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457U - 다용도 쌍절곤 - Google Patents

다용도 쌍절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9457U
KR20090009457U KR2020080003453U KR20080003453U KR20090009457U KR 20090009457 U KR20090009457 U KR 20090009457U KR 2020080003453 U KR2020080003453 U KR 2020080003453U KR 20080003453 U KR20080003453 U KR 20080003453U KR 20090009457 U KR20090009457 U KR 200900094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rods
storage container
head
bun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4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이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민 filed Critical 이상민
Priority to KR20200800034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9457U/ko
Publication of KR200900094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45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쌍절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별도의 수납통이 마련됨으로써 사용상 편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하여 제품으로서의 다기능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쌍절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의 한 쌍의 봉; 상기 한 쌍의 봉의 일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머리뭉치; 및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줄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봉과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수납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또한 연결줄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쌍절곤의 윗부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머리뭉치; 및 일단은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상기 쌍절곤의 봉 기능을 담당하되, 길이가 긴 막대 형상을 갖는 봉 기능 담당용 문방용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봉 기능 담당용 문방용품은 샤프, 지우개, 연필, 볼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쌍절곤, 다용도, 물통, 펌프, 계량형, 연결줄, 조절, 머리뭉치, 문방용품

Description

다용도 쌍절곤{TWINS STICK WITH MULTI-FUNCTION}
본 고안은, 다용도 쌍절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별도의 수납통이 마련됨으로써 사용상 편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하여 제품으로서의 다기능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쌍절곤에 관한 것이다.
쌍절곤은, 대소자(大掃子), 소소자(小掃子), 소반룡곤(小盤龍棍)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두 개의 짧은 봉을 부드럽고 강한 줄로 연결한 것이 일반화되어 있는데, 보통은 쌍절곤으로 부른다.
예전에는 쌍절곤이 전투 시 적군과 적군마를 공격하는 데 효과적인 무기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나, 근자에 들어서는 호신용 무기 또는 신체 단련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크게 보면, 쌍절곤은 치고, 찌르고, 막고, 비트는 네 가지 동작으로 구분되지만 응용 기술의 폭이 넓고 다양해 마음대로 사용할 정도가 되면 그 위력은 실로 대단하다 볼 수 있다. 또 짧은 시간 내에 혼자서 배울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쌍절곤의 대표적인 기술에는 정면치기, 아래위 치기, 아래위 돌려치기, 다리치기, 휘두르기, 좌우 올려치기, 한쪽 어깨 돌리기, 좌우 등뒤 올려치기, 목반동 치기, 목 돌리기, 수평 교차잡기, 수평 돌려잡기, 뒤돌려잡기, 물레 돌리기, 팔자 돌리기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운동이 부족한 현대인들에게 있어 쌍절곤은 휴대도 간편하거니와 별도의 넓은 장소가 필요치 않으며, 또한 별도의 비용 부담 없이 독립적으로 체력을 단련하기에 좋은 기구라 할 수 있다.
한편, 통상의 쌍절곤은 무술운동이나 수련을 위한 도구로서의 역할 외에는 아무런 기능이 없다.
따라서 예컨대, 쌍절곤에 물통이나 혹은 샴푸와 같은 펌프통을 마련한다거나 혹은 각종 소부피의 문방용품을 넣어둘 수 있는 수납통을 마련한다면 사용상 편리할 수 있을 것이며, 소비자의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별도의 수납통이 마련됨으로써 사용상 편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하여 제품으로서의 다기능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용도 쌍절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봉 대신에 봉 기능 담당용 문방용품을 사용함에 따라 판촉용 혹은 홍보용으로 활용될 수 있고, 쌍절곤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용도 쌍절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의 한 쌍의 봉; 상기 한 쌍의 봉 의 일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머리뭉치; 및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줄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봉과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수납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쌍절곤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통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봉과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에 각각 나사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납통이 물통인 경우, 상기 수납통의 입구 영역에는 착탈 가능한 캡이 마련되며, 상기 수납통이 펌프인 경우, 상기 수납통이 일단부 영역에는 펌핑용 푸셔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줄은 내부가 빈 파이프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캡 및 펌핑용 푸셔의 반대편 상기 수납통의 단부는, 상기 한 쌍의 봉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부와의 연통을 위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봉과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줄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통의 일단부는 상기 줄 길이 조절부와 부분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수납통의 개방된 단부 영역으로 상기 줄 길이 조절부의 노출단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의 단부 영역에는 상기 연결줄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원뿔형 줄 회전부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연결줄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쌍절곤의 윗부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머리뭉치; 및 일단은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파지 하는 상기 쌍절곤의 봉 기능을 담당하되, 길이가 긴 막대 형상을 갖는 봉 기능 담당용 문방용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쌍절곤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봉 기능 담당용 문방용품은 샤프, 지우개, 연필, 볼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 기능 담당용 문방용품은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내에 마련되되, 상기 봉 기능 담당용 문방용품 중에서 상기 샤프, 상기 연필 및 상기 볼펜 중 어느 하나의 심 부분이 배치되어 보호되는 가이드홀; 상기 가이드홀의 주변에 마련되는 경사면; 및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의 내부에 각각 마련되어 해당 위치에서 상기 봉 기능 담당용 문방용품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의 한 쌍의 봉; 상기 한 쌍의 봉의 일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머리뭉치;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줄; 상기 한 쌍의 봉 내부에 마련되어 수납품의 수납시키는 수납공간부;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내에 마련되되, 상기 수납품 중에서 연필이나 볼펜 등의 심이 배치되어 보호되는 가이드홀; 상기 가이드홀의 주변에 마련되는 경사면; 및 상기 한 쌍의 봉의 내부와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의 내부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해당 위치에서 상기 수납품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쌍절곤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 별도의 수납통이 마련됨으로써 사용상 편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하여 제품으로서의 다기능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봉 대신에 봉 기능 담당용 문방용품을 사용함에 따라 판촉용 혹은 홍보용으로 활용될 수 있고, 쌍절곤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쌍절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용도 쌍절곤은, 크게 한 쌍의 봉(10), 한 쌍의 머리뭉치(20) 및 연결줄(30)을 구비한다.
이들 구성 중에서 특히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는 두 개씩 마련되고 있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들에 대한 참조부호는 동일하게 부여하도록 한다.
한 쌍의 봉(10)은, 다용도 쌍절곤을 통한 무술운동이나 수련 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일정한 단면적의 원형 봉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봉(10)은 한 쌍의 머리뭉치(20)와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봉(10)은 연습용 봉일 수도 있고, 혹은 실전용 봉일 수도 있다.
연습용 봉은 주로 다용도 쌍절곤을 처음 접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므로 연습용 봉의 외면은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실전용 봉의 외면 역시 탄성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봉(10)의 내부에는 후술할 수납통(70,80)으로서의 수납공간부(10b)가 더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는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한 쌍의 봉(10) 내부에 별도의 수납공간부(10b)를 마련하는 것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 이러한 수납공간부(10b)에는 부피가 작은 문방용품들, 예컨대, 연필, 샤프, 지우개, 풀, 붓 등을 담아 보관할 수도 있다. 이 뿐 아니라 사탕이나 제과류 등도 그 부피가 작다면 충분히 보관될 수 있다.
참고로, 수납공간부(10b)가 형성된 한 쌍의 봉(10)은 실전용 봉보다는 연습용 봉인 것이 바람직하나, 연습용 봉에서 벗어나 그 자체가 수납기능만을 담당하는 수납용 봉이어도 좋다.
한 쌍의 머리뭉치(20)는, 연결줄(3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전술한 한 쌍의 봉(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가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한 쌍의 봉(10)의 외면에는 수나사부(10a)가, 그리고 한 쌍의 머리뭉치(20)의 내면에는 수나사부(10a)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20a)가 형성된다. 하지만, 반대로 한 쌍의 봉(10)에 암나사부가, 그리고 한 쌍의 머리뭉치(20)에 수나사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한 쌍의 머리뭉치(20)의 단부 영역에는 연결줄(3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원뿔형 줄 회전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원뿔형 줄 회전부(25)는, 연결줄(3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인데, 만약에 이러한 원뿔형 줄 회전부(25)가 없다면 연결줄(30)이 해당 위치의 모서리에 걸려 회전하는데 문제가 생길 뿐만 아니라 연결줄(30)이 쉽게 마모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연결줄(30)은, 한 쌍의 머리뭉치(20)를 상호 연결하는 부분이다. 종래의 경우, 연결줄(30)이 체인으로 되어 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연결줄(30)이 일반적인 천이나 로프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결줄(30)의 양단은 한 쌍의 머리뭉치(20)에 각각 고정되는데, 고정의 형태는 매듭이어도 좋고, 혹은 별도의 고리를 두어 이 고리에 연결줄(30)이 고정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쌍절곤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 사이에는 전술한 물품들을 비롯하여 물통이나 혹은 샴푸와 같은 펌프통으로 별도의 수납통(70,80)이 마련되어 있다.
참고로, 도 2는 수납통(70)이 물통으로 사용된 예이고, 도 3은 수납통(80)이 샴푸와 같은 펌프통으로 사용된 예이다.
이들 수납통(70,80)들은 한 쌍의 봉(10)에 하나씩 용도별로 마련되어도 좋 고, 혹은 어느 하나만이 한 쌍의 봉(10)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어도 좋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수납통(70,80)들이 마련되는 경우, 한 쌍의 봉(10)에 전술한 내부공간부(10b)가 형성되어도 좋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수납통(70)이 물통으로 사용된 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물통이란 음료용 통을 포함하는 용어로서 정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수납통(70)은 통 구조를 가지며, 그 양단은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나사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수납통(70)의 양단부 영역에는 수나사부(70a,70b)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수나사부(70a,70b)에 대응되는 위치의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에는 각각 암나사부(20a,10c)가 형성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도 2와 같이 수납통(70)이 물통으로 사용되는 경우, 수납통(70)의 입구(72) 영역에는 착탈 가능한 캡(71)이 더 구비된다. 이 때는 캡(71)이 해당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봉(10)의 상단부에 별도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편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물론, 본 실시예 역시, 한 쌍의 봉(10)의 내부에 내부공간부(10b)가 마련되고 있기 때문에 캡(71)이 해당 위치에 배치되기에 아무런 방해요소가 없게 된다.
이처럼 한 쌍의 봉(10)의 내부에 내부공간부(10b)가 마련됨에 따라 수납통(70)은 한 쌍의 머리뭉치(20)와 분리된 후에, 한 쌍의 봉(10)과 독립적으로 결합되어 더 충분한 내부 공간을 갖는 물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캡(71)의 반대편인 수납통(70)의 단부(75)는 개방된 형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실시예의 쌍절곤을 물통으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한 쌍의 봉(10), 수납통(70) 및 한 쌍의 머리뭉치(20)를 상호간 분리한 후에, 수납통(70)을 뒤집어 한 쌍의 봉(10)과 결합시킨 후에, 물통으로 사용하면 된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수납통(80)이 샴푸와 같은 펌프통으로 사용된 예를 설명한다.
도 3의 경우, 실질적으로 도 2와 거의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도 3의 경우, 수납통(80)이 샴푸와 같은 펌프통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도 2의 캡(71)의 위치에 캡(71) 대신에 펌핑용 푸셔(81)가 마련된다.
이 때, 펌핑용 푸셔(81)가 동작되기 위해서는 공기가 유동하는 장소가 필요하므로, 도 3과 같은 경우에는 연결줄(30)이 내부가 빈 파이프로 마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줄(30)은 펌핑용 푸셔(81)에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도 3과 관련해서는 도 2와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도면 번호만 달리 부여할 뿐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별도의 수납통(70,80)이 마련됨으로써 사용상 편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호기심을 끌기에 충분하여 제품으로서의 다기능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쌍절곤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다용도 쌍절곤은 전술한 실시예의 쌍절곤이나 후술될 실시예의 쌍절곤과는 다른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의 다용도 쌍절곤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개시된 한 쌍의 봉(10, 도 1 참조)이 갖춰지지 않는 대신, 봉 기능 담당용 문방용품(P)이 한 쌍의 봉(10) 기능을 담당하도록 하고 있다.
참고로, 봉 기능 담당용 문방용품(P)이란, 샤프, 지우개, 연필(P), 볼펜 등과 같이 길이가 긴 문방용품이 될 수 있는데, 이하의 설명에서는 연필(P)을 그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다용도 쌍절곤은, 한 쌍의 머리뭉치(20')와, 한 쌍의 머리뭉치(20')를 연결하는 연결줄(3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쌍절곤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봉 기능을 담당하는 연필(P)을 구비한다.
따라서 연필(P)이 한 쌍의 머리뭉치(20')에 각각 결합되고 나면, 쌍절곤의 역할을 하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쌍절곤은,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쌍절곤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시키기에 충분하며, 따라서 판촉용이나 홍보용의 쌍절곤으로 널리 보급될 수 있을 것이다.
연필(P)이 한 쌍의 머리뭉치(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연필(P)의 경우, 쉽게 부러지기 쉬운 연필심(P1)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요구된다. 그렇지 않고, 연필심(P1)과 심헤드(P2) 영역을 단순히 한 쌍의 머리뭉치(20')에 끼우는 형태라면, 연필심(P1)이 부러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연필심(P1)과 심헤드(P2) 영역이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에 배치되도록 하되, 특히,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에는 연필심(P1)이 배치되어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저지하는 가이드홀(21')이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가이드홀(21')의 주변에는 연필(P)의 심헤드(P2) 이면이 배치되는 경사면(22')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22')과 가이드홀(21')에 의해 연필(P)은 파손되지 않고 원형 그대로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경사면(22')이 각진 형태로 되어 있으나, 경사면(22')은 부드러운 곡선으로 처리되어도 좋다. 물론 지우개 등과 같이 심이 없는 문방용품의 경우에는 가이드홀(21') 및/또는 경사면(22')이 없어도 무방하며 이러한 구성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한편, 경사면(22')과 가이드홀(21')이 형성되어 있다 하더라도, 연필(P)이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에서 고정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쌍절곤에는 탄성지지부(23')가 더 구비된다.
탄성지지부(23')는 도 4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뭉치(20') 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지지부(23')는 실선으로 된 초기 상태에서 그 내부로 연필(P)이 삽입될 시 이점쇄선과 같이 탄성적으로 늘어난다. 그리고는 다시 자체 탄성에 의해 좁혀지면서 그 내부에 삽입된 연필(P)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연필(P)은 머리뭉치(2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물론, 다용도 쌍절곤으로부터 연필(P)을 빼낼 경우에는 머리뭉치(20')를 잡고 연필(P)을 빼면 되기 때문에 사용에 아무런 무리가 없다.
이에, 도 4의 상태에서 연필(P)을 머리뭉치(20')에 끼워 조립한 후, 사용자는 연필(P)의 몸체(P3)를 잡고 쌍절곤을 통한 운동을 즐기면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를 통한 쌍절곤은 운동을 하기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장식용이나 판촉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쌍절곤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여, 수납품의 한 예로서 연필(P)이나 볼펜(B)을 다용도 쌍절곤에 보관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에서는 연필(P)이나 볼펜(B)을 봉 기능 담당용 문방용품이라 설명하였으나, 여기에서는 이들을 수납품이라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수납품에는 연필(P)이나 볼펜(B) 외에도 연필(P)이나 볼펜(B)의 부피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다양한 문방용품, 예컨대 샤프, 지우개, 풀, 붓 등이 보관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연필(P)과 볼펜(B)을 그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봉(10)의 내부에는 수납공간부(10b)가 단독으로 수납통의 역할을 하고 있고,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수납통(70,80)이 구비되고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수납통을 마련하는 대신에,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수납통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필(P)이나 볼펜(B)을 다용도 쌍절곤에 보관되기 위해, 우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봉(10)의 내부에는 수납공간부(10b)가 형성된다. 이러한 수납공간부(10b)에는 연필(P)이나 볼펜(B)의 대부분 영역이 수납된다.
이 때, 연필(P)이나 볼펜(B)의 경우, 특히 연필(P)의 경우에는 쉽게 부러지기 쉬운 연필심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적절한 처리가 요구된다. 그렇지 않고, 다용도 쌍절곤 내에 연필(P)을 단순하게 넣어두는 형태라면, 연필심이 부러져 즉시 사용하기가 어려워진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연필심 영역은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에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특히, 한 쌍의 머리뭉치(20') 내에는 연필(P)의 연필심이나 볼펜(B)의 볼펜심이 배치되어 부러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저지하는 가이드홀(21')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홀(21')의 주변에는 연필(P)이나 볼펜(B)의 전방의 외측 모서리가 배치되는 경사면(22')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22')과 가이드홀(21')에 의해 연필(P)이나 볼펜(B)은 파손되지 않고 원형 그대로 다용도 쌍절곤에 보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의 다용도 쌍절곤에는 그 내부에 보관된 연필(P)이나 볼펜(B)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23')가 더 구비된다.
탄성지지부(23')는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뭉치(20') 내의 둘레 방향을 따라 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탄성지지부(23')는 실선으로 된 초기 상태에서 그 내부로 연필(P)이나 볼펜(B), 혹은 지우개가 삽입될 시 이점 쇄선과 같이 탄성적으로 늘어난다. 그리고는 다시 자체 탄성에 의해 좁혀지면서 그 내부에 삽입된 연필(P)이나 볼펜(B), 혹은 지우개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연필(P)이나 볼펜(B), 혹은 지우개 등은 다용도 쌍절곤 내에서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물론, 다용도 쌍절곤으로부터 연필(P)이나 볼펜(B), 혹은 지우개를 빼낼 경우에는 머리뭉치(20')를 잡고 필(P)이나 볼펜(B), 혹은 지우개를 빼면 되기 때문에 아무런 무리가 없다.
한편, 본 실시예의 다용도 쌍절곤에는, 연결줄(30)의 길이 조절을 위해, 줄 길이 조절부(4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줄 길이 조절부(40)는 한 쌍의 머리뭉치(20) 각각에 구비되어도 좋으나, 한 쌍의 머리뭉치(20) 중 어느 한 쪽에만 마련되어도 동작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이러한 줄 길이 조절부(40)는, 자신의 손의 크기에 맞게 다용도 쌍절곤의 연결줄(30)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용도 쌍절곤을 통한 무술운동이나 수련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만약, 줄 길이 조절부(40)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수납통(70,80)의 개방된 단부(75,85) 영역으로 줄 길이 조절부(40)의 노출단 삽입부(61)가 삽입되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각 구성들이 보다 유기적으로 결합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연결줄(30)의 길이 조절을 위한 줄 길이 조절부(40)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줄 길이 조절부의 동작을 보인 도면들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 길이 조절부(40)는, 크게 줄 척킹유 닛(50)과 유닛가압부(60)를 구비한다.
줄 척킹유닛(50)은, 한 쌍의 머리뭉치(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머리뭉치(20) 내부에 마련된다. 일체형으로 마련되어도 좋고 혹은 분리형으로 마련되어도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줄 척킹유닛(50)은 나팔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줄 척킹유닛(50)의 내측면에는 연결줄(30)을 척킹하는 척킹부(51)가 마련되어 있다. 척킹부(51)는 어떠한 형태로 제작되어도 좋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선단이 뾰족한 나사산 형태로 척킹부(51)를 제작하고 있다. 이에, 나팔관 형상의 줄 척킹유닛(50)이 도 6과 같이 벌어진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좁혀지면 척킹부(51)가 연결줄(30)을 척킹함에 따라 연결줄(30)은 그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나팔관 형상의 줄 척킹유닛(50)의 외면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제1 곡면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곡면부(52)는 후술할 유닛가압부(60)의 제2 곡면부(62)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팔관 형상의 줄 척킹유닛(50)의 내경이 좁아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유닛가압부(60)는, 줄 척킹유닛(50)에 결합될 때 줄 척킹유닛(50)의 척킹부(51)로 하여금 연결줄(30)을 척킹하도록 줄 척킹유닛(50)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유닛가압부(60)는 줄 척킹유닛(50)의 내경이 좁아질 수 있도록 줄 척킹유닛(50)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닛가압부(60)의 내면에는 줄 척킹유닛(50)에 형성된 제1 곡면부(52)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제2 곡면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곡면부(62)는 제1 곡면부(52)와 마찬가지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제작되는데, 유 닛가압부(60)가 줄 척킹유닛(50)에 결합될 때, 제2 곡면부(62)가 제1 곡면부(52)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제2 곡면부(62)는 제1 곡면부(52)보다 큰 곡률 반경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유닛가압부(60)가 줄 척킹유닛(50)에 결합된 후에, 유닛가압부(60)가 줄 척킹유닛(50)으로부터 임으로 이탈되어서는 곤란하다.
이를 위해, 유닛가압부(60)의 제2 곡면부(62)의 단부에는 걸림턱(63)이 형성되어 있고, 줄 척킹유닛(50)에는 유닛가압부(60)의 걸럼턱(63)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탈방지부(53)가 형성되어 있다. 초기의 조립 시에는 걸럼턱(63) 영역을 강제로 좁혀 걸림턱(63)이 이탈방지부(53)를 넘어 위치하도록 하면 되고, 그 이후에는 실질적으로 걸림턱(63)이 이탈방지부(53)로부터 이탈되지는 않는다.
한 쌍의 봉(10)을 향한 유닛가압부(60)의 단부에는 노출단 삽입봉(61)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통(70,80)이 마련되는 경우, 노출단 삽입봉(61)은 캡(71) 및 펌핑용 푸셔(81)의 반대편인 수납통(70,80)의 개방된 단부(75,85) 영역으로 삽입되는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다용도 쌍절곤에서 연결줄(30)의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연결줄(30)의 길이를 짧게, 혹은 길게 하려면, 우선, 도 6과 같이, 줄 척킹유닛(50)에 대해 유닛가압부(60)가 분리된 상태에서, 연결줄(30)의 길이를 조절해 두고, 이어 줄 척킹유닛(50)에 대해 유닛가압부(6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는 유닛가압부(60)를 줄 척킹유닛(50)의 상부 영역으로 밀어 올린다. 그러면, 제1 곡면부(52)에 접촉되어 있는 제2 곡면부(62)가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제1 곡면부(52)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줄 척킹유닛(50)은 전체적으로 그 내경이 좁혀지게 된다.
이처럼, 줄 척킹유닛(50)의 내경이 좁혀지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척킹부(51)가 연결줄(30)을 척킹함에 따라 길이가 조절된 연결줄(30)은 그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도 7 참조).
연결줄(30)의 고정이 완료되고 나면 나사 형태의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를 상호간 결합시킴으로써 간편하게 작업이 마무리된다.
물론, 도 7과 같이,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연결줄(3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한다면,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를 상호간 완전히 분리하지 않고 적당하게 분리한 후에 이 시점에서 연결줄(30)의 길이를 조절해두고, 한 쌍의 봉(10)과 한 쌍의 머리뭉치(20)를 상호간 조임으로써 보다 손쉽게 연결줄(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쌍절곤의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쌍절곤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쌍절곤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쌍절곤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줄 길이 조절부의 동작을 보인 도면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한 쌍의 봉 20 : 한 쌍의 머리뭉치
30 : 연결줄 40 : 줄 길이 조절부
50 : 줄 척킹유닛 60 : 유닛가압부
70,80 : 수납통

Claims (10)

  1.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의 한 쌍의 봉;
    상기 한 쌍의 봉의 일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머리뭉치; 및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줄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봉과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에는 수납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쌍절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봉과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에 각각 나사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쌍절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통이 물통인 경우, 상기 수납통의 입구 영역에는 착탈 가능한 캡이 마련되며,
    상기 수납통이 펌프인 경우, 상기 수납통이 일단부 영역에는 펌핑용 푸셔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줄은 내부가 빈 파이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쌍절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 및 펌핑용 푸셔의 반대편 상기 수납통의 단부는, 상기 한 쌍의 봉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부와의 연통을 위해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쌍절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봉과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줄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납통의 일단부는 상기 줄 길이 조절부와 부분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수납통의 개방된 단부 영역으로 상기 줄 길이 조절부의 노출단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쌍절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의 단부 영역에는 상기 연결줄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원뿔형 줄 회전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쌍절곤.
  7. 연결줄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쌍절곤의 윗부분을 형성하는 한 쌍의 머리뭉치; 및
    일단은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상기 쌍절곤의 봉 기능을 담당하되, 길이가 긴 막대 형상을 갖는 봉 기능 담당용 문방용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쌍절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봉 기능 담당용 문방용품은 샤프, 지우개, 연필, 볼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쌍절곤.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봉 기능 담당용 문방용품은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내에 마련되되,
    상기 봉 기능 담당용 문방용품 중에서 상기 샤프, 상기 연필 및 상기 볼펜 중 어느 하나의 심 부분이 배치되어 보호되는 가이드홀;
    상기 가이드홀의 주변에 마련되는 경사면; 및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의 내부에 각각 마련되어 해당 위치에서 상기 봉 기능 담당용 문방용품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쌍절곤.
  10.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의 한 쌍의 봉;
    상기 한 쌍의 봉의 일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머리뭉치;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줄;
    상기 한 쌍의 봉 내부에 마련되어 수납품의 수납시키는 수납공간부;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 내에 마련되되, 상기 수납품 중에서 연필이나 볼펜 등의 심이 배치되어 보호되는 가이드홀;
    상기 가이드홀의 주변에 마련되는 경사면; 및
    상기 한 쌍의 봉의 내부와 상기 한 쌍의 머리뭉치의 내부 중 어느 일측에 마련되어 해당 위치에서 상기 수납품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쌍절곤.
KR2020080003453U 2008-03-17 2008-03-17 다용도 쌍절곤 KR2009000945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453U KR20090009457U (ko) 2008-03-17 2008-03-17 다용도 쌍절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453U KR20090009457U (ko) 2008-03-17 2008-03-17 다용도 쌍절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457U true KR20090009457U (ko) 2009-09-22

Family

ID=4153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453U KR20090009457U (ko) 2008-03-17 2008-03-17 다용도 쌍절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945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7574A (en) Portable dental kit
CN2915662Y (zh) 自行车之握把
CN107736133B (zh) 一种抓手式采摘装置
US20140053358A1 (en) Portable broom
US5919079A (en) Play sword lollipop holder
JP2014097047A (ja) 装飾性直状握り柄
KR20090009457U (ko) 다용도 쌍절곤
CN203425477U (zh) 一种可携带羽毛球的羽毛球拍
CN202666329U (zh) 一种可折叠拆卸式羽毛球拍
CN204775764U (zh) 一种折叠把手
CN205460750U (zh) 一种碳纤维自动收缩折叠杆
CN201018845Y (zh) 钓鱼竿手把
CN201102661Y (zh) 一体式哑铃瓶
KR20220001530U (ko) 낚싯대용 무게중심 캡
CN107717810A (zh) 螺丝批
CN216222747U (zh) 一种便捷可拆式飞力仕健身棒
CN210842556U (zh) 一种旅行筷子
JP3754012B2 (ja) 把手
KR20080095081A (ko) 살림망 지지구
CN201018844Y (zh) 组合式钓鱼竿
KR200405834Y1 (ko) 인출식과 꼽기식이 결합된 낚시대
KR20080002478U (ko) 접철식 골프채
CN213427884U (zh) 通用型手竿枪把
CN201210965Y (zh) 一种儿童用牙刷
CN214015619U (zh) 一种钓鱼箱隐藏式提手和钓鱼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