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699A - 코어 드럼 및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 - Google Patents

코어 드럼 및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699A
KR20090008699A KR1020070071856A KR20070071856A KR20090008699A KR 20090008699 A KR20090008699 A KR 20090008699A KR 1020070071856 A KR1020070071856 A KR 1020070071856A KR 20070071856 A KR20070071856 A KR 20070071856A KR 20090008699 A KR20090008699 A KR 20090008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re
nut
fasten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1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8277B1 (ko
Inventor
이진석
강정구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1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277B1/ko
Publication of KR20090008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10Building tyres on round cores, i.e. the shape of the core is approximately identical with the shape of the completed tyre
    • B29D30/12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 드럼 및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코어 드럼은, 상측 단부에 이송 돌기가 형성되는 드럼축과, 드럼축에 끼워켜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원주상에 결합되며, 드럼축과 나란하게 고정홀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드럼 세그먼트, 및 고정판의 외주면 상에 체결되어 각 드럼 세그먼트를 고정판에 고정시키며, 하부면에 다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조립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는, 상기한 코어 드럼이 상측에 올려져 안착되도록 상측 단부에 상기 드럼 세그 먼트의 각 고정홀에 대응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코어 드럼 안착부와, 드럼 안착부의 내부에서 수직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단부에 체결 너트의 체결홈에 대응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너트 체결부와, 너트 체결부를 코어 드럼을 향해 수직 이송시키는 수직 이송부, 및 너트 체결부를 회전시키는 체결 너트를 고정판에서 분리 및 체결하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타이어 제조 공정을 자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타이어, 그린 케이스 코어 드럼,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

Description

코어 드럼 및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CORE DRUM AND ASSEMBLY AND DIS AND DISASSEMBLY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코어 드럼 및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의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코어 드럼 및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타이어는 원료를 혼합하여 컴파운드를 만드는 정련공정, 컴파운드를 시트 형태로 압출/압연/재단하여 반제품으로 성형하고, 이 반제품을 그린 케이스로 성형하는 성형 공정, 및 그린 케이스를 가류시키는 가류 공정들을 거쳐 완성된다.
최근 들어 인건비의 상승과 산업 로봇의 발전에 따라 상기한 타이어의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한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타이어의 제조 과정을 자동화시키기 위해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압연/압출/재단/성형 공정을 가류 공정으로 연결하는 과정이었다.
가류 공정은 성형 공정에서 성형된 그린 케이스를 코어 드럼으로부터 분리하여 가류 몰드 내부에 삽입하고, 그린 케이스 내부에 블레더를 삽입한 후, 팽창시켜 가류중인 그린 케이스의 외형을 성형하게 된다.
따라서, 타이어의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성형 공정에서 그린 케이스를 성형하고, 가류 공정에서 그린 케이스와 함께 가류 몰드 내부에 삽입되어 완제품 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는 신 개념의 코어 드럼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한 성형 및 가류 공정을 거쳐 완성된 완제품 타이어를 드럼 코어로부터 분리하도록 코어 드럼을 자동적으로 분해 및 조립하기 위한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의 제조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코어 드럼, 및 코어 드럼 분해 조립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코어 드럼은, 상측 단부에 이송 돌기가 형성되는 드럼축과, 드럼축에 끼워켜 고정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원주상에 결합되며, 드럼축과 나란하게 고정홀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드럼 세그먼트, 및 고정판의 외주면 상에 체결되어 각 드럼 세그먼트를 고정판에 고정시키며, 하부면에 다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조립 너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드럼축의 길이는 드럼 세그먼트의 높이 보다 더 길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럼축은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 고정판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단차를 가지며 형성될 있다. 고정홀은 각 드럼 세그먼트에 2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럼 세그먼트는, 고정축의 원주를 따라 7 내 9개가 결합될 수 있다. 체결홈은 조립 너트의 바닥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는, 상기한 코어 드럼이 상측에 올려져 안착되도록 상측 단부에 상기 드럼 세그 먼트의 각 고정홀에 대응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코어 드럼 안착부와, 드럼 안착부의 내부에서 수직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단부에 체결 너트의 체결홈에 대응 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너트 체결부와, 너트 체결부를 코어 드럼을 향해 수직 이송시키는 수직 이송부, 및 너트 체결부를 회전시키는 체결 너트를 고정판에서 분리 및 체결하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한다.
수직 이송부는 너트 체결부 하부에 결합되는 제1 유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는 너트 체결부에 연결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유압 실린더와,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어 드럼 및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는, 타이어의 제조 공정 중 성형 공정, 가류 공정, 및 인출 공정을 연결하여, 이 공정들이 자동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코어 드럼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코어 드럼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코어 드럼(1)은, 드럼 축(10), 고정판(20), 다수의 드럼 세그먼트(30), 및 체결 너트(40)로 이루어진다.
드럼축(10)은 테이퍼진 일측 단부에 이송을 위한 이송돌기(11)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는 고정판(2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리브(12)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코어 드럼(1)은 드럼축(10)의 이송돌기(11)에 연결되는 이송용 척에 의해 타이어 제조 공정간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드럼축(10)의 길이는, 드럼 세그먼트(30)의 높이 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코어 드럼(1)은 드럼 세그먼트(30)들의 외주면 그린 케이스(50)를 형성하는 성형 공정, 및 그린 케이스(50)와 함께 가류 몰드 내부에 삽입되어 그린 케이스(50)를 가류시키는 가류 공정 동안 드럼축(10)을 고정하는 고정 장치에 의한 발생하는 간섭을 피할 수 있다.
고정판(20)은 드럼 세그먼트들(30)을 고정하기 위한 세그먼트 고정부(21)와, 그 하부에 체결 너트(40)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 고정부(23)로 이루어진다.
체결 너트(40)는 고정판(20)의 너트 고정부(23)의 외주면 상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판(20)의 세그먼트 고정부(21)에 각 드럼 세그먼트들(30)을 고정한다.
드럼 세그먼트(30)가 고정판(20)에 연결되는 연결부(31)에는, 세그먼트 고정부(21) 형성된 V홈(22)에 대응하여 V블록(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 너트(40)는 드럼 세그먼트(30)의 연결부(31)를 고정판(20)의 세그먼트 고정부(21) 쪽으로 가압함으로써, 연결부(31)의 V블록(32)이 세그먼트 고 정부(21)의 V홈(22)에 끼워지며 드럼 세그먼트(30)가 고정판(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드럼 세그먼트(30)는 제조되는 타이어의 크기에 따라 7 내지 9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사이즈가 작은 승용차용 타이어의 경우 7개의 드럼 세그먼트가,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큰 화물차용 타이어의 경우 9개의 드럼 세그먼트가 사용될 수 있다.
드럼 세그먼트(30)의 연결부(31)에는 후술하는 코어 드럼 분해 조립 장치(100; 도3 참조)에 의해 체결 너트(40)의 조립 및 분해 작업시 코어 드럼(1)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33)이 형성된다
이 고정홀(33)은 드럼 세그먼트(30)의 연결부(31)에서 드럼축(10)과 서로 나란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코어 드럼 분해 조립 장치(100)에 의해 코어 드럼(1)이 분리된 각 드럼 세그먼트들(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 너트(40)의 하부 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체결홈(41)이 형성된다. 이 체결홈(41)은 후술하는 코어 드럼 분해 조립 장치(1)에 의해 체결 너트(40)를 고정판(20)에서 분리하거나 및 체결하는데 필요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타이어 제조 고정시, 코어 드럼(1)의 각 드럼 세그먼트(30) 외주면 상에 성형 공정을 통해 그린 케이스(50)가 형성된다. 이 그린 케이스(50)는 코어 드럼(1)과 함께 가류 몰드(미도시) 내부로 삽입되어 가류 공정을 거쳐 완제품 타이 어로 완성된다. 그리고, 완성품 타이어는 후술하는 드럼 코어 분해 조립 장치(100)에 의해 코어 드럼(1)을 분리하는 과정을 통해 코어 드럼(1)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한 코어 드럼(1)은 타이어의 성형 공정 및 가류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결함으로써, 타이어 제조 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게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한 코어 드럼을 분해 및 조립하기 위한 코어 드럼 분해 조립 장치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100)는, 코어 드럼 안착부(110), 너트 체결부(120), 수직 이송부(130), 및 회전 구동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코어 드럼 안착부(110)는,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조립 장치(100)를 이루는 메인 프레임(101)의 내부 상측에 구비된다. 이 코어 드럼 안착부(110)는, 가류 공정 이후 완제품 타이어와 함께 이송된 코어 드럼이 올려져 안착되는 부분이다.
코어 드럼 안착부(110)를 이루는 내부 프레임(111)의 상측에는 상기 코어 드럼(1)의 각 드럼 세그먼트들(30)에 형성되는 고정홀(33)에 대응하여 고정돌기(112)가 형성된다.
따라서, 코어 드럼(1)은 상기한 고정돌기(112)가 고정홀(33)에 끼워진 상태로 코어 드럼 안착부(110)에 고정된다.
이 고정돌기(112)는 너트 체결부(120)에 의해 체결 너트(40)가 고정판(30)으로부터 분리 및 체결될 때, 코어 드럼(1)이 전체가 체결 너트(40)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너트 체결부(120)는 코어 드럼 안착부(110) 내부에 수직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체결 너트(40)의 체결홈(41)에 대응하는 회전 드럼(121) 상측에 체결돌기(122)가 구비된다.
따라서, 너트 체결부(120)의 체결돌기(122)가 체결 너트(40)의 체결홈(41)에 끼워져, 체결 너트(40)의 분리 및 조립을 위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너트 체결부(120)의 수직 이동은 하부에 위치하는 수직 이송부(130)에 의해 이루어지며, 너트 체결부(120)의 회전은 회전 구동부(140)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이송부(130)가 너트 체결부(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유압 실린더(131)로 이루어지고, 회전 구동부(140)가 너트 체결부의 양측에 결합되는 제2 유압 실린더(141) 및 구동 모터(142)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제1 유압 실린더는 너트 체결부를 수직 이송시켜 코어 드럼 안착부에 안착된 코어 드럼을 향해 수직 이동 시킨다.
또한, 제2 유압 실린더(141)는 체결 너트(40)의 고정판(20)으로부터 분리시 초기에 강한 회전력을 너트 체결부(120)에 전달하여, 고정판에 견고하게 체결된 체결 너트(40)의 풀어준다.
그리고, 구동 모터(142)는 너트 체결부(120)를 빠르게 회전시켜 제2 유압 실 린더에 의해 풀림이 시작된 체결 너트(40)를 고정판으로부터 빠르게 분리시킨다.
상기한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100)는 너트 체결부(120)를 통해 코어 드럼(1)의 고정판(20)으로부터 체결 너트(40)를 분리함으로써, 고정판(20)과 드럼 세그먼트(30)를 분리시킨다.
따라서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100)는 코어 드럼(1)을 분리함으로써 코어 드럼(1) 외측에 형성된 완제품 타이어를 코어 드럼(1)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자동화 할 수 있게 한다.
이상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를 이용하여 코어 드럼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100)는 코어 드럼의 조립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이 과정은 상기한 코어 드럼(1)의 분해하는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코어 드럼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코어 드럼이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 코어 드럼 10: 드럼축
20: 고정판 30: 드럼 세그먼트
40: 체결 너트 100: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
110: 코더 드럼 안착부 112: 고정돌기
120: 너트 체결부 122: 체결돌기
130: 수직 이송부 140: 회전 구동부

Claims (9)

  1. 상측 단부에 이송 돌기가 형성되는 드럼축;
    상기 드럼축에 끼워켜 고정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원주상에 결합되며, 상기 드럼축과 나란하게 고정홀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드럼 세그먼트; 및
    상기 고정판의 외주면 상에 체결되어 상기 각 드럼 세그먼트를 상기 고정판에 고정시키며, 하부면에 다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조립 너트를 포함하는 코어 드럼.
  2. 제1항에서,
    상기 드럼축의 길이는, 상기 드럼 세그먼트의 높이 보다 더 길에 형성되는 코어 드럼.
  3. 제1항에서,
    상기 드럼축은,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 상기 고정판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단차를 가지며 형성되는 코어 드럼.
  4. 제1항에서,
    상기 고정홀은 상기 각 드럼 세그먼트에 2개 이상이 형성되는 코어 드럼.
  5. 제1항에서,
    상기 드럼 세그먼트는, 상기 고정축의 원주를 따라 7 내 9개가 결합되는 코어 드럼
  6. 제1항에서,
    상기 각 체결홈은, 상기 조립 너트의 바닥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코어 드럼.
  7. 제1항의 코어 드럼이 상측에 올려져 안착되도록 상측 단부에 상기 드럼 세그 먼트의 각 고정홀에 대응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코어 드럼 안착부;
    상기 드럼 안착부의 내부에서 수직 이동과 회전이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단부에 상기 체결 너트의 체결홈에 대응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는 너트 체결부;
    상기 너트 체결부를 상기 코어 드럼을 향해 수직 이송시키는 수직 이송부; 및
    상기 너트 체결부를 회전시키는 상기 체결 너트를 상기 고정판에서 분리 및체결하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코어 드럼 분해 조립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수직 이송부는, 상기 너트 체결부 하부에 결합되는 제1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코어 드럼 분해 조립 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너트 체결부에 연결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 유압 실린더와,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코어 드럼 분해 조립 장치.
KR1020070071856A 2007-07-18 2007-07-18 코어 드럼 및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 KR100888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856A KR100888277B1 (ko) 2007-07-18 2007-07-18 코어 드럼 및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1856A KR100888277B1 (ko) 2007-07-18 2007-07-18 코어 드럼 및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699A true KR20090008699A (ko) 2009-01-22
KR100888277B1 KR100888277B1 (ko) 2009-03-11

Family

ID=4048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1856A KR100888277B1 (ko) 2007-07-18 2007-07-18 코어 드럼 및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82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694B1 (ko) * 2012-10-29 2013-12-1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블래더 혼합형 타이어 성형드럼
US20140042064A1 (en) * 2012-06-19 2014-02-13 Chanwoo Byeon Ecological Biotope Water Purification System Utilizing a Multi-Cell and Multi-Lane Structure of a Constructed Wetland and Sedimentation Pond
EP3020543A1 (en) * 2014-11-13 2016-05-18 Hankook Tire Co., Ltd. Tire building drum and assembly-disassembly apparatus thereof
CN110039489A (zh) * 2019-05-17 2019-07-23 黑龙江泓瑞科技有限公司 一种岩芯筒起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351B1 (ko) 2012-06-01 2014-02-18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코어 드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1859B1 (ko) * 1997-03-31 1999-09-15 신형인 그린 타이어의 자동 생산시스템
JP4357097B2 (ja) 2000-07-12 2009-11-04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成形ドラムの着脱装置
WO2004045838A1 (en) 2002-11-20 2004-06-03 Pirelli Pneumatici S.P.A.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and curing a tyre for vehicle wheel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42064A1 (en) * 2012-06-19 2014-02-13 Chanwoo Byeon Ecological Biotope Water Purification System Utilizing a Multi-Cell and Multi-Lane Structure of a Constructed Wetland and Sedimentation Pond
KR101340694B1 (ko) * 2012-10-29 2013-12-1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블래더 혼합형 타이어 성형드럼
EP3020543A1 (en) * 2014-11-13 2016-05-18 Hankook Tire Co., Ltd. Tire building drum and assembly-disassembly apparatus thereof
KR20160057509A (ko) * 2014-11-13 2016-05-2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성형드럼과 성형드럼 조립 분해장치
CN110039489A (zh) * 2019-05-17 2019-07-23 黑龙江泓瑞科技有限公司 一种岩芯筒起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277B1 (ko)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7566B2 (ja) タイヤ製造用コア
KR100888277B1 (ko) 코어 드럼 및 코어 드럼 조립 분해 장치
CN102161236B (zh) 充气轮胎的制造方法以及该方法所使用的刚性型芯
CN101462323B (zh) 用于组装和拆卸轮胎硫化模具的装置和方法
CN103009653B (zh) 实体桥面胎圈锁定鼓
US11904561B2 (en) Tire with shaped tread
KR101409026B1 (ko) 성형드럼 구동장치
CN101316697A (zh) 生产轮胎的方法和设备
CN101462365B (zh) 轮胎成型和硫化工站连接设备与方法
KR100995061B1 (ko) 코어 드럼
CN210590133U (zh) 内模、具有该内模的轮胎模具及硫化机
US3555141A (en) Method of making tires
CN210336998U (zh) 一种轮胎成型鼓
KR101364351B1 (ko) 코어 드럼
JP5364124B2 (ja) 剛性中子の保持構造
US7276196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track and stripping device
KR101658819B1 (ko) 타이어 성형드럼과 성형드럼 조립 분해장치
KR100550426B1 (ko) 보강재가 삽입된 블래더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KR102121377B1 (ko) 타이어 가류 브래더 장착장치
CN103619570B (zh) 刚性芯
CN210820475U (zh) 一种轮胎生产用硫化设备
RU2417882C1 (ru) Способ формования и вулканизации баллона шинно-пневматической муфты и пресс-фор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16494376B (zh) 一种水泥杆生产用模具
KR101340694B1 (ko) 블래더 혼합형 타이어 성형드럼
JP7006130B2 (ja) ビード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