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961A - 안료 혼합물, 및 화장품, 식품 및 약품 분야에서의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안료 혼합물, 및 화장품, 식품 및 약품 분야에서의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961A
KR20090009961A KR1020087029950A KR20087029950A KR20090009961A KR 20090009961 A KR20090009961 A KR 20090009961A KR 1020087029950 A KR1020087029950 A KR 1020087029950A KR 20087029950 A KR20087029950 A KR 20087029950A KR 20090009961 A KR20090009961 A KR 20090009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o
pigment
mixture
componen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9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로니카 호흐스타인
크리스토프 슈미트
자비네 쇤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90009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96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81Composite particulate pigments or fillers, i.e. containing at least two solid phases, except those consisting of coated particles of one compound
    • C09C1/0084Composite particulate pigments or fillers, i.e. containing at least two solid phases, except those consisting of coated particles of one compound containing 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 A23L5/42Addition of dyes or pigments, e.g. in combination with optical brigh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61K8/0258Layered structure
    • A61K8/0266Characterized by the sequence of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61Q3/02Nail coat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09C1/0024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stack of coating layers with alternating high and low refractive indices, wherein the first coating layer on the core surface has the high refractive index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09C1/0024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stack of coating layers with alternating high and low refractive indices, wherein the first coating layer on the core surface has the high refractive index
    • C09C1/003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stack of coating layers with alternating high and low refractive indices, wherein the first coating layer on the core surface has the high refractive index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absorbing layer
    • C09C1/0039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stack of coating layers with alternating high and low refractive indices, wherein the first coating layer on the core surface has the high refractive index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absorbing layer consisting of at least one coloured in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81Composite particulate pigments or fillers, i.e. containing at least two solid phases, except those consisting of coated particles of one compoun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6Interference pigments, e.g. Iridescent, Pearl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21Coated by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3More than one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5Characteriz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articulate/core
    • A61K2800/651The particulate/core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01P2006/62L* (lightness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01P2006/63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a* (red-green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01P2006/64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b* (yellow-blue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1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 C09C2200/1004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mprising at least one inorganic oxide, e.g. Al2O3, TiO2 or SiO2
    • C09C2200/1016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mprising at least one inorganic oxide, e.g. Al2O3, TiO2 or SiO2 comprising an intermediate layer between the core and a stack of coating layers having alternating refractive ind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1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 C09C2200/102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nsisting of glass or silicate material like mica or clays, e.g. kaolin
    • C09C2200/1025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nsisting of glass or silicate material like mica or clays, e.g. kaolin comprising at least one metal layer adjacent to core material, e.g. core-M or M-core-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1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 C09C2200/102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nsisting of glass or silicate material like mica or clays, e.g. kaolin
    • C09C2200/1033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nsisting of glass or silicate material like mica or clays, e.g. kaolin comprising an intermediate layer between the core and a stack of coating layers having alternating refractive ind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Confectione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A 및 B의 두 성분을 포함하는 안료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료 혼합물은, 상기 A 성분이 효과 안료로 구현되고 상기 B 성분이 착색제 및 충전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에서의 상기 안료 혼합물의 용도 및 식품 및 약품을 착색하기 위한 상기 안료 혼합물의 용도가 기술된다.

Description

안료 혼합물, 및 화장품, 식품 및 약품 분야에서의 이의 용도{PIGMENT MIXTURE, AND USE THEREOF IN COSMETICS, FOOD, AND PHARMACEUTICALS}
본 발명은 박형(flake-form) 기재를 기초로 하는 효과 안료(effect pigment), 및 화장료 조성물, 식품 및 약품 분야에서의 상기 안료와 다른 착색제 및/또는 충전제의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박형 기재를 기초로 하는 금 안료는 특히 인쇄 용도 및 화장품에서 중요하다. 하지만, 당 분야에 공지된 상기 금 안료는 자주, 충분히 진한 색상 및 명도를 갖지 않는 단점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다양한 용도의 매질에서 진정한 금색의 시각적 효과를 가져오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진한 금색 광택을 특징으로 하고 상술된 단점을 갖지 않는, 화장품용 금색 안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색 광택이 특히 유리한 방법으로 유지되거나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방법에 의해 개질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다중-코팅된 박형 기재을 기초로 하는 효과 안료, 바람직하게는 금 안료와 추가의 착색제 및/또는 충전제가 조합된 안료 혼합물이 매우 부드러운 피부 촉감을 제공하고, 광-안정적이고, 번지거나 배어나오지 않고, 무독성이며, 높은 은폐력(hiding power)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안료는, 교대하는 고굴절률 층과 저굴절률 층을 갖고, 1:0.5 내지 1:2.0 몰 비의 TiO2와 Fe2O3의 혼합물로 구성된 고굴절률 코팅을 하나 이상 포함한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다중-코팅된 박형 기재에 기초한 금 안료는 예를 들어 국제특허공개 제 WO 01/30921 호에 기술되어 있다.
금색 매스 색조(mass tone)를 갖는 다층 안료를 유기 및 무기 충전제와 조합하고/하거나 박형, 침형, 구형 또는 결정성 착색제와 조합하여 사용하면 색상 효과를 향상시키고 새로운 색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료 혼합물은 고광택성 및 매우 우수한 피부 촉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A 및 B의 두개의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성분 A가, 다중-코팅된 박형 기재를 기초로 하는 효과 안료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기재는 (A) 1:0.5 내지 1:2.0 몰 비의 TiO2와 Fe2O3의 혼합물, 및 임의로 층 (A)를 기준으로 20 중량% 미만의 양의 금속 산화물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고굴절률 코팅, (B) 1.8 미만의 굴절률(n)을 갖는 무색 코팅, (C) 1.8 초과의 굴절률(n)을 갖는 무색 코팅, (D) 1.8 초과의 굴절률(n)을 갖는 흡수성 코팅, 및 임의로 (E) 외부 보호층을 포함하는 층 순서를 갖고, 상기 성분 B가, 박형, 침형(needle-shaped), 구형 또는 비규칙적 형태의 입자로 이루어진, 무기 안료, 유기 안료, 염료, 착색용 천연 과일 및/또는 식물 추출액 및/또는 충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착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안료 혼합물의 뛰어난 색채효과적인 변수는, 진하고, 바람직하게는 순수한 금색이며, 최적의 광택 효과 및/또는 실크 효과를 갖는 색상이다. 상기 성분 A의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L = 60 내지 85; a = -15 내지 25; b = 22 내지 45의 범위인 Lab 값을 갖는다(측정 방법: Phyma, 흑색 바탕 상에서 22.5°/22.5°).
또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콤팩트 파우더, 루스 파우더, 립스틱, 로션, 유탁액 등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안료 조성물 OTC 제제를 비롯한 약품 및 식품을 착색하기에 적합하고, OTC 제제를 비롯한 약품 및 식품의 코팅, 예를 들어 정제, 당의정, 젤라틴 캡슐 등의 약품 코팅을 착색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성분 A의 효과 안료는 임의의 비율로 착색제 또는 충전제와 함께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 A 대 상기 성분 B의 혼합 비가 99:1 내지 50:50, 특히 95:5 내지 70:30,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70:30 내지 50:50이다. 상기 성분 B가 충전제를 포함하는 경우, 성분 A 대 성분 B의 비는 또한 99:1 내지 1:99일 수 있다.
성분 A의 바람직한 효과 안료는 하기 구조를 갖는다:
기재 + Fe2O3/TiO2 + SiO2 + TiO2 + Fe2O3/TiO2,
기재 + Fe2O3/TiO2 + SiO2 + TiO2 + Fe2O3,
기재 + Fe2O3/TiO2 + SiO2 + TiO2 + SiO2 + Fe2O3/TiO2.
층 (A) 내지 (D) 또는 층 (A) 내지 (E)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재의 표면에 직접 적용된다. 즉, 층 (A)가 상기 기재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배치된다.
광택 및 명도와 같은 안료의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중간층(interlayer, IL)이 임의로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nm, 특히 1 내지 80 nm,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nm의 두께를 갖는 TiO2 층, 또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nm의 두께를 갖는 SiO2 층이 기재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하기의 층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기재 + (IL)TiO2 + Fe2O3/TiO2 + SiO2 + TiO2 + Fe2O3/TiO2,
기재 + (IL)TiO2 + Fe2O3/TiO2 + SiO2 + TiO2 + Fe2O3.
또한, 본 발명은 중간층을 갖는 상기 효과 안료, 및 페인트, 코팅, 인쇄용 잉크, 플라스틱, 화장료 조성물에서의 이의 용도 및 식품 및 약품을 착색하기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분 A의 효과 안료에 적합한 베이스 기재는, 한편으로는 불투명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투명한 박형 기재이다. 바람직한 기재는 필로실리케이트 및 유리 박편이다. 특히 적합한 것은 천연 및/또는 합성 운모, 활석, 카올린, 박형 산화 철 또는 산화 알루미늄, 유리 박편, SiO2 박편, SiOx(0.70 ≤x≤2.0) 박편이고, 바람직하게는 SiO2 박편, TiO2 박편, 흑연 박편, 합성 지지체-부재(support-free) 박편, 액정 중합체(LCP), 홀로그래픽 안료, BiOCl 박편, 임의로 부동태화된 금속 박편, 예를 들어 알루미늄 박편, 알루미늄 청동 박편, 황동 청동 박편, 아연 청동 박편, 티타늄 청동 박편 또는 이와 동등한 다른 물질들이다.
베이스 기재의 크기는 자체로는 중요하지 않으며, 특정 용도에 대해 맞출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박형 기재는 0.02 내지 5 ㎛, 특히 0.05 내지 4.5 ㎛의 두께를 갖는다. 나머지 2차원에서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1 내지 250 ㎛,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0 ㎛, 특히 5 내지 150 ㎛이다. 유리 박편은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 특히 0.8 ㎛ 이하, 및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효과 안료는, 상기 기재 상에서 교대하는, 바람직하게는 1:1 몰 비의 TiO2와 Fe2O3의 혼합물로 구성된 고굴절률 코팅 (A)와 무색의 저굴절률 코팅 (B)의 조합을 갖는다. 층 (A)는, 예를 들어 800℃ 초과의 온도에서 안료의 하소와 같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적당한 방법에 의해 슈도브루카이트, 슈도브루카이트와 TiO2의 혼합물, 또는 슈도브루카이트와 Fe2O3의 혼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층 (C)는 바람직하게는 TiO2, ZrO2, SnO2, Ce2O3, BiOCl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조합으로 구성된다. 층 (C)가 TiO2로 구성되는 경우, TiO2는 바람직하게는 루틸(rutile) 형태이다.
층 (D)에 적합한 물질은 흡수성 물질, 예를 들어 금속, 예컨대 철, 텅스텐, 크롬, 코발트, 니켈, 구리, 은, 금, 알루미늄 및 이들의 합금; 금속 산화물, 예컨대 CoO, Co3O4, Fe2O3, Fe3O4, 슈도브루카이트, TiO2/Fe2O3 혼합물, VO2, V2O3; 금속 황화물, 예컨대 황화 몰리브덴, 황화 철, 황화 텅스텐, 황화 크롬, 황화 코발트, 황화 니켈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상기 흡수성 층 (D)는 바람직하게는 TiO2와 Fe2O3의 혼합물이고, 이때 혼합 비는, 층 (A)의 경우와 같이, 넓은 한계치 내에서 변화될 수 있다. TiO2 대 Fe2O3의 몰 비는 바람직하게는 1:1이다. 층 (D)는, 층 (A)에서와 같은 적당한 방법, 예를 들어 800℃ 초과의 온도에서의 안료의 하소에 의해 슈도브루카이트, 슈도브루카이트와 TiO2의 혼합물, 또는 슈도브루카이트와 Fe2O3의 혼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층 (D)는 1.8 초과, 특히 2.0 이상의 복굴절률(n)을 갖는다.
상기 층 (B)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추가의 무색 저굴절률 층 (B*)이 층 (C)와 층 (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고굴절률 층 (A)는 바람직하게는 1.8 초과, 특히 2.0 이상의 복굴절률(n)을 가지며, 혼합 비가 1:0.5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1:0.7 내지 1:1.5, 특히 1:1인 TiO2와 Fe2O3의 혼합물이다. 층 (A)는 바람직하게는 진하게 착색된 슈도브루카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층 (A)의 두께가 10 내지 300 nm,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0 nm, 및 특히 20 내지 200 nm이다.
층 (A)의 틴팅(tinting)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Al2O3, Ce2O3, B2O3, ZrO2, SnO2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금속 산화물을 하나 이상 혼합하는 것을 또한 권장한다. Fe2O3/TiO2 혼합물 이외에, 추가의 금속 산화물의 중량% 비율은 2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여야 한다.
또한, 층 (D)가 TiO2/Fe2O3 혼합물의 층인 경우에는, 틴팅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20 중량% 이하의 양으로 Al2O3, Ce2O3, B2O3, ZrO2, SnO2와 같은 금속 산화물을 하나 이상 혼합하는 것을 권장한다.
코팅 (B)에 적합한 무색 저굴절률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산화물 또는 대응하는 산화물의 수화물, 예를 들어 SiO2, Al2O3, AlO(OH), B2O3, MgF2, MgSiO3 또는 상기 금속 산화물들의 혼합물이다. 층 (B)의 두께는 10 내지 600 nm,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0 nm, 및 특히 20 내지 400 nm이다.
층 (C)가 TiO2 층인 경우,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루틸 형태이다. 루틸의 제조를 위한 공정은 선행 기술,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 5,433,779 호, 미국특허 제 4,038,099 호, 미국특허 제 6,626,989 호, 독일특허 제 25 22 572 C2 호, 유럽특허 제 0 271 767 B1 호에 기술되어 있다. TiO2를 층 (B) 상에 침전시키기 전에, 바람직하게는 산화 주석의 박층(층 B*)이 적용되고, 이것은 TiO2를 루틸로 전환시키기 위한 첨가제로서 작용한다.
상기 효과 안료는 예를 들어 국제특허공개 제 WO 01/30921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층 (A) 내지 (D)를 갖는 기재 박편의 코팅은 습식-화학적 방법 및/또는 CVD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층 (A)가 적용되기 전에, 박층의 유전 층(이때, n은 1.8 미만)이 또한 임의로 침착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코팅은 예를 들어 유리 박편 상에서, 예를 들어 5 내지 100 nm의 두께를 갖는 SiO2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효과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습식-화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하기의 공개문헌에 기술된 진주광택성 안료의 제조를 위해 개발된, 공지된 습식-화학적 코팅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독일특허 제 14 67 468 호, 독일특허 제 19 59 988 호, 독일특허 20 09 566 호, 독일특허 제 22 14 545 호, 독일특허 제 22 15 191 호, 독일특허 제 22 44 298 호, 독일특허 제 23 13 331 호, 독일특허 제 25 22 572 호, 독일특허 제 31 37 808 호, 독일특허 31 37 809 호, 독일특허 제 31 51 343 호, 독일특허 31 51 354 호, 독일특허 제 31 51 355 호, 독일특허 제 32 11 602 호, 독일특허 제 32 35 017 호.
습식 코팅의 경우, 기재 입자는 물에 현탁되고, 하나 이상의 가수분해가능한 금속 염이 가수분해에 적합한 pH에서 첨가되고, 상기 pH는, 상기 금속 산화물 또는 금속 산화물 수화물이 실질적으로 2차 침전되지 않으면서 상기 박편의 상부에 직접 침전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코팅 작업 동안, 상기 기재 입자의 균질한 코팅을 확실하게 하고 상기 기재가 완전히 둘러싸이고 개방된 모서리가 남아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기재 입자가 계속 움직이게 한다. 상기 pH는 일반적으로 염기 및/또는 산의 동시 계량 첨가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안료는 후속적으로 분리되어 제거되고, 세척되고,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80℃에서 건조되고, 임의로 하소되며, 이때 하소 온도는 각각의 경우에 존재하는 코팅 및 사용되는 기재에 대해 최적화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하소 온도는 25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900℃이다. 필요한 경우, 상기 안료는 개별적인 코팅이 적용된 후 분리되어 제거되고, 건조되고, 임의로 하소되고, 이어서 추가의 층의 침전을 위해 다시 현탁된다.
추가로, 상기 코팅은 또한 기상 코팅에 의해 유동층 반응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럽특허 제 0 045 851 A1 호 및 유럽특허 제 0 106 235 A1 호에 기술된 진주광택성 안료의 제조 공정이 대응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는, 모든 입자 표면의 균일한 코팅을 확실하게 하고 상기 기재가 완전히 둘러싸이고 개방된 모서리가 남아있지 않도록 하기 위해, 코팅 작업 동안 상기 기재가 불균일하게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성분 A의 효과 안료는 또한, 광, 기후 및 화학적 안정성을 증가시키거나 다양한 매질에 대한 혼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유기 또는 무기 보호 층 (층 E)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적합한 후-코팅 또는 후-처리는 예를 들어 실란, 실리콘, 흡수성 실리콘, 금속 비누, 아미노산, 레시틴, 플루오린 성분, 폴리에틸렌, 콜라겐 또는 독일특허 제 22 15 191 호, 독일특허 제 31 51 354 호, 독일특허 제 32 35 017 호, 독일특허 제 33 34 598 호, 유럽특허 제 0 632 109 호, 미국특허 제 5,759,225 호, 독일특허 제 43 17 019 호, 독일특허 제 39 29 423 호, 유럽특허 제 0 492 223 호, 유럽특허 제 0 342 533 호, 유럽특허 제 0 268 918 호, 유럽특허 제 0 141 174 호, 유럽특허 제 0 764 191 호, 국제특허공개 제 WO 98/13426 호 또는 유럽특허 0 465 805 호에 기술된 방법이다. 이러한 후-코팅은 화학적 및 광화학적 안정성을 추가로 증가시키거나, 특히 다양한 매질에 혼입 시 금 안료의 취급을 단순화시킨다. 습윤성, 분산성 및/또는 사용 매질과의 혼화성을 개선하기 위해, 예를 들어 Al2O3, ZrO2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 상의 작용성 코팅을 상기 안료 표면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럽특허 제 0 090 259 호, 유럽특허 제 0 634 459 호, 국제특허공개 제 WO 99/57204 호, 국제특허공개 제 WO 96/32446 호, 국제특허공개 제 WO 99/57204 호, 미국특허 제 5,759,255 호, 미국특허 제 5,571,851 호, 국제특허공개 제 WO 01/92425 호 및 문헌[J.J. Ponjee, Philips Technical Review, Vol. 44, No. 3, 81 ff. 및 P.H. Harding J. C. Berg, J. Adhesion Sci. Technol. Vol. 11, No. 4, pp. 471-493]에 기술된 바와 같이 실란을 사용한 유기 또는 유/무기 결합된 후-코팅이 또한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적용된 기재은 전체 안료의 단지 약 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 중량%를 구성한다.
효과 안료의 후-코팅은 층 (D) 상에 단일 반응용기(one-pot) 공정으로 직접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먼저 단리하고, 임의로 다층 안료를 건조 및 하소하고, 이어서 후-코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효과 안료, 바람직하게는 금 안료(성분 A)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충전제 및/또는 성분 B의 착색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의 성분 B로서 적합한 것은, 당업자에게 공지되고 특히 0.001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의 입자 크기를 갖는 모든 박형, 침형, 구형 및 결정성 착색제 또는 충전제이다. 착색제는 DIN 표준 55944에 따른 무기 및 유기 착색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착색제는 또한 착색용 천연 과일 및 식물 추출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착색제로서 무기 염료 및 무기 안료, 예를 들어 무기 백색 안료, 무기 착색 안료, 무기 흑색 안료, 무기 효과 안료를 포함한다. 후자는 물론 성분 A의 효과 안료와 동일하지 않은 것이다. 상기 무기 착색제 이외에, 유기 안료와 같은 유기 착색제(예컨대 착색 안료, 흑색 안료, 효과 안료) 및 무기 염료(예컨대, 착색 염료, 흑색 염료)도 또한 적합하다. 적합한 충전제는 바람직하게는 박형 또는 구형 물질이다.
성분 B는 바람직하게는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은 SiO2 비드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로 코팅된 SiO2 비드는 예를 들어 유럽특허 제 0 803 550 A2 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성분 B의 착색제는 바람직하게는 무기 효과 안료, 예를 들면 다층 안료 또는 간섭 안료를 비롯한 진주광택성 안료이고, 이것은 성분 A와 동일하지 않은 것이다. 사용되는 진주광택성 안료는, 착색되거나 무색의 금속 산화물(예컨대, TiO2, 티타늄 아산화물, 티타늄 산소질화물, Fe2O3, Fe3O4, FeOOH, SnO2, Cr2O3, ZnO, CuO, NiO 및 다른 금속 산화물 단독 또는 혼합물)로 단층 또는 연속층으로 코팅된 필로실리케이트(예컨대, 천연 또는 합성 운모, 활석, 세리사이트, 카올린 또는 다른 실리케이트 물질)를 포함하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박형 기재를 기초로 한다.
진주광택성 안료는 예를 들어 독일특허 및 독일특허출원 제 14 67 468 호, 제 19 59 998 호, 제 20 09 566 호, 제 22 14 454 호, 제 22 15 191 호, 제 22 44 298, 23 13 331 호, 제 25 22 572 호, 제 31 37 808 호, 제 31 37 809 호, 제 31 51 343 호, 제 31 51 354 호, 제 31 51 355 호, 제 32 11 602 호, 제 32 35 017 호, 및 제 P 38 42 330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독일 다름스타트(Darmstadt) 소재의 메르크 카게아아(Merck KGaA) 및/또는 미국의 로나(Rona)로부터 시판되는 이리오딘(Iriodin, 등록상표), 티미론(Timiron, 등록상표), 지로나(Xirona, 등록상표)이다. 특히 바람직한 안료 조성물은 TiO2/운모, Fe2O3/운모 및/또는 TiO2/Fe2O3/운모 안료이다. 진주광택성 안료는 추가적으로 표면 상에 베를린 블루(Berlin Blue) 또는 카민 레드(Carmine Red)의 층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은 BiOCl 안료, TiO2 코팅되고/되거나 Fe2O3 코팅된 SiO2, 유리 또는 Al2O3 박편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금속 산화물을 갖는 SiO2 박편의 코팅은 예를 들어 국제특허공개 제 WO 93/08237 호(습식-화학적 코팅) 또는 독일특허공개 제 196 14 637 호(CVD 방법)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일특허공개 제 196 18 563 호, 독일특허공개 제 196 18 566 호, 독일특허공개 제 196 18 569 호, 독일특허공개 제 197 07 805 호, 독일특허공개 제 197 07 806 호, 독일특허공개 제 197 46 067 호에 기술된 다층 안료는, 운모(합성 또는 천연), SiO2 박편, 유리 박편, Al2O3 박편 및 중합체 박편으로 이루어지고 일반적으로 0.3 내지 5 ㎛, 특히 0.4 내지 2.0 ㎛의 크기를 갖는 박형의 투명한 착색되거나 무색의 매트릭스를 기초로 한다. 나머지 2차원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1 내지 250 ㎛,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 ㎛, 및 특히 5 내지 40 ㎛이다. 다층 안료는 2 이상의 금속 산화물로 코팅된 매트릭스(기재)로 구성된다. 다수의 층을 갖는 기재 박편인 운모, SiO2 박편, 유리 박편, Al2O3 박편의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교대하는 고굴절률 층과 저굴절률 층으로 이루어진 층 구조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상기 다층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2, 3, 4, 5, 6 또는 7개의 층, 특히 3, 4 또는 5개의 층을 함유한다. 적합한 고굴절률 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어 이산화 티타늄, 산화 지르코늄, 산화 아연, 산화 철, 철/티타늄 산화물(철 티타네이트) 및/또는 산화 크롬이고, 특히 TiO2 및/또는 Fe2O3이다. 사용되는 저굴절률 산화물은 SiO2 및 Al2O3이다. 하지만, 상기 목적을 위해 MgF2 또는 유기 중합체(예를 들어, 아크릴레이트)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기재 박편의 코팅은 예를 들어 국제특허공개 제 WO 93/08237 호(습식-화학적 코팅) 또는 독일특허공개 제 196 14 637 호(CVD 방법)에 기술된 바 대로 수행될 수 있다. 운모(천연 또는 합성), 유리 박편, Al2O3 박편, Fe2O3 박편, SiO2 박편에 기초한, 특히 바람직한 다층 안료는 TiO2-SiO2-TiO2의 층 순서를 포함한다. TiO2는 아나타제 형태 또는 루틸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루틸 형태이다.
간섭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운모, 유리 박편, SiO2 박편에 기초한 안료이며, 이것은 착색되거나 무색의 금속 산화물, 예컨대 TiO2, 티타늄 아산화물, 티타늄 산소질화물, Fe2O3, Fe3O4, SnO2, Cr2O3, ZnO, CuO, NiO 및 다른 금속 산화물 단독 또는 혼합물로 단층 또는 연속층으로 코팅된다.
적합한 박형 착색제는 특히, 단지 하나의 금속 산화물 층으로 피복되고 특히 운모, SiO2 박편 또는 Al2O3 박편에 기초한 진주광택성 안료, 금속 효과 안료(Al 박편, 청동), 광학적 가변 안료(OVP), 액정 중합체 안료(LCP) 또는 홀로그래픽 안료가다.
구형 착색제는 특히 TiO2, 착색된 SiO2, CaSO4, 산화 철, 산화 크롬, 카본 블랙, 유기 착색 안료(예컨대, 안트라퀸온 안료, 퀸아크리돈 안료, 다이케토피롤로피롤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아조 안료, 아이소인돌린 안료)를 포함한다. 침상 안료는 바람직하게는 BiOCl, 착색된 유리 섬유, α-FeOOH, 유기 착색 안료, β-프탈로시아닌 Cl 블루 15.3, 크로모프탈 옐로우 8GN(시바(Ciba)), 이르가리쓰(Irgalith) 블루 PD56(시바), 아조메타인 구리 복합체 Cl 옐로우 129, 이르가진 옐로우 5GT(시바)를 포함한다.
또한, 피부 촉감을 개선하기 위해 나노크기의 유전체를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혼합물의 예는 Al2O3, SiO2, ZnO 또는 TiO2이고, 일반적으로 조성물에 0.01 내지 15 %의 양으로 첨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간단하고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상기 안료 혼합물은 간단한 교반-도입에 의해 적용 시스템에 혼입될 수 있다. 성분 A 및 B는 적용 시스템에 동시에, 순차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안료의 복잡한 분쇄 및 분산은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식품 색상의 착색; 식품의 마감처리(예컨대, 덩어리 착색) 또는 코팅으로서; 또는 약품 코팅(예컨대, 당의정 및 정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예컨대, 립스틱, 립 글로스, 아이라이너, 아이쉐도우, 루즈, 선 스크린, 프리-선(pre-sun) 및 애프터-선(after-sun) 조성물, 메이크업, 바디 로션, 바쓰 젤, 비누, 바쓰 솔트, 치약, 헤어 젤, (볼륨) 마스카라, 네일 바니쉬, 콤팩트 파우더, 샴푸, 루스 파우더 및 젤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착색되는 적용 시스템에서 상기 염료 혼합물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상기 시스템의 총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 및 특히 1.0 내지 10 중량%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특정 용도에 좌우되며, 루스 파우더의 경우에는 10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의 사용 농도는 샴푸에서의 0.01 중량%로 부터 콤팩트 파우더에서의 70 중량%까지 확대된다. 성분 A와 구형 충전제(예컨대, SiO2)의 다층 안료의 혼합물에서, 상기 농도는 조성물의 0.01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일 바니쉬, 립스틱, 콤팩트 파우더, 샴푸, 루스 파우더 및 젤과 같은 화장품은 특히 흥미로운 광택 효과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장식용 및 보호용 화장품 모두에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성분 A와 성분 B(특히 천연 및 합성의 유기 및 무기 착색 안료 및 염료, 예를 들어 산화 크롬, 울트라마린, 구형 SiO2 또는 TiO2 안료)의 다층 안료의 사용 농도 및 혼합 비는 적용 매질 및 달성하고자 하는 효과에 좌우된다.
성분 A의 효과 안료는 또한 시판되는 충전제와 혼합될 수 있다. 언급할 수 있는 충전제는 예를 들어 천연 및 합성 운모; 유리 비드 또는 유리 분말; 나일론 분말; 순수하거나 충전된 멜라민 수지; 활석; 유리; 카올린; 알루미늄, 마그네슘, 칼슘 또는 아연의 산화물 또는 수산화물; BiOCl, 황산 바륨; 황산 칼슘;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탄소; 및 상기 물질들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조합이다.
상기 충전제의 입자 형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박형, 구형, 침형, 결정성 또는 무정형일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또한 화장품 원료 및 임의의 유형의 보조제를 갖는 조성물과 합쳐질 수 있다. 이들은 특히 오일, 지방, 왁스, 필름 형성제, 계면활성제, 항산화제(예컨대, 비타민 C 또는 비타민 E), 안정화제, 향 개선제, 실리콘 오일, 유화제, 용매(예컨대, 에탄올,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부틸 아세테이트), 보존제 및 일반적으로 용도의 특성을 결정하는 보조제(예컨대, 증점제 및 유동성 첨가제(예를 들어, 벤토나이트, 헥토라이트, 이산화 실리콘, Ca 실리케이트, 젤라틴, 고분자량 탄화수소 및/또는 표면 활성 보조제 등)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친유성, 친수성 또는 소수성 유형에 속할 수 있다. 개별적인 수성 및 비-수성 상을 갖는 비균질 조성물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상기 2개의 상 중 단지 하나의 상에 존재하거나, 다르게는 2 상 전체에 분포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pH는 1 내지 14,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1, 및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8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의 농도에 대한 제한은 없다. 이것은 용도에 따라 0.001 %(세척-제거 제품, 예컨대 샤워 젤) 내지 100 %(예컨대, 특정 용도의 광택-효과 제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또한 화장료 활성 화합물과 합쳐질 수 있다. 적합한 활성 화합물은 예를 들어 방충제, 무기 UV 필터(예컨대, TiO2, UV A/BC 보호성 필터(예를 들어 OMC, B3, MBC))이고, 또한 캡슐화된 형태의 항노화제 화합물, 비타민 및 이의 유도체(예컨대, 비타민 A, C, E 등), 자가-탠닝제(예컨대, 특히 DHA, 에리트룰로스), 및 추가의 화장료 활성 물질(예컨대, 비사볼올, LPO, VTA, 엑토인, 엠블리카, 알란토인, 바이오플라보노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이다. 유기 UV 필터는 일반적으로 0.5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혼입되고, 무기 충전제는 상기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혼입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추가의 통상적인 피부-보호 또는 피부-관리 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이것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활성물질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활성 물질은 피리미딘카복실산 및/또는 아릴 옥심이다.
화장품 용도로서, 노화되거나 건조하거나 자극받은 피부의 관리를 위해 엑토인 및 엑토인 유도체를 특히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유럽특허공개 제 0 671 161 호는 특히, 엑토인 및 하이드록시-엑토인이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제품, 립스틱, 루즈, 메이크업, 관리 크림 및 선스크린 제제와 같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된다고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중량%, 특히 0.1 내지 3 중량%의 엑토인 또는 엑토인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언급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의 적용 형태는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PIT 유탁액, 페이스트, 연고, 젤,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제제, 오일, 에어로졸 및 스프레이다. 다른 적용 형태의 예는 스틱, 샴푸 및 샤워 제제이다. 임의의 바람직한 통상의 비히클, 보조제 및 필요한 경우, 추가의 활성 물질이 상기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연고, 페이스트, 크림 및 젤은 통상의 비히클, 예를 들어 동물성 및 식물성 지방, 왁스, 파라핀, 전분, 트래거캔쓰(tragacanth), 셀룰로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활석 및 산화 아연, 또는 상기 물질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분말 및 스프레이는 통상의 비히클, 예를 들어 락토스, 활석, 실리카, 수산화 알루미늄, 칼슘 실리케이트 및 폴리아마이드 분말 또는 상기 물질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레이는 추가적으로 통상의 추진제, 예컨대 클로로플루오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다이메틸 에터를 포함할 수 있다.
용액 및 유탁액은 통상의 비히클, 예를 들어 용매, 가용화제 및 유화제(예컨대, 물,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라이콜, 1,3-부틸 글라이콜, 오일, 특히 면실유, 땅콩유, 맥아유, 올리브유, 캐스터유 및 참기름,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터,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터), 또는 상기 물질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현탁액은 통상의 비히클, 예를 들어 액체 희석제(예컨대,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라이콜), 현탁액 매질(예컨대, 에톡실화 아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터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터),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아가-아가 및 트래거캔쓰, 또는 상기 물질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비누는 통상의 비히클, 예를 들어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모노에스터의 염, 지방산 단백질 가수분해물, 아이소티오네이트, 라놀린, 지방알코올, 식물성 오일, 식물 추출물, 글리세롤, 설탕 또는 상기 물질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제품은 통상의 비히클, 예를 들어 지방알코올 설페이트의 염, 지방알코올 에터 설페이트, 설포석신산 모노에스터, 지방산 단백질 가수분해물, 아이소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 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마이드 에터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알코올, 지방산 글라이세라이드, 지방산 다이에탄올아마이드, 식물성 및 합성 오일, 라놀린 유도체,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터, 또는 상기 물질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안면 및 바디 오일은 통상의 비히클, 예를 들어 합성 오일(예컨대, 지방산 에스터, 지방알코올, 실리콘 오일), 천연 오일(예컨대, 식물성 오일 및 유성 식물 추출물, 파라핀 오일, 라놀린 오일), 또는 상기 물질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은 예를 들어 용액, 무수(water-free) 조성물, 유중수(W/O) 유형 또는 수중유(O/W) 유형의 유탁액 또는 미세유탁액, 수중유중수(W/O/W) 유형의 다중 유탁액, 젤, 고체 스틱, 연고 또는 에어로졸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콜라겐 매트릭스로 캡슐화된 형태의 엑토인, 및 다른 통상적인 캡슐화된 물질, 예컨대 젤라틴, 왁스 매트릭스 또는 리포좀으로 캡슐화된 셀룰로스 캡슐을 투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특히, 독일특허공개 제 43 08 282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왁스 매트리스가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바람직한 것은 유탁액이다. O/W 유탁액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탁액, 즉 W/O 유탁액 및 O/W 유탁액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득가능하다.
추가의 실시양태는 천연 또는 합성 오일 및 왁스, 라놀린, 지방산 에스터, 특히 지방산의 트라이글리세라이드에 기초한 유성 로션; 또는 저급 알코올(예컨대, 에탄올) 또는 글라이콜(예컨대, 프로필렌 글라이콜) 및/또는 폴리올(예컨대, 글리세롤)과 오일, 왁스 및 지방산 에스터(예컨대, 지방산의 트라이글리세라이드)에 기초한 유성/알콜성 로션이다.
고체 스틱은 천연 또는 합성 왁스 및 오일, 지방알코올, 지방산, 지방산 에스터, 라놀린 및 다른 지방산 물질로 구성된다.
조성물이 에어로졸로서 배합되는 경우, 통상적인 추진제, 예컨대 알칸, 플루오로알칸 및 클로로플루오로알칸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색상 변화, 탈색 또는 기계적 성질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광화학적 손상에 대해 모발을 보호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적합한 조성물은 헹구어내는(rinse-out) 샴푸, 젤 또는 유탁액의 형태이고, 이 조성물은 샴푸하기 전 또는 샴푸한 후, 염색 또는 탈색 전 또는 후, 또는 파마 전 또는 후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모발의 스타일링 또는 처리를 위한 로션 또는 젤 형태; 브러싱(brushing) 또는 블로우-웨이빙(blow-waving)을 위한 로션 또는 젤 형태; 모발 래커(lacquer), 파마 조성물, 모발용 착색제 또는 탈색제(bleach) 형태의 조성물을 선택할 수도 있다. 광-보호 특성을 갖는 조성물은 부형제, 예컨대 계면활성제, 증점제, 중합체, 유연제, 보존제, 거품 안정화제, 전해질, 유기 용매, 실리콘 유도체, 오일, 왁스, 항그리스제(antigrease agent), 상기 조성물 자체 또는 모발을 착색시키는 염료 및/또는 안료, 또는 모발 관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약품 및 식품은 바람직하게는, 원하는 혼합 비율로 하나 이상의 금 안료(성분 (A)) 및 천연 또는 천연-유사(nature-identical) 염료 영역으로부터의 착색제(성분 (B))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을, 착색되는 제품을 기준으로 0.005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중량%로 첨가함으로써 착색된다.
천연 또는 천연-유사 염료, 유기 또는 무기 착색 안료(성분 (B)), 또는 식품 분야에 대해 승인된 착색용 천연 과일 및 식물 추출물은, 영향을 받게 되는 제품에서 금 안료의 착색 효과를 가능하게 하고, 동시에 새로운 무지개와 같은 색상 효과가 달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에 적합한 천연 또는 천연-유사 염료는 특히 E 101, E 104, E 110, E 124, E 131, E 132, E 140, E 141, E 151, E 160a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에 적합한 착색 안료는 예를 들어 E 171, E 172, E 153이다.
금 안료를 제외한 염료들의 비율은 식품 또는 약품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중량%의 범위이다. 또한, 사용되는 염료는 과일 및 식물 추출물, 예를 들면 당근 쥬스, 비트(beet) 뿌리 쥬스, 엘더베리 쥬스, 하이비스커스 쥬스, 파프리카 추출물, 아로니아 추출물일 수 있다.
착색될 제품 내에서 모든 안료의 총 농도는 상기 제품을 기준으로 50 중량%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특정 용도에 좌우된다.
또한, 다양한 활성 화합물 첨가제, 예컨대 비타민, 효소, 미량 원소, 단백질, 탄화수소, 필수 지방 및/또는 미네랄은 식품 및 약품에 첨가될 수 있으며, 이때 활성 화합물의 총 량은 식품 및 약품을 기준으로 25 중량%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활성 화합물 또는 활성 화합물의 혼합물의 양은 상기 제품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 중량%이다.
상기 제품은,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을 단독으로 또는 보조제, 화장료 활성 화합물, 성분 등과의 조합으로, 착색될 제품에 직접적으로 또는 물 및/또는 유기 용매의 존재하에, 원하는 혼합 비율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품의 제조 동안 또는 후에, 성형 전 또는 후에(예를 들면, 압출, 펠렛화, 팽창, 그래뉼화 등 동안) 첨가함으로써 착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효과 안료와 미분 파우더 또는 루스 파우더의 혼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성형 후 착색용 식품 및 약품의 표면에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적용 매질과 혼합되고, 이어서 적절한 적용 및 스프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품에 적용된다. 이어서, 적용 또는 코팅 매질은 상기 제품의 표면에 대한 상기 안료 혼합물의 대응하는 접착성을 확실하게 한다. 이어서, 상기 제품은 대응적으로 착색된다.
상기 제품 매트릭스 자체에 혼입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의 사용량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0 중량%, 특히 1 내지 30 중량%이다. 식품 및 약품의 표면 착색의 경우, 착색 또는 코팅 용액의 사용 범위는 0.1 내지 25 중량%, 특히 1 내지 15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을 미분 제품에 사용하는 경우, 사용 범위는 0.05 내지 50 중량%, 특히 2 내지 10 중량%이다.
상기 코팅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유기 용매, 예컨대 에탄올 또는 아이소프로판올을 포함한다. 상기 코팅 용액에 사용되는 필름 형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스 유도체, 예컨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물 대신 5 내지 80 중량%의 적합한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셀룰로스 유도체를 포함하는 적용 용액이다.
수성 코팅 용액과 비교하면, 알코올성 또는 알코올성-수성, 셀룰로스-함유 적용 용액은 하기와 같은 상당한 적용 이점을 갖는다:
(1) 스프레이 적용 동안 쿨러(cooler) 건조용 공기를 사용한다.
(2) 열-민감성 제품, 예컨대 비타민 함유 식품을 금 안료로 착색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가능하다.
언급될 수 있는, 착색하기 적합한 제품은 특히 모든 유형의 식품 상의 코팅, 특히 착색된 설탕 및 셸락(shellac) 코팅(알코올성 및 수성), 오일 및 왁스를 사용한 코팅, 아라비아 검을 사용한 코팅, 셀룰로스 등급(예컨대, HPMC =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을 사용한 코팅, 전분 및 알부민 유도체, 카라기난 및 코팅에 적합한 것으로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물질을 사용한 코팅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은 일반적으로 적용 매질과 혼합되고, 이어서 적합한 적용 및 스프레이 장치를 사용하거나 손으로 식품 또는 약품에 적용된다. 이어서, 상기 적용 또는 코팅 매질은 상기 식품 또는 약품의 표면에 대한 상기 안료의 접착성을 확실하게 한다.
이어서, 상기 제품은 대응적으로 착색된다. 상기 적용 및 코팅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중량%, 특히 2 내지 15 중량%의 안료 혼합물을 차지한다.
코팅을 위한 바람직한 건조 분말 혼합물은 셀룰로스 유도체(예컨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이형제(예컨대, 레시틴 또는 스테아르산), 광택 개선제(예컨대, 말토덱스트린 및 또는 덱스트로스), 및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런 유형의 건조 분말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말 혼합물을 기준으로 0.01 내지 50 중량%, 특히 0.5 내지 40 중량%의 안료 혼합물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염료, 향미료, 비타민, 감미료 등을 또한 상기 건조 분말 혼합물에 첨가할 수 있다.
착색 및 코팅에 적합한 제품은 예를 들어 설탕 제품, 케이크 장식, 습포(compress), 당의정, 츄잉 껌, 껌 제품, 퐁당(fondant) 제품, 마지판(marzipan) 제품, 충전 조성물, 코코아 및 팻 글레이즈(fat glaze), 초콜릿 및 초콜릿-함유 제품, 아이스크림, 씨리얼, 스넥 제품, 코팅 조성물, 케이크 글레이즈, 흩뿌리는 설탕 장식, 논페럴(nonpareil), 젤리 및 젤라틴 제품, 사탕과자(sweet), 감초, 아이싱(icing), 솜사탕, 지방, 설탕 및 크림 조성물, 블러만쥬(blancmange), 디저트, 플랜(flan) 글래이즈, 차가운 과일 수프, 청량 음료 및 탄산 음료, 안정화 첨가제(예컨대, 카복시메틸셀룰로스)를 갖는 음료, 산성화되거나 산성화되지 않은 유제품(예컨대, 쿠아르크(quark), 요거트, 치즈, 치즈 외피), 소시지 포장(casing) 등이다.
코팅된 식품 및 약품의 경우, 향의 관점에서 시각적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과 아로마 물질(분말 또는 액체 아로마), 산 및/또는 감미료(예컨대, 아스파탐)를 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성분 A의 효과 안료와 함께, 성분 B의 착색제로서 추가의 안료, 충전제 또는 염료(천연 또는 천연-유사), 착색용 천연 과일 및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및 약품 분야로부터의 모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추가적인 주요 적용 분야는 정제, 젤라틴 캡슐, 당의정, 연고, 기침약 혼합물의 착색 또는 코팅을 위한 약품 및 OTC 분야이다.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및 셀룰로스 등급(예컨대, HPMC)와 같은 통상적인 코팅과 조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 또는 금 안료는 다양한 방법으로 제품의 착색 및 마감처리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 폴리올, 극성 및 무극성 오일, 지방, 왁스, 필름 형성제, 중합체, 공중합체, 계면활성제, 자유-라디칼 소거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향 증진제, 실리콘 오일, 유화제, 용매, 보존제, 증점제, 유동성 첨가제, 방향제, UV 흡수제, 표면 활성 보조제 및/또는 화장료 활성 화합물과 조합된 성분 A 및 B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료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10 내지 60 ㎛의 입자 크기를 갖는 운모 100 g을 2 L의 탈염수 중에서 75℃까지 가열하였다. 상기 온도에 도달했을 때, 157.5 g의 TiCl4(30 중량%의 TiCl4), 236.6 g의 FeCl3 용액(11.7%의 Fe), 5.9 g의 AlCl3 × 6H2O, 및 60 g의 탈염수의 혼합 용액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천천히 계량도입하였다. 32%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2.6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 용액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추가로 약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32%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7.5로 올리고, 이 pH에서 431 g의 나트륨 물-유리 용액(13.5%의 SiO2)을 천천히 계량도입하였다.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2.0으로 낮추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고, 393 g의 TiCl4 용액(370 g의 TiCl4/I)를 계량도입하였다. 이러한 첨가 동안, 32%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후속적으로, 32%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2.9로 올리고, 34 g의 FeCl3 × 6H2O 및 49 g의 탈염수를 천천히 계량도입하였다. 32%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2.9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 용액이 첨가된 후, 혼합물을 추가로 약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32%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5.0로 올리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안료를 여과해내고, 탈염수로 세척하고, 110℃에서 16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최종적으로, 상기 안료를 850℃에서 30분 동안 하소시켜, 진한 색상, 높은 은폐력 및 강한 광택을 갖는 금 안료를 수득하였다.
강한 광택성 금 안료는 하기의 L, a, b 값을 가졌다(Phyma 22.5°/22.5°, 흑색 배경): L = 77.7; a = 1.4; b = 32.2.
실시예 2
10 내지 60 ㎛의 입자 크기를 갖는 운모 100 g을 2 L의 탈염수 중에서 75℃까지 가열하였다. 상기 온도에 도달했을 때, 215 g의 FeCl3 × 6H2O(11.7%의 Fe), 144 g의 TiCl4 용액(30 중량%의 TiCl4), 5.4 g의 AlCl3 × 6H2O, 및 50 g의 탈염수의 혼합 용액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천천히 계량도입하였다. 32%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2.6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 용액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추가로 약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32%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7.5로 올리고, 이 pH에서 394 g의 나트륨 물-유리 용액(13.5%의 SiO2)을 천천히 계량도입하였다.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2.0으로 낮추었다.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314 g의 TiCl4 용액(370 g의 TiCl4/I)를 계량도입하였다. 이러한 첨가 동안, 32%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후속적으로, 32%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2.9로 올리고, 86 g의 FeCl3 × 6H2O 용액(11.7%의 Fe) 및 50 g의 탈염수를 천천히 계량도입하였다. 32%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2.9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 용액이 첨가된 후, 혼합물을 추가로 약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32%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pH 5.0으로 올리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안료를 여과해내고, 탈염수로 세척하고, 110℃에서 16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최종적으로, 상기 안료를 850℃에서 30분 동안 하소시켜, 진한 색상, 높은 은폐력 및 강한 광택을 갖는 금 안료를 수득하였다.
강한 광택성 금 안료는 하기의 L, a, b 값을 가졌다(Phyma 22.5°/22.5°, 흑색 배경): L = 80.0; a = -0.9; b = 34.0.
실시예 3
10 내지 60 ㎛의 입자 크기를 갖는 운모 100 g을 2 L의 탈염수 중에서 75℃까지 가열하였다. 상기 온도에 도달했을 때, 215 g의 FeCl3 × 6H2O(11.7%의 Fe), 144 g의 TiCl4 용액(30 중량%의 TiCl4), 5.4 g의 AlCl3 × 6H2O, 및 50 g의 탈염수의 혼합 용액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천천히 계량도입하였다. 32%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2.6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 용액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추가로 약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32%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7.5로 올리고, 이 pH에서 394 g의 나트륨 물-유리 용액(13.5%의 SiO2)을 천천히 계량도입하였다.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2.0으로 낮추었다.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35 g의 TiCl4 용액(370 g의 TiCl4/I)를 계량도입하였다. 이러한 첨가 동안, 32%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후속적으로, pH 2.0에서 22 g의 나트륨 물-유리 용액(13.5%의 SiO2)을 천천히 계량 도입하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32%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2.6로 올리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고, 116 g의 FeCl3 × 6H2O 용액(11.7%의 Fe), 78 g의 TiCl4 용액(30 중량%의 TiCl4), 2.5 g의 AlCl3 × 6H2O 및 30 g의 탈염수를 천천히 계량도입하였다. 32%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2.6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 용액이 첨가된 후, 혼합물을 추가로 약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32%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pH 5.0로 올리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안료를 여과해내고, 탈염수로 세척하고, 110℃에서 16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최종적으로, 상기 안료를 850℃에서 30분 동안 하소시켜, 진한 색상, 높은 은폐력 및 강한 광택을 갖는 금 안료를 수득하였다.
강한 광택성 금 안료는 하기의 L, a, b 값을 가졌다(Phyma 22.5°/22.5°, 흑색 배경): L = 75.0; a = -1.2; b = 28.3.
실시예 4
10 내지 60 ㎛의 입자 크기를 갖는 운모 100 g을 2 L의 탈염수 중에서 75℃까지 가열하였다. 상기 온도에 도달했을 때, 215 g의 FeCl3 × 6H2O(11.7%의 Fe), 144 g의 TiCl4 용액(30 중량%의 TiCl4), 5.4 g의 AlCl3 × 6H2O, 및 50 g의 탈염수의 혼합 용액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천천히 계량도입하였다. 32%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2.6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 용액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추가로 약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32%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7.5로 올리고, 이 pH에서 394 g의 나트륨 물-유리 용액(13.5%의 SiO2)을 천천히 계량도입하였다.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2.0으로 낮추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고, 이 pH에서 100 mL의 탈염수 중의 3.0 g의 SnCl4 × 6H2O 및 10 mL의 염산(37%의 HC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10%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1.8로 낮추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고, 235 g의 TiCl4 용액(370 g의 TiCl4/I)를 계량도입하였다. 이러한 첨가 동안, 32%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이어서, 32%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2.6으로 올리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고, 116 g의 FeCl3 × 6H2O 용액(11.7%의 Fe), 78 g의 TiCl4 용액(30 중량%의 TiCl4), 2.5 g의 AlCl3 × 6H2O 및 30 g의 탈염수를 천천히 계량도입하였다. 32%의 수산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하여 pH를 pH 2.6으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금속-염 용액이 첨가된 후,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후속적으로, 32%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pH 5.0으로 올리고, 혼합물을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안료를 여과해내고, 탈염수로 세척하고, 110℃에서 16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최종적으로, 상기 안료를 850℃에서 30분 동안 하소시켜, 하기의 L, a, b 값을 갖는 강한 광택의 금 안료를 수득하였다(Phyma 22.5°/22.5°, 흑색 배경): L = 79.0; a = -0.9; b = 31.7.
사용 예
실시예 1A: 샤워 젤
Figure 112008084401919-PCT00001
제조:
상 A: 반응기에 물을 도입하고, 안료를 교반-도입하였다. 교반하면서 켈트롤(Keltrol) CG-SFT를 천천히 분산-도입하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균질화하지는 않음). 상 B의 성분들을 개별적으로 상 A에 첨가하였다. 시트르산 일수화물을 물에 용해시키고, 배치에 첨가하고, 모든 성분이 균질하게 분포될 때까지 천천히 교반하였다. 시트르산을 첨가하면서(필요 시), pH를 6.0 내지 6.5로 조정하였다.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로나(등록상표)
(2) C.P. 켈코(Kelco)
(3) 코그니스 게엠베하(Cognis GmbH)
(4) 드롬(Drom)
(5) 바스프 아게(BASF AG)
(6) 짐리제(Symrise)
실시예 2A: 아이 쉐도우
Figure 112008084401919-PCT00002
제조:
상 A의 성분들을 합치고 예비-혼합하였다. 후속적으로, 교반하면서 용융 상의 B를 상기 분말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상기 분말을 큰 직경의 분말 팬에 도입하고 80 바(bar)로 프레싱하였다.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로나(등록상표)
(2) 수에드스타에르케 게엠베하(Suedstaerke GmbH)
(3) 코그니스 게엠베하
(4) 에이치. 에르하르트 바그너 게엠베하(H. Erhard Wagner GmbH)
(5) 짐리제
실시예 3A: 데이 크림(O/W)
Figure 112008084401919-PCT00003
제조:
용액이 투명해질 때까지 상 B를 가열하였다. 비검을 상 A의 물에 분산시키고, 잔량의 원료를 첨가하고, 80℃까지 가열하고, 상 B를 첨가하였다. 상 A/B를 균질화하였다. 교반하면서 40℃까지 냉각시키고, 상 C를 첨가하였다.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pH 6.0으로 조정하였다.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로나(등록상표)
(2) 반데르빌트(Vanderbilt)
(3) 유니케마(Uniqema)
(4) 코그니스 게엠베하
(5) 자졸 게르마니 게엠베하(Sasol Germany GmbH)
(6) 에이치. 에르하르트 바그너 게엠베하
(7) 프라그란스 리소시스
(8) 다우 코닝
(9) 쉴케 엔 마이르 게엠베하(Schulke & Mayr GmbH)
실시예 4A: 스파클링 바디 크림(O/W)
Figure 112008084401919-PCT00004
제조:
진주광택성 안료를 상 A의 물 중에 분산시켰다. 필요한 경우, 점도를 낮추기 위해 몇 방울의 시트르산을 사용하여 산성화하였다. 교반하면서, 카보풀을 분산-도입하였다. 완전히 용해되었을 때, 미리 용해된 상 B를 천천히 교반-도입하였다. 상 A/B 및 상 C를 80℃까지 가열하고, 상 A/B 내로 상 C를 교반-도입하고, 상 D와 함께 균질화하고, 중화시키고, 다시 균질화하고, 교반하면서 냉각시켰다. 40℃에서 게르몰 115를 상 E의 물에 용해시키고,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이어서, 퍼퓸 오일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로나(등록상표)
(2) 노베온(Noveon)
(3) 코그니스 게엠베하
(4) 클라리안트 게엠베하(Clariant GmbH)
(5) 니파 라보라토리엔 게엠베하(Nipa Laboratorien GmbH)
(6) ISP 글로벌 테크놀로지스(Global Technologies)
(7) 드롬
실시예 5A: 크림형 아이 쉐도우
Figure 112008084401919-PCT00005
제조:
모든 성분들이 용융될 때까지 상 B를 80℃까지 가열하고, 65℃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교반하면서 상 A의 진주광택성 안료, 마이크로나스피어 및 분쇄된 산화 크롬을 첨가하였다. 65℃에서 아이 쉐도우를 용기로 옮겼다.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로나(등록상표)
(2) 레 꼴로랑뜨 와크허(Les Colorants Wackherr)
(3) 크로다 게엠베하(Croda GmbH)
(4) 자졸 게르마니 게엠베하
(5) ISP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실시예 6A: 헤어 스타일링 젤
Figure 112008084401919-PCT00006
제조:
진주광택성 안료를 상 A의 물에 분산시키고, 교반하면서 카보풀을 분산-도입하였다. 완전히 용해되었을 때, 미리 용해된 상 B 내에서 천천히 교반하였다.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로나(등록상표)
(2) 노베온
(3) 바스프 아게
(4) ISP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실시예 7A: 샴푸
Figure 112008084401919-PCT00007
제조:
상 A의 경우, 안료를 물에 교반-도입하였다. 점도를 낮추기 위해 몇 방울의 시트르산(10%)을 사용하여 산성화하고, 교반하면서 카보풀을 천천히 분산-도입하였다. 완전히 용해되었을 때, 상 B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이어서, 상 C의 성분들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pH를 6.0 내지 6.5로 조정하였다.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로나(등록상표)
(2) 노베온
(3) 코그니스 게엠베하
(4) 프라그란스 리소시스
실시예 8A: 시머링(shimmering) 바디 파우더
Figure 112008084401919-PCT00008
제조:
상 B의 성분들을 모두 함께 칭량하고, 교반기에서 균일하게 분쇄하였다. 후속적으로 상 C를 첨가하고, 계속 혼합하고, 이어서 상 A를 첨가하고, 진주광택성 안료가 균일하게 분산될 때까지 간단히 분쇄하였다.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로나(등록상표)
(2) 코그니스 게엠베하
(3) 자졸 게르마니 게엠베하
(4) 짐리제
실시예 9A: 지속성 립 글로스
Figure 112008084401919-PCT00009
제조:
상 B의 모든 성분들을 함께 칭량하고, 80℃까지 가열하고, 잘 교반하였다. 상 A의 안료를 교반-도입하고, 교반하면서 네오실을 분산-도입하고, 최종적으로 향수를 첨가하였다. 균질한 혼합물을 용기로 옮겼다.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로나(등록상표)
(2) BP 라베라 수드(BP Lavera Sud)
(3) 디저트 웨일(Desert Whale)
(4) 헨리 라모테 게엠베하(Henry Lamotte GmbH)
(5) 레 꼴로랑뜨 와크허
(6) 이네오스 실리카스 리미티드(Ineos Silicas Limited)
(7) 짐리제
실시예 10A: 네일 바니쉬
Figure 112008084401919-PCT00010
제조:
안료들을 바이쉬 베이스와 함께 칭량하고, 스패츌라를 사용해서 손으로 잘 혼합하고, 후속적으로 1000 rpm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로나(등록상표)
(2) 두르린(Durlin)/베르게락(Bergerac) NC
실시예 11A: 볼륨 마스카라(O/W)
Figure 112008084401919-PCT00011
제조:
데름아크릴 79를 제외한, 상 B의 모든 성분들을 85℃에서 함께 용융시키고, 교반하면서 데름아크릴 79를 첨가하고, 모든 성분들이 균일하게 분산될 때까지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 C의 성분들을 약 85℃까지 가열하였다. 상 A의 진주광택성 안료를 상 C 내로 교반-도입하였다. 상 C를 상 B에 첨가하고, 계속 교반하고, 울트라-투락스(Ultra-Turrax) T25를 사용하여 8000 rpm에서 1분 동안 균질화하였다. 교반하면서 냉각시키고, 40℃에서 상 D를 첨가하였다.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로나(등록상표)
(2) 내셔날 전분 앤 케미칼(NaTiOnal Starch & Chemical)
(3) 크로다 게엠베하
(4) 데구사-골드슈미트 아게(Degussa-Goldschmidt AG)
(5) 다우 코닝
(6) 니파 라보라토리엔 게엠베하
(7) 앙구스 케미에 게엠베하
(8) ISP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실시예 12A: UV 보호성 틴티드 데이크림(O/W)
Figure 112008084401919-PCT00012
제조:
켈트롤 T를 제외하고, 모든 성분들을 상 B의 물에 분산시켰다. 교반하면서 켈트롤을 상 B 내로 분산-도입하고, 15분 후에 80℃로 가열하였다. 상 A를 75℃로 가열하였다. 상 B를 상 A 내로 천천히 교반-도입하고, 균질화시켰다. 교반하면서 냉각시켰다.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로나(등록상표)
(2) 유니케마
(3) 셉픽(Seppic)
(4) 다우 코닝
(5) 코그니스 게엠베하
(6) 씨. 피. 켈코(C. P. Kelco)
(7) 케마그 아게(Chemag AG)
(8) 쉴케 앤 마이르 게엠베하
실시예 13A: 크림 콘디셔너
Figure 112008084401919-PCT00013
제조:
안료들을 상 A의 물 중에 분산시키고, 나머지 원료들을 첨가하였다. 각각의 첨가 후에 교반하고, 후속적으로 75℃로 가열하였다. 상 B의 원료들을 혼합하고, 75 내지 80℃로 가열하고, 상 A에 첨가하였다. 균질하게 분산될 때까지 혼합하였다. 45℃에서 상 C를 첨가하였다.
공급처:
(1) 메르크 카게아아/로나(등록상표)
(2) 바스프 아게
(3) 코그니스 게엠베하
(4) ISP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실시예 1A 내지 13A의 화장료 조성물은 강한 금색의 광택 및 매우 우수한 피부 촉감을 특징으로 하였다.
실시예 14A: 경질 캬라멜의 생산
Figure 112008084401919-PCT00014
설탕을 물과 함께 100℃로 가열하고, 이어서 글루코스 시럽을 첨가하였다. 후속적으로, 상기 용액을 145℃로 가열하였다. 상기 금 안료, 착색 용액 및 아로 마를 첨가한 후, 캬라멜 용액을 그리스를 바른 몰드에 깔대기를 이용하여 투입하였다. 최종적으로, 캬라멜을 2시간 동안 냉각시켰다. 금 안료는 설탕과 혼합하거나 글루코스 시럽과 혼합할 수 있다. 캬라멜화가 너무 강해지기 때문에, 상기의 경우들은 산을 포함하지 않았다.
실시예 15A: 정제 코팅
(1) 초기 중량 1 kg의 백색 정제(d = 8 mm, G = 200 mg)
Figure 112008084401919-PCT00015
총 적용량: 200 g
이것은 1.2 mg 중합체/정제 표면(cm2)에 해당한다.
필름-코팅 용액의 제조:
상기 금 안료를 물 내로 교반-도입하였다. 후속적으로, 추가적인 염료를 첨가하였다. 최종적으로, 필름 형성제(HPMC)를 상기 현탁액 내로 분산-도입하였다. 점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교반 속도도 또한 상응하여 증가시켜야 한다. 약 40 내지 60분 후에 HPMC가 완전히 용해되었고, 이어서 상기 용액을 정제 상에 분무할 수 있었다.
상기 분무 적용은 표준 코팅 방법에 의해 수행되었다.

Claims (21)

  1. 적어도 A 및 B의 두개의 성분을 포함하되,
    상기 성분 A가, 다중-코팅된 박형(flake-form) 기재를 기초로 하는 효과 안료(effect pigment)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기재는, (A) 1:0.5 내지 1:2.0 몰 비의 TiO2와 Fe2O3의 혼합물, 및 임의로 층 (A)를 기준으로 20 중량% 미만의 양의 금속 산화물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고굴절률 코팅, (B) 1.8 미만의 굴절률(n)을 갖는 무색 코팅, (C) 1.8 초과의 굴절률(n)을 갖는 무색 코팅, (D) 1.8 초과의 굴절률(n)을 갖는 흡수성 코팅, 및 임의로 (E) 외부 보호층을 포함하는 층 순서를 갖고,
    상기 성분 B가, 박형, 침형(needle-shaped), 구형 또는 비규칙적 형태의 입자로 이루어진, 무기 안료, 유기 안료, 염료, 착색용 천연 과일 및/또는 식물 추출액 및/또는 충전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착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혼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의 효과 안료가 하기 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혼합물:
    기재 + Fe2O3/TiO2 + SiO2 + TiO2 + Fe2O3/TiO2,
    기재 + Fe2O3/TiO2 + SiO2 + TiO2 + Fe2O3,
    기재 + Fe2O3/TiO2 + SiO2 + TiO2 + SiO2 + Fe2O3/TiO2.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의 박형 기재가 TiO2 또는 SiO2의 층으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혼합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의 효과 안료가 하기 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혼합물:
    기재 + TiO2 + Fe2O3/TiO2 + SiO2 + TiO2 + Fe2O3/TiO2,
    기재 + TiO2 + Fe2O3/TiO2 + SiO2 + TiO2 + Fe2O3.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의 효과 안료의 층 (A)에서 TiO2와 Fe2O3의 몰 비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혼합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의 효과 안료의 층 (D)에서 TiO2와 Fe2O3의 몰 비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혼합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의 효과 안료의 층 (A)가 슈도브루카이트, 슈도브루카이트와 TiO2의 혼합물, 또는 슈도브루카이트와 Fe2O3의 혼합물의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혼합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의 효과 안료의 층 (D)가 슈도브루카이트, 슈도브루카이트와 TiO2의 혼합물, 또는 슈도브루카이트와 Fe2O3의 혼합물의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혼합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의 효과 안료의 층 (A) 및 (D)가 각각 슈도브루카이트, 슈도브루카이트와 TiO2의 혼합물, 또는 슈도브루카이트와 Fe2O3의 혼합물의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혼합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B의 착색제가 상기 성분 A와는 다르고, 진주광택성 안료, 다층 안료 및/또는 간섭 안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혼합물.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 및 상기 성분 B가 99:1 내지 50:50의 혼합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혼합물.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 A 및 상기 성분 B가 99:1 내지 1:99의 혼합비로 혼합되고, 이때 성분 B가 충전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료 혼합물.
  13. 하기 (IL), (A) 내지 (D) 또는 (IL), (A) 내지 (E)의 층 순서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코팅된 박형 기재를 기초로 하는 효과 안료:
    (IL) TiO2의 고굴절률 코팅,
    (A) 1:0.5 내지 1:2.0 몰 비의 TiO2와 Fe2O3의 혼합물, 및 임의로 층 (A)를 기준으로 20 중량% 미만의 양의 금속 산화물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고굴절률 코팅,
    (B) 1.8 미만의 굴절률(n)을 갖는 무색 코팅,
    (C) 1.8 초과의 굴절률(n)을 갖는 무색 코팅,
    (D) 1.8 초과의 굴절률(n)을 갖는 흡수성 코팅, 및 임의로
    (E) 외부 보호층.
  14. 제 13 항에 있어서,
    하기 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 안료:
    기재 + TiO2 + Fe2O3/TiO2 + SiO2 + TiO2 + Fe2O3/TiO2,
    기재 + TiO2 + Fe2O3/TiO2 + SiO2 + TiO2 + Fe2O3.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Fe2O3과 TiO2의 혼합물이 슈도브루카이트, 슈도브루카이트와 TiO2의 혼합물, 또는 슈도브루카이트와 Fe2O3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효과 안료.
  16. 페인트, 코팅, 인쇄용 잉크, 플라스틱, 화장료 조성물, 식품 및 약품에서의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효과 안료의 용도.
  17. 화장료 조성물, 식품 및 약품에서의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료 혼합물의 용도.
  18. 아로마(aroma) 물질 및/또는 감미료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및 약품에서의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료 혼합물 의 용도.
  19.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료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20.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료 혼합물을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0.01 내지 99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안료 혼합물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물, 폴리올, 극성 및 무극성 오일, 지방, 왁스, 필름 형성제, 중합체, 공중합체, 계면활성제, 자유 라디칼 소거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향 개선제, 실리콘 오일, 유화제, 용매, 보존제, 증점제, 유동성 첨가제, 방향제, UV 흡수제, 계면 활성 보조제 및/또는 화장품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87029950A 2006-05-09 2007-05-09 안료 혼합물, 및 화장품, 식품 및 약품 분야에서의 이의 용도 KR200900099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6021784A DE102006021784A1 (de) 2006-05-09 2006-05-09 Effektpigmente und deren Verwendung in der Kosmetik und im Lebensmittel- und Pharmabereich
DE102006021784.5 2006-05-0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123A Division KR20140051400A (ko) 2006-05-09 2007-05-09 안료 혼합물, 및 화장품, 식품 및 약품 분야에서의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961A true KR20090009961A (ko) 2009-01-23

Family

ID=385799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123A KR20140051400A (ko) 2006-05-09 2007-05-09 안료 혼합물, 및 화장품, 식품 및 약품 분야에서의 이의 용도
KR1020087029950A KR20090009961A (ko) 2006-05-09 2007-05-09 안료 혼합물, 및 화장품, 식품 및 약품 분야에서의 이의 용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123A KR20140051400A (ko) 2006-05-09 2007-05-09 안료 혼합물, 및 화장품, 식품 및 약품 분야에서의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20090246294A1 (ko)
EP (1) EP2016136A2 (ko)
JP (2) JP2009536231A (ko)
KR (2) KR20140051400A (ko)
CN (1) CN101460572A (ko)
DE (2) DE102006021784A1 (ko)
WO (1) WO200712857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503806T1 (de) * 2007-12-17 2011-04-15 Merck Patent Gmbh Füllstoffpigmente
DE102009037935A1 (de) 2009-08-19 2011-02-24 Eckart Gmbh Hochglänzende Mehrschichtperlglanzpigmente mit silberner Interferenzfarbe und enger Größenverteil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09037933A1 (de) * 2009-08-19 2011-02-24 Eckart Gmbh Hochglänzende Mehrschichtperlglanzpigmente mit nichtsilberner Interferenzfarbe und enger Größenverteil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KR101821431B1 (ko) * 2010-02-04 2018-01-23 바스프 에스이 개선된 스파클링 효과를 갖는 안료 조성물
ES2356013B2 (es) * 2010-10-28 2011-11-15 Laser Food 2007, S.L. Procedimiento de marcado de frutos.
CN102585577B (zh) * 2011-01-17 2014-12-31 汕头市龙华珠光颜料有限公司 耐水颜料及其制备方法、用途
US8529876B2 (en) 2011-02-15 2013-09-10 Basf Corporation Pigment mixtures for cosmetics
US9441118B2 (en) * 2012-07-03 2016-09-13 Hercules Incorporated Water soluble polymer powders with improved dispersibility
US9168393B2 (en) 2013-03-13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US9168209B2 (en) 2013-03-13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US9168394B2 (en) 2013-03-13 2015-10-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US9320687B2 (en) 2013-03-13 2016-04-26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Pigmented skin-care compositions
EP2832801A1 (de) * 2013-08-02 2015-02-04 Schlenk Metallic Pigments GmbH Metallische Glanzpigmente basierend auf Substratplättchen mit einer Dicke von 1-50 nm
JP6309834B2 (ja) * 2013-12-11 2018-04-11 株式会社Adeka 着色性組成物
KR101705069B1 (ko) 2015-06-10 2017-02-10 씨큐브 주식회사 높은 색강도를 갖는 골드 안료
DE102016004164A1 (de) * 2016-04-11 2017-10-12 Merck Patent Gmbh Pigmentgemisch
KR101876199B1 (ko) * 2017-04-21 2018-08-03 씨큐브 주식회사 복합 백색 안료 및 그 제조 방법
EP3830216B1 (en) * 2018-07-27 2023-07-05 Materion Corporation Reflective color correction for phosphor illumination systems
DE102019003072A1 (de) * 2019-04-30 2020-11-05 Merck Patent Gmbh Effektpigmente
DE102019210687A1 (de) * 2019-07-19 2021-01-21 Henkel Ag & Co. Kgaa Farbige Effektpigmente und deren Herstellung
CN110358327A (zh) * 2019-07-25 2019-10-22 汕头市镇发珠光颜料有限公司 一种高纯度红色珠光效果颜料及其制备方法
JP2021080235A (ja) * 2019-11-22 2021-05-27 株式会社ノエビア 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87828A (en) * 1961-06-28 1963-04-30 Du Pont Nacreous pigment compositions
DE2244298C3 (de) * 1972-09-09 1975-06-19 Merck Patent Gmbh, 6100 Darmstadt Perlglanzpigmen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3528256A1 (de) * 1985-08-07 1987-02-19 Merck Patent Gmbh Eisenoxidbeschichtete perlglanzpigmente
DE19746067A1 (de) * 1997-10-17 1999-04-22 Merck Patent Gmbh Interferenzpigmente
DE19831869A1 (de) * 1998-07-16 2000-01-20 Merck Patent Gmbh Farbgebung mit Perlglanzpigmenten im Lebensmittel- und Pharmabereich
TW460548B (en) * 1998-12-23 2001-10-21 Merck Patent Gmbh Pigment mixture
DE19915153A1 (de) * 1999-02-15 2000-08-17 Merck Patent Gmbh Farbstarke Interferenzpigmente
DE19917388A1 (de) * 1999-04-16 2000-10-19 Merck Patent Gmbh Pigmentmischung
DE19941607A1 (de) * 1999-09-01 2001-03-08 Merck Patent Gmbh Pigmentmischung enthaltend BIOCI-Pigmente
DE19951869A1 (de) * 1999-10-28 2001-05-03 Merck Patent Gmbh Farbstarke Interferenzpigmente
DE19951871A1 (de) * 1999-10-28 2001-05-03 Merck Patent Gmbh Farbstarke Interferenzpigmente
JP2003530457A (ja) * 2000-04-11 2003-10-14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トング 角度選択的透過または反射特性および/または吸収特性を有する透明媒体
EP1469042A3 (de) * 2003-03-27 2010-07-07 MERCK PATENT GmbH Pigmentgemisch und dessen Verwendung in der Kosmetik und im Lebensmittel- und Pharmabereich
DE10320455A1 (de) * 2003-05-08 2004-11-25 Merck Patent Gmbh Interferenzpigment mit hohem Deckvermögen
DE10338142A1 (de) * 2003-08-15 2005-03-17 Basf Ag Farbmittelzubereitungen
DE102004010313A1 (de) * 2004-03-03 2005-09-22 Merck Patent Gmbh UV-Filter in Puder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60572A (zh) 2009-06-17
WO2007128576A3 (de) 2008-11-20
DE112007001008A5 (de) 2009-04-23
US20160230012A1 (en) 2016-08-11
DE102006021784A1 (de) 2007-11-15
JP2014077137A (ja) 2014-05-01
KR20140051400A (ko) 2014-04-30
US20090246294A1 (en) 2009-10-01
EP2016136A2 (de) 2009-01-21
US20130108569A1 (en) 2013-05-02
JP2009536231A (ja) 2009-10-08
WO2007128576A2 (de) 2007-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9961A (ko) 안료 혼합물, 및 화장품, 식품 및 약품 분야에서의 이의 용도
JP2019026855A (ja) エフェクト顔料ならびに化粧品、食品および医薬品分野におけるその使用
US7485183B2 (en) Pigment mixture, and the use thereof in cosmetics and in the foods and pharmaceuticals sector
US8114211B2 (en) Pearlescent pigments
EP2632988B1 (de) Pigmente
US20070225424A1 (en) Glass flakes, and the use thereof as transparent filler
EP2917285B1 (de) Pigmente
DE10329780A1 (de) Pigmentgemisch und dessen Verwendung in der Kosmetik und im Lebensmittel- und Pharmabereich
US11746240B2 (en) Interference pig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