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799A -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 Google Patents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799A
KR20090005799A KR1020070069124A KR20070069124A KR20090005799A KR 20090005799 A KR20090005799 A KR 20090005799A KR 1020070069124 A KR1020070069124 A KR 1020070069124A KR 20070069124 A KR20070069124 A KR 20070069124A KR 20090005799 A KR20090005799 A KR 20090005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ain body
shield
cov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9090B1 (ko
Inventor
이관철
Original Assignee
이관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관철 filed Critical 이관철
Priority to KR1020070069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090B1/ko
Publication of KR20090005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나 영상장비 등을 설치할 때 장비 사이에 연결하는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컴퓨터와 주변기기 사이에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양단에 각각 장비의 플러그와 접속되는 소켓(11,21)이 구비된 케이블에 있어서, 일단부에 상기 소켓(11)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수컨넥터(40)가 설치된 제1 케이블(10)과, 일단부에 상기 소켓(21)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암컨넥터(50)가 설치된 제2 케이블(20)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이 상기 수컨넥터(40)와 암컨넥터(50)의 상호 결속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므로, 컴퓨터, 모니터 또는 프린터 등을 실내에 설치 또는 위치 변경하거나 추가장비를 설치할 때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장비 사이에 설치될 케이블의 길이가 짧거나 장비와 접속되는 컨넥터의 크기로 인하여 바닥이나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 보호용 몰딩을 그대로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 기설치된 몰딩을 해체하지 않고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케이블, 설치, 연장, 컨넥터

Description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cable having connectors}
본 발명은 컴퓨터나 영상장비 등을 설치할 때 장비 사이에 연결하는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모니터, 프린터, 각종 장비 등을 실내에 설치 또는 위치 변경하거나 추가장비를 설치할 때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장비 사이에 설치될 케이블의 길이가 짧거나 장비와 접속되는 컨넥터의 크기로 인하여 바닥이나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 보호용 몰딩을 그대로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 기설치된 몰딩을 해체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에 모니터 또는 프린터를 연결하거나 각종 영상장비 등을 설치할 경우 기기 상호간에 영상 및 음성신호 또는 제어신호 등을 전달하거나 전원에 연결하기 위한 여러 종류의 케이블들이 소요되며, 이러한 케이블들은 연결될 장비간의 거리가 일정거리 이상인 경우 바닥이나 벽면 또는 천장을 통하여 배선하게 되고, 배선된 케이블들은 배선용 몰딩을 이용하여 바닥 등에 부착된다.
상기 배선용 몰딩은 전선 및 통신 케이블 등을 보호하여 손상을 방지하고 배선들을 정리 및 수납하여 실내의 미관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 이나 합성수지로 제조된 상용품이다.
컴퓨터와 모니터 또는 컴퓨터와 프린터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양단부에 15핀 내지 24핀용 컨넥터를 구비한 일정길이의 규격제품으로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장비 간에는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배선용 몰딩은 내부에 케이블만 수납될 수 있을 정도의 단면적을 가지도록 일정한 규격으로 제조되므로, 양단부에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배선용 몰딩을 통하여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벽면으로 분리된 각 실내공간에 설치된 기기들 사이를 연결할 경우 벽면에 케이블 통과 홀을 형성하여 케이블을 통과시킨 다음 상기 배선용 몰딩을 이용하여 배선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경우 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된 컨넥터로 인해 홀을 통하여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컴퓨터, 모니터 또는 프린터 등을 실내에 설치 또는 위치 변경하거나 추가장비를 설치할 때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장비 사이에 설치될 케이블의 길이가 짧거나 장비와 접속되는 컨넥터의 크기로 인하여 바닥이나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 보호용 몰딩을 그대로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 기설치된 몰딩을 해체하지 않고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와 주변기기 사이에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양단에 각각 장비의 플러그와 접속되는 소켓이 구비된 케이블에 있어서,
일단부에 상기 소켓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수컨넥터가 설치된 제1 케이블과, 일단부에 상기 소켓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암컨넥터가 설치된 제2 케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케이블과 제2 케이블이 상기 수컨넥터와 암컨넥터의 상호 결속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수컨넥터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케이블 사이에 설치되어 심선과 연결되는 하네스와, 상기 하네스에 연결되고 본체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다수의 내부핀과,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며 내부핀의 돌출길이만큼 외부로 연장된 실드와, 케이블의 일단부상에서부 터 실드의 중앙부위까지 상기 실드의 외주면상에 피복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암컨넥터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케이블 사이에 설치되어 심선과 연결되는 하네스와, 상기 본체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하네스에 연결되는 다수의 핀홀과, 상기 본체의 중앙부분에서 후단부까지 외주면을 감싸는 실드와, 케이블의 일단부상에서부터 본체의 전방 일정길이까지 돌출되도록 상기 실드의 외주면상에 피복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을 제공한다.
상기 실드는 암컨넥터의 본체와 커버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의 연장부 내에는 실드의 전방 일부분이 삽입되어, 실드와 실드 및 커버와 커버가 이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와 주변기기 사이에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양단에 각각 장비의 플러그와 접속되는 소켓이 구비된 케이블에 있어서,
일단부에 상기 소켓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수컨넥터가 설치된 제1 케이블과, 일단부에 상기 소켓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암컨넥터가 설치된 제2 케이블과, 일단부에 암컨넥터가 설치되고 타단부에 수컨넥터가 설치된 제3 케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케이블, 제3 케이블 및 제2 케이블이 상기 수컨넥터와 암컨넥터의 상호 결속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수컨넥터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케이블 사이에 설치되어 심선과 연결되는 하네스와, 상기 하네스에 연결되고 본체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다수의 내부핀과, 상기 본체의 외주면을 감싸며 내부핀의 돌출길이만큼 외부로 연장된 실드와, 케이블의 일단부상에서부터 실드의 중앙부위까지 상기 실드의 외주면상에 피복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암컨넥터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케이블 사이에 설치되어 심선과 연결되는 하네스와, 상기 본체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하네스에 연결되는 다수의 핀홀과, 상기 본체의 중앙부분에서 후단부까지 외주면을 감싸는 실드와, 케이블의 일단부상에서부터 본체의 전방 일정길이까지 돌출되도록 상기 실드의 외주면상에 피복된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에 의하면, 컴퓨터, 모니터 또는 프린터 등을 실내에 설치 또는 위치 변경하거나 추가장비를 설치할 때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장비 사이에 설치될 케이블의 길이가 짧거나 장비와 접속되는 컨넥터의 크기로 인하여 바닥이나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 보호용 몰딩을 그대로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 기설치된 몰딩을 해체하지 않고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암수 컨넥터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사시도이고, 도 3은 커버를 벗긴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암수 컨넥터 각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암수 컨넥터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정면도와 일부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은 컴퓨터와 주변기기 또는 각종 영상장비들 사이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그 양단에는 각 장비의 플러그에 접속되는 소켓(11,21)이 구비되어 기기 간에 영상 및 음성신호 또는 제어신호 등을 전달하는 케이블이다. 예컨대, 컴퓨터와 모니터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경우 양단부에 15핀용 소켓이 구비되고, 컴퓨터와 프린터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경우 양단부에 각각 24핀용 소켓과 36핀용 소켓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은 위와 같이 양단부에 소켓들(11,21)이 구비된 전체가 하나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케이블을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로 분리하여 이루어지며, 분리된 부분에는 각각 수컨넥터(40)와 암컨넥터(50)를 설치하여 상기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이 결속되면 각각의 심선들이 일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제1 케이블(10)의 일단부에는 소켓(11)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수컨넥터(40)가 설치되며, 제2 케이블(20)의 일단부에는 소켓(21)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암컨넥터(50)가 설치되어, 상기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은 상기 수컨넥터(40)와 암컨넥터(50)의 상호 결속에 의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수컨넥터(40)를 설명하면, 상기 수컨 넥터(40)는 전체적으로 케이블의 단부에서 동축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본체(41), 하네스(42), 다수의 내부핀(43), 실드(44) 및 커버(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41)는 경질합성수지 등의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 다수의 내부핀(43)이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하네스(42)는 본체(4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41)와 케이블 사이에서 케이블피복(12) 내의 각 심선(13)과 내부핀(43)을 연결시켜 주는 장치이다. 상기 하네스(42)는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며, 각 심선(13)과 내부핀(43)을 납땜이나 열융착에 의해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내부핀(43)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부재로서, 도 2와 도 3a에서처럼 본체(41)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일측은 상기 하네스(42)에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41) 외부로 일정길이만큼 돌출된다.
또한, 상기 실드(44)는 수컨넥터(40)에 강도와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본체(4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도 3a와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41)와 그 전방으로 뻗은 내부핀(43)의 돌출길이만큼 외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드(44)의 외주면에는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의 커버(45)가 피복되는데, 상기 커버(45)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의 일단부상에서부터 실드(44)의 중앙부위까지 상기 실드(44)의 외주면상에 피복된다. 즉, 상기 커버(45)는 케이블과 하네스(42)의 연결부위를 기밀시킴과 동시에 실드(44)를 보호하기 위하여 피복되는 부재로서, 상기 연결부위에서는 케이블의 일부분을 포함하여 압착피복되는 기밀단부(46)를 형성하고, 반대쪽에서는 실드(44)의 중앙부분까지만 피복된다. 이는 상기 실드(44)가 하기에서 설명할 암컨넥터(50)의 본체(51)와 커버(55)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암컨넥터(50)를 설명하면, 상기 암컨넥터(50)는 수컨넥터(40)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케이블의 단부에서 동축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본체(51), 하네스(52), 다수의 핀홀(53), 실드(54) 및 커버(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41)는,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컨넥터(40)의 본체(41)와 동일한 직경으로서 경질합성수지 등의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다수의 핀홀(45)이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하네스(52)는 본체(5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51)와 케이블 사이에서 케이블피복(22) 내의 각 심선(23)과 핀홀(53)을 연결시켜 주는 장치이다. 상기 하네스(52)는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며, 각 심선(23)과 핀홀(53)을 납땜이나 열융착에 의해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핀홀(53)은 전도성 재질로 형성된 원통형 부재로서, 도 2와 도 3b에서처럼 본체(51) 내부에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일측은 상기 하네스(52)에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51)의 전면과 일치하도록 삽입된다.
또한, 상기 실드(54)는 암컨넥터(50)에 강도와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본 체(51)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된 원통형의 부재로서, 도 3b와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51)의 후방에서부터 중앙부분까지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는 수컨넥터(40)와 암컨넥터(50)가 결합될 때 수컨넥터(40)의 실드(44)내에 암컨넥터(50)의 본체(51)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실드(44)와 실드(54)가 본체(51)의 외주면상에서 이어지도록 함으로써 연결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실드(54)의 외주면에는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질의 커버(55)가 피복되는데, 상기 커버(55)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의 일단부상에서부터 본체(51)의 전방으로 일정거리만큼 돌출되도록 실드(54)의 외주면상에 피복된다.
즉, 상기 커버(55)는 케이블과 하네스(52)의 연결부위를 기밀시킴과 동시에 실드(54)를 보호하기 위하여 피복되는 부재로서, 상기 연결부위에서는 케이블의 일부분을 포함하여 압착피복되는 기밀단부(57)를 형성하고, 반대쪽에서는 본체(5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장부(56)를 형성하도록 피복된다. 이는 상기 본체(51)가 수컨넥터(40)의 실드(44)내에 삽입되면 그 외주면상에서 실드(44)와 실드(54)가 이어지고, 상기 실드(44,54)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55)의 연장부(56)내에 실드(44)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그 외주면상을 피복시키면서 커버(45)와 커버(55)가 이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케이블(10), 제3 케이블(30) 및 제2 케이블(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며, 다만 일단부에 암컨넥터(50)가 설치되고 타단부에 수컨넥터(40)가 설치된 제3 케이블(30)이 상기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 사이에 직렬로 개재된다.
이는 케이블의 설치길이가 매우 길어야 할 경우나 위치상으로 장비에 연결된 케이블끼리 직접 연결시키기가 곤란한 경우 상기 제3 케이블(30)을 추가로 구비하여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바닥에 케이블 보호용 몰딩(10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1 케이블(10) 또는 제3 케이블(30)의 수컨넥터(40)를 몰딩(100)의 개방된 일측에서 내부로 삽입하여 개방된 타측으로 도출시킨 다음, 제3 케이블(30) 또는 제2 케이블(20)의 암컨넥터(50)에 삽입결합시키기만 하면 간단하게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벽면 등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시켜 상호 결합시키는 것도 마찬가지로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암수 컨넥터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사시도이다.
도 3은 커버를 벗긴 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암수 컨넥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수컨넥터에 대한 일부사시도이고 도 3b는 암콘넥턱에 대한 일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암수 컨넥터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암수 컨넥터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부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제1 케이블 11,21:소켓
12,22:케이블피복 13,23:심선
20:제2 케이블 30:제3 케이블
40:수컨넥터 41,51:본체
42,52:하네스 43:내부핀
44,54:실드 45,55:커버
50:암컨넥터 53:핀홀
56:연장부

Claims (4)

  1. 컴퓨터와 주변기기 사이에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양단에 각각 장비의 플러그와 접속되는 소켓(11,21)이 구비된 케이블에 있어서,
    일단부에 상기 소켓(11)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수컨넥터(40)가 설치된 제1 케이블(10)과, 일단부에 상기 소켓(21)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암컨넥터(50)가 설치된 제2 케이블(20)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케이블(10)과 제2 케이블(20)이 상기 수컨넥터(40)와 암컨넥터(50)의 상호 결속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수컨넥터(4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본체(41)와, 상기 본체(41)와 케이블 사이에 설치되어 심선(13)과 연결되는 하네스(42)와, 상기 하네스(42)에 연결되고 본체(41)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다수의 내부핀(43)과, 상기 본체(41)의 외주면을 감싸며 내부핀(43)의 돌출길이만큼 외부로 연장된 실드(44)와, 케이블의 일단부상에서부터 실드(44)의 중앙부위까지 상기 실드(44)의 외주면상에 피복된 커버(45)를 포함하며,
    상기 암컨넥터(5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본체(51)와, 상기 본체(51)와 케이블 사이에 설치되어 심선(23)과 연결되는 하네스(52)와, 상기 본체(51)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하네스(52)에 연결되는 다수의 핀홀(53)과, 상기 본체(51)의 중앙부분에서 후단부까지 외주면을 감싸는 실드(54)와, 케이블의 일단부상에서부터 본체(51)의 전방 일정길이까지 돌출되도록 상기 실드(54)의 외주면 상에 피복된 커버(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44)는 암컨넥터(50)의 본체(51)와 커버(55)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55)의 연장부(56)내에는 실드(44)의 전방 일부분이 삽입되어, 실드(44)와 실드(54) 및 커버(45)와 커버(55)가 이어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3. 컴퓨터와 주변기기 사이에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신호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하도록 양단에 각각 장비의 플러그와 접속되는 소켓(11,21)이 구비된 케이블에 있어서,
    일단부에 상기 소켓(11)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수컨넥터(40)가 설치된 제1 케이블(10)과, 일단부에 상기 소켓(21)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암컨넥터(50)가 설치된 제2 케이블(20)과, 일단부에 암컨넥터(50)가 설치되고 타단부에 수컨넥터(40)가 설치된 제3 케이블(30)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케이블(10), 제3 케이블(30) 및 제2 케이블(20)이 상기 수컨넥터(40)와 암컨넥터(50)의 상호 결속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수컨넥터(4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본체(41)와, 상기 본체(41)와 케이블 사이에 설치되어 심선(13)과 연결되는 하네스(42)와, 상기 하네스(42)에 연결되고 본체(41)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다수의 내부핀(43)과, 상기 본체(41)의 외주면을 감싸며 내부핀(43)의 돌출길이만큼 외부로 연장된 실드(44)와, 케이블의 일단부상에서부터 실드(44)의 중앙부위까지 상기 실드(44)의 외주면상에 피복된 커버(45)를 포함하며,
    상기 암컨넥터(5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본체(51)와, 상기 본체(51)와 케이블 사이에 설치되어 심선(23)과 연결되는 하네스(52)와, 상기 본체(51) 내부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하네스(52)에 연결되는 다수의 핀홀(53)과, 상기 본체(51)의 중앙부분에서 후단부까지 외주면을 감싸는 실드(54)와, 케이블의 일단부상에서부터 본체(51)의 전방 일정길이까지 돌출되도록 상기 실드(54)의 외주면상에 피복된 커버(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44)는 암컨넥터(50)의 본체(51)와 커버(55)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55)의 연장부(56)내에는 실드(44)의 전방 일부분이 삽입되어, 실드(44)와 실드(54) 및 커버(45)와 커버(55)가 이어지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KR1020070069124A 2007-07-10 2007-07-10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KR100909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124A KR100909090B1 (ko) 2007-07-10 2007-07-10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124A KR100909090B1 (ko) 2007-07-10 2007-07-10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799A true KR20090005799A (ko) 2009-01-14
KR100909090B1 KR100909090B1 (ko) 2009-07-23

Family

ID=40487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124A KR100909090B1 (ko) 2007-07-10 2007-07-10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86942A (zh) * 2023-05-31 2023-07-04 陕西盛禾汇达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线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6039U (ko) * 1996-11-07 1998-08-05 김재복 로보트 콘트롤러와 기능조작반 간의 연장케이블 구조
KR200192600Y1 (ko) 2000-03-13 2000-08-16 이현구 컴퓨터용 케이블 연장장치
KR20020069750A (ko) * 2001-02-27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7004787B2 (en) 2002-06-11 2006-02-28 Henry Milan Universal computer cable with quick connectors and interchangeable ends, and system and method utiliz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386942A (zh) * 2023-05-31 2023-07-04 陕西盛禾汇达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线束
CN116386942B (zh) * 2023-05-31 2024-01-19 东莞市迅蓝实业有限公司 一种线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090B1 (ko)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8187B2 (en) Dual channel XLR cable converter
US8435069B2 (en) USB cabl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6244020B2 (ja) プラグコネクタ
CN203942061U (zh) 连接端子和电连接器
US4674807A (en) Shielded connector
KR20070115619A (ko) 동축케이블용 자석식 커넥터
CN105556759B (zh) 具有接地夹具的薄片体连接器
US10536766B1 (en) Earphone cord organizer
US8263865B2 (en) Wire connection unit
KR100909090B1 (ko) 컨넥터를 구비한 케이블
BR112017002762B1 (pt) Conector de cabo e método de instalação de um conector
US9660406B2 (en) Push-in wire connector with collar
CN201576847U (zh) 一种插头、插座和电缆
CN108598754A (zh) 旋转式接线器
EP2856565B1 (en) Plug for a miniaturized connector
KR101095471B1 (ko) 케이블접속구조체
EP2001090A2 (en) Multiplex extension cord for communications and power cables
TW201921812A (zh) 線纜連接器及其製造方法
CN210667906U (zh) 线缆结构、同轴连接线及移动终端
JP6827651B2 (ja) ケーブル端末の接続構造
US9368949B2 (en) Channel system
CN107732563A (zh) 线缆连接器组件
CN205621866U (zh) 一种接线帽
KR200485364Y1 (ko) 크림프형 동축커넥터
KR100799973B1 (ko) 통신 케이블 연결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