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924A - 작업대 - Google Patents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924A
KR20090005924A KR1020070069359A KR20070069359A KR20090005924A KR 20090005924 A KR20090005924 A KR 20090005924A KR 1020070069359 A KR1020070069359 A KR 1020070069359A KR 20070069359 A KR20070069359 A KR 20070069359A KR 20090005924 A KR20090005924 A KR 20090005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fixing pin
workpiece
rotated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숙
Original Assignee
심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재숙 filed Critical 심재숙
Priority to KR1020070069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924A/ko
Publication of KR20090005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9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 or saw-carrier
    • B23D47/025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 or saw-carrier of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B25H1/0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holders for tool or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작업대는 제1회동수단에 의해 회동되어 접혀지고 펼쳤을 때 위치고정되는 제1,2프레임과; 상기 제1,2프레임에 마련되고, 제2회동수단에 의해 회동되어 접혀지고 펼쳤을 때 위치고정되는 다수의 다리와; 상기 제1,2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어 작업물이 놓여지는 상판과; 상기 제1,2프레임 또는 상판에 설치되어 작업물을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상판에는 상기 작업물이 다양한 각도로 밀착되도록 다양한 각도로 회동되는 고정판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작업대의 상판 및 프레임이 회동되어 포개어지고, 프레임에 마련된 다수의 다리가 회동되어 프레임에 포개어짐으로써 작업대의 부피가 크게 감소되기 때문에 작업대의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대의 상판이 가이드 수단에 의해 유동됨으로써 중량이 무거운 작업물을 적은 힘으로도 유동시킬 수가 있으며, 작업대의 상판에 마련되어 회전되는 고정판에 의해 작업물을 사선방향으로도 안정적으로 놓을 수가 있어 작업물을 사선방향으로 절단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작업대, 운반, 회동, 사선, 절단

Description

작업대{WORK TABLE}
본 발명은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대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그 부피를 줄일 수가 있으며, 작업물을 다양한 각도로 절단할 수 있는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대는 작업물을 평평한 테이블에 위해 올려놓고 절단수단인 기계톱을 이용하여 작업물을 절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작업대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7-53730호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3651호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1121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작업대는 작업물이 놓여져 수평하게 유동되도록 상면이 평평한 프레임이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은 다수의 다리에 의해 지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프레임에는 작업물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수단인 기계톱의 일부가 프레임의 상면에 노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프레임의 상면에는 작업물의 직선유동을 안내하며 절단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프레임상에서 작업물의 유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안내판이 마련 되어 있다.
또한, 절단수단이 기계톱이 프레임상에서 유동되도록 마련된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은 기계톱을 구동시킨 다음, 작업대의 상면에 절단하고자 하는 작업물을 올려놓은 다음, 기계톱이 작업물을 지나도록 작업물을 직선유동시킴으로써, 작업물을 절단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작업물을 안내판에 밀착시킨 채 직선유동시킴으로써, 작업물의 직선유동이 흔들림이 없이 이루어지게 되며, 결국 작업물이 일정한 폭으로 절단되는 것이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작업대는 작업물이 놓여지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지지하는 다리로 인해 그 부피가 커서 서로 다른 작업장으로의 운반이 어렵거나, 작업장에서 일일히 재제작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프레임에 놓여지는 작업물을 유동시켜 절단하기 때문에 중량이 큰 작업물은 그 유동이 힘들어 절단작업이 힘들었고, 안내판에 의해 안내되는 작업물은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일정한 폭만큼 절단이 가능할 뿐, 작업물을 사선방향으로는 안정적으로 놓을 수가 없기 때문에 작업물을 사선방향으로 절단하는 작업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대의 운반이 용이하도록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작업장에서 간편하게 복원할 수 있는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은 힘으로도 중량이 무거운 작업물의 유동이 가능하고, 작업물을 사선방향으로도 절단할 수가 있는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작업대는 제1회동수단에 의해 회동되어 접혀지고 펼쳤을 때 위치고정되는 제1,2프레임과; 상기 제1,2프레임에 마련되고, 제2회동수단에 의해 회동되어 접혀지고 펼쳤을 때 위치고정되는 다수의 다리와; 상기 제1,2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어 작업물이 놓여지는 상판과; 상기 제1,2프레임 또는 상판에 설치되어 작업물을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한다.
제1회동수단은 상기 제1,2프레임의 연접되는 부위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길이방향 길이보다 폭방향 길이가 작은 단면을 가진 제1고정핀부재와; 상기 제1고정핀부재가 끼워져 회전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각각 제1회전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1,2프레임이 좌/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 상기 제1고정핀부재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양측 제1회전공간을 연통하되 상기 제1고정핀부재의 단면의 폭방향 길이의 간격을 갖는 제1가이드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2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다.
제2회동수단은 상기 제1,2프레임의 돌출되어 길이방향 길이보다 폭방향 길이가 작은 단면을 가진 제2고정핀부재와; 상기 제2고정핀부재가 끼워져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회전공간과, 상기 제2회전공간으로부터 상기 다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리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시 상기 제2고정부재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2고정부재의 단면의 폭방향 길이의 간격을 갖는 제2가이드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다리의 상단에 마련된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은 상기 제1,2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상판과; 상기 제1,2프레임의 상면에서 가이드수단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제2상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상판에는 상기 작업물이 다양한 각도로 밀착되도록 다양한 각도로 회동되는 고정판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회동수단은 상기 제1,2프레임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고정핀부재가 가이드되는 방향으로 상호 끼워져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1암/수결합부재와; 상기 제1암결합부재에 나사결합되어 관통되면서 상기 제1암결합부재에 끼워진 상기 제1수결합부재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볼트;가 더 구비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회동수단은 상기 제1,2프레임과, 상기 다리의 지지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2고정핀부재가 가이드되는 방향으로 자력에 의해 상호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2암/수결합부재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은 작업대의 상판 및 프레임이 회동되어 포개어지고, 프레임에 마련된 다수의 다리가 회동되어 프레임에 포개어짐으로써 작업대의 부피가 크게 감소되 기 때문에 작업대의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대의 상판이 가이드 수단에 의해 유동됨으로써 중량이 무거운 작업물을 적은 힘으로도 유동시킬 수가 있으며, 작업대의 상판에 마련되어 회전되는 고정판에 의해 작업물을 사선방향으로도 안정적으로 놓을 수가 있어 작업물을 사선방향으로 절단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작업대의 구조를 첨부한 도 1에 나타내 보였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인 작업대는 제1회동수단에 의해 접혀지고 펼쳤을 때 위치고정되는 제1,2프레임(10,20)과, 제2회동수단에 의해 제1,2프레임에 접혀지고 펼쳤을 때 제1,2프레임에 고정되는 다수의 다리(30)와, 제1,2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는 상판(40)과, 상판에 회동되게 마련되어 작업물이 다양한 각도로 밀착되는 고정판(50)과, 제1,2프레임 또는 상판에 설치되어 작업물을 절단하는 절단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제1,2프레임(10,20)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일측면이 상호 접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2프레임의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예시하였으나, 상호 접하도록 대응되는 면이 형성되면 다양한 형상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인 작업대의 제1회동수단의 구조를 첨부한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회동수단은 제1,2프레임(10,20)의 연접되는 부위의 양측면에 각각 폭방향으로 돌출된 제1고정핀부재(11,21)와, 제1고정핀부재(11,21)가 양측에서 끼워져 회전되는 제1회전공간(61)과 양측 제1회전공간(61)이 연통되어 제1고정핀부재(11,21)가 슬라이딩되는 제1가이드통로(62)가 형성된 연결부재(6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2프레임(10,20)의 연접되는 부위에 제1,2프레임(10,20)이 제1고정핀부재(11,21)가 가이드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상호 결합 또는 해체되는 제1암/수결합부재(71,72)가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다.
제1고정핀부재(11,21)는 단면이 길이방향 길이보다 폭방향 길이가 작도록 형성된 것으로, 단면의 길이방향이 횡방향이 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예시하였다.
연결부재(60)의 제1회전공간(61)은 제1고정핀부재(11,21)가 회전되도록 단면의 길이방향 길이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가이드통로(62)는 제1고정핀부재(11,21)가 회전되지 않도록 제1회전공간(61)의 직경보다는 작은 간격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가이드통로(62)의 간격은 제1고정핀부재(11,21)의 단면의 폭방향 길이에 대응되도록 한다.
제1암/수결합부재(71,72)는 제1,2프레임(10,20)의 연접되는 방향으로 일부분 돌출되거나, 또는 제1암/수결합부재(71,72) 중 어느 하나가 돌출되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제1수결합부재(72)가 제2암결합부재(71)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제2암 결합부재(71)에는 제1수결합부재(72)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홈이 형성된다.
제1암결합부재(71)의 홈에 끼워진 제1수결합부재(72)를 고정하게 위해 제1암결합부재(71)의 일측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는 가압볼트(73)가 마련된다.
가압볼트(73)는 제1암결합부재(71)의 홈에 끼워진 제1수결합부재(72)의 측면을 가압하게 되어 제1수결합부재(72)는 제1암결합부재(71)에 고정된다.
제2회동수단은 도 1를 참조하면, 제1,2프레임(10,20)의 가장자리에 폭방향으로 돌출된 제2고정핀부재(12,22)와, 제2고정핀부재(12,22)가 끼워져 회전되는 제2회전공간(31a)과 다리(30)가 길이방향 상측으로 움직일 때, 제2고정핀부재(12,22)가 슬라이딩되도록 제2회전공간(31a)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된 제2가이드통로(31b)가 형성된 지지부(31)로 이루어진다. 지지부(31)는 다리(30)의 상단에 마련된다.
그리고, 제1,2프레임(10,20)과, 다리(30)의 지지부(31)에는 다리(3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상호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2암/수결합부재(81,82)가 마련된다.
제2암/수결합부재(81,82)는 자력에 의해 상호 결합고정되도록 자성을 띤 자석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암결합부재(81)는 그 내주면에 자석부재를 부착고정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고정핀부재(12,22)는 제1고정핀부재(11,21)와 마찬가지로 단면이 길이방향 길이보다 폭방향 길이가 작도록 형성되며, 단면의 길이방향이 종방향이 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예시하였다.
또한, 제1,2프레임(12,22)의 가장자리 저면에 하향으로 연장되어 다리의 지 지부(31)가 삽입되는 다리삽입부(13,23)를 형성하고, 제2고정핀부재(12,22)가 다리삽입부(13,23)내에 횡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부(31)의 제2회전공간(31a)도 제1회전공간(61)과 마찬가지로 제2고정핀부재(12,22)의 길이방향 길이의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제2가이드통로(31b)는 제2회전공간(31a)으로부터 다리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가이드통로(31b)의 간격은 제2회전공간(31a)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고정핀부재(12,22)의 단면의 폭방향 길이에 대응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인 작업대의 상판구조를 첨부한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판(40)은 제1,2프레임(10,20)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상판(41)과, 슬라이딩되는 제2상판(42)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프레임(10)의 상면과 제2프레임(20)의 상면 일부에 제1상판(41)이 마련되고, 제2상판(42)은 제2프레임(20)의 상면에 설치된 예를 들었다.
제2상판(42)은 제2프레임(20)의 상면에서 가이드 수단에 의해 슬라이딩된다.
가이드수단은 제2프레임(20)의 폭방향으로 마련된 다수의 가이드봉(91)과, 가이드봉(91)에 끼워져 가이드봉(91)의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으로 제2상판(42)의 저면에 고정되는 가이드판(92)으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봉(91)이 끼워지는 가이드판(92) 부위에 베어링을 마련하여 가이드판(92)의 유동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인 작업대의 고정판 구조를 첨부한 도 4에 나타내 보였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상판(42)에는 제2상판(42)에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 부(51)와, 제2상판(42)에 밀착되는 수평부(52)로 이루어진 고정판(50)이 마련된다. 고정판(50)은 수직부(51)가 수직한 상태로 회전되도록 제2상판(42)에 고정된다.
고정판(50)의 고정은 수평부(52)를 관통하여 제2상판(42)에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101)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판(50)은 제1나사(101)를 중심으로 제2상판(42)상에서 회전된다.
그리고, 수평부(52)에는 제1나사(101)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의 원호형상의 원호형슬릿(52a)이 형성되고, 상기 원호형슬릿(52a)을 관통하여 제2상판(42)상에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102)가 마련된다.
제2나사(102)의 헤드부는 수평부(52)의 원호형슬릿(52a)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나사(102)가 제2상판(42)에 나사결합될 때, 수평부(52)의 원호형슬릿(52a) 주변이 제2나사(102)의 헤드부에 가압됨으로써, 수평부(52)가 제2상판(4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절단수단은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되는 톱날을 가진 일반적인 기계톱으로 톱날(111)의 일부가 제1상판(41)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인 작업대를 운반하기 위해서는 다리(30)들이 제1,2프레임(10,20)에 포개어지도록 제2회동수단에 의해 회동시킨 다음, 다리(30)들이 제1,2프레임(10,20)에 포개어진 상태에서 제1,2프레임(10,20)이 포개어지도록 제1회동수단에 의해 회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 예인 작업대의 제1,2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의 제1회동수단의 구조와, 회동될 때의 동작과정을 첨부한 도 5a, 도 5b에 나타내 보였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2프레임(10,20)이 펼쳐진 상태일 경우에는 제1,2프레임(10,20)의 제1고정핀부재(11,21)가 연결부재(60)의 제1가이드통로(62)상에 위치되어 있다. 이때, 제1고정핀부재(11,21)가 제1가이드통로(62)상에서는 회전이 불가하므로 제1,2프레임(10,20)은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제1,2프레임(10,20)에 마련된 제1암/수결합부재(71,72)가 상호 끼워지고 가압볼트(73)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제1,2프레임(10,20)의 펼쳐진 상태를 보강하게 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 제1,2프레임(10,20)을 회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가압볼트(73)에 의해 제1암/수결합부재(71,72)의 고정을 해제시키고, 제1,2프레임(10,20)을 좌/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연결부재(60)의 제1가이드통로(62)상에 위치한 제1고정핀부재(11,21)가 연결부재(60)의 제1회전공간(61)내에 들어올 때까지 제1,2프레임(10,20)을 슬라이딩시킨다. 또한, 제1암/수결합부재(71,72)도 제1,2프레임(10,20)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해제된다.
제1고정핀부재(11,21)가 연결부재(60)의 제1회전공간(61)내에 들어오면, 제1,2프레임(10,20)의 슬라이딩동작을 멈추고, 제1,2프레임(10,20)을 회동시키게 된다. 이는 제1고정핀부재(11,21)가 제1회전공간(61)내에서 회전이 되므로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2프레임(10,20)은 회동되어 포개어진다. 그리고, 펼침동작은 상기 과정을 역순으로 행하면 된다.
본 실시 예인 작업대의 다리가 펼쳐진 상태의 제2회동수단의 구조와 다리가 회동될 때의 동작과정을 첨부한 도 6a, 도 6b에 나타내 보였다.
도 6a를 참조하면, 다리(30)가 펼쳐진 상태일 경우에는 제1,2프레임(10,20)의 제2고정핀부재(12,22)가 다리(30)상단 지지부(31)의 제2가이드통로(31b)상에 위치되어 있다. 이때, 제2고정핀부재(12,22)가 제2가이드통로(31b)상에서는 회전이 불가하므로 다리(30)는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제1,2프레임(10,20)과, 다리(30)의 지지부(31)에 마련된 제2암/수결합부재(81,82)가 상호 끼워지고 자력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다리(30)의 펼쳐진 상태를 보강하게 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펼쳐진 상태로 고정된 다리(30)를 회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다리(30)를 하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다리(30)의 지지부(31)의 제2가이드통로(31b)상에 위치한 제2고정핀부재(12,22)가 제2회전공간(31a)내에 들어올 때까지 다리(30)를 하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또한, 제2암/수결합부재(81,82)도 다리(30)의 하향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해제된다.
제2고정핀부재(12,22)가 제2회전공간(31a)내에 들어오면, 다리의 슬라이딩동작을 멈추고, 다리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는 제2고정핀부재(12,22)가 제2회전공간(31a)내에서 회전이 되므로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리(30)는 회동되어 제1,2프레임(10,20)에 포개어진다. 그리고, 펼침동작은 상기 과정을 역순으로 행하면 된다.
고정판(50)은 제2나사(102)를 풀고 제1나사(101)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가 있다. 이때, 수직부(51)가 원하는 각도를 향할 때 제2나사(102)를 조임으로써 고정판(50)을 재고정시킬 수가 있다. 이때, 작업물을 고정판(50)의 수직부(51)에 밀착 시키게 되면 작업물은 고정판(50)의 수직부(51)의 회동방향으로 회동되어 비스듬히 제2상판(42)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상판(42)을 슬라이딩시켜 절단수단에 의해 작업물이 절단되도록 한다.
따라서, 고정판을 다양한 각도로 회동시켜 고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작업물을 다양한 각도의 사선방향으로 절단할 수가 있으며, 작업물이 제2상판에 놓여진 상태에서 제2상판을 슬라이딩시키게 되므로 중량이 무거운 작업물도 적은 힘으로도 절단할 수가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대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작업대의 제1회동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작업대의 제2상판의 슬라이딩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작업대의 고정판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a는 도 1의 작업대의 제1,2프레임이 펼쳐진 상태의 제1회동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도 1의 작업대의 제1,2프레임이 회동되어 포개어지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a는 도 1의 작업대의 다리가 펼쳐진 상태의 제2회동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b는 도 1의 작업대의 다리가 회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제1프레임 11,21 : 제1고정핀부재
12,22 : 제2고정핀부재 20 : 제2프레임
30 : 다리 31 : 지지부
31a : 제2회전공간 31b : 제2가이드통로
40 : 상판 50 : 고정판
51 : 수직부 52 : 수평부
52a : 원호형슬릿 60 : 연결부재
61 : 제1회전공간 62 : 제1가이드통로

Claims (5)

  1. 제1회동수단에 의해 회동되어 접혀지고 펼쳤을 때 위치고정되는 제1,2프레임과;
    상기 제1,2프레임에 마련되고, 제2회동수단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제1,2프레임에 접혀지고 펼쳤을 때 위치고정되는 다수의 다리와;
    상기 제1,2프레임의 상면에 마련되어 작업물이 놓여지는 상판과;
    상기 제1,2프레임 또는 상판에 설치되어 작업물을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제1회동수단은
    상기 제1,2프레임의 연접되는 부위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되어 길이방향 길이보다 폭방향 길이가 작은 단면을 가진 제1고정핀부재와;
    상기 제1고정핀부재가 끼워져 회전이 가능하도록 양측에 각각 제1회전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1,2프레임이 좌/우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 상기 제1고정핀부재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양측 제1회전공간을 연통하되 상기 제1고정핀부재의 단면의 폭방향 길이의 간격을 갖는 제1가이드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2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3. 제 2항에 있어서,
    제2회동수단은
    상기 제1,2프레임의 돌출되어 길이방향 길이보다 폭방향 길이가 작은 단면을 가진 제2고정핀부재와;
    상기 제2고정핀부재가 끼워져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회전공간과, 상기 제2회전공간으로부터 상기 다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다리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시 상기 제2고정부재가 가이드되도록 상기 제2고정부재의 단면의 폭방향 길이의 간격을 갖는 제2가이드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다리의 상단에 마련된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상기 제1,2프레임의 상면에 고정되는 제1상판과,
    상기 제1,2프레임의 상면에서 가이드수단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제2상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상판에는 상기 작업물이 다양한 각도로 밀착되도록 다양한 각도로 회동되는 고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수단은
    상기 제1,2프레임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1고정핀부재가 가이드되는 방향으로 상호 끼워져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1암/수결합부재와;
    상기 제1암결합부재에 나사결합되어 관통되면서 상기 제1암결합부재에 끼워진 상기 제1수결합부재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볼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2회동수단은
    상기 제1,2프레임과, 상기 다리의 지지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제2고정핀부재가 가이드되는 방향으로 자력에 의해 상호 결합 또는 해제되는 제2암/수결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대.
KR1020070069359A 2007-07-10 2007-07-10 작업대 KR200900059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359A KR20090005924A (ko) 2007-07-10 2007-07-10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359A KR20090005924A (ko) 2007-07-10 2007-07-10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924A true KR20090005924A (ko) 2009-01-14

Family

ID=4048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359A KR20090005924A (ko) 2007-07-10 2007-07-10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9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9920A (zh) * 2011-12-13 2012-06-13 中冶连铸技术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焊接平台
KR20150110030A (ko) * 2014-03-24 2015-10-02 이정희 편지 봉투 재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9920A (zh) * 2011-12-13 2012-06-13 中冶连铸技术工程股份有限公司 一种焊接平台
KR20150110030A (ko) * 2014-03-24 2015-10-02 이정희 편지 봉투 재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101066A4 (en) A Tile Cutting Machine
CA2530685A1 (en) Method and fixture for handling and processing die components
CN101804538A (zh) 定位焊接拱度型材框架的工艺装备及其定位方法
CN101774046B (zh) 辅助支撑装置
KR20090005924A (ko) 작업대
CN104999301A (zh) 一种具有长条型工件专用夹具的机床加工中心
KR101944995B1 (ko) 둥근톱기계장치
US20100213658A1 (en) Tool unit, work table
KR20090090728A (ko) 연결형 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클램핑 장치
CN112828598A (zh) 一种具备多方位钻铣功能的多角度切割的铝型材加工装置
KR102086283B1 (ko) 판재절단용 작업대
KR101274642B1 (ko) 멀티 슬라이드 바이스
KR200486900Y1 (ko) 원형 피가공물 가공용 작업대
CN210998988U (zh) 一种epe板辅助切角架
CN107900729A (zh) 工程机械壳体加工定位夹紧装置
KR101952514B1 (ko) 다목적 접이식 작업테이블
CN201455708U (zh) 大型零件侧向夹紧夹具
KR100465612B1 (ko) 프레임 모서리절단장치
CN214081691U (zh) 一种工程用模板切割装置
CN204160319U (zh) 一种床鞍简易定位夹紧装置
CN219520564U (zh) 一种剪板机刀片加工用定位打孔装置
CN216542023U (zh) 一种倒角机的固定装置
CN215967563U (zh) 一种深孔钻加工用的多角度夹具
CN211889958U (zh) 一种毛坯料辅助夹具加工装置
CN216179929U (zh) 定位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