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531U - 레저용 다기능 서프보드 - Google Patents

레저용 다기능 서프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531U
KR20090009531U KR2020080003546U KR20080003546U KR20090009531U KR 20090009531 U KR20090009531 U KR 20090009531U KR 2020080003546 U KR2020080003546 U KR 2020080003546U KR 20080003546 U KR20080003546 U KR 20080003546U KR 20090009531 U KR20090009531 U KR 200900095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board
pin
coupling portion
air
s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9402Y1 (ko
Inventor
박주강
황철호
박선영
Original Assignee
박주강
황철호
박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강, 황철호, 박선영 filed Critical 박주강
Priority to KR2020080003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40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5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5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4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40Twintip boards; Wakeboards; Surfboards; Windsurfing boards; Paddle boards, e.g. SUP board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57Boar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laminate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60Board appendages, e.g. fins, hydrofoils or centre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6Gluing; Taping; Cold-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8/00Sail or rigg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boards, e.g. for windsurfing or kitesurf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서핑을 위한 보드에 관한 것으로 서핑, 페들, 윈드를 함께 즐길 수 있고 안전적이며 휴대가 간편한 서프보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서프보드로 의한 안전사고시 충격으로 인한 부상 위험성을 줄여 주며 휴대성이 우수한 서프보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드는 몸체를 이루는 바디와 세일을 꽂을 수 있는 리그핀결합부와 서핑방향을 조절하는 핀결합부로 구성된다.
무엇보다 바디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튜브형으로, 충격으로 인한 위험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세일을 꽂을 수 있는 마스터가 장착되는 마스터박스와 핀이 장착되는 핀박스를 가지는 리그핀결합부와 핀결합부를 바디에 결합하여 형성한 것이다.
상기 바디는 내부조직을 직물로 형성하며 외부를 PVC천으로 구성한 이중공간지로 공기주입시 일정하게 팽창을 유지할 수 있어 충격흡수력이 좋을 뿐 아니라 공기를 제거하면 튜브형의 바디를 접을 수 있어 간편하게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서프보드, 바디, 마스터, 핀, 공기주입구, 세일, 발판용 패드, 발걸이

Description

레저용 다기능 서프보드{Surfboard}
본 고안은 서핑을 즐길 수 있는 보드에 관한 것으로 안전적이며 휴대가 간편한 레저용 다기능 서프보드에 관한 것이다.
서핑이란 파도타기, 서프보드 라이딩(surfboard riding)이라고도 한다. 외해또는 연안 해안에서 높은 파도를 타고 파도의 사면을 서프보드로 활강하는 스포츠이다.
서핑은 폴리네시아인들 사이에서 옛날부터 행하여 왔으며 1778년 하와이를 발견한 J. 쿡의 기록에는 왕족을 포함한 섬 주민이 서핑을 즐겼던 모습이 자세히 쓰여져 있다.
종래의 서프보드는 목재로 무겁고(56㎏) 길이도 길어(4.3∼5.5m) 특정인에게 한정된 스포츠였다. 1950년대가 되어 폴리우레탄폼제의 보드가 개발되어 다루기가 쉬워지면서 서핑인구는 급증했다.
현재 하와이가 그 중심지인데, 남캘리포니아와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성행하며, 페루·멕시코·프랑스·영국·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서핑이 가능한 여러 나라들 에 보급되어 이제는 세계 각지의 해안에서 볼 수 있게 되었다.
서핑은 서프보드(길이 1.5∼2.7m, 나비 50∼60㎝, 두께 7∼10㎝의 나무 또는 폴리우레탄폼제) 위에 타고 양손으로 균형을 잡으며 파도를 타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밖에 벨리보드서핑·니보드서핑, 보드를 쓰지 않는 보디서핑이 있다. 기타 용구로 고무매트·카누·카약을 사용하기도 한다.
보드는 키·몸무게·경험·서핑 종류·개인기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특별주문도 가능하다. 인조고무제인 웨트슈트도 개량·개발을 거듭해서 현재는 계절에 관계없이 연중 서핑이 가능하다.
최근에 들어 'FRP'라고 하는 복합재료로 만들어진 보드를 많이 사용하는데 내부는 우레탄폼이나, PVC폼으로 구성되고 외피는 유리섬유와 수지로 만들어지는 전형적인 복합재료 제품의 서프보드가 추세이다.
서프보드에는 서핑보드, 페들보드, 윈드서핑보드가 있으며 서핑보드는 보드로만 파도를 타는 것으로 바디가 단단하여 안전사고시 장비와의 충격으로 인한 부상위험성이 높으며, 페들보드는 서프보드를 이용해 해안쪽으로 밀려드는 파도 속을 빠져나가는 스포츠, 또는 페들을 이용하여 파도가 없는 상황에서도 보드를 이용하여 균형을 잡으며 속도와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고, 윈드서핑의 경우 사람이 바람을 이용하여 보드(Board)에 세일을 장착하여 즐기는 운동으로 보드의 절묘한 균형감각과 세일의 조정성에 그 매력이 있다.
그러나 이들 보드의 경우 안전사고시 장비, 즉 보드와의 충격으로 인한 부상위험성이 높으며 가볍지 못하며 휴대성이 떨어지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서핑, 페들, 윈드를 함께 즐길 수 있으며 보드 자체가 가볍고 서핑력이 향상되면서 휴대성이 간편한 다기능 서프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서프보드(1)는 몸체를 이루는 바디(2)와, 세일(8)을 단 마스터(7)를 꽂아 결합하는 조인트(6)로 이루어진 리그부(9)를 장착할 수 있는 마스터박스(5)를 가지는 리그핀결합부(3)와, 서핑방향을 조절하는 핀(19a)을 장착할 수 있는 핀박스(19)로 이루어진 핀결합부(4)를 각각 바디(2)에 결합구성하되, 상기 바디(2)의 내부는 직물(14)로 외부 PVC천(15)으로 형성하고 그 위로 PVC 재질의 보강천(15a)를 덧대어 구성한 바디(2)를 선수(B), 선체(M), 선미(S)로 구분함에 있어, 바디(2)에 형성한 공기주입구(17)로 공기를 주입하여 골격을 완성하고 운반시 공기를 제거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본 고안 서프보드의 바디는 직물과 PVC천으로 이루어진 이중공간지로 구성되어 공기를 주입하여 편리하게 접거나 보드를 완성할 수 있어 운반성이 아주 탁월하며, 선체부분을 접어 휴대 및 이동성을 용이하게 하였고 안전 사고시 보드와의 충격으로 인한 부상위험성을 감소시키며 공기를 주입하는 것으로 기능적인 단점을 보 완하여 시장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본 고안 서프보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서프보드의 단면상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서프보드의 평면상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서프보드의 리그핀결합부의 단면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서프보드의 핀결합부의 단면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서프보드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고안의 서프보드(1)는 몸체를 이루는 바디(2)와, 세일(8)을 단 마스터(7)를 꽂아 결합하는 조인트(6)로 이루어진 리그부(9)를 장착할 수 있는 마스터박스(5)와, 서핑방향을 조절하는 핀(19a)를 장착하는 핀박스(19)를 상기 바디에 결합구성함에 있어, 상기 바디(2)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내부는 직물(14)로 구성되며 외부는 PVC천(15)으로 형성한 이중공간지(16)에 PVC 재질의 보강천(15a)를 덧대어 형성하되, 바디(2)에 형성한 공기주입구(17)로 공기를 주입하여 바디(2)를 일정하게 팽창시켜 주는 것으로 안전사고 시 충돌로 인한 충격을 감소시키며 운반시 공기를 제거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하여 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프보드(1)의 큰 특징은 바디(2)가 이중공간지(16)로 구성되어 선수(B)(bow)에 형성된 공기주입구(17)로 공기를 주입하면 기본적인 서프보드(1)의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서프보드(1)는 선수(B)(bow), 선체(M)(midship), 선미(S)(stern)의 3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는 일체형의 몸체로 이루어진 바디(2)를 기본 골격으로 한다.
본 고안의 서프보드(1)의 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내부는 직물(14)로 구성되며 외부는 PVC천(15)으로 형성된 이중공간지(16)에 PVC 재질의 보강천(15a)을 덧대어 형성한 바디(2)와;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구(17)을 상기 바디(2)의 선수(B) 윗면에 형성하고 바디(2)의 중앙에는 세일(8)을 단 마스터(7)를 결합할 수 있는 조인트(6)로 이루어진 리그부(9)를 장착할 수 있는 마스터박스(5)를 가지는 상판(10)과 짝을 이루는 하판(11)으로 구성한 리그핀결합부(3)와, 핀(19a)를 장착할 수 있는 핀박스(19)를 가지는 핀결합부(4)를 상기 바디(2)에 각각 결합형성하되, 상기 리그핀결합부(3)는 바디(2)에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O)에 끼워 결합하고 상기 핀결합부(4)는 선미(S) 아래를 커버처럼 덮어씌우는 형태로 결합하여 서프보드(1)를 완성한다.
한편, 상기 리그핀결합부(3)를 포함하여 서핑자가 라이딩할 수 있도록 발판용 패드(12)를 바디(2) 윗면에 접착하되, 발판용 패드(12)는 보강천(15a) 위에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서프보드(1)의 선수(B)는 위로 10° 내지 13° 가량 휘어져 파도에 의한 저항력을 감소시켜 서핑력이 향상되도록 하며, 서핑시 라이딩(riding)이 편하도록 발판용 패드(12)를 리그핀결합부(4)를 포함하여 선미(S)까지 형성하는 한편, 발걸이(13)를 발판용 패드(12)에 다수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서핑자의 자세에 따라 발판용 패드(12)의 중앙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강천(15a)은 이중공간지(16)위에 덮어씌우데 0.45~0.5mm로 피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강천(15a)은 튜브형의 바디(2)의 성형을 잡아 감싸주어 서프보드(1)의 골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과 같이 본 고안의 리그핀결합부(3)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리그핀결합부(3)는 상판(10)과 하판(11)으로 분리되며 이들의 결합은 볼트 또는 접착제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판(10)에는 세일(8)을 단 마스터(7)를 꽂을 수 있는 조인트(6)를 포함하는 리그부(9)가 장착되도록 마스터박스(5)를 상판(10) 중앙에 형성한 것이며, 하판(11)에는 센터핀(18a)를 가지는 센터핀박스(18)를 형성하되, 상,하판(10)(11)은 바디(2)를 덮을 수 있도록 덮개판(10a)(11a)을 끼움판(10b)(11b)보다 돌출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끼움판(10b)(11b)를 서로 맞대어 접착하여 상,하판(10)(11)를 결합하면 덮개판(10a)(11a)으로 인한 공간(A)이 형성되는데, 바디(2) 선체(M) 중앙에 형성한 개구부(O) 속으로 리그핀결합부(3)를 끼워 넣어 바디(2)와 접착되도록 하되 상기 개구부(O)의 가장자리가 상기 공간(A)으로 밀실하게 채워지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통상의 볼트를 사용하여 결합할 경우 상,하판(10)(11)에 볼트구멍(10c)(11c)을 형성하여 너트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의 침투로 인한 녹 방지를 할 수 있게 방수처리나 마개(미도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하판(10)(11)의 끼움판(10b)(11b) 밑면에는 서로 암수가 되는 결 합돌기(10d)와 결합홈(11d)을 형성하여 결합력을 강화하는 한편, 끼움판(10b)(11b) 밑면을 골과 산을 가지는 웨이브(wave)형태로 형성하여 접착면적을 넓혀 접착시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본 고안의 핀결합부(4)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핀결합부(4)는 선미(S)의 형태를 취하고 핀(19a)을 하나 이상 장착할 수 있도록 핀박스(19)를 다수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나 이상의 핀(19a)을 형성하여 서핑력을 향상시키는 한편, 리그핀결합부(3) 하판(11)에도 핀결합부(4)와 같이 센터핀(18a)를 장착할 수 있는 센터핀박스(18)를 형성하여 서핑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핀결합부(4)는 선미(S)를 감쌀 수 있는 커버 형태로 몸체(4a)의 양옆과 후미를 커버날개(4b)로 형성하여 바디(2)의 선미(S)와 일체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도 5 와 같이 튜브형의 바디(2)는 선수(B)(bow), 선체(M)(midship), 선미(S)(stern)로 구분하여 공기를 주입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가벼우며 서핑력에는 지장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적인 형태로 바디(2) 전체를 튜브형으로 한 것으로 리그핀결합부(3)를 제거하고 선미(S) 아래에 핀결합부(4)만 부착한 것으로 일반적인 서핑보드의 형태를 이룬다.
또한, 바디(2) 중앙에 리그핀결합부(3)를 형성하고 필요시 세일(8)을 단 마스터(7)를 장착하여 바람을 이용한 윈드서핑을 할 수 있다.
무엇보다 본 고안의 서프보드(1)는 리그핀결합부(3)와 선미(S)의 핀결합부(4)만 경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고 나머지는 튜브형으로 함으로써 자체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다.
이상의 리그핀결합부(3) 및 핀결합부(4)를 바디(2)에 접착함에 있어 접착재료에 대한 성질은 일반적인 강력 및 초강력접착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중공간지(16) 위를 보강천(15a)를 덧대어 바디(2)를 완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바디(2)의 상하를 분할한 형태의 튜브형도 가능하며 수요자가 필요한 디자인 및 기능적 선택을 추가하여 제작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서핑력에 따라 혹은 서핑자의 서핑실력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본 고안의 서프보드(1)는 안전적인 튜브형으로 안전사고시 충격으로 인한 피해를 줄여주며, 운반시 서프보드(1)를 접어 운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청구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한 것으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서프보드의 단면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서프보드의 평면상태도.
도 3은 서프보드의 리그핀결합부의 단면상태도.
도 4는 서프보드의 핀결합부의 단면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서프보드의 다른 실시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서프보드 2: 바디
3: 리그핀결합부 4: 핀결합부
5: 마스터박스 6: 조인트
7: 마스터 8: 세일
9: 리그부 10: 상판
11: 하판 12: 발판용 패드
13: 발걸이 14: 직물
15: PVC천 16: 이중공간지
17: 공기주입구 18: 센터핀박스
19: 핀박스
B: 선수 M: 선체 S: 선미
A: 공간 O: 개구부

Claims (5)

  1. 바디(2) 선체(M) 중앙에 형성한 리그핀결합부(3)를 가지며 바디(2) 선미(S) 아래 부분에 형성한 핀결합부(4)를 가지고 파도를 이용하여 서핑을 즐길 수 있는 서프보드(1)에 있어, 상기 바디(2) 내부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내부는 직물(14)로 구성하며 외부는 PVC천(15)으로 형성한 이중공간지(16)에 PVC 재질의 보강천(15a)를 덧대어 형성하되, 바디(2)에 형성한 공기주입구(17)로 공기를 주입하며 서핑자가 라이딩할 수 있는 발판용 패드(12)를 상기 바디(2) 위에 접착하여 형성한 것으로 안전사고시 충돌로 인한 충격을 감소시키며 운반시 공기를 제거하여 접을 수 있어 운반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다기능 서프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그핀결합부(3)는 상판(10)과 하판(11)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상,하판(10)(11) 결합으로 형성된 공간(A)을 이용하여 바디(2) 선체(M) 중앙에 형성한 개구부(O)에 끼워 결합하며, 세일(8)을 단 마스터(7)를 꽂을 수 있는 조인트(6)로 이루어진 리그부(9)가 장착되는 마스터박스(5)를 상부면 중앙에 형성한 상판(10)과, 센터핀(18a)를 가지는 센터핀박스(18)를 바닥면에 형성한 하판(11)으로 구성되되, 상,하판(10)(11)은 바디(2)의 개구부(O)를 덮을 수 있도록 덮개판(10a)(11a)을 끼움판(10b)(11b)보다 돌출시키고 상,하판(10)(11)에는 볼트구멍(10c)(11c)을 형성하여 통상의 볼트 또는 접착제로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다기능 서프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판(10)(11)의 끼움판(10b)(11b) 밑면에는 서로 암수가 되는 결합돌기(10d)와 결합홈(11d)을 형성하여 결합력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다기능 서프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결합부(4)는 선미(S)의 형태를 취하며 감쌀 수 있는 커버 형태로 몸체(4a)의 양옆과 후미를 커버날개(4b)로 형성하여 바디(2)의 선미(S)와 일체가 되도록 형성하고 핀(19a)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핀박스(1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다기능 서프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의 선수(F) 또는 선체(M) 또는 선미(B)를 이중공간지(16)로 형 성하여 어느 한곳으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다기능 서프보드.
KR2020080003546U 2008-03-18 2008-03-18 레저용 다기능 서프보드 KR200449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546U KR200449402Y1 (ko) 2008-03-18 2008-03-18 레저용 다기능 서프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546U KR200449402Y1 (ko) 2008-03-18 2008-03-18 레저용 다기능 서프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531U true KR20090009531U (ko) 2009-09-23
KR200449402Y1 KR200449402Y1 (ko) 2010-07-07

Family

ID=4153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546U KR200449402Y1 (ko) 2008-03-18 2008-03-18 레저용 다기능 서프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40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029B1 (ko) * 2009-12-17 2010-08-04 (주)에어박스 윈드서핑 보드
KR101402928B1 (ko) * 2012-08-16 2014-06-03 정창희 패들링 보드
KR101410885B1 (ko) * 2012-09-18 2014-06-23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보트의 분리형 기구물 고정장치
KR101527570B1 (ko) * 2014-09-04 2015-06-10 (주)에어박스 패들 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64943A (ko) 2016-12-06 2018-06-15 이기영 조립식 윈드서핑
CN108248787A (zh) * 2017-10-24 2018-07-06 许昌义 双橹水上滑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8524B2 (en) 2010-10-21 2013-12-17 Rainbow Scape Co., Ltd. Water sho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55181A1 (de) * 2000-11-08 2002-05-29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 oder Monomethylolalkansäuren
KR200348462Y1 (ko) * 2003-12-29 2004-04-28 신정훈 복합 에어보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029B1 (ko) * 2009-12-17 2010-08-04 (주)에어박스 윈드서핑 보드
KR101402928B1 (ko) * 2012-08-16 2014-06-03 정창희 패들링 보드
KR101410885B1 (ko) * 2012-09-18 2014-06-23 주식회사 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보트의 분리형 기구물 고정장치
KR101527570B1 (ko) * 2014-09-04 2015-06-10 (주)에어박스 패들 보드 및 그 제조방법
US9616977B2 (en) 2014-09-04 2017-04-11 Air Box Co., Ltd. Paddle board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KR20180064943A (ko) 2016-12-06 2018-06-15 이기영 조립식 윈드서핑
CN108248787A (zh) * 2017-10-24 2018-07-06 许昌义 双橹水上滑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402Y1 (ko) 201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9402Y1 (ko) 레저용 다기능 서프보드
US20180362123A1 (en) Device and system for propelling a passenger
US20060292941A1 (en) Aquatic gliding board having a deck with a sandwich structure with an elastic core
US4100870A (en) Surfboard
US20130130578A1 (en) Self-cleansing retractable handle assembly for water craft
US4556003A (en) Sailboard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7721670B2 (en) Kayak having deck fairing
CN111770878A (zh) 由能漂浮的材料构成的浮板和包括机动船舶和这种浮板的水上运动器械
US20030199213A1 (en) Water sports board
US20080248701A1 (en) Sports board having stringers
US9415844B2 (en) Multipurpose recreational device
US7955150B2 (en) Surfing skis
US6746291B1 (en) Hybrid inflatable and rigid shoreline riding toy
KR100974029B1 (ko) 윈드서핑 보드
US8876567B2 (en) Drop-knee board
WO1988005745A1 (en) Watercraft
CN108674599A (zh) 一种新型充气桨板及其加工工艺
US8007337B1 (en) Universal flying hawk
US20020134296A1 (en) Attachment for increasing seaworthiness and utility of inflatable boats
CN101318543B (zh) 多功能滑水滑雪板
US8702462B1 (en) Longitudinally reinforced elliptically contoured waveriding system
US10023275B2 (en) Selectively deployable fin system for watercraft and method of use
US20130344757A1 (en) Nu-Surf TM surfboard
US20230050049A1 (en) Water Sports Device
CN109159867B (zh) 一种可折叠大刚度充气式救生筏及应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