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313A - 광 마우스용 광 유도체 - Google Patents

광 마우스용 광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313A
KR20090006313A KR1020070069526A KR20070069526A KR20090006313A KR 20090006313 A KR20090006313 A KR 20090006313A KR 1020070069526 A KR1020070069526 A KR 1020070069526A KR 20070069526 A KR20070069526 A KR 20070069526A KR 20090006313 A KR20090006313 A KR 20090006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light
light source
optical mouse
deriv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회경
임영민
윤형도
서용곤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69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313A/ko
Publication of KR20090006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3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7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in co-operation with a patterned surface, e.g. absolute position or relative movement detection for an optical mouse or pen positioned with respect to a coded su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3Mice or p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마우스용 광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박형 광 마우스에서 광원에서 투사된 빛의 강도와 균일도의 손실 없이 접촉면까지 전달하기 위하여, 접촉면으로 빛을 투사하는 광원, 상기 접촉면에서 반사된 빛을 센서로 유도하는 결상부 및 상기 결상부에서 유도된 빛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광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전방에 설치되고, 광원의 빛을 상기 접촉면으로 유도하는 투명 재질의 광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 마우스, 초박형 마우스, 레이저 마우스, 광원, 광 가이드

Description

광 마우스용 광 유도체{A light guide media for optical mouse}
본 발명은 광 마우스용 광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초박형 광 마우스에서 광원에서 투사된 빛의 강도와 균일도의 손실 없이 접촉면까지 전달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마우스는 키보드와 함께 대표적인 컴퓨터의 입력 장치로서,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에서 특히 의존도가 높다.
초기의 마우스는 바닥에 설치된 볼이 접촉면과 마찰하여 회전하는 방향을 감지하여,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볼 마우스는 접촉면의 마찰이 낮은 경우, 인식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볼 마우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 마우스가 제안되었다.
도1은 일반적인 광 마우스의 단면도이고, 도2는 도1에서 인식부의 세부 단면 도이고, 도3은 도1에서 인식부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광 마우스(10)는 케이스(11)의 내부에 광원(21)에서 투사된 빛이 접촉면(30)에 반사된 것을 인식하는 센서(24)를 포함하는 인식부(20)가 설치된다.
광원(21)에서 투사된 빛은 광 가이드(22)에 의해 2번 굴절된 뒤 접촉면(30)으로 투사된다. 접촉면(30)으로 투사된 빛은 반사되어 집광 렌즈(23)를 경유하여 집광된 다음 센서(24)로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은 광 마우스(10)의 동작을 도3을 참조로 간략히 살펴보면, 센서(24)의 인식율을 높이기 위해 광원(21)은 접촉면(30)에 대해 수직이 될수록 좋아지고, 또한 집광 렌즈(23)의 위치 역시 초점 거리를 고려하여 어느 정도 접촉면(3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한편, 노트북의 보급율이 높아지고 있는데, 노트북은 이동성과 휴대성 등을 고려하여 포인팅 도구로서 최소한의 편의를 제공하는 터치 패드를 내장하고 있다. 그러나, 터치 패드는 마우스에 비해 사용이 불편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노트북과 별개로 초박형 광 마우스를 별도로 사용한다.
초박형 광 마우스는 일반적인 광 마우스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조될 수 없기 때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게 된다.
도4는 종래기술에 따른 초박형 광 마우스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박형 광 마우스(40)는 광원(41)으로부터 접촉 면(30)을 잇는 빛의 입사각(β)이 일반적인 광 마우스(10)의 입사각(α)보다 작고, 집광 렌즈(23) 대신 결상부(43)를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결상부(43)는 일반적으로 광섬유 다발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초박형 광 마우스(40)는 광원(41)의 입사각(β)을 작게 함으로써 마우스를 얇게 형성할 수 있지만, 입사각(β)에 따른 반사각(B)이 일반적인 광 마우스(A)보다 넓게 되어 센서(44)로 인입되는 빛의 강도가 약하고 균일도가 낮은 문제가 발생하여, 인식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광원에서 투사된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인식율이 높은 초박형 광 마우스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 마우스용 광 유도체는, 접촉면으로 빛을 투사하는 광원, 상기 접촉면에서 반사된 빛을 센서로 유도하는 결상부 및 상기 결상부에서 유도된 빛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광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전방에 설치되고, 광원의 빛을 상기 접촉면으로 유도하는 투명 재질의 광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 유도체는: 원 또는 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광원쪽에 근접한 면의 면적이 접촉면에 근접한 면의 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 유도체는: 공기보다 굴절율이 큰 유리 또는 광학용 폴리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 유도체에 의해 광원의 빛이 산란에 의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균일도가 높아 인식률이 향상된 광 마우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마우스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마우스(100)는 광원(101)과 접촉면(30) 사이에 광 유도체(110)가 추가로 결합된다.
광 유도체(110)는 광원(101)의 전방에 설치되어, 광원(101)의 빛을 접촉면(30)의 근처까지 유도하게 된다. 이에 의해, 광원(101)에서 투사된 빛이 접촉면(30)까지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산란 등으로 인한 빛의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광 유도체(110)는 외표면이 매끈한 원 또는 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광원(101)쪽에 근접한 면의 면적이 접촉면(30)에 근접한 면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광 유도체(110)의 재질은 공기보다 굴절율이 큰 투명한 유리 또는 광학용 폴리머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광학용 폴리머로는 PMM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PMMA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Polymethyl Methacrylate로서, 투명성과 내후성이 양호하여 광학 장치에 널리 쓰이는 물질이다.
이와 같은 광 유도체(110)의 추가에 의해, 광원(101)이 투사점(p)까지 도달하는 동안 발생하는 산란 등이 광 유도체(110)에 의해 억제되어, 광 마우스(100)의 인식율이 크게 향상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도1은 일반적인 광 마우스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에서 인식부의 세부 단면도이다.
도3은 도1에서 인식부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이다.
도4는 종래기술에 따른 초박형 광 마우스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마우스의 동작을 보인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광 마우스 11: 케이스
20: 인식부 21: 광원
22: 광 가이드 23: 집광 렌즈
24: 센서 30: 접촉면
40: 초박형 광 마우스 41: 광원
43: 결상부 44: 센서
100: 광 마우스 101: 광원
103: 결상부 104: 센서
110: 광 유도체 p: 투사점

Claims (3)

  1. 접촉면으로 빛을 투사하는 광원, 상기 접촉면에서 반사된 빛을 센서로 유도하는 결상부 및 상기 결상부에서 유도된 빛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광 마우스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전방에 설치되고, 광원의 빛을 상기 접촉면으로 유도하는 투명 재질의 광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마우스용 광 유도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유도체는:
    원 또는 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광원쪽에 근접한 면의 면적이 접촉면에 근접한 면의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마우스용 광 유도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유도체는:
    공기보다 굴절율이 큰 유리 또는 광학용 폴리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마우스용 광 유도체.
KR1020070069526A 2007-07-11 2007-07-11 광 마우스용 광 유도체 KR200900063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526A KR20090006313A (ko) 2007-07-11 2007-07-11 광 마우스용 광 유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526A KR20090006313A (ko) 2007-07-11 2007-07-11 광 마우스용 광 유도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13A true KR20090006313A (ko) 2009-01-15

Family

ID=40487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526A KR20090006313A (ko) 2007-07-11 2007-07-11 광 마우스용 광 유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3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52503A (ja) 光学ペンの導光構造
JP2006195928A (ja) 光学経路とペン先が共軸の光学ペン
US8487914B2 (en) Optical fingerprint navigation device with light guide film
TWI461991B (zh) 用於觸摸及手勢辨識之光學觸控墊
US20160011715A1 (en) User interface for a touch screen
KR102465077B1 (ko) 유손실 분산형 ftir 층을 갖는 광학 터치 스크린
US7859517B2 (en) Computer input device for automatically scrolling
US6741234B2 (en) Optical mouse using a total reflection prism
US20080259050A1 (en) Optical touch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10038120A (ko) 펜 추적을 포함하는 멀티-터치 터치스크린
TWI325556B (ko)
KR101697131B1 (ko)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I405109B (zh) 光學式觸控顯示裝置
US20060125792A1 (en) Input device adapted for a variety of surfaces of different reflective natures
TWI502417B (zh) 觸控顯示裝置及其操作方法
KR20030062032A (ko) 디지털 펜 장치
CN201583926U (zh) 一种光学触摸屏
KR20090006313A (ko) 광 마우스용 광 유도체
US10082911B2 (en) Scrolling input device
KR101397938B1 (ko) 터치 패널 및 그 패널을 포함하는 포인팅 인식장치
JPH05313816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2014026328A (ja) 発光部を有する操作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た座標入力システム
RU95142U1 (ru) Мультисенсорное диспле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322281B1 (ko) 투과렌즈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용 터치센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장치
SK5917Y1 (sk) Optics for pencil optical input computer peripheral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