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052U -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 - Google Patents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052U
KR20110005052U KR2020090014824U KR20090014824U KR20110005052U KR 20110005052 U KR20110005052 U KR 20110005052U KR 2020090014824 U KR2020090014824 U KR 2020090014824U KR 20090014824 U KR20090014824 U KR 20090014824U KR 20110005052 U KR20110005052 U KR 2011000505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coat
tarpaulin
coat
pants
h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래득
Original Assignee
이래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래득 filed Critical 이래득
Priority to KR2020090014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052U/ko
Publication of KR201100050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05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41D3/04Raincoa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5/00Convertible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00Overgarments
    • A41D3/02Overcoats
    • A41D3/04Raincoats
    • A41D3/06Raincoats with leg-prot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2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에 관한 것으로,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양 옷자락 내측에 방수포가 구비되며, 상기의 방수포 상측단에는 상기 양 옷자락 하단의 가랑이 높이의 내측에 장착되기 위한 부분인 장착부, 그 양측단에는 서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체결 수단을 구비하도록 하며, 상기의 방수포의 하측단에는 상기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양 옷자락 하단 내측에 장착되기 위한 부분인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양 옷자락 하단의 체결수단과 고정수단이 체결에서 해지된 경우 바지의 가랑이 형태로 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양 옷자락 하단 내측에 상기의 방수포가 접혀 올려져 각각 옷자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의 접혀 올려지는 바지 형태의 방수포는 접어서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양 옷자락의 내측에 체결되는 경우 일정 길이의 주머니의 형태를 구비하도록 하기 위해 외부의 하측면에 일정 부분의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적어도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는 양 옷자락 내측에 장착부를 구비하는 방수포가 형성되며, 상기 방수포가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수단에서 해제되는 경우에는 양측면의 방수포를 바지와 같이 착용하여 자유로운 자세로 활동할 수 있도록 하며 고정 수단과 체결되어 접혀 올려진 경우에는 외형상 코트의 형상을 띄도록 하며, 우비의 외측에 하단에 형성된 일정 길이의 절개부와 방수포의 장착부가 같은 위치에 구성되어 주머니의 형태를 띄도록 하는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을 제공할 수 있다.
코트형 우비, 바지, 가랑이, 체결 수단

Description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A Rain coat}
본 고안은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에 대한 것으로, 적어도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는 통상의 코트와 같이 간단하게 착용할 수 있으면서도 한편으로는 코트의 양옷자락 내측에 부착 되도록 하는 방수포의 하측단에 구비되는 고정수단이 우비의 내측에서 해제되어 방수포의 하측단이 밑으로 내려지게 되어질 경우 방수포의 양측단의 구비되는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양다리를 감싸주는 바지의 가랑이와 같이 착용하여 자유로운 자세로 활동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비는 비가 많은 지역이나 국가에서 우산과 함께 널리 사용되는 장비로, 군인용, 캠핑용, 상업 및 농업용, 레포츠용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우산보다 우비의 필요성을 느끼게 하는 사람들로는 외부에서 활동이 많은 작업자 또는 오토바이 운전자, 자전거 소비자 등이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다양한 용도 및 사용자에 있어서 보다 간편하고,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착용에 쾌적한 우비의 개발은 폭 넓고 다양하게 요구되고 있고, 앞으로도 꾸준히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반적으로, 우비는 빗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빗물 이 침투되지 않는 소재로 우비가 형성되어 지고, 그 상부에는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모자가 구비되어 지기도 한다. 한편, 우비는 상단과 하단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코트형과 상단과 하단이 서로 분리되는 분리형이 있다. 상기 코트형은 상단과 하단이 일체이므로 그 착용이 간편한 반면, 오토바이 승차시나 기타 작업시에는 상단과 하단이 일체이므로 그 동작이 자유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분리형은 상단과 하단이 분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하단이 보통 바지 형태로 되어 있어 그 동작이 자유스러운 반면, 우비의 착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분리형의 하단이 치마형태로 된 것도 있는데, 이것은 코트형과 같이 작업시나 오토바이, 자전거의 승차시 양다리 활동이 자유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우비를 착용하였을 경우 통풍이 잘 되질 않아 우비를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체온이 올라가게 되면서 땀으로 인해 온몸이 모두 젖게 되어 우비의 착용이 무의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실원평 5-60677에서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으로는 절개부(20)를 구비하고 앞뒷면으로는 각각 대응하여 체결할 수 있는 체결 수단을 구비한 앞쪽 개폐부(10')와 뒤쪽 개폐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코트형 우비(1')를 제안하였으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우비(1')는 가랑이 부분(A')의 봉쇄를 완전하게 할 수 없고, 디자인적으로 보기 좋지 않을 뿐 아니라, 가랑이 부분이 조이기 때문에 행동하기가 부자연스러우며 무릎까지 밖에 보호할 수 없어 무릎 하측의 종아리 부분은 비로부터 보호를 받지 못했다. 또한 습도 및 기온이 함께 높을 때 통풍상태가 극도로 나빠지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한편, 특개평 10-168613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코트형 우비를 게시하였으나, 이것도 그 구조가 복잡하고, 가랑이 부분에 대한 방수 수단이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앞개폐부 양 옷자락 하단 내측에 방수포가 구비되며, 그 상단에는 상기 양 옷자락 하단 내측에 장착되기 위한 부분인 장착부, 타측단에는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 뒤쪽과 체결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적어도 구비하며, 상기의 고정수단에서 체결이 해제된 상기 방수포는 바지의 형태를 띄게 되며 방수포의 양측단에는 각각 체결되어 바지의 가랑이 형태를 띌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하도록 하며, 상기의 방수포 하단이 고정수단에 고정되어 올려질 경우, 통상의 코트와 같이 간단하게 착용할 수 있으면서도, 한편으론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 방수포의 양측의 체결수단을 서로 연결하여 양다리를 바지와 같이 착용하여 자유로운 자세로 활동할 수 있는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겸용 코트형 우비에 있어서,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앞개폐부 양옷자락 내측에 방수포가 구비되며, 상기 방수포 상측단은 상기 양옷자락 사타구니 높이의 하단 내측에 장착되기 위한 부분인 장착부, 하측단은 방수포를 옷자락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방수포의 양측단은 서로 체결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우비의 하단 내측에 구비되는 방수포의 장착부는 우비의 옷자락 내측에 장착되어 다리를 감싸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바지의 다리부분 형태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의 방수포의 하측에 고정수단은 방수포가 우비의 양 옷자락 하단 내측으로 올려 접혀 고정될 수 있도록 지퍼, 똑딱이 단추, 찍찍이, 지퍼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방수포는 접혀 올려 지며 상기의 방수포의 하단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우비 양 옷자락 내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우비의 하단 내측에 구비되는 방수포가 옷 자락에 접혀 올려져 고정되는 경우 외부의 절개부를 통해 주머니 형태가 되도록 하여 절개부와 접혀진 방수포로 형성되는 주머니가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의 방수포가 고정수단에서 체결이 해제되어진 경우 바지로 사용할 수 있으며, 고정 수단에 고정되어 올려진 경우 통상의 코트형 우비로 사용이 가능함으로 인해 우비의 사용자로 하여금 호기심을 불러 일으킬 수 있으며, 통상의 코트나 치마와 같이 간단히 착용할 수 있으며, 고정 수단에서 체결이 해제되어 바지로서의 역활도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자유로운 활동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리를 비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바지의 형태로 이용하여 자전거, 오토바이 탑승시에도 보다 자유롭고 비로부터 다리를 보호받을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에 있어서,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앞개폐부 양옷자락 내측에 방수포가 구비되며, 상기 방수포 상측단은 상기 양옷자락 사타구니 높이의 하단 내측에 장착되기 위한 부분인 장착부, 하측단은 방수포를 옷자락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방수포의 양측단은 서로 체결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우비의 하단 내측에 구비되는 방수포의 장착부는 우비의 옷자락 내측에 장착되어 다리를 감싸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바지의 가랑이부분 형태로 만들 수 있도록 하며, 상기의 방수포의 하측에 고정수단은 방수포가 우비의 양 옷자락 하단 내측으로 올려 접혀 고정될 수 있도록 지퍼, 똑딱이 단추, 찍찍이, 지퍼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방수포는 접혀 올려 지며 상기의 방수포의 하단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우비 양 옷자락 내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우비의 하단 내측에 구비되는 방수포가 옷 자락에 접혀 올려져 고정되는 경우 외부의 절개부를 통해 주머니 형태가 되도록 하여 절개부와 접혀진 방수포로 형성되는 주머니가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1)에 관한 것으로,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1)의 앞개폐부(10) 양 옷자락 하단 내측에 방수포(11)가 구비되며, 그 상단에는 상기 양 옷자락 하단 내측에 장착되기 위한 부분인 장착부(20), 타측단에는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 내측과 고정되기 위한 고정수단(22a,22b)을 구비한 방수포 (11)를 구비하고,
상기의 방수포가 고정수단(22a,22b)에서 해제되어 밑으로 늘어질 경우 방수포(11)의 양측단에 서로 체결되어 질 수 있는 체결수단(23a, 23b)을 구비하도록 하여 체결수단(23a,23b)이 체결되어 질 경우 바지의 가랑이 형태를 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외부의 우비의 일측에 절개부(30)를 구비하도록 하며 상기의 절개부(30)는 우비의 내측에 장착부(20)와 연결되어 지는 방수포(11)와 일치하도록 하여 고정수단(22a,22b)으로 고정되어 지는 방수포(11)를 상기의 절개부(30)를 통해 주머니로 사용 가능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방수포(11)의 양측의 앞뒤를 서로 연결하지 않는 경우에는 통상의 치마와 같이 간단하게 착용할 수 있으면서도,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 하단의 앞뒤를 서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양다리를 바지와 같이 착용하여 자유로운 자세로 활동할 수 있는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은,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1)의 앞개폐부(10) 양옷자락 하단 내측에 방수포(11)가 구비되며, 그 상측단에는 상기 양 옷자락 하단 내측에 장착되기 위한 부분인 장착부(20), 하측단에는 바지의 형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23a, 23b)을 구비한 방수포(11)를 구비하며, 상기 방수포의 양측단에 형성된 체결수단(23a, 23b)을 체결하여 바지의 가랑이 형태로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는 하단의 방수포(11)의 양측단의 체결수단(23a, 23b)을 앞뒤를 서로 연결하지 않는 경우에 고정수단(22a,22b)을 이용하여 접어 올려 내측에 구비되어, 통상의 치마, 코트와 같이 간단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상기의 고정수단(22a,22b)에서 해제되어 바지의 형태로 우비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방수포가 고정된 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다른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방수포(11)는 도 4에서와 같이 고정수단(22a,22b)을 이용하여 우비의 내측에 체결함으로써, 방수포(11)를 접어 올릴 경우 통상의 코트와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디자인적으로 간단 하면서도 보기 좋고 방수포(11)가 구비되어 우천시에 고정수단(22a,22b)에서 해제 되어진 방수포(11)를 통상의 바지처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종아리 부분이 비에 젖지 않도록 함은 물론 활동에도 자유스러우면서 오토바이, 자전거를 보다 편안하게 탈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안의 착용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착용 상태는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1)의 앞개폐부(10) 양 옷자락 하단 내측에 장착된 방수포(11)의 양측단에 구비된 체결수단(23a, 23b)을 체결함으로서 상기의 방수포(11)가 바지의 가랑이 형태를 띄도록 하였다. 상기의 체결수단(23a, 23b)을 서로 체결하여 체결시 바지의 형태로 활동시에는 활동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며, 기존의 우천시 항상 젖었던 종아리 부분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의한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실시예에 따른 내측 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우천시에 다리를 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며, 방수포(11)를 접어 올려 고정수단(22a,22b)을 이용하여 고정할 경우 통상의 코트 형태를 띄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우비의 하단 내측에 구비되는 방수포(11)의 장착부(20)는 우비의 옷자락 내측에 장착되어 다리를 감싸 체결수단(22a, 22b)을 이용하여 바지의 가랑이 부분 형태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시예에 따른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방수포를 이용한 주머니의 구성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방수포(11)가 접어 올려질 경우 일정 깊이의 구멍이 형성되어 진다. 이를 우비의 외측 양옷자락 하단에 형성된 절개부(30)와 방수포(11)가 우비의 내측에 형성되도록 하는 장착부(21)에 일치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고정수단(22a, 22b)에 고정되어 접혀진 방수포(11)를 주머니의 형태로 사용 가능하며, 상기의 고정수단(22a, 22b)에서 해제될 경우 통상의 바지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의 주머니는 외부의 비가 내부의 방수포(11) 안으로 세어 들어가지 않도록 주머니 덮개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고안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변경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 종사하는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우비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우비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방수포가 고정된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착용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방수포가 고정된 우비 내측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시예에 따른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의 방수포를 이용한 주머니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 10 : 앞개폐부
11 : 방수포 20 : 장착부
22a,22b : 고정수단 23a,23b : 체결수단
30 : 절개부

Claims (3)

  1. 코트형 우비에 있어서,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1)의 앞개폐부(10) 양옷자락 내측에 방수포(11)를 적어도 포함하며,
    상기 방수포 상측단은 상기 양옷자락 사타구니 높이의 하단 내측에 장착되는 부분인 장착부(20), 하측단은 방수포(11)를 옷자락에 고정하는 고정수단(22a, 22b)을 구비하며, 상기 방수포의 양측단은 서로 체결할 수 있는 체결수단(23a,2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포(11)는 접혀 올려지며 상기의 방수포(11)의 하단의 고정수단(22a, 22b)을 이용하여 우비 양 옷자락 내측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비의 하단 내측에 구비되는 방수포(11)가 옷 자락에 접혀 올려져 고정되는 경우 외부의 양옷자락 절개부(30)와 접혀진 방수포(11)로 주머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
KR2020090014824U 2009-11-16 2009-11-16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 KR2011000505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824U KR20110005052U (ko) 2009-11-16 2009-11-16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824U KR20110005052U (ko) 2009-11-16 2009-11-16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052U true KR20110005052U (ko) 2011-05-24

Family

ID=49294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824U KR20110005052U (ko) 2009-11-16 2009-11-16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05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771B1 (ko) * 2012-05-17 2014-03-13 강경원 다기능성 우의
KR20170014152A (ko) 2015-07-29 2017-02-08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앞치마로 사용가능한 레인코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771B1 (ko) * 2012-05-17 2014-03-13 강경원 다기능성 우의
KR20170014152A (ko) 2015-07-29 2017-02-08 한국패션산업연구원 앞치마로 사용가능한 레인코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59269A1 (en) Personal reflective garment
CN102987590B (zh) 自行车外套
US20090235426A1 (en) Hooded garment with an integrated tubular collar having a zipper
US20080250551A1 (en) Sport Garment Having an Improved Comfortableness
US20150208747A1 (en) Long Sleeved Upper Torso Detachable Hooded Garment
JP3148977U (ja) 通気性作業用ウェア
KR200444200Y1 (ko) 망토형 우의
CA2829366A1 (en) Convertible head and face covering
JP2011117121A (ja) 通気性作業用ウェア
KR20110005052U (ko) 바지 겸용 코트형 우비
WO2015156474A1 (ko) 전신우의
KR200470495Y1 (ko) 우비가 내장된 모자
KR100723791B1 (ko) 우비
KR101373771B1 (ko) 다기능성 우의
JP3056733B2 (ja) フ―ド、及び、フ―ド付き衣服
KR200281680Y1 (ko) 소매 가변형 다목적 복합기능 의류
CN211721930U (zh) 一种雨衣
CN201294872Y (zh) 全身防湿雨衣
KR200353765Y1 (ko) 비옷
KR100723792B1 (ko) 우비
KR200421775Y1 (ko) 모자를 내장한 탈착식 목도리
KR200471740Y1 (ko) 의류
KR200365402Y1 (ko) 분리형 등산 우의
CN220458644U (zh) 一种多功能户外衣
CN220088637U (zh) 一种透气书包式雨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