilation with closure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3/00Brac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10Bel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한겸용 우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발부터 머리까지의 신체 전부를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므로 활동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보온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으며, 통풍이 원활하여 습기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방한겸용 우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방한겸용 우의에 의하면, 커버부재는 사용자의 신체 전체를 커버하게 되므로 신발이나 머리 부분을 빗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보온도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커버부재와 사용자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커버부재는 종래와 달리 사용자 신체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활동성이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부재에는 다수의 환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통풍이 원활하여 습기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항상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방한겸용 우의, 지지대, 똑딱이 단추

Description

방한겸용 우의{A keeping warm combined use raincoat}
본 고안은 방한겸용 우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발부터 머리까지의 신체 전부를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므로 활동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보온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으며, 통풍이 원활하여 습기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방한겸용 우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의는 빗물의 침투를 막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방수천으로 제작되며 그 형상은 아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나 모자 달린 긴팔 티셔츠 혹은 바지가 일체로 형성된 티셔츠 형상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우의는 그 구조와 보관이 용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통상 신체에 밀착되므로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내면에 습기가 발생되므로 불쾌감을 조성하였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코자 통풍이 원활한 방수천으로 우의를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신체와의 밀착부분에 발생되는 습기를 방지하는데 에는 역부족이다.
또한, 종래의 우의는 사용자의 안면과 손 및 발은 빗물로부터 보호할 수 없 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발부터 머리까지의 신체 전부를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므로 활동성이 우수함과 더불어 보온 기능까지 제공할 수 있으며, 통풍이 원활하여 습기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방한겸용 우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방한겸용 우의는, 내부에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후면 내부에 착탈가능 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어깨를 걸 수 있는 멜빵과 허리밴드가 각각 구비된 등판부재; 및 상기 등판부재의 전면 상측과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 전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처짐을 방지하는 X자형태의 상부지지대와, 상기 등판부재의 전면 하측과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 전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대로 이루어진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재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외부를 더욱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투명창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재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양 손을 밖으로 낼 수 있도록 손출구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재는 공기가 원활히 소통되도록 지퍼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는 환기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방한겸용 우의는, 사용자가 입을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사용자의 안면부위는 노출되도록 전면은 개방된 머리커버; 및 상기 머리커버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안면부위를 커버하는 안면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머리커버의 내부에는 처짐을 방지하는 X자 형상의 지지바가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상면 양 측에는 처짐을 방지하는 패드가 추가로 개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면커버부재는 머리커버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의 하부 내측에 부착되어져 필요시 하측으로 펼쳐져 사용자의 입과 코 부위를 커버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방한겸용 우의에 의하면, 커버부재는 사용자의 신체 전체를 커버하게 되므로 신발이나 머리 부분을 빗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보온도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커버부재와 사용자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커버부재는 종래와 달리 사용자 신체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활동성이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부재에는 다수의 환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통풍이 원활하여 습기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항상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한겸용 우의는 사용자를 빗물과 추위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방한겸용 우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한겸용 우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방한겸용 우의(100)는 크게 커버부재(110), 등판부재(120) 및 지지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커버부재(110)는 내부에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가지며, 방수천 소재로 형성되되 가급적 투명한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11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 제1지퍼(112)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부재(110)의 상면 모서리 부분에는 환기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제2지퍼(114)가 추가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1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외부를 더욱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투명창(140)이 추가로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10)의 가운데 부분 양 측면에는 사용자의 손을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는 손출구(150)가 형성되어 있고, 전면과 측면에는 지퍼(162)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는 환기구(16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손출구(150)와 환기구(160)는 하기에서 더 상술할 것이므로 여기서는 개략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10)의 하측 각 모서리 부분에는 사용자의 키 높이에 맞도록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118)이 구비된다. 이 길이조절수단(118)은 공지된 똑딱이 단추 혹은 벨크로테이프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하기로 하는데,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의 키보다 커버부재(110)의 길이가 더 긴 경우에는 사용자의 보행에 방해를 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키에 맞도록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커버부재(110)의 하측을 상측 방향으로 말아 올려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방식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110)의 하측 전,후면 내부에는 서로 체결되는 체결단추(119)가 구비되는데, 이는 커버부재(110)의 하측 폭을 좁혀 내부로 냉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토록 구비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등판부재(120)는 확대된 단면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부재(110)의 후면 내부에 볼트(B) 및 너트(N)를 매개로 착탈가능 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어깨를 걸 수 있는 멜빵(122)과 허리밴드(124)가 각각 구비되는데, 상기 멜빵(122)에는 멜빵(122)이 사용자의 어깨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고정밴드(123)가 추가로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대(130)는 상기 등판부재(120)의 전면 상측과 상기 커버부재(110)의 측면 전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110)의 처짐을 방지하는 X자형태의 상부지지대(132)와, 상기 등판부재(120)의 전면 하측과 상기 커버부재(110)의 측면 전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1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대(1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등판부재(120)의 전면 상측에 결합되는 상부지지대(132)의 끝단은 상기 등판부재(120)가 커버부재(110)에 결합될 때 사용되는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고, 커버부재(110)의 측면 전측에 결합되는 끝단은 새로운 볼트(B) 및 너트(N)를 매개로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등판부재(120)의 전면 하측에 결합되는 측면지지대(134)의 끝단은 등판부재(120)와 커버부재(110)의 결합시 사용되는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고, 커버부재(110)의 측면 전측에 결합되는 끝단은 상기 상부지지대(132)를 결합하는 볼트(B) 및 너트(N)를 매개로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에서 사용된 볼트(B) 및 너트(N)는 사용된 위치는 상이하나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음과 더불어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아울러, 도 3을 참조로 하면, 상기 지지대(130)를 더욱 상세히 살펴볼 수 있다. 즉, 상기 상부지지대(132)는 X자 형상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으며, 그 일측 끝단에는 링(133)이 형성되어져 볼트(B)를 매개로 등판부재(120)에 결합되고, 타측 끝단은 브라켓(136)에 체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은 대략 " ㄴ"자 형상을 가지되 그 양 끝단에 상부지지대(132)와 측면지지대(134)의 끝단이 각각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볼트공이 형성됨을 알 수 있는데, 이 들에 대해서는 미부호 설명이지만 당업자라면 그 누구나 쉽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측면지지대(134)의 일측 끝단 역시 링(135)이 형성되어져 상기 등판부재(120)에 결합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상부지지대(132)가 결합된 브라켓(136)에 같이 체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상기 상부지지대(132)와 측면지지대(134)를 커버부재(110)의 측면 전측에 결합시키기 위해서 그 끝단에 링을 각각 형성하여 볼트(B)를 매개로 결합시킬 수 있을 것이나 이렇게 브라켓(136)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지지대(132)와 측면지지대(134)의 끝단을 동시에 체결하게 되면 커버부재(110)에 브라켓(136)을 볼트(B) 고정하게 되면 두 지지대를 같이 고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감을 더하게 되는 효과를 지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대(132)는 길이가 상당하므로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도록 그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데, 이의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술토록 하겠다.
도 4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구를 도시한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고, "나"는 환기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환기구(160)는 지퍼(162)에 의해서 닫혀 있으며, 그 상측에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덮개(166)가 구비되어 있고, 하측에는 연질의 지지체(168)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퍼(162)의 작동 손잡이(164)는 커버부재(110)의 내외측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양측으로 구비된 것이 좋을 것이고, 상기 덮개(166)는 바람에 의해 뒤집어지지 않도록 상부와 양 측면은 박음질 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제, "나"를 참조로 하면, 지퍼 손잡이(164)가 이동되어 환기구(160)가 개방되어 있는데, 상기 환기구(160)는 단순히 지퍼(162)의 작동에 의해서 개방된 것만 아니라 환기구(160)의 하측이 내측으로 내입돼 상측과 이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지퍼(162)의 작동에 의해 환기구(160)를 개방한 뒤 사용자가 개방된 환기구(160)의 하측을 내부으로 당기게 되면 연질의 지지체(168)와 함께 내측 방향으로 휘게 된 후 지지체(168)에 의해서 복원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이는 환기구(160)로의 공기 유입은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반면 빗물 유입은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출구를 도시한 도 1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커버부재(110)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가 필요시 손을 외부로 돌출시킬 수 있는 손출구(150)의 후면에는 빗물 유입을 차단하는 밀착마개(152)가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밀착마개(152) 또한 지퍼의 작동에 의해서 손출구(150)를 개방토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쉽게 개방 작동시킬 수 있는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도 6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지지대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 3의 C부분 확대 평면도이고, "나"는 상부지지대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상부지지대(132)는 제1상부지지대(132a)와 제2상부지지대(132b)로 이루어지고, 제1,2상부지지대(132a,132b)의 끝단에는 걸림턱(132c,132d)이 형성되며, 이 걸림턱(132c,132d) 사이에는 슬리브(132e)가 체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제, "나"를 참조로 하면, 상기 상부지지대(132)를 구성하는 제1,2상부지지대(132a,132b)는 상기 슬리브(132e)를 매개로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되므로 상부지지대(132) 전체는 길이가 가변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한겸용 우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한겸용 우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로 하면, 커버부재(110)의 전면은 제1지퍼(112)에 의해 사용자가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측으로 개방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면은 모 서리 부분에 구비된 제2지퍼(114)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구비됨과 더불어 상면에는 챙(170)이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110)에 구비되는 손출구(150) 및 환기구(160)의 작동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미도시하였다.
이제, 도 8을 참조로 하면, 사용자가 커버부재(110) 내부에서 등판부재(120)에 구비된 멜빵(122)과 허리밴드(124)를 매개로 방한겸용 우의(100)를 착용하고 있되 양 손은 전면에 형성된 손출구(150)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커버부재(110)는 사용자의 신체 전체를 커버하게 되므로 신발이나 머리 부분을 빗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보온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재(110)와 사용자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므로 커버부재(110)는 종래와 달리 사용자 신체에 밀착되지 않으므로 활동성이 우수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커버부재(110)에는 다수의 환기구(16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통풍이 원활하여 습기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항상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한겸용 우의(100)는 사용자를 빗물과 추위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다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110), 등판부재(120) 및 지지대(130)는 각각 분리되고, 특히 지지대(130)의 상부지지대(132)는 길이가 가변되므로 휴대와 보관에 있어 유리한 장점을 지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방한겸용 우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방한겸용 우의(100)는 크게 본체(210), 머리커버(220) 및 안면커버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본체(210)는 방수천 소재로 제작되되 사용자가 입을 수 있도록 전면에 지퍼(212)가 구비된 잠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게 되되 그 하부는 잠바와 달리 사용자의 발까지 커버할 수 있도록 길게 연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210)의 전면에는 앞서 전술한 것과 동일한 환기구(16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10)의 상면 양 측면에는 패드(216)가 추가로 개재되어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본체(210)를 입었을 때 어깨 부분의 처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210)의 상면에는 상측 개방구를 협소하게 하는 조임끈(218)이 추가로 구비된다.
다음으로, 상기 머리커버(220)는 상기 본체(210)와 동일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본체(210) 상면에 볼트(B) 및 너트(N)를 매개로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사용자의 안면부위는 노출되도록 전면은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안면커버부재(230)는 상기 머리커버(22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안면부위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데, 이의 구성에 대해서 는 하기에서 보다 상술토록 하겠다.
그리고, 상기 머리커버(220)의 내부에는 처짐을 방지하는 X자 형상의 지지바(24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의 "가"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 9의 D부분 확대도이고, "나"는 안면커버부재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본체(210)의 상면에는 내부에 지지바(240)가 개재된 머리커버(220)가 볼트(B) 및 너트(N)를 매개로 결합되어 있다. 즉, 일측에 도시된 확대 단면도와 같이 본체(210)의 상면 외측으로 지지바(240)의 끝단에 결합된 브라켓(242)과 머리커버(220)가 위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볼트(B) 및 너트(N)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 머리커버(220)와 지지바(240)는 본체(210)의 상면에 볼트(B) 및 너트(N)를 매개로 결합되므로 필요시 분리 가능한 구성임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머리커버(220)의 상측에는 안면커버부재(230)가 장착되어 있는데,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면커버부재(230)는 머리커버(22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커버(232) 및 상기 제1커버(232)의 하부 내측에 부착되어져 필요시 하측으로 펼쳐져 사용자의 입과 코 부위를 커버하는 제2커버(2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1의 "가"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커버부재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고, "나"는 안면커버부재의 작동을 도시한 일부 확대사시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안면커버부재(230)의 제2커버(234)는 제1커버(232) 하부 내측에 부착되어져 있다가 필요시 하측으로 펼쳐짐을 알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커버(234)에는 호흡이 유리하도록 지퍼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는 환기구(23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2커버(234)가 펼쳐지게 되면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커버(220)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방한겸용 우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체(210)의 하측이 사용자의 양 다리를 각각 독립되게 커버할 수 있도록 바지타입으로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렇듯 본체(210)는 원통형 형상은 물론이고 바지 형상으로도 구현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잠바 형상을 가지는 본체(210)에 의해서 보다 활동성이 우수한 장점을 지니게 된다. 그리고, 필요시 안면커버부재(230)를 작동시켜 사용자의 안면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한겸용 우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대의 사시도.
도 4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구를 도시한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고, "나"는 환기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출구를 도시한 도 1의 B부분 확대도.
도 6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지지대를 도시한 도 3의 C부분 확대 평면도이고, "나"는 상부지지대의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한겸용 우의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한겸용 우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방한겸용 우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 10의 "가"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도 9의 D부분 확대도이고, "나"는 안면커버부재를 도시한 개략적 종단면도.
도 11의 "가"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안면커버부재의 작동을 도 시한 개략적 종단면도이고, "나"는 안면커버부재의 작동을 도시한 일부 확대사시도.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방한겸용 우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 고안의 방한겸용 우의 110 : 커버부재
112 : 제1지퍼 114 : 제2지퍼
116 : 깔판 118 : 길이조절수단
120 : 등판부재 130 : 지지대
132 : 상부지지대 132a : 제1상부지지대
132b : 제2상부지지대 132c,132d : 걸림턱
132e : 슬리브 140 : 투명창
150 : 손출구 152 : 밀착마개
160 : 환기구 162 : 지퍼
164 : 손잡이 166 : 덮개
168 : 지지체 170 : 챙
210 : 본체 212 : 지퍼
216 : 패드 218 : 조임끈
220 : 머리커버 230 : 안면커버부재
232 : 제1커버 234 : 제2커버
236 : 환기구 240 : 지지바
242 : 브라켓

Claims (9)

  1. 내부에 사람이 들어갈 수 있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후면 내부에 착탈가능 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어깨를 걸 수 있는 멜빵과 허리밴드가 각각 구비된 등판부재; 및
    상기 등판부재의 전면 상측과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 전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처짐을 방지하는 X자형태의 상부지지대와, 상기 등판부재의 전면 하측과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 전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지지대로 이루어진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겸용 우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외부를 더욱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투명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겸용 우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양 손을 밖으로 낼 수 있도록 손출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겸용 우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공기가 원활히 소통되도록 지퍼의 작동에 의해 개방되는 환기구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겸용 우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겸용 우의.
  6. 사용자가 입을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
    상기 본체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사용자의 안면부위는 노출되도록 전면은 개방된 머리커버; 및
    상기 머리커버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안면부위를 커버하는 안면커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겸용 우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커버의 내부에는 처짐을 방지하는 X자 형상의 지지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겸용 우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면 양 측에는 처짐을 방지하는 패드가 추가로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겸용 우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면커버부재는
    머리커버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커버; 및
    상기 제1커버의 하부 내측에 부착되어져 필요시 하측으로 펼쳐져 사용자의 입과 코 부위를 커버하는 제2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겸용 우의.
KR2020080004291U 2008-04-01 2008-04-01 방한겸용 우의 KR200900101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291U KR20090010109U (ko) 2008-04-01 2008-04-01 방한겸용 우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4291U KR20090010109U (ko) 2008-04-01 2008-04-01 방한겸용 우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109U true KR20090010109U (ko) 2009-10-07

Family

ID=41536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4291U KR20090010109U (ko) 2008-04-01 2008-04-01 방한겸용 우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010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5232A (zh) * 2015-12-31 2016-04-06 邱行信 一种转头时不会挡住视线的雨衣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55232A (zh) * 2015-12-31 2016-04-06 邱行信 一种转头时不会挡住视线的雨衣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1562B2 (en) Rain garment
US9775387B2 (en) Garment for protection from the elements
US5848741A (en) Soft-sided infant carrier with canopy
US6941584B1 (en) Universal earth suit
US20050044606A1 (en) Beach wrap
ES2255736T3 (es) Prenda convertible para la lluvia.
KR200281681Y1 (ko) 반팔, 긴팔 겸용 소매 부분 탈부착 다목적 복합기능의류
KR20090010109U (ko) 방한겸용 우의
KR200281682Y1 (ko) 양면 착용 소매 탈부착 다목적 복합기능 의류
JP3138858U (ja) 上衣ユニット
KR101519102B1 (ko) 다용도 코트형 우의
JP3064897U (ja) スポ―ツ用脚部保護具
KR200281680Y1 (ko) 소매 가변형 다목적 복합기능 의류
KR200417151Y1 (ko) 상의 결착식 방한 조끼
KR200471740Y1 (ko) 의류
CN220274976U (zh) 一种男士风衣
JPH0650487Y2 (ja) スキーウエア
CN220587530U (zh) 一种服装衣袖板式结构
CN213720021U (zh) 一种野外探险专业服装
KR200195808Y1 (ko) 착탈식 배낭을 부착한 겉옷
CN212345326U (zh) 一种春夏两季裤腿可拆卸裤
CN212520847U (zh) 一种透气风衣
CN209883116U (zh) 袖开衩风衣
KR20110005052U (ko)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
JP3034517U (ja) フード付きタ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