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142U - 센서분리형 조명등장치 - Google Patents

센서분리형 조명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142U
KR20090006142U KR2020070020258U KR20070020258U KR20090006142U KR 20090006142 U KR20090006142 U KR 20090006142U KR 2020070020258 U KR2020070020258 U KR 2020070020258U KR 20070020258 U KR20070020258 U KR 20070020258U KR 20090006142 U KR20090006142 U KR 200900061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ensor module
lamp
controll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엽
Original Assignee
신동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엽 filed Critical 신동엽
Priority to KR2020070020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142U/ko
Publication of KR200900061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14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명등과 센서모듈을 분리시켜 설치하는 센서분리형 조명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센서를 감싸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센서모듈과, 천장면에 부착된 고정설치판, 고정설치판의 일면에 설치되며 케이블로 연결된 센서모듈로부터 물체를 감지한 신호를 전송받으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전등을 점등시키는 컨트롤러, 고정설치판의 일면에 설치되며 전등을 구비하는 전등부, 고정설치판의 일측과 체결되는 갓으로 이루어지며, 센서모듈과 이격된 거리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포함한다. 또한, 천장면, 바닥면, 벽면 중 선택된 어느 한곳에 밀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며, 센서모듈이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센서고정부와, 센서고정부를 관통한 센서모듈의 나사산과 결합하여 센서고정부와 센서모듈을 고정시키는 나사부를 더 포함한다.
위치, 센서, 센서고정부

Description

센서분리형 조명등장치{Sensor Disconnect Light Apparatus}
본 고안은 센서모듈과 조명등을 다른 위치에 설치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 전등부를 포함하는 조명등을 센서모듈과 서로 떨어뜨려 설치함으로써 센서모듈에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멀리 설치된 조명등을 점등시킬 수 있는 센서분리형 조명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물의 실외 복도, 승강기출입구, 실내 현관출입구, 지하주차장 등의 천장에는 센서등(Sensor-lamp)이 설치된다. 이 센서등은 사람이 일정영역 내에서 이동(보행, 활동)시 자동적으로 점등(點燈)될 뿐만 아니라 사람이 영역을 벗어나면 자동으로 소등(消燈)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센서등은 태양광(太陽光)의 방사(放射)량을 감안하여 주변환경이 어두울 경우에만 작동하는 조도센서와 인체의 체열(體熱) 감지를 통하여 램프의 점등과 소등이 가능하도록 한 감지센서가 내장됨에 따라, 야간의 어두운 실내·외 장소에서 태양광의 방사량이 극히 미미한 경우에는 사람들이 일정시간 동안 편리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조명을 점등시켜준다.
하지만, 이러한 센서등은 보통 어두운 곳에 설치되며, 이 센서등이 감지할 수 있는 일정영역 내에 사람(사용자)이 들어와야 센서등이 점등하는데 이 사람을 감지할 수 있는 영역이 좁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는 수 없이 어두운 장소까지 이동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물론, 센서등을 복도 및 계단 등에 항상 점등시키면 사용자가 통행하기에 가장 좋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나, 에너지가 많이 사용되는 등의 이유로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통행량이 많지 않은 구간에서는 사용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센서등은 항상 점등되지 않고 사용자가 있을시에만 점등되어 에너지를 절약하고, 이 센서등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어두움 속에서 불편함을 느끼지 않고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에, 본 고안은 조명등과 이격된 거리의 천장에서 센서모듈을 센서고정부와 천장을 관통시켜 설치함으로써 조명등이 설치된 장소에 도달하기 전에 조명등을 미리 점등 할 수 있는 센서분리형 조명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센서분리형 조명등장치는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이 센서를 감싸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센서모듈과, 이 센서모듈과 연결된 케이블에 의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신호를 전송받으면 전등을 점등시킬 뿐만 아니라, 센서모듈과 이격된 거리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포함한다. 이때, 조명등은 천장면에 부착된 고정설치판, 고정설치판의 일면에 설치되며 케이블로 연결된 센서모듈로부터 물체를 감지한 신호를 전송받으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전등을 점등시키는 컨트롤러, 고정설치판의 일면에 설치되며 전등을 구비하는 전등부, 고정설치판의 일측과 체결되는 갓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천장면, 바닥면, 벽면 중 선택된 어느 한곳에 밀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며, 센서모듈이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센서고정부와, 센서고정부를 관통한 센서모듈의 나사산과 결합하여 센서고정부와 센서모듈을 고정시키는 나사부를 더 포함한다.
센서모듈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이 센서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감싸며 그 외부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부, 결합부보다 넓게 결합부 하면에 형성 되며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컨트롤러와 센서모듈을 이어주는 케이블은 컨트롤러에 연결된 케이블의 끝부분과 센서모듈에 연결된 케이블의 끝부분에 접합부를 설치하여 이 케이블들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조명등을 이루는 컨트롤러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고 센서모듈로부터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받으면, 전등부의 전등을 소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조명등과 센서모듈을 분리함으로써 사용자가 센서모듈을 지나면 이 센서모듈과 멀리 떨어져있는 조명등을 미리 점등시켜 사용자는 조명등이 점등된 후 이 장소를 통행할 수 있다.
또한, 조명등과 센서모듈이 분리됨으로써 각각의 이동이 자유로워짐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 어디에나 센서모듈과 조명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센서고정부를 이용하여 천장이나 벽면 등에 센서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센서모듈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천장과 더욱 밀착 고정된다.
또한, 센서고정부를 관통하는 센서모듈에 형성된 나사산을 나사부로 체결함으로써 센서모듈을 센서고정부와 천장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센서고정부와 천장으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에 연결된 케이블과 센서모듈에 연결된 케이블의 끝부분에 접합부를 형성하여 컨트롤러와 센서모듈의 각 케이블을 연결 및 분리시킴으로써, 컨 트롤러와 센서모듈을 설치할 때 편리하며 컨트롤러나 센서모듈의 교체시 둘 다 교체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분리가 쉬우므로 조명등을 유지하고 관리하기가 편리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센서분리형 조명등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조명등장치(100)는 조명등(110)과 센서모듈(120)이 분리된 센서분리형이며, 조명등(110)과 센서모듈(120) 외에 케이블(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센서모듈(120)은 이것이 설치될 수 있는 면에 구멍을 형성하여 센서모듈(120)을 이 구멍에 관통시켜 설치함으로써 센서모듈(120)과 설치될 수 있는 면을 체결하고, 조명등(110)은 이 센서모듈(120)과 이격된 거리에 형성된다. 이때, 센서모듈(120)이 설치될 수 있는 면은 건물 등의 천장 내부, 벽면의 내부, 바닥면 내부 등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상관없다.
또한, 조명등(110)은 고정설치판(112), 컨트롤러(114), 전등부(116), 갓(118)으로 이루어지며, 케이블(130)은 접합부(132)에 의해서 연결 및 분리될 수 있다.
조명등(110)은 천장에 설치되며 센서모듈(120)에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신호를 전송받아 전등을 점등시킨다.
이러한 조명등(110)을 이루는 고정설치판(112)은 센서모듈(120)과 이격된 거리의 천장에 장착되며, 이 고정설치판(112)에는 전등을 설치하는 소켓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114)를 설치할 수 있는 브라켓 또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설치판(112)은 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갓(118)의 형태에 따라 원형, 사각형 등 그 모양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형태의 고정설치판(112)의 둘레는 같은 형태의 갓(118)이 체결되어 사용한다.
컨트롤러(114)는 고정설치판(112)에서 천장의 일면에 설치되며, 센서모듈(12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전등부(116)를 점멸시킨다. 이때, 센서모듈(12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는 사람 등 물체의 움직임이 센서모듈(120)에 감지됐음을 알리는 신호뿐만 아니라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예를 들면, 센서모듈(120)에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신호가 컨트롤러(114)로 입력되면 컨트롤러(114)에 미리 설정한 시간만큼의 점등지속시간을 카운트하면서 전등부(116)의 전등을 점등시키고, 점등지속시간이 초과되고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전등부(116)의 전등을 소등시킨다.
또한, 컨트롤러(114)는 주야 선택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어 주간을 선택하면 주간 및 야간에 모두 작동하며, 야간을 선택하면 주간에는 작동하지 않고 야간에만 작동하여 센서모듈(12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전등부(116)를 점멸시킨다.
전등부(116)는 전등과 소켓으로 이루어지며, 천장에 설치된 고정설치판(112)에서 천장과 맞닿은 면의 타면에 소켓이 설치된다. 이 전등부(116)는 센서모듈(120)로부터 컨트롤러(114)가 신호를 전송받으면 전등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다.
센서모듈(120)은 센서로 열감지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구비하여 이 센서모듈(120)이 설치될 수 있는 면에 설치한다. 이 센서모듈(120)은 일정한 영역 내에서 사람을 포함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는 1차 증폭기와 2차 증폭기에서 다단 증폭되어 컨트롤러(114)로 출력된다. 이때, 센서모듈(120)은 사람뿐만 아니라 개, 고양이, 일정 크기 이상의 물건 등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로는 열감지 센서, 적외선 센서뿐만 아니라 물체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어느 것이나 이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센서모듈(120)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122), 이 센서(122)를 감싸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124), 이 결합부(124) 하면에 결합부(124)보다 더 넓게 형성되고 케이블(130)이 연결되는 연결부(126)로 이루어진다. 이때, 센서모듈(120)에 형성된 나사산은 천장면에 형성하는 구멍에 이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센서모듈(120)과 천장면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부(124)의 넓이와 천장면의 구멍을 유사하게 형성하여 이 구멍에 결합부(120)를 관통시켜 센서모듈(120)과 천장면을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124)와 연결부(126)는 플라스틱 또는 철 등으로 이루어지며, 결합 부(124)는 센서를 반 정도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즉, 센서의 일부분이 노출될 정도로 감싸야 한다.
케이블(130)은 컨트롤러(114)와 센서모듈(120)을 연결하여 센서모듈(120)에 감지된 신호를 컨트롤러(114)로 전송한다. 이때, 컨트롤러(114)와 센서모듈(120)에 각각 연결된 케이블(130)은 이 두 케이블(130)의 끝부분에 서로 대응하는 접합부(132)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 두 케이블(130)은 접합부(132)에 의해서 연결되거나 분리되어 센서모듈(120)이 감지한 신호를 컨트롤러(114)에 전송하거나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접합부(132)에 의해서 컨트롤러(114)와 센서모듈(120)은 분리될 수 있으므로 센서모듈(120)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며, 센서모듈(120)이나 컨트롤러(114)의 고장시 따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132)로 컨트롤러(114)와 센서모듈(120)의 각 케이블(130)을 연결하면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신호를 송수신하여 조명등(110)을 작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조명등장치(100)는 사람, 차 등이 많이 지나는 곳이나 밝은 곳의 천장, 벽면, 바닥면 등의 내부 면에 센서모듈(120)을 설치함으로써 이 센서모듈(120)에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센서모듈(120)과 이격된 거리 즉, 어두운 복도나 현관입구 등에 설치한 조명등(110)의 컨트롤러(114)를 통해 전등부(116)의 전등을 점등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센서분리형 조명등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 조명등장치(100)는 조명등(110)과 센서모듈(120), 케이블(130)외에 센서고정부(140)와 나사부(150)를 더 포함하여 센서모듈(120)을 설치 면에 고정시켜 설치한다. 이때, 설치면은 센서모듈(120)이 설치될 수 있는 천장 내부, 벽면의 내부, 바닥면 내부 등이다.
센서고정부(140)와 나사부(150)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1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센서고정부(140)는 구멍(142)을 형성하여 센서모듈(120)의 센서(122)와 결합부(124)를 관통시키며, 센서고정부(140)의 양 옆에는 고정클립(144)을 형성하여 센서고정부(140)가 센서모듈(120)이 설치된 면과 고정되도록 도와준다. 이때, 고정클립(144)은 센서모듈(120)이 관통된 센서고정부(140)를 설치면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이용이 가능하다.
이 센서고정부(140)의 재질은 철이나, 플라스틱 등 쉽게 파손되지 않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나사부(150)는 센서모듈(120)의 결합부(124)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을 가진다.
도 3은 도 2의 조명등장치를 천장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의 조명등장치(100)를 천장면에 설치했을 때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 이 조명등장치(100)의 구성은 도 2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 다.
천장면에 센서모듈(120)의 센서(122)와 결합부(124)가 관통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과 센서고정부(140)의 구멍(142)이 일치되도록 센서고정부(140)를 설치한다. 또한, 일치된 센서고정부(140)의 구멍(142)과 천장면의 구멍에 센서모듈(120)을 관통시킨 후 센서모듈(120)의 결합부(124)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부(150)로 체결한다. 이렇게 체결하면 센서고정부(140), 센서모듈(120), 천장면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천장면에 고정된 센서모듈(120)은 이와 이격된 거리에 형성된 조명등(110)과 케이블(130)에 의해서 연결된다. 이때, 이 케이블(130)은 센서모듈(120)이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신호를 컨트롤러(114)로 전송함으로써 전등부(116)의 전등을 점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센서모듈(120)을 지나면 사용자가 가고자하는 위치에 설치된 조명등(110)을 미리 점등시킬 수 있다. 이때, 이 센서모듈(120)은 사용자가 가고자하는 곳의 위치에 설치된 조명등(110)과 케이블(130)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때, 천장면에 관통되어 고정된 센서모듈(120)에 연결된 케이블(130)은 조명등(110)의 컨트롤러(114)에 연결된 케이블(130)과 접합부(132)로 연결시키거나 분리시켜 이용할 수 있다.
도 2에서 센서모듈(120)은 천장면에 설치되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센서모듈(120)이 설치될 수 있는 면이면 어디든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센서분리형 조명등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센서분리형 조명등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조명등장치를 천장에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조명등장치 110: 조명등
112: 고정설치판 114: 컨트롤러
116: 전등부 118: 갓
120: 센서모듈 122: 센서
124: 결합부 126: 연결부
130: 케이블 132: 접합부
140: 센서고정부 144: 고정클립
150: 나사부

Claims (6)

  1.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를 감싸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과 연결된 케이블에 의하여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신호를 전송받으면 전등을 점등시키며, 상기 센서모듈과 이격된 거리에 설치되는 조명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천장면, 바닥면, 벽면 중 선택된 어느 한곳에 밀착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센서모듈이 관통되는 구멍이 형성된 센서고정부와, 상기 센서고정부를 관통한 상기 센서모듈의 상기 나사산과 결합하여 상기 센서고정부와 상기 센서모듈을 고정시키는 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천장면에 부착된 고정설치판, 상기 고정설치판의 일면에 설치되며 케이블로 연결된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물체를 감지한 신호를 전송받으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전등을 점등시키는 컨트롤러, 상기 고정설치판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전등을 구비하는 전등부, 상기 고정설치판의 일측과 체결되는 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감싸며 나사산이 형성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보다 넓게 결합부 하면에 형성되며 케이블과 연결되는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장치.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와 센서모듈을 이어주는 케이블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된 케이블의 끝부분과 상기 센서모듈에 연결된 케이블의 끝부분에 접합부를 설치하여 연결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고 센서모듈로부터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전등부의 전등을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등장치.
KR2020070020258U 2007-12-17 2007-12-17 센서분리형 조명등장치 KR2009000614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58U KR20090006142U (ko) 2007-12-17 2007-12-17 센서분리형 조명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58U KR20090006142U (ko) 2007-12-17 2007-12-17 센서분리형 조명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142U true KR20090006142U (ko) 2009-06-22

Family

ID=4129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258U KR20090006142U (ko) 2007-12-17 2007-12-17 센서분리형 조명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14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020U (ko) 2017-06-24 2019-01-03 주식회사 경현 센서를 구비한 엣지형 엘이디 조명등
KR20190000019U (ko) 2017-06-24 2019-01-03 주식회사 경현 센서를 구비한 조명등
KR20200132099A (ko) 2019-05-15 2020-11-25 (주)서전산업 조명등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020U (ko) 2017-06-24 2019-01-03 주식회사 경현 센서를 구비한 엣지형 엘이디 조명등
KR20190000019U (ko) 2017-06-24 2019-01-03 주식회사 경현 센서를 구비한 조명등
KR20200132099A (ko) 2019-05-15 2020-11-25 (주)서전산업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12396A1 (en) Smart quick connect device for electrical fixtures
US20120091900A1 (en) Outdoor lighting system
US7330115B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US20080007942A1 (en) Mountable light with integrated activation sensor
US10330279B2 (en) Luminaire with rear-mounted sensing assembly
KR20090006142U (ko) 센서분리형 조명등장치
KR101732172B1 (ko) Cctv 카메라 일체형 led 등기구
KR20090006143U (ko) 센서분리형 센서등
US8449168B2 (en) Intelligent and energy-saving LED lamp with glimmer and full light emission
US10338307B2 (en) Luminaire having light pip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JP2007157391A (ja) 自動火災警報装置付照明器具
TW201042197A (en) LED lamp bulb structure having subtle light and infrared ray sensor
KR20130010778A (ko) 무선 통신부와 led 발광부가 일체화된 led 조명 모듈
KR200454844Y1 (ko) 동작감지센서가 구비된 엘이디조명등
KR20080069158A (ko) 다기능 재실감지센서
KR20070021651A (ko) 센서 조명등
CN213094537U (zh) 灯具智能感应器
JP4960157B2 (ja) 照明システム
KR200364720Y1 (ko) 비금속물체 투과형 유동체감지센서를 이용한 센서조명등
KR200449356Y1 (ko) 센서스위치
CN203880654U (zh) 投光灯用感应装置
KR101462505B1 (ko) 확장모듈이 결합된 led 등기구
KR200420070Y1 (ko) 태양광을 이용한 야외 화장실용 조명장치
KR200444393Y1 (ko) 센서등
KR20130078013A (ko) 광반도체를 이용한 주차장 조명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