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796A -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796A
KR20090005796A KR1020070069114A KR20070069114A KR20090005796A KR 20090005796 A KR20090005796 A KR 20090005796A KR 1020070069114 A KR1020070069114 A KR 1020070069114A KR 20070069114 A KR20070069114 A KR 20070069114A KR 20090005796 A KR20090005796 A KR 20090005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key
touch
strength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9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796A/ko
Publication of KR20090005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키에 대한 사용자의 키입력을 감지하는 제1터치센서와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감지된 키입력과 키입력의 눌림 강도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터치키에 대한 눌림 강도까지도 터치키의 입력으로 활용함으로써, 터치키에 대한 접촉여부만을 터치키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종래에 비해서 터치키의 입력 방법을 보다 다양하게 하여 휴대단말기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터치센서, 압력센서

Description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KEY-INPUTTING IN A WIRELESS TERMINAL WITH TOUCH KEY}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의 하드웨어가 고성능화되고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데이터의 전송속도가 고속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활용도도 점점 증대되고 있다. 점점 높아지는 휴대단말기의 활용도에 비례하여 사용자들은 자연스럽게 휴대단말기를 보다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기의 빈번한 사용은 휴대단말기를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요구하였으며, 이에 따라 근래의 휴대단말기는 터치키(또는 터치패드)를 제공하고 있다. 휴대단말기의 터치키는 주로 정전용량 방식이 채용된다.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키는 터치키에 대응하는 다수의 극판(동판)을 배치하여 이들 극판에 전압을 인가하고, 사용자가 터치키에 접촉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키의 입력을 감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터치키는 정전용량의 변화에 따른 접촉/비접촉 여부를 통해 특정 키의 입력여부만을 판별함으로써, 종래의 일반적인 돔키(Dome Key)와 동일하 게 단순히 키의 입력 기능만을 수행할 뿐이다. 디자인적 또는 기능적 필요에 따라 터치키의 사용이 점점 증가할 현실에 비추어 볼때, 터치키의 입력 기능을 보다 다양화하여 휴대단말기의 활용성을 증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터치키의 입력 기능을 보다 다양화하고 휴대단말기의 활용성을 증대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키에 대한 사용자의 키입력을 감지하는 제1터치센서와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감지된 키입력과 키입력의 눌림 강도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방법에 있어서, 제1터치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키에 대한 키입력을 감지하고, 압력센서를 통해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키입력과 키입력의 눌림 강도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장치에 있어서, 터치센서를 통해 상기 터치키에 대한 키입력과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를 감지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감지된 키입력과 키입력의 눌림 강도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감지된 키입력 또는 키입력의 눌림 강도에 따라 진동부가 진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방법에 있어서, 터치센서를 통해 상기 터치키에 대한 키입력과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키입력과 키입력의 눌림 강도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키입력 또는 키입력의 눌림 강도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진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치키에 대한 눌림 강도까지도 터치키의 입력으로 활용함으로써, 터치키에 대한 접촉여부만을 터치키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종래에 비해서 터치키의 입력 방법을 보다 다양하게 하여 휴대단말기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키에 대한 눌림 강도의 정도를 휴대단말기의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피드백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키의 눌림 강도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관한 블록도로써, 본 발명에서 휴대단말기는 일반적인 휴대전화(Mobile Phone)를 포함하는 휴대가능한 전자제품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송수신부(23)는 RF부와 모뎀(MODEM)을 포함한다. RF부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모뎀(MODEM) 은 송신될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RF부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코덱(Codec)을 구성할 수 있으며, 코덱은 데이터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포함한다. 데이터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고, 오디오 코덱은 음성과 멀티미디어 파일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25)는 모뎀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를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모뎀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코덱은 별도로 구비되거나 제어부(10)에 포함될 수 있다.
키입력부(27)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27)는 터치센서 또는 압력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27)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메모리(3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표시부(50)는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이 때, 표시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50)는 터치스크 린(Touch Screen) 기능을 제공하여 키입력부(27)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을 통해 설명하는 본 발명의 키입력부(27)의 구성은 표시부(5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또는 구동모드를 전환 및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는 키입력부(27)을 통해 감지되는 키입력과 키입력의 눌림 강도를 통해서 휴대단말기의 동작(구동모드를 포함함)을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에 대한 제1 및 제2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에 대한 제3예시도이다. 이에 도 2 및 도 3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27)가 터치키에 대한 접촉 여부 이외에도 터치키에 대한 입력의 누름 강도까지도 감지함을 살펴보기로 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 2 및 도 3의 실시 예 중 어떠한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으나, 누름 감도를 정확히 감지한다는 측면에서는 별도의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도 2의 (a)가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일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는 제1 터치센서(27a) 및 압력센서(27b)를 포함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27)의 제1 터치센서(27a)는 정전용량방식(Capacitive Overlay)으로 구현되어 변경되는 정전용량을 통해 사용자의 키(즉, 터치키)에 대한 터치(Touch)를 감지한다. 도 2의 (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27)의 압력 센서(27b)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auge)방식의 로드셀(Load Cell)로써 사용자가 키를 터치하는 눌림 강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스트레인 게이지는 금속 전선이 앞뒤로 반복적으로 배치된 저항체로써, 길이 변화율(변형 율)과 저항의 변화율이 비례하는 특성을 갖는다. 스트레인 게이지는 이러한 변화율을 측정하고, 스테레인 게이지방식의 로드셀은 스트레인 게이지를 통해서 가해지는 압력(또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30)는 압력센서(27b)에 의해 감지되는 소정 수치 미만 또는 소정 수치 이상의 터치키 입력의 눌림 강도에 대한 기준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0)는 이 기준값을 참조하여 압력센서(27b)에 의해 감지되는 눌림 강도를 소정 수치 미만 또는 소정 수치 이상의 눌림 강도로 판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는 제1터치센서(27a) 및 제2터치센서(27c)를 포함한다. 도 2의 (b)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27)는 제1터치센서(27a)를 통해 사용자의 키에 대한 터치(예를 들어, 터치키 입력)를 감지하며, 제2터치센서(27c)를 통해 감지된 터치키 입력의 입력 강도(눌림 강도)를 감지한다. 즉, 도 2의 (b)에 도시된 키입력부는 도 2의 (a)에 도시된 키입력부에서 압력센서(27b)를 제2터치센서(27c)로 대체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정전용량방식의 터치센서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정전용량이 변경되는 방식으로써, 변경되는 정전용량의 정도에 따라 터치키 입력의 눌림 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30)는 제2터치센서(27c)에 의해 감지되는 정전용량의 변경 정도에 대응되어 터치키 입력의 눌림 강도를 소정 수치 미만 또는 소정 수치 이상의 눌림 강도로 판단하는 기준값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0)는 이 기준값을 참조하여 제2 터치센서(27c)에 의해 감지되는 눌림 강도를 소정 수치 미만 또는 소정 수치 이상의 눌림 강도로 판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사용자의 터치키 입력과 터치키 입력의 눌림 강도를 하나의 제1터치센서(27a)만을 통해 감지하는 것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는 사용자의 터치키 입력이 소정 수치 미만의 압력으로 발생된 것(예를 들어, 터치키에 대한 일반적인 터치에 해당)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도의 (a)에 도시된 제1터치센서(27a)는 키입력부의 다수의 키 중에서 어느 하나의 키가 입력되었음을(터치되었음을) 감지한다. 도 3의 (b)는 사용자의 터치키 입력이 소정 수치 이상의 압력으로 발생되어 도 3의 (a)에 비해 넓은 접촉면적으로 터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는 도 3의 (a)에 도시된 제1터치센서(27 a)에 비해 도3의 (b)에 도시된 제1터치센서(27a)의 정전용량이 보다 많이 변경되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30)는 도 3의에 도시된 제1터치센서(27a)에 의해 감지되는 정전용량의 변경 정도를 소정 수치 미만 또는 소정 수치 이상으로 판단하는 기준값을 저장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소정의 키가 입력되면(S401), 제어부(10)는 키입력부(27)의 제1터치센서를 통해 키입력을 감지하고(S402), 압력센 서를 통해 감지된 키입력의 눌림 강도를 감지한다(S40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터치키에 대한 입력(즉, 터치키 입력) 및 감지된 터치키 입력의 눌림 강도는 도 2의 (a), 도 2의 (b) 또는 도 3에 도시된 터치센서 또는 압력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0)는 키입력부(27)에 포함된 다수의 키 중에서 어떠한 키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고, 입력된 키의 눌림 강도(예를 들어, 약하게 또는 세게)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0)는 감지된 키입력과 키입력의 눌림 강도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S404).
터치키에 대한 키입력과 눌림 강도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예를 모두 열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간단한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키입력부(27) 중에서 숫자 '1'에 대응되는 키가 소정 수치 미만의 압력으로 눌려졌다면 제어부(10)는 숫자 '1'이 입력되도록 제어하고, 소정 수치 이상의 압력으로 눌려졌다면 숫자 '1'에 등록된 단축 다이얼링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어부(10)는 “홍길동”이란 통신 상대방에 대해서 통화키를 약하게(소정 수치 미만의 압력)누르면 문자작성모드로 진입하고, 통화키를 강하게(소정 수치 이상의 압력)누르면 호발신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터치키의 특성 때문에 소정 수치 미만의 압력으로 키입력을 했는지 소정 수치 이상의 압력으로 키입력을 했는지 사용자 스스로가 확인하는 것은 용이한 일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0)는 소정 수치 미만의 압력에 해당하는 키입력이 감지되면 진동부(미도시)가 약하게 진동되도록 제어하고, 소정 수치 이상 의 압력에 해당하는 키입력이 감지되면 진동부가 강하게 진동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키입력의 종류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으로부터 균등하게 대체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에 대한 제1 및 제2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부에 대한 제3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입력 과정에 대한 흐름도

Claims (12)

  1.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키에 대한 사용자의 키입력을 감지하는 제1터치센서와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를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감지된 키입력과 키입력의 눌림 강도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키입력 또는 키입력의 눌림 강도에 따라 진동부가 진동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감지된 키입력과 키입력의 눌림 강도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가 소정 수치 미만이면 상기 소정 수치 미만의 눌림 강도에 대응되게 상기 진동부가 진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가 소정 수치 이상이면 상기 소정 수치 이상의 눌림 강도에 대응되게 상기 진동부가 진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를 감지하는 제2터치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장치.
  5.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방법에 있어서,
    제1터치센서를 통해 상기 터치키에 대한 사용자의 키입력을 감지하고, 압력센서를 통해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키입력과 키입력의 눌림 강도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키입력과 키입력의 눌림 강도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가 진동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과정은,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가 소정 수치 미만이면, 상기 소정 수치 미만의 눌림 강도에 대응되게 상기 휴대단말기가 진동하는 과정과,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가 소정 수치 이상이면, 상기 소정 수치 이상의 눌림 강도에 대응되게 상기 휴대단말기가 진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를 감지하는 제2터치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방법
  9.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장치에 있어서,
    터치센서를 통해 상기 터치키에 대한 키입력과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를 감지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감지된 키입력과 키입력의 눌림 강도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감지된 키입력 또는 키입력의 눌림 강도에 따라 진동부가 진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가 소정 수치 미만이면 상기 소정 수치 미만의 눌림 강도에 대응되게 상기 진동부가 진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가 소정 수치 이상이면 상기 소정 수치 이상의 눌림 강도에 대응되게 상기 진동부가 진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장치.
  11.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방법에 있어서,
    터치센서를 통해 상기 터치키에 대한 키입력과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키입력과 키입력의 눌림 강도에 따라 상기 휴대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키입력 또는 키입력의 눌림 강도에 따라 휴대단말기가 진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과정은,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가 소정 수치 미만이면, 상기 소정 수치 미만의 눌림 강도에 대응되게 상기 휴대단말기가 진동하는 과정과,
    상기 키입력의 눌림 강도가 소정 수치 이상이면, 상기 소정 수치 이상의 눌림 강도에 대응되게 상기 휴대단말기가 진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입력 방법.
KR1020070069114A 2007-07-10 2007-07-10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90005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114A KR20090005796A (ko) 2007-07-10 2007-07-10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114A KR20090005796A (ko) 2007-07-10 2007-07-10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796A true KR20090005796A (ko) 2009-01-14

Family

ID=4048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114A KR20090005796A (ko) 2007-07-10 2007-07-10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7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036B1 (ko) * 2010-06-04 2011-06-23 오철규 4축형 로드셀을 이용한 무선리모트 컨트롤러
US9495536B2 (en) 2011-10-06 2016-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put
US9965168B2 (en) 2010-11-29 2018-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mode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036B1 (ko) * 2010-06-04 2011-06-23 오철규 4축형 로드셀을 이용한 무선리모트 컨트롤러
US9965168B2 (en) 2010-11-29 2018-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mode thereof
US10956028B2 (en) 2010-11-29 2021-03-23 Samsung Electronics Co. , Ltd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mode thereof
US9495536B2 (en) 2011-10-06 2016-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pu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86404B1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key input error prevention function
US7769353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n extended array sensor
CN101241397B (zh) 具有鼠标功能的键盘及其输入方法
CN107710115B (zh) 触控响应模组、键盘、触控装置、具反馈功能的触控设备
KR101572071B1 (ko) 휴대단말 표시부의 온/오프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1866766B (zh) 便携式终端
US808517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vibrating module
US6999586B2 (en) Mobile phone having a detachable keypad and the detachable keypad thereof
KR20090005796A (ko) 터치키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678390B1 (ko)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장치
CN110545351B (zh) 一种来电处理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6006296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10002173A (ko) 전기장 통신을 위한 통신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05269567A (ja) 携帯端末
JP4925628B2 (ja) 携帯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装置の制御方法
KR20100069531A (ko) 이동 단말의 파지 인지 방법 및 장치
KR101402199B1 (ko) 입력감지모드에 따른 입력 방법 및 휴대단말기
JP5213336B2 (ja) 携帯電話装置
JP5657481B2 (ja) 携帯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装置の制御方法
KR100762658B1 (ko) 휴대단말기에서 볼륨 조절 장치 및 방법
JP2013168762A (ja) 情報入力装置および情報入力方法
KR20080099107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KR2007000829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10118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볼륨 조절 장치 및 방법
KR2006006676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수평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