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128U - 시설물 지지용 기초구조물 - Google Patents
시설물 지지용 기초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9128U KR20090009128U KR2020080003052U KR20080003052U KR20090009128U KR 20090009128 U KR20090009128 U KR 20090009128U KR 2020080003052 U KR2020080003052 U KR 2020080003052U KR 20080003052 U KR20080003052 U KR 20080003052U KR 20090009128 U KR20090009128 U KR 2009000912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lt
- anchor bolt
- facility
- foundation
- anch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0—Anchored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설물 지지용 기초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탈이나 구배가 있는 옥상 등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기둥이나 가로등과 같은 시설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시설물 지지용 기초구조물은, 외주연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그 하부가 기초바닥면에 소정간격으로 박혀 고정되는 앵커볼트와, 외주연에 숫나사가 형성된 상부의 볼트부와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된 하부의 머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머리부에 형성된 암나사가 앵커볼트의 숫나사와 나사 결합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볼트의 볼트부가 관통공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고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수평계가 부착되는 수평 브래킷 및 상기 수평 브래킷의 하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콘크리트 블록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초볼트, 구조물, 수평 브래킷, 조절볼트
Description
본 고안은 시설물 지지용 기초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탈이나 구배가 있는 옥상 등의 경사면에 설치되는 기둥이나 가로등과 같은 시설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로 또는 비탈이나 구배가 있는 옥상 등의 경사면에 기둥과 같은 시설물이 설치되고 이때 시설물을 지지하기 위해 시설물이 하부의 기초구조물에 체결된다.
도 1은 종래 기초구조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구조물이 지반에 매설된 상태에서 기초구조물(60)의 상부에 기둥과 같은 시설물(10)이 체결된다.
상기 기초구조물(60)은 기초구조물(60)을 매설할 수 있도록 지면을 소정깊이로 판 상태에서 콘트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기초바닥면(40)을 형성한다.
그 기초바닥면(40)에 기초볼트(20)를 소정간격으로 박아 배치한 상태에서 인접된 기초볼트(40)를 철근 등과 같은 연결부재(50)로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고, 콘 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할 수 있도록 거푸집을 형성한다.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양생이 되면 기초구조물(60)이 완성되고, 이때 기초볼트(20)의 상부는 콘크리트 블록(30)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다음 기둥 등의 시설물(10)을 기초볼트(20)의 돌출부가 시설물(10) 하부의 고정 브래킷(11)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도록 세운다.
그 후 상기 돌출된 기초볼트(20)에 너트(12)를 나사 결합하여 시설물(10)을 기초구조물(60)에 고정시켜 시설물이 설치된다.
그런데 종래 기초구조물(60)은 인접된 기초볼트(20)를 연결부재(50)로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기초볼트(20)가 틀어지거나 이탈되어 위치가 변경되며, 이에 따라 시설물(10)의 고정 브래킷(11)의 관통공과 기초볼트(20)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탈이나 구배가 있는 옥상 등과 같이 경사가 있는 곳에 구조물(10)을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콘크리트 블록(30)를 만드는 경우 기초볼트(20) 위치가 변경되는 문제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블록(30)이 수평으로 타설되지 못해 구조물(10)의 고정 브래킷(11)이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불안정하게 설치되어 부실시공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경사면에 시설물을 세우기 위한 콘크리트 블록 제작시에 기초볼트의 위치 변경을 방지하고, 조절볼트와 수평계가 부착된 수평 브래킷의 적절한 조절로 콘크리트 블록의 수평을 유지하여 시설물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시설물 지지용 기초구조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시설물 지지용 기초구조물은, 외주연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그 하부가 기초바닥면에 소정간격으로 박혀 고정되는 앵커볼트와, 외주연에 숫나사가 형성된 상부의 볼트부와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된 하부의 머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머리부에 형성된 암나사가 앵커볼트의 숫나사와 나사 결합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볼트의 볼트부가 관통공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고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수평계가 부착되는 수평 브래킷 및 상기 수평 브래킷의 하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콘크리트 블록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비탈이나 구배가 있는 옥상 등과 같이 기울기가 있는 곳에 시설물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에 시설물을 시공하기 위한 콘크리트 블록를 제작하는 경우 기초볼트의 위치 변경을 방지하고, 조절볼트와 수평계가 부착된 수평 브래킷의 적절한 조절로 콘크리트 블록의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시설물의 부실시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초구조물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기초구조물에 시설물을 시공한 상태의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120), 조절볼트(130), 콘크리트 블록(160) 및 수평 브래킷(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앵커볼트(120)는 외주연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그 하부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형성한 기초바닥면(140)에 소정간격으로 박히게 된다.
조절볼트(130)는 외주연에 숫나사가 형성된 상부의 볼트부(131)와,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된 하부의 머리부(1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볼트(130)의 머리부(132)에 형성된 암나사와 앵커볼트(120)의 숫나 사가 나사 결합한다.
상기 조절볼트(130)의 볼트부(131)가 수평 브래킷(110)의 관통공(112)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관통공(132)의 내경은 볼트부(131)보다 크고 머리부(132)보다 작게 형성되어 수평 브래킷(110)이 조절볼트(130) 머리부(132)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수평 브래킷(110)의 중앙 부분에는 수평계(111)가 외부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이 수평계(111)를 참고로 조절볼트(130)를 조절하여 조절볼트(130) 머리부(132)의 상측에 위치한 수평 브래킷(110)의 높낮이 조절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브래킷(110)에는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양생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타설공(113)이 형성된다.
또한 인접된 앵커볼트(120)는 철근 등과 같은 연결부재(150)에 의해 서로 연결하여 서로 지지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앵커볼트(120), 조절볼트(130)와 수평 브래킷(110)을 조립하되, 조절볼트(130)와 수평계(111)를 부착한 수평 브래킷(110)의 적절한 조절로 수평을 맞춘 상태에서 거푸집을 형성하여, 수평 브래킷(110)의 타설공(113)이나 거푸집과 수평 브래킷(11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양생하면 콘크리트 블록(160)이 형성되고 기초구조물(100)이 완성된다.
다음 기둥 등의 시설물(200)을 조절볼트(130)의 돌출된 볼트부(131)가 시설물(200) 하부의 고정 브래킷(201)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도록 세운 다.
그리고 상기 돌출된 조절볼트(130)의 볼트부(131)에 너트(202)를 나사 결합하여 시설물(200)을 기초구조물(100)에 고정시켜 시설물(200)이 설치된다.
상기 조절볼트(130)와 수평 브래킷(110)을 조립한 후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조절볼트(130)가 수평 브래킷(110)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볼트(130)가 틀어지거나 이탈되지 않게 되어 조절볼트(130)의 위치 변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평을 유지하고 있는 수평 브래킷(110)의 하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타설되어 양생되기 때문에 콘트리트 블록(16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콘트리트 블록(160)이 수평을 유지하고 있고, 조절볼트(13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초구조물(100)에 시설물(200)이 시공되기 때문에,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부실시공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초구조물에 시설물을 시공한 상태의 구조도이다.
도 4의 실시예는 앵커볼트(120)가 상부의 제1앵커볼트(121)와 하부의 제2앵커볼트(122)로 분리되어 제2앵커볼트(122)는 기초바닥면(140)에 박혀 고정되고, 제1앵커볼트(121)는 조절볼트(130)와 나사 결합하되, 수평으로 인접된 제1앵커볼트(121) 또는 제2앵커볼트(122)와 상하의 제1,2앵커볼트(121,122)가 연결부재(150))로 연결되어 서로 지지된다.
이 다른 실시예는 경사면이나 콘크리트 블록(160)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종래 기초구조물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초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기초구조물에 시설물을 시공한 상태의 구조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초구조물에 시설물을 시공한 상태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초구조물 110: 수평 브래킷
120: 앵커볼트 130: 조절볼트
140: 기초바닥면 150: 연결부재
160: 콘크리트 블록 200: 시설물
Claims (4)
- 외주연에 숫나사가 형성되고 그 하부가 기초바닥면에 소정간격으로 박혀 고정되는 앵커볼트;외주연에 숫나사가 형성된 상부의 볼트부와 내주연에 암나사가 형성된 하부의 머리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머리부에 형성된 암나사가 앵커볼트의 숫나사와 나사 결합하는 조절볼트;상기 조절볼트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볼트의 볼트부가 관통공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되고,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수평계가 부착되는 수평 브래킷; 및상기 수평 브래킷의 하부에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콘크리트 블록를 포함하는 시설물 지지용 기초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수평 브래킷은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할 수 있도록 타설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지지용 기초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앵커볼트는 인접된 앵커볼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지지용 기초구조물.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앵커볼트는 상부의 제1앵커볼트와 하부의 제2앵커볼트로 분리되어 제2앵커볼트는 기초면에 박혀 고정되고, 제1앵커볼트는 조절볼트와 나사 결합하되, 수평으로 인접된 제1앵커볼트나 제2앵커볼트 또는 상하의 제1,2앵커볼트가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지지용 기초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3052U KR20090009128U (ko) | 2008-03-07 | 2008-03-07 | 시설물 지지용 기초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3052U KR20090009128U (ko) | 2008-03-07 | 2008-03-07 | 시설물 지지용 기초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9128U true KR20090009128U (ko) | 2009-09-10 |
Family
ID=41297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3052U KR20090009128U (ko) | 2008-03-07 | 2008-03-07 | 시설물 지지용 기초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9128U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9446A (ko) * | 2014-09-05 | 2016-03-15 | 김진상 | 도로면 커팅장치 |
KR20180076501A (ko) * | 2016-12-28 | 2018-07-06 | 전상배 | 트리 하우스 지지축 |
KR20190002728U (ko) * | 2017-11-29 | 2019-10-31 | 제진수 | 지주 설치용 구조물 |
-
2008
- 2008-03-07 KR KR2020080003052U patent/KR20090009128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29446A (ko) * | 2014-09-05 | 2016-03-15 | 김진상 | 도로면 커팅장치 |
KR20180076501A (ko) * | 2016-12-28 | 2018-07-06 | 전상배 | 트리 하우스 지지축 |
KR20190002728U (ko) * | 2017-11-29 | 2019-10-31 | 제진수 | 지주 설치용 구조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8727B1 (ko) | 피씨기둥의 접합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 |
KR100873266B1 (ko) | 조립식 기둥 구조물 | |
KR101990065B1 (ko) | 강재 블럭을 이용한 pc 기둥 접합부 | |
KR101237518B1 (ko) | 지주용 기초구조물 | |
KR20090009128U (ko) | 시설물 지지용 기초구조물 | |
KR200462716Y1 (ko) | 도로 경계석 시공장치 | |
JP6529009B2 (ja) | 建物用基礎の施工方法 | |
KR102518313B1 (ko) | 프리캐스트 이용 현장조립 용이성 확보 구성 및 높이오차방지 높이조절 구성을 포함하는 데크로드용 교량 시공방법 | |
JPH0334997Y2 (ko) | ||
JP2018100488A (ja) | 免震構造、ベースプレートおよび下部基礎部材の構築方法 | |
JP2006322154A (ja) | 建築物の基礎構築工法 | |
JP2007177559A (ja) | 手摺の取付方法およびその取付構造 | |
KR200420012Y1 (ko) | 가로등 기초콘크리트용 거푸집 | |
KR101593658B1 (ko) | 콘크리트 폴 | |
KR101165972B1 (ko) |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 |
KR101077971B1 (ko) | 강관 지주용 기초 블록 | |
KR20110078593A (ko) | 상부철근 받침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기초 시공방법 | |
JP2011069063A (ja) | ボウルベースプレート | |
JP2009144382A (ja) | 支柱立設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 |
JP7270816B2 (ja) | 免震上部基礎構造の作製方法及び基礎構造の作製方法 | |
KR100763406B1 (ko) | 휀스용 포스트 | |
KR20210033648A (ko) | 건축용 외장패널 수평조절장치 및 설치방법 | |
JP7083285B2 (ja) | 免震上部基礎構造及びその作製方法 | |
JP5520130B2 (ja) | 支柱 | |
KR101886015B1 (ko) | 난간 지주 및 그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