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6143U - 센서분리형 센서등 - Google Patents

센서분리형 센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6143U
KR20090006143U KR2020070020259U KR20070020259U KR20090006143U KR 20090006143 U KR20090006143 U KR 20090006143U KR 2020070020259 U KR2020070020259 U KR 2020070020259U KR 20070020259 U KR20070020259 U KR 20070020259U KR 20090006143 U KR20090006143 U KR 2009000614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ensor module
shade
mounting plat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엽
Original Assignee
신동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엽 filed Critical 신동엽
Priority to KR2020070020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6143U/ko
Publication of KR200900061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14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컨트롤러와 센서모듈이 분리된 센서등에서 컨트롤러와 센서모듈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연결 및 분리하며, 센서모듈을 갓에 편리하게 결합 및 분리하는 센서분리형 센서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장에 장착되는 고정설치판과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이 센서를 감싸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센서모듈과 고정설치판의 일면에 설치되며 센서모듈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센서모듈로부터 물체를 감지한 신호를 전송받으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전등을 점등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한한다. 또한, 고정설치판의 일면에 설치되는 전등을 구비하는 전등부와 고정설치판의 일측과 체결되는 갓과 갓을 관통하여 노출 설치되는 센서모듈의 나사산과 결합하여 갓과 센서모듈을 고정시키는 나사부, 고정설치판의 일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쇠봉을 더 포함한다.
센서등, 센서모듈, 컨트롤러, 케이블

Description

센서분리형 센서등{Sensor Disconnect Sensor Lamp}
본 고안은 센서모듈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센서모듈을 갓에 편리하게 결합 및 분리시키는 것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센서모듈과 컨트롤러를 분리하고 센서모듈과 컨트롤러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연결 및 분리함으로써 센서모듈의 이동을 더욱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센서모듈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갓에 편리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센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건물의 실외 복도, 승강기출입구, 실내 현관출입구, 지하주차장 등의 천장에는 센서등(Sensor-lamp)이 설치된다. 이 센서등은 사람의 이동(보행, 활동)시 자동적으로 점등(點燈)될 뿐만 아니라 사람이 영역을 벗어나면 자동으로 소등(消燈)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함은 물론이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센서등은 태양광(太陽光)의 방사(放射)량을 감안하여 주변환경이 어두울 경우에만 작동하는 조도센서와 인체의 체열(體熱) 감지를 통하여 램프의 점등과 소등이 가능하도록 한 감지센서가 내장됨에 따라, 야간의 어두운 실내·외 장소에서 태양광의 방사량이 극히 미미한 경우에는 사람들이 일정시간 동안 편리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조명을 점등시켜준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센서등의 센서일체형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대부분의 센서등은 센서등을 조절하는 컨트롤러(11)에 센서(1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갓(미도시)이 편평하지 않고 둥글거나 굴곡이 있는 경우에는 센서(12)를 포함한 컨트롤러(11)를 갓에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센서를 포함한 컨트롤러는 많은 부분에서 폭넓게 사용되어 외관을 중요시하는 최근의 센서등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도 2는 종래의 컨트롤러와 센서의 센서분리형의 센서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센서등(10)은 천장에 설치되는 고정설치판(15)과 이 고정설치판(15)과 체결되는 갓(13)으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는 전등(미도시), 센서(12), 컨트롤러(11)가 설치된다. 이때, 센서(12)와 컨트롤러(11)는 분리되어 형성함으로써 컨트롤러(11)는 고정설치판(15)에 조립되고 센서(12)는 둥근형태의 갓(13)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센서(12)를 갓(13)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접착공정을 수행하거나 강제 압입방식 등을 통해 고정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하지만, 접착공정의 경우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은 물론 센서불량이나 이상시 교체가 힘든 문제점이 있으며, 강제 압입방식을 통한 고정은 취급 및 운반 중에 그 센서가 분리될 위험이 있고 사용중 외력에 의해서 갓으로부터 분리되어 센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 다.
또한, 센서(12)와 컨트롤러(11)는 케이블에 의해 항상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센서(12)는 갓(13)에 고정되고 컨트롤러(11)는 고정설치판(15)에 조립되어 각기 분리되는 갓(13) 및 고정설치판(15)으로부터 센서(12) 및 컨트롤러(11)의 설치, 유지, 관리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갓을 관통하는 센서모듈을 갓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는 센서분리형 센서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컨트롤러와 센서모듈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는 센서분리형 센서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분리형 센서등은, 천장에 장착되는 고정설치판과,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중앙부, 이 센서의 일부분이 노출되돋록 감싸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 이 상부보다 넓게 상부하면에 형성된 하부로 이루어진 센서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센서등은 고정설치판의 일면에 설치되며, 센서모듈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센서모듈로부터 물체를 감지한 신호를 전송받으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전등을 점등시키는 컨트롤러와, 고정설치판의 일면에 설치되는 전등을 구비하는 전등부와, 고정설치판의 일측과 체결되는 갓과, 갓을 관통하여 노출 설치되는 상기 센서모듈의 상기 나사산과 결합하여 상기 갓과 상기 센서모듈을 고정시키는 나사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이 센서등에 고정설치판의 일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쇠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쇠봉은 고정설치판과 체결되는 갓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이 쇠봉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설치판과 상기 갓을 고정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분리형 센서등은, 천장에 장착되는 고정설치판과, 고정설치판의 일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쇠봉과, 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중앙부, 이 센서의 일부분이 노출되돋록 감싸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상부, 이 상부보다 넓게 상부하면에 형성된 하부로 이루어지며, 이 하부에 관통부를 형성하여 쇠봉의 끝부분에 체결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고정설치판의 일면에 설치되며 센서모듈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센서모듈로부터 물체를 감지한 신호를 전송받으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전등을 점등시키는 컨트롤러와, 고정설치판의 일면에 설치되는 전등을 구비하는 전등부와, 고정설치판의 일측과 체결되는 갓과, 이 갓을 관통하여 노출 설치되는 센서모듈의 나사산과 결합하여 갓과 센서모듈을 고정시키는 나사부를 더 포함한다.
두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와 센서모듈을 이어주는 케이블은 컨트롤러에 연결된 케이블의 끝부분과 센서모듈에 연결된 케이블의 끝부분에 접합부를 설치하여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고 센서모듈로부터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받으면 전등부의 전등을 소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컨트롤러와 센서모듈이 분리됨으로써 둥근 형태의 갓뿐만 아니라 어떠한 형태의 갓에도 센서모듈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와 센서모듈이 분리됨으로써 센서모듈의 이동이 자유로워 센서모듈을 갓 어디에나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갓을 관통하는 센서모듈에 형성된 나사산을 나사부로 체결함으로써 센서모듈을 갓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갓으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에 연결된 케이블과 센서모듈에 연결된 케이블의 끝부분에 접합부를 형성하여 컨트롤러와 센서모듈의 각 케이블을 연결 및 분리시킴으로써, 컨트롤러와 센서모듈을 설치할 때 편리하며 컨트롤러나 센서모듈의 교체시 둘 다 교체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분리가 쉬우므로 센서등을 유지하고 관리하기가 편리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고안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가급적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고안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센서분리형 센서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센서등(100)은 컨트롤러(120)와 센서모듈(130)이 분리된 센서분리형이며, 고정설치판(110), 컨트롤러(120), 센서모듈(130), 전등부(140), 케이블(150), 접합부(151), 갓(160), 나사부(170)로 이루어진다.
고정설치판(110)은 천장에 장착되며, 이 고정설치판(110)에는 전등을 설치하는 소켓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트롤러(120)를 설치할 수 있는 브라켓 또는 공간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설치판(110)은 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트롤러(120)와 전등부(140)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고정설치판(110)과 천장 사이에 형성하도록 하여 이 케이블이 밖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설치판(110)은 갓(160)의 형태에 따라 원형, 사각형 등 그 모양이 다양하다.
컨트롤러(120)는 천장에 설치된 고정설치판(110)에서 천장과 맞닿은 면의 타면에 설치되며, 센서모듈(13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전등부(140)를 점멸시킨다. 이때, 센서모듈(13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는 사람 등 물체의 움직임이 센서모듈(130)에 감지됐음을 알리는 신호뿐만 아니라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이다. 예를 들면, 센서모듈(130)에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한 신호가 컨트롤러(120)로 입력되면 컨트롤러(120)에 미리 설정한 시간만큼의 점등지속시간을 카운트하면서 전등부(140)의 전등을 점등시키고, 점등지속시간이 초과되고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전등부(140)의 전등을 소등시킨다.
또한, 컨트롤러(120)는 주야 선택 스위치가 연결되어 있어 주간을 선택하면 주간 및 야간에 모두 작동하며, 야간을 선택하면 주간에는 작동하지 않고 야간에만 작동하여 센서모듈(130)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 전등부(140)를 점멸시킨다.
센서모듈(130)은 열감지 센서부, 적외선 센서부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거리에서 사람을 포함한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는 1차 증폭기와 2차 증폭기에서 다단 증폭되어 컨트롤러(120)로 출력된다. 이때, 센서모듈(130)은 사람뿐만 아니라 개, 고양이, 일정 크기 이상의 물건 등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로는 열감지 센서, 적외선 센서뿐만 아니라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어느 것이나 이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센서모듈(130)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132), 이 센서를 감싸며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134), 이 결합부 하면에 결합부보다 더 넓게 형성되며 케이블(150)과 연결되는 연결부(136)로 이루어진다. 결합부(134)와 연결부(136)는 플라스틱 또는 철 등으로 이루어지며, 결합부(134)는 센서를 반 정도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즉, 센서의 일부분이 노출될 정도로 감싸야 한다.
전등부(140)는 전등과 소켓으로 이루어지며, 천장에 설치된 고정설치판(110)에서 천장과 맞닿은 면의 타면에 소켓이 설치된다. 이 전등부(140)는 센서모듈(130)로부터 컨트롤러(120)가 신호를 전송받으면 전등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다.
케이블(150)은 컨트롤러(120)와 센서모듈(130)을 연결하여 센서모듈(130)에 감지된 신호를 컨트롤러(120)로 전송한다. 이때, 컨트롤러(120)와 센서모듈(130)은 각각의 케이블(150)과 연결되는데, 이 두 케이블(150)의 끝부분에는 서로 대응하는 접합부(151)가 형성된다. 따라서 두 케이블(150)은 접합부(151)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접합부(151)에 의해서 컨트롤러(120)와 센서모듈(130)이 분리됨으로써 센서모듈(130)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며, 센서모듈(130)이나 컨트롤러(120)의 고장시 따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접합부(151)로 컨트롤러(120)와 센서모듈(130)의 각 케이블(150)을 연결하면 물체감지신호를 송수신하여 센서등(100)을 작동할 수 있다.
갓(160)은 천장에 설치된 고정설치판(110)에서 천장과 맞닿은 면 타면의 둘 레와 체결되어 형성한다. 이때, 갓(160)은 센서모듈(130)이 관통하여 노출되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구멍은 필요한 곳이면 어디에나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구멍은 센서모듈(130)의 센서(132)와 결합부(134)가 통과할 정도의 크기가 바람직하다.
갓(160)의 형상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재질은 불투명 유리, 투명 유리, 플라스틱 등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나사부(170)는 센서모듈(130)의 결합부(134)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을 가진다. 이 나사부(170)는 갓(160)을 관통한 센서모듈(130) 결합부(134)의 나사산과 체결됨으로써 센서모듈(130)과 갓(16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센서등(100)은 필요한 곳에 형성된 갓(160)의 구멍에 센서모듈(130)을 관통시켜 나사부(170)로 고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센서모듈(130)이 감지한 신호를 컨트롤러(120)에 전송하는 케이블(150)은 접합부(151)에 의하여 연결되거나 분리하여 이용한다.
또한, 이 센서등은 고정설치판(110)과 갓(160)을 클립 및 고정설치판(110)과 갓(160)이 맞닿는 부분을 ‘ㄷ’자로 형성하여 체결할 수 있다. 고정설치판(110)과 갓(160)의 체결은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고정설치판(110)과 갓(160)을 체결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 가능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센서분리형 센서등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센서등(100)은 고정설치판(110), 컨트롤러(120), 센서모듈(130), 전등부(140), 케이블(150), 접합부(151), 갓(160), 나사부(170), 쇠봉(18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쇠봉(18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3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쇠봉(180)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설치판(110)의 중앙에 형성된다. 쇠봉(180)은 고정설치판(110)과 체결되는 갓(160)의 중앙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갓(160)의 외부로 돌출된 쇠봉(180)을 쇠봉(180)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을 가진 나사(190)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고정설치판(110)과 갓(160)을 고정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쇠봉(180)은 고정설치판(110)의 중앙뿐만 아니라, 중앙 외에도 설치하여 갓(160)과 체결할 수 있으며, 이 쇠봉(180)은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센서모듈(130)은 갓(160)에서 쇠봉(180)이 관통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갓(160)에 구멍이 형성된 곳이면 어디나 설치가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센서분리형 센서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센서등(100)은 도 4에서 나사(190)를 이용하여 센서모듈(130)을 체결하는 나사(190)를 제외하고는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구성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갓(160)의 중앙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쇠봉(180)의 끝부분에 센서모듈(130)을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센서모듈(130)은 그 하부 중앙에 관통부를 형성하여 쇠봉(180)의 끝부분에 밀어 넣음으로써 체결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관통부에 쇠봉(180)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쇠봉(180)의 끝부분과 체결하는 것이다. 이때, 쇠봉(180)의 끝부분에 체결된 센서모듈(130)은 센서모듈(130)의 센서(132)와 결합부(134)를 갓(160)에 관통시킨다. 갓(160)을 관통한 센서모듈(130) 결합부(134)는 결합부(134)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부(170)를 센서모듈(130)의 결합부(134)와 체결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쇠봉(180)은 고정설치판(110)의 중앙뿐만 아니라, 중앙 외에도 설치하여 센서모듈(130)과 체결할 수 있으며, 이 쇠봉(180)은 하나 또는 두 개 이상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체결함으로써 갓(160)은 쇠봉(180)과 체결된 센서모듈(130)과 체결되어 다른 체결없이 갓(16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센서등의 센서일체형 컨트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컨트롤러와 센서의 센서분리형의 센서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센서분리형 센서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센서분리형 센서등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센서분리형 센서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센서등 110: 고정설치판
120: 컨트롤러 130: 센서모듈
140: 전등부 150: 케이블
151: 접합부 160: 갓
170: 나사부 180: 쇠봉

Claims (6)

  1. 천장에 장착되는 고정설치판과,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를 감싸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센서모듈과,
    상기 고정설치판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모듈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물체를 감지한 신호를 전송받으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전등을 점등시키는 컨트롤러와,
    상기 고정설치판의 일면에 설치되는 상기 전등을 구비하는 전등부와,
    상기 고정설치판의 일측과 체결되는 갓과,
    상기 갓을 관통하여 노출 설치되는 상기 센서모듈의 상기 나사산과 결합하여 상기 갓과 상기 센서모듈을 고정시키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설치판의 일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쇠봉을 더 포함하며, 상기 쇠봉은 상기 고정설치판과 체결되는 상기 갓을 관통하여 돌출되고 상기 쇠봉의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설치판과 상기 갓을 고정하는 센서등.
  3. 천장에 장착되는 고정설치판과,
    상기 고정설치판의 일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쇠봉과,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를 감싸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이 형성된 외주면의 하부에 관통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쇠봉의 끝부분에 체결되는 센서모듈과,
    상기 고정설치판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모듈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모듈로부터 물체를 감지한 신호를 전송받으면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전등을 점등시키는 컨트롤러와,
    상기 고정설치판의 일면에 설치되는 상기 전등을 구비하는 전등부와,
    상기 고정설치판의 일측과 체결되는 갓과,
    상기 갓을 관통하여 노출 설치되는 상기 센서모듈의 상기 나사산과 결합하여 상기 갓과 상기 센서모듈을 고정시키는 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등.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와 센서모듈을 이어주는 케이블은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된 케이블의 끝부분과 상기 센서모듈에 연결된 케이블의 끝부분에 접합부를 설치하여 연결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센서등.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초과되고 센서모듈로부터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음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받으면, 상기 전등부의 전등을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등.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은 물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의 일부분이 노출되도록 감싸며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보다 넓게 결합부하면에 형성된 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등.
KR2020070020259U 2007-12-17 2007-12-17 센서분리형 센서등 KR2009000614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59U KR20090006143U (ko) 2007-12-17 2007-12-17 센서분리형 센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259U KR20090006143U (ko) 2007-12-17 2007-12-17 센서분리형 센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143U true KR20090006143U (ko) 2009-06-22

Family

ID=4129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259U KR20090006143U (ko) 2007-12-17 2007-12-17 센서분리형 센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6143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726Y1 (ko) * 2010-05-27 2012-04-13 정완석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
US9863623B2 (en) 2015-12-15 2018-01-09 Lg Electronics Inc. Lighting device
US9897300B2 (en) 2015-12-15 2018-02-20 Lg Electronics Inc. Lighting device
US10034351B2 (en) 2015-12-15 2018-07-24 Lg Electronics Inc.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726Y1 (ko) * 2010-05-27 2012-04-13 정완석 감지센서를 구비한 모듈화 센서등
US9863623B2 (en) 2015-12-15 2018-01-09 Lg Electronics Inc. Lighting device
US9897300B2 (en) 2015-12-15 2018-02-20 Lg Electronics Inc. Lighting device
US10034351B2 (en) 2015-12-15 2018-07-24 Lg Electronics Inc. Ligh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34515Y1 (ko) 복합 센서가 일체로 구비된 절전형 자동 점멸 램프
KR100750444B1 (ko) 멀티 모션센서를 구비한 조명 시스템
US20100052542A1 (en) Led lamp failure alerting system
KR101448962B1 (ko) 마이크로웨이브센서가 구비된 디밍용 led 램프, led 램프 제어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설
KR101292098B1 (ko) 센서를 포함한 led 자동제어 조명등
KR20090006143U (ko) 센서분리형 센서등
CN101936484B (zh) 照明装置
CN203162768U (zh) Led人体热释电红外线感应筒灯
US7268497B2 (en) Lighting device with night light and human body sensing capability
US20080007942A1 (en) Mountable light with integrated activation sensor
KR101487931B1 (ko) 조명용 광센서 패키지
US20110304273A1 (en) Security lighting system
CN201836695U (zh) 一种led人体感应灯
US8449168B2 (en) Intelligent and energy-saving LED lamp with glimmer and full light emission
KR101141249B1 (ko) 엘이디 센서등 겸용 비상 조명
KR20090006142U (ko) 센서분리형 조명등장치
US10338307B2 (en) Luminaire having light pipe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y
EP2786641B1 (en) Master illuminating device, illuminating device and illumination control system
KR200454843Y1 (ko) 동작감지센서가 구비된 엘이디조명등
KR20070021651A (ko) 센서 조명등
CN210351722U (zh) 一种灯光跟随系统
CN106322160A (zh) 开关自动控制led照明灯
CN213094537U (zh) 灯具智能感应器
KR101540200B1 (ko) Led 열주등
JP2009004330A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