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417U - 차양천을 보호할 수 있는 천막프레임 - Google Patents

차양천을 보호할 수 있는 천막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417U
KR20090008417U KR2020080002115U KR20080002115U KR20090008417U KR 20090008417 U KR20090008417 U KR 20090008417U KR 2020080002115 U KR2020080002115 U KR 2020080002115U KR 20080002115 U KR20080002115 U KR 20080002115U KR 20090008417 U KR20090008417 U KR 200900084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rib
support
ten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창원
Original Assignee
설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창원 filed Critical 설창원
Priority to KR2020080002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417U/ko
Publication of KR200900084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4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04H15/50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zy-tongs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X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각 살대의 사이에 차양천이 끼어 가위작용에 의해 천막천이 손상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차양천을 보호할 수 있는 천막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절첩식 천막에서 X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서로 대응되는 각 살대를 좌살대와 우살대라고 할 때 좌살대는 그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좌측방향으로 다단 절곡하여 중간부가 좌측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구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우살대는 그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우측방향으로 다단 절곡하여 중간부가 우측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구성하며, 좌살대와 우살대의 중앙에는 각 살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스페이서를 개재한 상태로 볼트와 너트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좌살대 또는 우살대의 스페이서 상하 인접부위에는 각 살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 살대가 펴졌다가 오므려질 때 각 살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안내하는 볼록한 형상의 지지구를 각각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양천을 보호할 수 있는 천막프레임{Tent frame to protect sunshade cloths}
본 고안은 차양천을 보호할 수 있는 천막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X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각 살대의 사이에 차양천이 끼어 가위작용에 의해 천막천이 손상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천막은 여러개의 지주를 세우고 그 위에 천을 얹어 햇빛이나 눈, 비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간이 거처로서, 최근에는 마치 우산이나 파라솔을 펴듯 간단히 펴서 설치하고, 사용 후에는 간단히 접어 휴대성을 향상시킨 절첩식 천막이 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절첩식 천막은 도 1과 같이 지주(11)에 절첩부재(1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지주(11)의 상단부에는 고정부재(13)가 고정되며, 절첩부재(12)와 고정부재(13)에는 각각 살대(14)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살대(14)는 "X"자 형태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지주(11)의 상부 일측에는 절첩부재(12)를 선택적으로 지지하거나 지지위치를 해제하는 걸림고리와 같은 스토퍼(도면상에 미도시)가 설치되고, 각 살대(14)의 상단부와 고정부재(13)의 상단부에는 차양천(미도시) 이 덮여 절첩부재(12)를 지주(11)의 상부로 올리면 각 살대(14)가 펴지면서 차양천이 펴지게 되고, 차양천이 다 펴진 위치에서 절첩부재(12)가 지주(11)의 하부로 내려가지 않도록 스토퍼가 절첩부재(12)를 고정해주게 되며, 스토퍼의 위치를 해제하게 되면 절첩부재(12)를 하강시킬 수 있어 천막을 접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X"자 형태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각 살대의 위쪽에 차양천이 위치해있다가 천막을 접을 때 각 살대의 사이에 차양천이 끼이게 되어 각 살대가 쉽게 접히지않게 되므로 천막을 접을 때 큰 힘이 필요함은 물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각 살대의 사이가 타이트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차양천이 그 살대의 사이에 끼이는 경우 각 살대가 접혀지면서 가위작용을 하게 되어 차양천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동절기의 경우에는 외기의 낮은 온도에 의해 차양천이 수축되어 딱딱한 상태에 있게 되므로 텐트를 접을 때 각 살대의 사이에 끼어 쉽게 잘라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를 감안하여 X자 형상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각 살대의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차양천이 각 살대의 사이에 끼이더라도 천막을 접을 때 각 살대 사이에서 가위작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양천의 잘라짐을 방지할 수 있는 차양천을 보호할 수 있는 텐트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X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서로 대응되는 각 살대 중 바깥쪽 위치하는 살대는 중간부가 바깥쪽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구성하고, 안쪽에 위치하는 살대는 중간부가 안쪽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구성하며, 이들 각 살대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개재한 상태로 볼트와 너트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고정하여서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X자 형상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각 살대의 사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되므로 그 위쪽에 위치된 차양천이 각 살대를 접을 때 각 살대의 사이에 끼이더라도 각 살대가 서로 이격되어 있어 가위작용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차양천의 잘라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이러한 각 살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차양천이 각 살대 사이에 끼이더라도 이러한 공간을 통해 차양천을 수용할 수 있어 각 살대가 원활하게 접혀지게 되어 천막을 접기 용이한 이점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막프레임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살대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절첩식 천막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절첩식 천막은 지주(101)에 절첩부재(10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지주(101)의 상단부에는 고정부재(103)가 고정되며, 절첩부재(102)와 고정부재(103)에는 각각 살대 (111)(112)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살대(111)(112)는 "X"자 형태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지주(101)의 상부 일측에는 절첩부재(102)를 선택적으로 지지하거나 지지위치를 해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각 살대(111)(112)의 상단부와 고정부재(103)의 상단부에는 차양천이 덮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절첩식 천막에 있어서, 본 고안은 X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서로 대응되는 각 살대(111)(112)를 좌살대(111)와 우살대(112)라고 할 때 좌살대(111)는 그 상하단부를 각각 좌측방향으로 다단 절곡하여 중간부가 좌측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구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우살대(112)는 그 상하단부를 각각 우측방향으로 다단 절곡하여 중간부가 우측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구성하며, 좌살대(111)와 우살대(112)의 중앙에는 각 살대(111)(11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스페이서(113)를 개재한 상태로 볼트(114)와 너트(115)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좌살대(111) 또는 우살대(112)의 스페이서 상하 인접부위에는 각 살대(111)(11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각 살대(111)(112)가 펴졌다가 오므려질 때 각 살대(111)(11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안내하는 볼록한 형상의 지지구(116)를 각각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이때, 좌살대(111)와 우살대(112)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113)는 볼트(114)의 핀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형상으로 구성한 것은 어떠한 것이든 적용가능하며, 좌살대(111)와 우살대(112)가 접히거나 펴질 때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베어링 형태로 된 스페이서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구(116)는 표면이 라운드진 형태로 구성되어 각 살대(111)(112)가 펴졌다가 오므려지는 시점에서 반대측 살대(111 또는 112)의 안쪽면과 접촉되면서 살대(111 또는 112)가 각 지지구(116)의 위쪽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며, 그 재질은 마모가 적으면서 각 살대(111)(112)와의 접촉시 살대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드한 타입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천막의 중앙부를 위로 올려 천막이 전체적으로 펴지게 한 후 각 지주(101)의 절첩부재(102)를 각각 위로 올려 스토퍼에 의해 고정해주면 천막프레임과 차양천이 넓게 펴진 상태로 지면 또는 바닥면에 세워질 수 있다.
반대로, 각 스토퍼를 해제해주면 절첩부재(102)가 각 지주(101)로부터 하강하면서 절첩부재(102)와 고정부재(10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됨과 동시에 서로 X자 형상으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각 살대(111)(112)가 서로 접히게 된다.
각 살대(111)(112)가 접치는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그 위쪽에 위치되어 있던 차양천이 각 살대(111)(112)의 사이에 끼일 수밖에 없는데, 본 고안에 따른 각 살대(111)(112)는 그 중간부위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고, 또 이들 살대(111)(112)의 사이는 스페이서(113)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살대(111)(112)가 서로 접힐 때 각 살대(111)(112)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부위에서는 절대 가위작용이 발생되지 않으며, 따라서 차양천이 각 살대(111)(112)의 사이에 끼이더라도 절대 잘라지지 않는 것이다.
또한, 각 살대(111)(112) 사이의 공간에 차양천이 수용될 수 있으므로 각 살대(111)(112)를 접어줄 때 큰 힘을 들이지 않더라도 각 살대(111)(112)가 원활히 접힐 수 있어 천막을 접거나 펼 때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각 살대(111)(112)가 펴진 상태에서 접힐 때 스페이서(113)와 인접하게 위치한 각 지지구(116)는 대응되는 살대(111 또는 112)의 안쪽면과 접촉하게 되고, 따라서 대응되는 살대(111 또는 112)는 각 지지구(116)와 접촉하면서 각 지지구(116)의 상부로 안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외력이 발생되더라도 각 살대(111)(112)가 2개의 지지구(116)와 스페이서(113)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휘어짐없이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천막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막프레임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살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지주 102 : 절첩부재
103 : 고정부재 111,112 : 살대
113 : 스페이서 114 : 볼트
115 : 너트 116 : 지지구

Claims (1)

  1. 지주(101)에 절첩부재(10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지주(101)의 상단부에는 고정부재(103)가 고정되며, 상기 절첩부재(102)와 상기 고정부재(103)에는 각각 살대(111)(112)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각 살대(111)(112)는 "X"자 형태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지주(101)의 상부 일측에는 절첩부재(102)를 선택적으로 지지하거나 지지위치를 해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각 살대(111)(112)의 상단부와 고정부재(103)의 상단부에는 차양천이 덮여 이루어지는 절첩식 천막에 있어서,
    상기 X자 형상으로 연결되는 서로 대응되는 각 살대(111)(112)를 좌살대(111)와 우살대(112)라고 할 때 상기 좌살대(111)는 그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좌측방향으로 다단 절곡하여 중간부가 좌측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구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우살대(112)는 그 상단부와 하단부를 각각 우측방향으로 다단 절곡하여 중간부가 우측방향으로 볼록해지도록 구성하며, 상기 좌살대(111)와 상기 우살대(112)의 중앙에는 상기 각 살대(111)(11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스페이서(113)를 개재한 상태로 볼트(114)와 너트(115)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고, 상기 좌살대(111) 또는 상기 우살대(112)의 스페이서 상하 인접부위에는 상기 각 살대(111)(112)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각 살대(111)(112)가 펴졌다가 오므려질 때 상기 각 살대(111)(11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안내하는 볼록한 형상의 지지구(116)를 각각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천을 보호 할 수 있는 천막프레임.
KR2020080002115U 2008-02-18 2008-02-18 차양천을 보호할 수 있는 천막프레임 KR200900084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115U KR20090008417U (ko) 2008-02-18 2008-02-18 차양천을 보호할 수 있는 천막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115U KR20090008417U (ko) 2008-02-18 2008-02-18 차양천을 보호할 수 있는 천막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417U true KR20090008417U (ko) 2009-08-21

Family

ID=41294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115U KR20090008417U (ko) 2008-02-18 2008-02-18 차양천을 보호할 수 있는 천막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41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4593B1 (en) * 2019-06-07 2020-11-24 Fujimiy Aseisakusho Co., Ltd. Extendable arm, variable shape frame, and variable shape three-dimensional structure
WO2024088235A1 (zh) * 2022-10-24 2024-05-02 蔚孜电子商务(上海)有限公司 户外遮蔽产品、可收折的帐篷及遮阳伞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4593B1 (en) * 2019-06-07 2020-11-24 Fujimiy Aseisakusho Co., Ltd. Extendable arm, variable shape frame, and variable shape three-dimensional structure
WO2024088235A1 (zh) * 2022-10-24 2024-05-02 蔚孜电子商务(上海)有限公司 户外遮蔽产品、可收折的帐篷及遮阳伞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394B1 (ko) 접이식 대형 파라솔
US11499334B2 (en) Pole frame structure of foldable tent
US20070051397A1 (en) foldable corniced tent
EP2122088B1 (en) Umbrella-type covering structure with ribs in the form of parallelogram linkages
KR20090008417U (ko) 차양천을 보호할 수 있는 천막프레임
KR20160004228A (ko) 이중 차양막 구조를 가진 거꾸로 접히는 우산
KR101128503B1 (ko) 접이식 차양 구조물
KR20090048217A (ko) 절첩식 천막용 받침지주 승강장치
KR20170124397A (ko) 거꾸로 접히는 타입의 자동 펼침 우산
KR200404998Y1 (ko) 폭가변형 파라솔
KR102136071B1 (ko) 살대 연동형 신축 파라솔
KR101368811B1 (ko) 파라솔
KR20090008614U (ko) 차양천을 보호할 수 있는 천막
RU2077244C1 (ru) Стационарный зонт (варианты)
KR101319573B1 (ko) 낚시용 파라솔
KR102551820B1 (ko) 자바라구조의 지지살 및 이를 이용한 파라솔
KR100650177B1 (ko) 파라솔의 그늘막 개폐구조
KR200400436Y1 (ko) 절첩식 천막의 지지장치
CN211622840U (zh) 遮阳雨棚
JP7365917B2 (ja) 電動日除け
KR101157871B1 (ko) 비닐하우스용 차양장치
KR200389733Y1 (ko) 절첩식 쌍봉 파라솔
KR102264301B1 (ko) 파라솔용 차양수단 및 이를 이용한 파라솔
US2023018399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foldable tent
KR100906019B1 (ko) 차양천 결속구조를 갖는 절첩식 천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