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440U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440U
KR20090006440U KR2020070020650U KR20070020650U KR20090006440U KR 20090006440 U KR20090006440 U KR 20090006440U KR 2020070020650 U KR2020070020650 U KR 2020070020650U KR 20070020650 U KR20070020650 U KR 20070020650U KR 20090006440 U KR20090006440 U KR 200900064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rauma
tension
refrigerato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20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440U/ko
Publication of KR200900064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4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25D23/064Walls defining a cabinet formed by moulding, e.g. moulding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25D2201/12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 F25D2201/126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using an insulating packing material of cell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전방개구를 갖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상호 대향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과 한 쌍의 측판의 상단영역을 연결하는 상판을 가지며, 단열재 충진간격을 두고 내상을 둘러싸는 외상과; 외상의 상판 및 한 쌍의 측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면에 대각방향으로 장력을 가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외상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냉장고, 외상, 보강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고안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상의 보강구조를 개선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내상과 이격 배치되어 내상을 둘러싸며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을 갖는다. 내상에 형성되어 있는 저장실은 전방개구를 갖는다. 그리고, 외상의 전방역역에는 저장실의 전방개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장착된다.
도어는 외상의 전방 상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저장실의 전방개구를 회동 개폐한다. 여기서, 도어의 하중은 외상의 전방 하부영역에 집중된다. 이에, 도어의 하부 힌지를 지지하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패널 형상의 보강부재를 외상에 덧대어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는 패널 형상의 보강부재만으로 도어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외상이 대각방향으로 뒤틀려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외상의 보강구조를 개선하여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냉장고에 있어서, 전방개구를 갖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상호 대향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의 상단영역을 연결하는 상판을 가지며, 단열재 충진간격을 두고 상기 내상을 둘러싸는 외상과; 외상의 상판 및 한 쌍의 측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면에 대각방향으로 장력을 가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전방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외상의 전방영역에 마련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측판의 전방 하부영역과 후방 상부영역을 연결하여 장력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는, 양단이 상기 측판의 전방 하부 모서리영역과 후방 상부 모서리영역에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와이어를 커버하는 와이어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외상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지지하는 와이어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캐비닛의 외부에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외상의 외주면에 접근 및 이격하는 스토퍼와; 상기 외상에 지지되며, 상기 외상의 외부로 노출된 상 기 와이어를 감싸는 제1조절부와; 상기 제1조절부와 나사 결합하며, 상기 제1조절부와의 나사 왕복운동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를 왕복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상의 보강구조를 개선하여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10a, 10b)을 형성하는 내상(10)과, 내상(10)과 단열재 충진간격을 두가 이격되어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20)을 갖는다.
내상(10)은 저장실(10a, 10b)을 형성한다. 저장실(10a, 10b)은 좌우측으로 냉동실(10a) 및 냉장실(10b)이 구획되어 있다. 냉동실(10a) 및 냉장실(10b)은 각각 전방개구(15a, 15b)를 갖는다.
외상(20)은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하며, 외상(20)은 내상(10)의 둘러싸고 있다. 외상(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사각판으로 마련되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외상본체(21)와, 외상본체(21)의 후방 개구를 커버하는 후방커버(27)와, 외상본체(21)의 하부 개구를 커버하는 하부커버(29)를 갖는다. 여기서, 외상(20)은 내상(10)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이격 공간에는 우레탄 등의 단열재가 발포된다.
외상본체(21)는 상호 대향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23)과, 한 쌍의 측판의 상단영역을 연결하는 상판(25)을 갖는다. 한편, 외상(20)의 전방영역에는 외상(20)의 지지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프레임(30)이 장착되어 있다.
보강프레임(30)은 외상본체(21)의 양 측판(23) 사이의 하부영역을 연결하여 양 측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하부프레임(31)과, 냉동실(10a)과 냉장실(10b)이 구획되는 경계영역을 따라 상판(25)과 하부프레임(31)을 연결하는 세로프레임(33)과, 외상(20)의 전방 상부영역을 따라 "ㄷ"자 형상으로 결합되는 상부프레임(35)을 포함한다. 한편, 외상(20)의 전방영역에는 도어(40a, 40b)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40a, 40b)는 상부프레임(35) 및 하부프레임(3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냉동실(10a)의 전방개구(15a)를 개폐하는 냉동실도어(40a)와, 냉장실(10b)의 전방개구(15b)를 개폐하는 냉장실도어(40b)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어(40a, 40b)의 하중은 외상(20)의 전방 하부 즉, 하부프레임(31)의 양단부 영역으로 집중된다. 이러한 도어(40a, 40b)의 하중에 의하여 외상(20)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부(50)가 마련된다.
보강부(50)는 외상(20)의 상판(25) 및 한 쌍의 측판(23) 중 적어도 하나의 판면에 대각 방향으로 장력을 가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강부(50)는 상판(25) 및 한 쌍의 측판(23)에 모두 마련된다.
보강부(50)는 와이어(51)와, 와이어(51)의 외주를 커버하는 와이어커버(53)를 포함한다. 보강부(50)는 외상(20)에 마련되어 와이어(51)의 단부를 지지하는 와 이어지지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지지부(55)는 외상(10)의 강도를 보강하여 와이어(51)의 장력에 의하여 외상(2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와이어커버(53)는 와이어(51)가 길이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와이어(51)를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51)와 와이어커버(53)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자전거용 브레이크에 사용되는 구조를 채택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님을 밝혀둔다. 와이어커버(53)는 내상과 외상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와이어커버(53)의 외주면에는 단열재가 발포된다.
먼저, 외상(20)의 보강부(50)가 측판(23)에 장력을 가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설명한다. 와이어(51)는 양 단부가 측판(23)의 전방 하부 모서리 영역과 후방 상부 모서리 영역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외상(20)의 전방 하부영역에는 하부프레임(31)에 연결되어 도어(40a, 40b)에 결합된 하부 힌지(미도시)와 결합하여 도어(40a, 40b)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힌지지지부(37)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외상(20)의 후방 상부 영역에는 와이어지지부(55)가 장착되어 있다.
와이어(51)의 일단은 힌지지지부(37)에 고정된다. 여기서, 힌지지지부(37)에는 와이어 결합공(3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와이어(51)의 타단은 와이어지지부(55)에 연결되어 있다. 와이어지지부(55)는 후방커버(27)의 상부 모서리 영역에 장착된다. 그러나, 와이어지지부(55)는 외상본체(21)의 측판(23)의 후방 상부모서리 영역에 장착될 수도 있다. 와이어지지부(55)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의 패널로 마련되어 후방커버(27)의 내측면에 면접촉 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와이어지지부(55)와 후방커버(27)에는 와이어(51)가 통과하는 와이어통과공(27a)이 형성되어 있다. 즉, 와이어(51)는 일단이 힌지지지부(37)의 와이어체결공(37a)에 고정되며, 타단이 와이어지지부(55) 및 후방커버(27)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통과공을(55a, 27a) 거쳐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와이어커버(53)는 와이어(51)의 일단으로부터 와이어지지부(55) 사이에 배치된 와이어(51)의 외주를 커버한다. 한편,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51)의 타단에는 와이어(51)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부(60)가 마련되어 있다.
장력조절부(60)는 와이어(51)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61)와, 후방커버(27)에 지지되며 후방커버(27)의 후방 즉,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51)의 일영역을 감싸는 제1조절부(63)와, 제1조절부(63)와 나사결합에 의하여 스토퍼(61)를 왕복이동시켜 와이어(51)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65)를 포함한다.
스토퍼(61)는 후방커버(27)의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51)의 타단으로부터 반경 확장 형성된다. 즉, 스토퍼(61)는 와이어(51)의 타단에 결합되며, 와이어(51)의 반경보다 큰 반경을 갖는다. 스토퍼(61)와 후방커버(27) 사이의 와이어(51)에는 제1조절부(63) 및 제2조절부(65)가 마련되어 있다.
제1조절부(63)는 후방커버(27)의 외부로 노출된 와이어(51) 중 후방커버(27)에 인접한 와이어(51)의 일영역을 감싸도록 마련되며, 후방커버(27)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1조절부(63)의 외주에는 볼트 역할을 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제1조절부(63)의 나사산에는 제2조절부(65)가 나사결합된다.
제2조절부(65)는 제1조절부(63)와 스토퍼(61) 사이에 개재되어 제1조절부(63)와 나사 결합한다. 제2조절부(65)는 제1조절부(63)의 나산산과 나사 결합 가 능하도록 너트 형상으로 마련된다. 제2조절부(65)는 제1조절부(63)와의 나사운동에 의하여 후방커버(27)에 접근 및 이격을 하는 왕복운동을 한다. 제2조절부(65)의 단부에는 스토퍼(61)가 접촉되어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2조절부(65)가 후방커버(27)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제1조절부(63)와 나사운동하게 되면 스토퍼(61)는 후방커버(27)로 접근하게 되어 와이어(51)의 텐션이 완화된다. 한편, 제2조절부(65)가 후방커버(27)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제1조절부(63)와 나사운동하게 되면 스토퍼(61)는 후방커버(27)로부터 이격되어 와이어(51)의 텐션이 강화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1)의 보강부(50)가 외상본체(21)의 측판(23)에 대각방향으로 장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외상본체(21)의 상판(25)에 대각방향으로 장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보강부(50)의 각 구성은 동일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부(50)가 외상본체의 측판(23)의 전방 하부영역으로부터 후방 상부영역으로 장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측판(23)의 후방 하부영역으로부터 전방 상부영역으로 장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며, 측판(23)에 X자 형태로 장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보강부(50)는 상판(25)에도 X자 형태로 장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상(20)의 상판(25) 및 측판(23)의 판면에 대각방향으로 장력을 가하는 보강부(50)를 마련함으로써, 외상(20)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어(40a, 40b)의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외상(20)의 전 방 하부영역을 후방 상부영역으로 장력을 제공하도록 보강부(50)를 마련함으로써, 외상(20)의 도어(40a, 40b) 지지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도어(40a, 40b)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보강부(50)가 와이어(51)와 와이어(51)를 커버하는 와이어커버(53)를 포함하도록 마련함으로써, 내상(10)과 외상(20) 사이에 단열재가 발포되더라도 발포된 단열재가 직접 와이어(51)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에, 장력을 조절하면서 와이어(51)가 이동하더라도 단열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외상에 보강부의 장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냉장고의 보강부와 장력조절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냉장고 10 : 내상
20: 외상 21 : 외상본체
23 : 측판 25 : 상판
30 : 보강프레임 40a, 40b : 도어
50 : 보강부 51 : 와이어
53 : 와이어커버 55 : 와이어지지부
60 : 장력조절부 61 : 스토퍼
63 : 제1조절부 65 : 제2조절부

Claims (6)

  1. 냉장고에 있어서,
    전방개구를 갖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내상과;
    상호 대향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한 쌍의 측판의 상단영역을 연결하는 상판을 가지며, 단열재 충진간격을 두고 상기 내상을 둘러싸는 외상과;
    상기 외상의 상판 및 한 쌍의 측판 중 적어도 하나의 판면에 대각방향으로 장력을 가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외상의 전방영역에 마련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측판의 전방 하부영역과 후방 상부영역을 연결하여 장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양단이 상기 측판의 전방 하부 모서리영역과 후방 상부 모서리영역에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와이어를 커버하는 와이어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외상에 마련되어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지지하는 와이어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캐비닛의 외부에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외상의 외주면에 접근 및 이격하는 스토퍼와;
    상기 외상에 지지되며, 상기 외상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와이어를 감싸는 제1조절부와;
    상기 제1조절부와 나사 결합하며, 상기 제1조절부와의 나사 왕복운동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를 왕복 이동시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제2조절부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2020070020650U 2007-12-24 2007-12-24 냉장고 KR200900064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650U KR20090006440U (ko) 2007-12-24 2007-12-24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650U KR20090006440U (ko) 2007-12-24 2007-12-24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440U true KR20090006440U (ko) 2009-06-29

Family

ID=41323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650U KR20090006440U (ko) 2007-12-24 2007-12-24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44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273A1 (en) 2018-09-12 2020-03-19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Refrigeration appliance cabinet
WO2020153576A1 (ko) * 2019-01-21 2020-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5273A1 (en) 2018-09-12 2020-03-19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Refrigeration appliance cabinet
US20220120492A1 (en) * 2018-09-12 2022-04-21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Refrigeration appliance cabinet
EP3850285A4 (en) * 2018-09-12 2022-08-10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DOMESTIC REFRIGERATION CABINET
WO2020153576A1 (ko) * 2019-01-21 2020-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5304B2 (en) Refrigerator
US10281193B2 (en) Refrigerator
US4822117A (en) Refrigerator case/liner interface and related components for automated assembly
WO2010092626A1 (ja) 冷蔵庫
KR20090006440U (ko) 냉장고
KR20070068933A (ko) 냉장고
JP5679955B2 (ja) 冷蔵庫の引出し扉
KR20150112590A (ko) 도어 핸들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EP2320174B1 (en) An electric refrigerator
KR20080008884A (ko) 냉장고 도어핸들
KR20050089549A (ko) 냉장고
JP2000097552A (ja) 冷蔵庫
CN108240155B (zh) 家用电器
KR101206808B1 (ko) 냉장고의 도어용 하부힌지장치
KR20220027635A (ko) 김치 냉장고
KR200289788Y1 (ko) 냉장고의하부힌지체결구조
KR200246962Y1 (ko) 서랍식 김치저장고의 저장실 케이스 지지구조
KR20040002170A (ko) 김치냉장고
KR19990038943U (ko) 냉장고 도어의 중간 힌지 고정구조
JP2001221549A (ja) 移動車両用冷蔵庫
KR200330478Y1 (ko) 냉장고의 하부힌지 체결구조
KR0183338B1 (ko) 편심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하부 보강 구조
JP2002130928A (ja) 冷蔵庫
KR20060088592A (ko) 냉장고의 도어구조
KR19980041665U (ko) 냉장고 캐비넷의 도어처짐 방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