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9107A - 휴대 단말기에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9107A
KR20080099107A KR1020070084432A KR20070084432A KR20080099107A KR 20080099107 A KR20080099107 A KR 20080099107A KR 1020070084432 A KR1020070084432 A KR 1020070084432A KR 20070084432 A KR20070084432 A KR 20070084432A KR 20080099107 A KR20080099107 A KR 20080099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nsitivity
mode
touch pad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정
정희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117,25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80278454A1/en
Publication of KR20080099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1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의 대기 모드에서 표시부가 활성화 되면, 터치패드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표시부에 현재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현재 모드가 터치 감도모드로 선택되면, 메뉴 화면을 터치 감도 모드로 전환하여 터치 감도레벨을 표시하는 과정과, 표시된 터치 감도레벨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터치패드의 감도로 설정하는 과정 및 설정된 터치패드의 감도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터치패드의 감도로 터치패드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감도, 레벨, 메뉴, 아이콘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MOBILE PHONE AND METHOD FOR OPTIMIZING TOUCH SENSITIVITY}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터치패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터치스크린은 일종의 입력 장치로서 최근 휴대폰, 스마트 폰, 무인 현금 지급기, 팜 피씨(Palm PC), 휴대용 개인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예로는 전자수첩, 휴대폰, PDA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을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을 사용하여 접촉함으로써 사용자가 단말기에 명령이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들이 점점 소형화되고, 경량화되는 추세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크기 또한 그만큼 소형화되고, 경량화 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는 별도의 키보드를 구비할 필요 없이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경우에 따라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는 송수신 모듈이 내장되어 전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되는데,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통화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기존의 휴대 단말기에 익숙한 사용자들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가 통화와 관련된 모드로 진입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창이 화면이 표시된다. 이 때, 표시부(110)에는 다이얼을 위한 숫자 키 조합, 통화키, 취소키 및 종료키 등과 같이 통화와 관련된 기능 키들이 터치스크린(120)으로 나타난다.
그 이외에 휴대 단말기에는 스피커(100), 마이크(140)가 구비되며, 터치스크린(120)이 내장된 표시부(110)를 제공하며, 경우에 따라서 도면부호 130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하드웨어 버튼(130)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로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표시부(110)의 터치스크린(120)에 구비되는 해당 아이콘(icon)을 스타일러스 펜 또는 손으로 터치하여 전화번호 키, 통화키 등을 누름으로써 다이얼링을 시도하게 된다. 이러한 다이얼링 과정을 통해 상대방과 통화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터치스크린 방식은 터치에 의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며, 이러한 방식은 힘을 주어 버튼을 누르는 입력 방식이 아니라 기준 압력 또는 열 효과의 감지에 의한 입력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유전율이나 터치스크린의 압착정도에 따라 그 감도레벨의 차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터치스크린의 입력신호를 잘 인식하 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터치패드의 감도로 설정하여 최적화된 터치패드를 원활히 사용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대기 모드에서 표시부가 활성화 되면,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표시부에 현재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모드가 터치 감도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메뉴 화면을 터치 감도 모드로 전환하여 터치 감도레벨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터치 감도레벨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터치패드의 감도로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터치패드의 감도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터치패드의 감도로 터치패드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무선 송수신부(210), 데이터 처리부(220), 오디오 처리부(230), 표시부(240), 메모리(250), 키입력부(260), 터치패드(270), 제어부(280), 감도 조절부(290)를 포함한다.
무선 송수신부(210)는 휴대 단말기(200)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 송수신부(2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처리부(220)는 무선 송수신부(21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즉, 데이터 처리부(220)는 모뎀(MODEM) 및 코덱(COD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되며, 코덱들은 별도로 구비하거나 제어부(28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부(230)는 데이터 처리부(220)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신호를 데이 터 처리부(220)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24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200)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때,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240)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메모리(25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휴대 단말기(2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터치패드의 감도 레벨을 제어하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입력부(260)는 휴대 단말기(200)의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을 구비하며, 또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하여 입력하는 복수의 키를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해 눌러진 키입력을 소정의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80)에 제공한다.
터치패드(270)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되는 패널로서,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이 있으면 입력 신호를 제어부(280)로 출력한다. 또한, 터치패드(270)는 표시부(240)에 내장되어 있는 터치스크린일 수 있으며,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고, 이를 좌표로 변환하여 터치 키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터치패드(270)는 터치 센서를 이용한 키패드이며, 터치스크린을 통 한 입력은 입력 지점에서의 좌표, 압력 등을 이용하는데 반해 터치패드(270)를 통한 입력은 일반적인 키 입력과 동일하다.
제어부(280)는 휴대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터치패드(270)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터치패드(270)의 감도를 설정할 수 있는 전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구동된다.
이에 따라, 전용 프로그램은 터치패드(270)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해 있는 아이콘 또는 메뉴 등으로 표시부에 표시되며, 표시된 아이콘 또는 메뉴를 사용자에 의해 실행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터치패드(270)의 감도는 터치패드(270)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본으로 설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표시부(240)에 표시된 터치패드(270)의 감도레벨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터치패드(270)의 감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며(S470), 이후 설정된 터치패드(270)의 감도를 메모리(250)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되는 터치패드(270)의 레벨에 따라 감도 조절부(290)에서 기준레벨을 조절하도록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패드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상기 도 3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80)는 휴대 단말기(200)의 대기 모드에서(S400)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슬라이드를 다운시켜 상기 도 4a와 같이 상기 표시부(240)가 비활성화 되면(S410), 상기 터치패드(270)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비활성화 시킨 후 표시부(240) 기능으로 전환한다(S420).
상기 터치패드(270)가 상기 표시부(240) 기능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터치스크린부가 일반적인 서브 표시부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430).
즉,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표시부(240) 기능을 수행하는 터치패드(270)에 휴대 단말기(200)의 대기 모드에서 표시되는 기본 아이콘 또는 모닝 콜/알람 등과 같은 설정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호 발생 또는 문자 수신 시 상기 표시부(240) 기능을수행하는 터치패드(270)를 통해 이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도 4b와 같이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휴대 단말기(200)의 슬라이드를 업 시켜 상기 표시부(240)가 활성화되면, 상기 터치패드(270)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활성화 시키며, 상기 표시부(240)에 상기 대기 모드에서 해당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440).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뉴 화면을 도시한 제1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뉴 화면을 도시한 제2예시도이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기 모드에서 메뉴 모드(메뉴 키 등을 이용)로 진입하여 이전에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사용한 상위 메뉴 '화면'의 아이콘(61)과 그 하위 메뉴(평상시 화면, 배경화면 선택, 조명 설정, 터치 감도모드, 다이얼 디자인)의 아이콘(62 ~ 66)들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전화번호(67)과 메시지(68)은 상위 메뉴 '화면'의 아이콘(61)과 형제 메뉴들로서 각각 이전 메뉴이고 이후 메뉴이다.
또한, '조명 설정'의 아이콘(64)이 5개의 아이콘들 중 제일 중앙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크게(혹은 하이라이트) 표시되어 있으며, 그 아래에는 '조명 설정'이라고 글씨가 표시되는데 이것은 해당 아이콘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있음이 판단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상기 표시부(2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메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있지 않았음이 판단되면 기본으로 설정된 특정 모드를 상기 표시부(2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5b는 도 5a와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키 입력 "6"을 선택할 경우, 다음 항목인 "터치 감도모드 "을 표시하는 화면으로 바뀌는 것을 나타낸다. 이때 키 입력 "6"은 우 방향키의 역할을 한다. 그래서 도 5a의 화면과 비교하면, 하위 메뉴들 중 제일 좌측에 있던 '평상시 화면' 아이콘(62)이 없어지고 제일 우측에 '화면 밝기' 아이콘(70)이 새로 표시된다.
또한 '터치 감도모드' 아이콘(65)이 중앙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크게(혹은 하이이트) 표시되며, 해당 아이콘의 아래에는 터치 감도모드이라는 글자가 표시된다.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터치패드(270)의 아이콘 또는 키 입력부(260)의 키를 통해 터치 감도모드가 선택되면(S450), 이를 감지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를 터치 감도모드로 전환하며, 상기 표시부(240)에 해당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터치 감도 레벨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46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터치 감도모드'가 선택될 경우에 도 6(a)와 같이 터치 감도레벨(1단계~5단계)이 하위 메뉴 화면에 표시된다. 현재 하이라이트는 '2 단계' 항목에 위치하고 있다.
도 6(b)는 도6(a)와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키 버튼 "1"를 터치했을 때 하이라이트 위치가 바뀌는 것이 표시된다. 즉, '2 단계' 항목의 이전 항목인 '1 단계' 항목으로 하이라이트의 위치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c)는 도 6(a)와 같은 화면에서 사용자가 키 버튼 "3"을 터치했을 때 다음 항목으로 하이라이트가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2 단계' 항목의 다음 항목인 '3 단계' 항목으로 하이라이트의 위치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후 상기 제어부(280)는 표시된 터치 감도레벨(1단계~5단계)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터치패드(270)의 감도로 설정하도록 제어하며(S470), 이후 설정된 터치패드(270)의 감도를 메모리(250)에 저장함(S480)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터치패드(270)의 감도로 터치패드(270) 사용에 있어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터치패드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b는 상기 도 3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뉴 화면을 도시한 제1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메뉴 화면을 도시한 제2예시도

Claims (4)

  1. 휴대 단말기에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대기 모드에서 표시부가 활성화 되면,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과정과;
    상기 표시부에 현재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모드가 터치 감도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메뉴 화면을 터치 감도모드로 전환하여 터치 감도레벨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터치 감도레벨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터치패드의 감도로 설정하는 과정; 및
    상기 설정된 터치패드의 감도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의 대기 모드에서 상기 표시부가 비활성화 되면, 상기 터치패드의 터치스크린 기능을 비활성화 시킨 후 표시부 기능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모드가 특정 모드로 선택되면, 상기 메뉴 화면을 상기 특정 모드로 전환하여 설정되도록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도레벨은 각 단계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KR1020070084432A 2007-05-08 2007-08-22 휴대 단말기에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KR20080099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17,258 US20080278454A1 (en) 2007-05-08 2008-05-08 Method for setting touch sensitivity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4597 2007-05-08
KR20070044597 2007-05-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107A true KR20080099107A (ko) 2008-11-12

Family

ID=40286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432A KR20080099107A (ko) 2007-05-08 2007-08-22 휴대 단말기에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991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460A (ko) * 2010-04-09 2011-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WO2016208876A1 (ko) * 2015-06-26 2016-12-29 크루셜텍(주) 터치 검출 속도를 가변하는 터치 검출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3460A (ko) * 2010-04-09 2011-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WO2016208876A1 (ko) * 2015-06-26 2016-12-29 크루셜텍(주) 터치 검출 속도를 가변하는 터치 검출 장치 및 이의 터치 검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252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application switching
US7004394B2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invoking program by sign command and program invoking method therefor
US8988359B2 (en) Moving buttons
US8504946B2 (en) Portable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utomatically scrolling to display the top of an electronic document
KR100689522B1 (ko) 휴대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및 바로가기 제어 방법
US20140189584A1 (en) Method for switching applications in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JP5091180B2 (ja) 携帯端末装置
EP2366135B1 (en) Dual input keypad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207273A1 (en) Sliding-type mobile phone with a supplemental display secreen
WO2010087163A1 (ja) 入力装置
US20080129703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165145A1 (en)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Interpreting a Finger Swipe Gesture
KR20110028834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터치 압력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080278454A1 (en) Method for setting touch sensitivity in portable terminal
US20080238877A1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KR20140106801A (ko) 시각 장애인들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음성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1100008B1 (ko) 터치스크린을 통한 오동작 방지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JP2010231464A (ja) 電子機器
CN108604160A (zh) 触摸屏手势识别的方法及装置
KR20080099107A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터치 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KR101463804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0835962B1 (ko) 단말기의 입력신호 제어 방법
KR1006902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소프트 키보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US9426271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witching user interfaces and method thereof
JP2013229062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