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596A -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596A
KR20090005596A KR1020070068772A KR20070068772A KR20090005596A KR 20090005596 A KR20090005596 A KR 20090005596A KR 1020070068772 A KR1020070068772 A KR 1020070068772A KR 20070068772 A KR20070068772 A KR 20070068772A KR 20090005596 A KR20090005596 A KR 20090005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unit
temperature
switching valve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9161B1 (ko
Inventor
박석순
김재성
김성옥
Original Assignee
박석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석순 filed Critical 박석순
Priority to KR1020070068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161B1/ko
Publication of KR20090005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가열온도와 불꽃의 상태를 감지하여 연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므로 음식물의 조리에 가장 적합한 온도로서 조리할 수 있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외부의 연료공급부로부터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연료가 유입되는 입력부와 유입된 연료를 불꽃이 발생되는 장치에 공급하는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사이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유입된 연료를 출력부로 전달하되, 그 전달되는 양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전환밸브를 포함하는 본체와; 음식물을 가열하는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부에 배출되는 연료의 양을 제어하므로 설정된 음식물조리온도를 유지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한다.
음식물 조리장치, 부르스타, 가열장치, 온도비교

Description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및 방법{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본 발명은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음식물의 가열온도와 불꽃의 상태를 감지하여 가스등의 연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므로 음식물의 조리중에 적절한 온도를 자동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등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가스등의 연료밸브를 개방시킨 후, 공급되는 가스에 불꽃을 점화시켜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가열장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점화 및 불꽃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인 음식점에서 각각의 테이블에 설치되는 가열장치로서 가스부르스터의 사용예를 들어 설명한다.
종래의 가스부르스터는 각각의 테이블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되며, 각각의 부르스터는 별도로 설치된 가스공급장치에 연결되는 각각의 호스나 관등으로부터 가스가 공급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가스부르스터에 연결되는 호스나 관 등에 설치되어 가스의 유입을 차단 및 개방시키는 가스밸브를 개방시킨 뒤, 노브를 회전시켜 수동으로 점화시킨다.
따라서 종래의 가스부르스터는 상기 노브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점화불꽃으로 배출되는 가스가 연소되어 불꽃이 발생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노브를 회전시켜 배출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함에 따라 불꽃의 세기를 조절함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가스부르스터는 불꽃의 세기와 음식물의 조리과정을 사용자가 시각으로 확인하여 상기 노브를 회전시켜 불꽃의 세기를 조절한다. 즉, 종래의 가스부르스터는 수동조작에 의해 점화나 소화, 및 불꽃의 세기가 조절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삽겹살은 안착되는 불판의 온도에 따라서 구워지게 되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스부르스터를 사용시에는 수동으로 조작하기 때문에 과열된 온도에 의해 고기가 타거나, 너무 약한 온도로서 가열될 경우에는 고기가 익는 시간이 매우 느리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시각으로 고기의 익는 정도를 확인하여 고기를 뒤집지거나 또는 불꽃의 양을 조절하여 자신의 기호에 맞도록 불판의 가열온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종래의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는 사용자가 시각으로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확인하여 불꽃을 조절함에 따라 사용자의 주의를 필요로 하여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되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자동으로 불꽃의 점화 및 음식물을 가열시키는 온도를 감지하고, 가열시간 및 그 시간대별 적정온도를 자동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음식물이 타거나 조리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및 수동점화가 가능하며, 불꽃의 온도를 감지하여 연료를 공급하는 밸브를 조절하므로 감지된 온도에 따라 음식물을 가열하는 불꽃의 양을 조절하므로서 적정한 가열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의 최상의 조건으로서 설정된 시간대별 가열온도에 따라 가열시간 및 가열온도를 감지하여 불꽃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외부의 연료공급부로부터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연료가 유입되는 입력부와 유입된 연료를 불꽃이 발생되는 장치에 공급하는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사이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유입된 연료를 출력부로 전달하되, 그 전달되는 양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전환밸브를 포함하는 본체와; 음식물을 가열하는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부에 배출되는 연료의 양을 제어하므로 설정된 음식물조리온도를 유지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는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의 출구와 입구 사이에서 단계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의 입구와 출구를 차단 및 단계적으로 상호 연결시켜 상기 입력부에서 출력부로 전달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불꽃을 점화시키는 점화부와; 가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전환밸브를 단계적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와, 감지된 가열온도와 자동 또는 수동조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변환표시부와, 상기 점화부를 구동제어하고,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출력된 열감지신호와 설정된 가열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므로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연소되는 연료의 양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므로서 설정된 가열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자동조작 또는 수동조작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된 자동조작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설정된 온도와 감지된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전환밸브에 전달하는 기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는 일측끝단에서 수동으로 회전조작되는 노브와, 타측끝단에서 상기 기어에 맞물림되며, 상기 스위치부에서 수동조작으로 선택되면, 상기 노브의 회전에 따라서 구동되고, 상기 스위치부에서 자동조작으로 선택되면, 상기 기어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의 입구와 출구사이를 단계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조리시간의 경과를 카운트하여, 설정된 조리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최소양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있어서, 점화부를 제어하여 불꽃을 발생시키는 컨트롤러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연소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전환밸브를 포함하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구동신호가 수신되면, 전환밸브를 개방시켜 연료를 배출시키고, 상기 점화부를 구동시켜 배출된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단계와; 설정된 가열온도와 감지된 가열온도를 비교하여 설정된 가열온도 보다 감지된 온도가 높거나 낮음에 따라 배출되는 연료의 양을 증감시키도록 제어하여 가열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는 온도감지단계와; 설정된 조리시간과 경과된 시간을 비교하는 카운트단계와; 상기 카운트단계에서 설정된 조리시간이 경과되면, 배출되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여 불꽃을 소화시키는 소화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화단계는 구동신호가 수신되면, 시각 또는 알람으로서 구동시작을 표시하는 단계와; 일정시간동안 상기 점화부를 온시키고, 상기 점화부의 정상동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점화부가 정상동작되면,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최대화력에 필요한 연료양 이하의 연료를 공급하는 단계와; 연료가 공급되면, 불꽃이 점화되는 지를 확인하는 불꽃점화확인단계와; 상기 불꽃점화판단단계에서, 불꽃이 점화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최대 공급가능한 양에 해당되는 연료를 공급하는 전환밸브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의 정상동작판단계는 상기 점화부가 정상동작되지 않으면,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점화부를 온시키고 정상동작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불꽃점화확인단계는 불꽃이 점화되지 않으면,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상기 점화부를 온시키고, 불꽃의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 제어단계는 상기 전환밸브가 온되면, 불꽃을 감지하여 불꽃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연료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단계는 상기 전환밸브 제어단계에서, 불꽃이 감지되면, 음식물의 가열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와 비교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비교판단단계에서, 감지된 가열온도가 설정된 온도로서 유지되도록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연소되는 연료의 양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단계는 상기 카운트단계에서 설정된 조리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연소되는 연료의 양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료감소단계이후, 종료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여 종료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연료를 차단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가열온도와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설정된 온도로서 가열온도를 유지하므로 각 종류별 음식물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조리될 수 있으며, 아울러 자동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매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꽃을 감지하여 연료를 공급하는 것을 제어하므로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는 연료공급 및 배출 구성이 구비된 본체(20)와, 연료공급량을 제어 및 음식물의 가열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재(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는 하우징등의 구성의 내측에서 외부로부터 연료가 공급되는 관이나 호스등 기타 연결부재가 체결되는 입력노즐(26)과, 상기 입력노즐(26)로부터 유입되는 연료를 음식물이 담긴 조리기구의 하단으로 배출시키되, 배출되는 연 료의 양을 조절하는 전환밸브(23)와, 상기 입력노즐(26)에서 상기 전환밸브(23)로 연료를 전달하는 입력부(21)와, 상기 전환밸브(23)에서 상기 연료가 연소되는 구성으로 전달하는 출력부(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체(20)는 후술되는 모터(15)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전환밸브(23)를 전환시키는 제1 및 제2기어(23, 24)와, 후술되는 스위치부(16)에서 수동선택시에 상기 제1 및 제2기어(23, 24)와 상기 전환밸브(23)의 연결상태를 해제시키는 수동변환축(241)과, 상기 수동변환축(241)의 끝단에서 상기 제2기어(24)와 맞물리는 기어연결단(242)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노즐(26)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나 액체연료등이 공급되는 관이나 호스등이 연결되며, 상기 본체(2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입력부(21)는 상기 입력노즐(26)과 상기 전환밸브(23)를 연결하며 상기 입력노즐(26)을 통해 유입되는 가스등의 연료를 전달한다. 상기 출력부(22)는 상기 입력부(21)의 출구와 일정 간격을 갖고 떨어진 위치에 입구가 형성되며, 출력부의 출구는 상기 음식물이 담긴 조리기구의 하단으로 연료가 분사되어 연소되도록 조리기구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전환밸브(23)는 상기 입력부(21)의 출구와 상기 출력부(22)의 입구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시키도록 연료전달공(231)이 형성되는 연결축(2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축(232)은 일측에서는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노브(25)가 연결되고, 타측끝단은 상기 제2기어(24)에 맞물림되어 상기 노브(25) 또는 상기 제2기어(24)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연료전달공(231)은 상기 노브(25) 또는 상기 제2기어(24)에 의해 단계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입력부(21) 와 출력부(22) 사이를 연결 또는 차단시킨다. 이때 상기 연료전달공(231)은 상기 연결축(232)의 회전범위에 따라 상기 입력부(21)의 출구와 상기 출력부(22)의 입구사이를 전체 면적의, 예를들면, 10%, 30%, 70%, 100%의 범위만큼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 수동연결축(232)은 하기의 스위치부(16)에서 수동조작으로 선택되면, 구동되어 상기 제2기어(24)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상기 기어연결단(242)은 상기 수동연결축(232)의 끝단에서 상기 제2기어(24)와 연결되어 상기 제2기어(24)를 이동시켜 상기 연결축(232)과 상기 제2기어(24)를 연결 또는 해제시킨다.
상기 제어부재(1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에서 제어부재(10)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재(10)는 감지된 온도와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전환밸브(23)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1)와, 상기 컨트롤러(11)의 제어에 의해 불꽃을 발생시키는 점화부(12)와, 수동 또는 자동상태와 현재온도 및 조리시간등을 표시하는 상태변환표시부(13)와, 음식물이 담겨진 고기굽는 불판이나 냄비등에 가해지는 가열온도 및 상기 점화부(12)의 불꽃과 상기 점화부(12)에 의한 불꽃으로 연료에 점화된 불꽃을 온도로서 감지하는 온도감지부(14)와, 상기 전환밸브(23)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5)와, 수동조작 또는 자동조작선택신호와 가열장치의 온 또는 오프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16)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러(11)는 자체 메모리를 통해 각각의 음식물에 적합한 가열온도 및 조리시간에 대한 데이타가 저장되며, 자체 타이머를 통해 경과된 시간을 카운트 하며, 상기 온도감지부(14)에서 감지된 온도와 설정된 가열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전환밸브(23)를 제어하여 연소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므로 가열온도를 설정된 온도로서 설정된 시간만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점화부(12)는 상기 컨트롤러(11)의 제어에 의해 온되어 상기 출력부(22)를 통해 출력되는 연료에 불꽃을 발생시켜 상기 연료를 점화시킨다.
상기 상태변환표시부(13)는 상기 컨트롤러(11)의 제어에 의해 현재 가열온도와 경과된 조리시간을 표시하며, 아울러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를 표시한다.
상기 온도감지부(14)는 상기 점화부(12)에 의해 발생된 불꽃으로 연료가 점화되면, 상기 음식물의 조리기구에 가해지는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11)에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부(14)는 불꽃의 온도를 감지하므로 연료가 연소되는 불꽃의 발생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11)에 그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모터(15)는 상기 컨트롤러(11)의 제어에 따라 회전력을 발생시키며, 이때 발생된 회전수는 상기 전환밸브(23)의 연결축(232)의 회전범위에 따라 각각 차이가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11)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된다. 아울러 상기 모터(15)는 회전축으로서 상기 제1기어(23)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을 통해 회전력을 상기 제1기어(23)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15)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은 상기 제1기어(23)에서 제2기어(24), 상기 제2기어(24)에서 상기 연결축(232)으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상기와 같은 구성의 작용설명은 도 3 내지 도 6의 순서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의 구동방법은 구동신호가 수신되면, 전환밸브(23)를 개방시켜 연료를 배출시키고, 상기 점화부(12)를 구동시켜 배출된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단계(S100)와, 설정된 가열온도와 감지된 가열온도를 비교하여 설정된 가열온도보다 감지된 온도가 높거나 낮음에 따라 배출되는 연료의 양을 증감시키도록 제어하여 가열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는 온도감지단계(S200)와, 설정된 조리시간과 현재시간을 비교하는 카운트단계(S300)와, 상기 카운트단계(S300)에서 설정된 조리시간이 경과되면, 배출되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여 불꽃을 소화시키는 소화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점화단계(S100)는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부(16)를 통하여 자동모드를 선택하고, 가열장치의 구동온스위치를 선택하면, 상기 스위치부(16)에서 자동모드선택신호 및 온신호가 상기 컨트롤러(11)에 인가되며,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상기 스위치부(16)의 선택신호와 온신호에 따라 상기 전환밸브(23)를 제어하여 연료를 배출시키고, 상기 점화부(12)를 구동온시켜 상기 배출된 연료를 점화시켜 불꽃을 발생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온도감지단계(S200)는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상기 온도감지부(14)에서 감지된 가열온도와 설정된 가열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전환밸브(23)를 제어하여 연소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므로 상기 음식물에 가해지는 가열온도가 설정된 온도로 유지되는 단계이다.
상기 카운트단계(S300)는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음식물의 조리시간을 카운트하고, 설정된 조리시간과 경과된 시간을 비교하여 조리완료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소화단계(S400)는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조리시간을 카운트하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전환밸브(23)를 제어하여 연소되는 연료의 양을 감소시키고, 상기 스위치부(16)에서 종료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환밸브(23)를 제어하여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하여 조리기구에 가해지는 불꽃을 소화시키는 단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의 구동방법에서 점화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점화단계는 구동온신호를 수신하는 구동단계(S101)와, 상기 점화부(12)가 온되는 점화부온단계(S102)와, 상기 점화부(12)의 구동상태를 감지하여 정상동작유무를 확인하는 점화부확인단계(S103)와, 상기 점화부(12)가 정상동작되지 않으면 일정시간동안 점화부(12)를 오프시키는 점화부오프단계(S104)와, 상기 점화부(12)를 일정횟수동안 반복시켜 온시키는 점화부반복구동단계(S105)와, 상기 점화부(12)의 반복구동이 안되면 고장표시 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점화부고장표시단계(S105)와, 상기 점화부확인단계(S103)에서 점화부(12)가 정상동작되면, 전환밸브(23)를 온시켜 공급가능한 연료의 최대양에서 예를들면, 30%의 양이 공급되도록 상기 입력부(21)와 출력부(22)의 연결시키는 전환밸브 제1제어단계(S107)와, 상기 점화부(12)의 구동에 의해 배출된 연료가 연소되는 지를 확인하 는 제1불꽃감지단계(S108)와, 상기 제1불꽃감지단계(S108)에서 정상불꽃이 발생되지 않으면 점화부(12)와 전환밸브(23)를 일정시간동안 오프시키는 단계(S109)와, 상기 전환밸브(23)를 반복적으로 수 회 온 시켜 상기 전환밸브(23)의 온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110)와, 상기 전환밸브(23)의 수 회 반복 이후에 상기 전환밸브(23)의 구동상태를 확인하는 전환밸브반복구동단계(S110)와, 상기 전환밸브반복구동단계(S110)에서 상기 전환밸브(23)가 정상구동되지 않을때, 고장 표시 및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전환밸브 고장표시단계(S113)와, 상기 제1불꽃감지단계(S108)에서 정상불꽃이 발생됨을 감지하면, 상기 점화부(12)를 오프시키는 점화부오프단계(S111)와, 상기 점화부오프단계(S111) 이 후, 상기 전환밸브(23)를 온하여 최대 공급가능한 연료를 공급케하는 전환밸브 제2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온단계(S101)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부(16)를 조작하여 자동모드를 선택하고, 이후 구동온스위치를 선택하면, 상기 스위치부(16)에서 출력된 선택신호가 상기 컨트롤러(11)에 인가된다.
상기 점화부온단계(S102)는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상기 스위치부(16)의 온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점화부(12)를 제어하여 구동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점화부확인단계(S103)는 상기 온도감지부(14)에서 상기 점화부(12)에서 발생된 불꽃을 감지하여 이를 상기 컨트롤러(11)에 인가하고,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상기 점화부(12)에서 발생되는 불꽃의 정상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점화부오프단계(S104)는 상기 점화부확인단계(S102)에서 상기 컨트롤러(11)가 상기 점화부(12)의 불꽃이 비정상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점화부(12)를 일 정시간동안(예를들면, 1초) 오프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점화부 반복구동단계(S105)는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상기 점화부(12)를 일정시간동안 수회(예를 들면, 5회) 반복적으로 온 오프시켜 구동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장표시단계(S106)는 상기 점화부반복구동단계(S105)에서 상기 점화부(12)가 반복적으로 온오프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고장표시 및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11)는 상기 점화부(12)의 구동상태를 확인하여 고장으로 확인되면, 상기 상태변환표시부(13)를 제어하여 상기 점화부(12)의 고장유무를 표시한다.
상기 전환밸브 제1제어단계는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상기 점화부(12)가 정상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모터(15)를 구동시켜 상기 연결축(232)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입력부(21)와 출력부(22)의 개방된 정도를 최대 개방치에서 30%정도, 즉 최대 공급가능한 연료량의 30%가 공급될수 있을 정도의 면적만을 서로 연결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1불꽃감지단계(S108)는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상기 점화부(12)의 구동에 의한 불꽃이 상기 출력부(22)를 통해 배출되는 연료를 점화시켜 불꽃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한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온도감지부(14)는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컨트롤러(11)에 출력하며, 상기 컨트롤러(11)는 상기 온도감지부(14)에서 인가된 온도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연료가 연소되어 발생된 불꽃의 유무를 판단한다.
상기 전환밸브 오프단계(S109)는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상기 제1불꽃감지단 계(S108)에서 정상불꽃이 발생되지 않음을 판단하여 상기 점화부(12)와 상기 전환밸브(23)를 일정시간동안(예를들면, 1초) 오프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전환밸브 반복구동단계(S110)는 상기 전환밸브(23)를 반복적으로 수회(예를들면 5회)온시켜 정상동작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상기 고장표시단계(S111)는 상기 전환밸브(23)의 반복구동단계(S110)에서 상기 전환밸브(23)가 정상 동작되지 않으면,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상기 상태변환표시부(13)를 제어하여 상기 전환밸브(23)의 고장을 표시 및/또는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전환밸브 제2제어단계(S112)는 상기 제1불꽃감지단계(S108)에서 상기 컨트롤러(11)가 상기 온도감지부(14)의 감지신호를 통해 정상불꽃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환밸브(23)를 제어하여 최대 연료량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부(21)와 상기 출력부(22)를 연결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상기 전환밸브(23)는 상기 컨트롤러(11)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 모터(15)에서 발생된 회전력이 상기 제1 및 제2기어(23, 24)를 통해 전달되면, 상기 입력부(21)의 출구와 출력부(22)의 입구에 상기 연료전달공(231)이 완전히 일치되도록 상기 연결축(232)이 회전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의 구동방법에서 온도감지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온도감지단계(S200)는 정상불꽃의 유무를 확인하는 제2불꽃 감지단계(S201)와, 상기 제2불꽃감지단계(S201)에서 정상불꽃이 발생되지 않으면, 전환밸브(23)를 제어하여 연료를 차단시키는 전환밸브 제3제어단계(S202)와, 상기 제2불꽃감지단계(S201)에서 정상불꽃이 발생 된 것으로 확인되면, 설정온도와 감지된 가열온도를 비교하는 온도비교단계(S203)와, 상기 온도비교단계(S203)에서 감지된 가열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으면, 전환밸브(23)를 조절하여 최대 연료를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전환밸브 제3제어단계(S204)와, 상기 온도비교단계(S203)에서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전환밸브(23)를 제어하여 연료공급량을 감소시키므로 불꽃의 세기를 감소시켜 온도를 낮추는 전환밸브 제4제어단계(S205)를 포함한다.
상기 제2불꽃감지단계(S201)는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상기 온도감지부(14)의 온도감지신호를 통해 연료가 연소 되어 발생된 불꽃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러(11)는 상기 온도감지부(14)에서 감지된 현재온도신호를 수신하고, 설정된 온도와 비교하여 정상불꽃의 범위내에 해당되는 온도에 도달되지 않으면 정상불꽃이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전환밸브 제3제어단계(S202)는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상기 제2불꽃감지단계에서 정상불꽃이 발생 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전환밸브(23)를 제어하여 배출되는 연료를 차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연소되지 않은 연료에 의한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온도비교단계(S203)는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상기 온도감지부(14)를 통해 감지된 가열온도와 설정된 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를 비교판단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설정온도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적절하게 선택 및 조절하 여 입력한 데이타로서 상기 컨트롤러(11)의 자체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이다.
상기 전환밸브 제3제어단계(S204)는 상기 온도비교단계(S203)에서 감지된 가열온도가 설정된 가열온보다 낮으면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상기 전환밸브(23)를 제어하여 현재 공급되는 연료의 최대 양으로 증가되도록 하여 불꽃의 세기를 증가시키므로 가열온도를 증가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전환밸브 제4제어단계(S205)는 상기 온도비교단계(S203)에서 감지된 가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컨트롤러(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환밸브(23)가 현재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감소시켜 불꽃의 세기를 감소시키므로 현재 가열온도를 상기 설정온도로 유지시키는 단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의 구동방법에서 소화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소화단계(S400)는 상기 카운트단계(S300)에서 상기 컨트롤러(11)가 설정된 조리시간이 경과됨을 확인한 후, 불꽃의 정상유무를 감지하는 제3불꽃감지단계(S401)와, 상기 제3불꽃감지단계(S401)에서 정상불꽃이 감지되면, 상기 전환밸브(23)를 제어하여 최소 연료가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전환밸브 제5제어단계(S402)와, 상기 전환밸브 제5제어단계(S402) 이후, 종료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는 종료신호확인단계(S403)와, 상기 종료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환밸브(23)를 제어하므로 상기 입력부(21)와 출력부(22)를 완전차단하여 연료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전환밸브 제6제어단계(S40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화단계(S400)는 상기 제3불꽃감지단계(S401)에서 정상불꽃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전환밸브(23)를 제어하여 연료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3불꽃감지단계(S401)는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상기 온도감지부(14)의 온도감지신호에 따라서 연료가 연소되어 발생된 불꽃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이며, 상기 전환밸브 제5제어단계(S402)는 상기 제3불꽃감지단계(S401)에서 상기 컨트롤러(11)가 상기 온도감지부(14)를 통해 감지된 온도를 확인하여 정상불꽃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모터(15)를 제어하여 상기 전환밸브(23)를 오프시켜 연료의 배출을 차단한다.
상기 전환밸브(23) 제4제어단계는 상기 제3불꽃감지단계에서 상기 컨트롤러(11)가 정상불꽃으로 판단하면, 상기 컨트롤러(11)가 상기 모터(15)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전환밸브(23)를 제어하여 연소되는 연료의 양을 최소로 하도록 연료공급량을 감소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종료신호확인단계(S403)는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상기 스위치부(16)로부터 종료신호가 인가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상기 상태변환표시부(13)를 통하여 조리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하고, 상기 스위치부(16)에서 종료스위치를 선택하여 스위칭한다. 그러므로 상기 컨트롤러(11)는 상기 스위치부(16)에서 인가되는 종료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전환밸브 제6제어단계(S404)는 상기 컨트롤러(11)에서 상기 스위치부(16)에서 종료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모터(15)를 구동제어하여 상기 연결축(232)을 회전시키므로 상기 입력부(21)의 출구와 출력부(22)의 입구를 차단시키므로 연소되는 연료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단계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리기구에 담겨진 음식물을 자신의 기호에 따라 조리가능하며, 특히 고기의 경우에는 적절한 온도와 시간으로서 불판을 가열할 수 있기 때문에 고기가 타거나 또는 익히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에서 제어부재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의 구동방법에서 점화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의 구동방법에서 온도감지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의 구동방법에서 소화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재 11 : 컨트롤러
12: 점화부 13 : 상태변환표시부
14 : 온도감지부 15 : 모터
16 : 스위치부 20 : 본체
21 : 입력부 22 : 출력부
23 : 전환밸브 23 : 제1기어
24 : 제2기어 25 : 노브
26 : 입력노즐 231 : 연료전달공
232 : 연결축 241 : 수동변환축
242 : 기어연결단

Claims (14)

  1. 하우징으로 외부의 연료공급부로부터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연료가 유입되는 입력부와 유입된 연료를 불꽃이 발생되는 장치에 공급하는 출력부와,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 사이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출력된 연료를 출력부로 전달하되, 그 전달되는 양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전환밸브를 포함하는 본체와;
    음식물을 가열하는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출력부에 배출되는 연료의 양을 제어하므로 설정된 음식물조리온도를 유지하는 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는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의 출구와 입구 사이에서 단계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의 입구와 출구를 차단 및 단계적으로 상호 연결시켜 상기 입력부에서 출력부로 전달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불꽃을 점화시키는 점화부와;
    가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상기 전환밸브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감지된 가열온도와 자동 또는 수동조작상태를 표시하는 상태변환표시부와;
    상기 점화부를 구동제어하고,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출력된 열감지신호와 설정된 가열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므로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연소되는 연료의 양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자동조작 또는 수동조작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위치부에서 출력된 자동조작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설정된 온도와 감지된 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전환밸브에 전달하는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어는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환밸브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는
    일측끝단에서 수동으로 회전조작되는 노브와, 타측끝단에서 상기 기어에 맞 물림되어,
    상기 스위치부에서 수동조작으로 선택되면, 상기 노브의 회전에 따라서 구동되고,
    상기 스위치부에서 자동조작으로 선택되면, 상기 기어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입력부와 출력부의 입구와 출구사이를 단계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조리시간의 경과를 카운트하여, 설정된 조리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최소양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8. 점화부를 제어하여 불꽃을 발생시키는 컨트롤러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연소되는 연료의 양을 조절하는 전환밸브를 포함하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구동신호가 수신되면, 전환밸브를 개방시켜 연료를 배출시키고, 상기 점화부를 구동시켜 배출된 연료를 점화시키는 점화단계와;
    설정된 가열온도와 감지된 가열온도를 비교하여 설정된 가열온도 보다 감지된 온도가 높거나 낮음에 따라 배출되는 연료의 양을 증감시키도록 제어하여 가열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는 온도감지단계와;
    설정된 조리시간과 현재 시간을 비교하는 카운트단계와;
    상기 카운트단계에서 설정된 조리시간이 경과되면, 배출되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여 불꽃을 소화시키는 소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조리용 가열장치 구동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단계는
    구동신호가 수신되면, 시각 또는 알람으로서 구동시작을 표시하는 단계와;
    일정 시간동안 상기 점화부를 온시키고, 상기 점화부의 정상동작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점화부가 정상동작되면,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공급가능한 최대 양 이하의 연료를 공급하는 단계와;
    연료가 공급되면, 불꽃이 점화되는 지를 확인하는 불꽃점화확인단계와;
    상기 불꽃점화판단단계에서, 불꽃이 점화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최대 공급할 수 있는 양에 해당되는 연료를 공급토록 전환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부의 정상동작판단계는
    상기 점화부가 정상동작되지 않으면,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점화부를 온시키고 정상동작유무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불꽃점화확인단계에서,
    불꽃이 점화되지 않으면,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적으로 상기 점화부를 온시키고, 불꽃의 발생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밸브 제어단계에서,
    상기 전환밸브가 온되어 연료가 공급된 이후, 불꽃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단계는
    상기 전환밸브온단계에서, 불꽃이 감지되면, 음식물의 가열온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온도와 비교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온도비교판단단계에서, 감지된 가열온도가 설정된 온도로서 유지되도록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연소되는 연료의 양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단계는
    상기 카운트단계에서 설정된 조리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 여 연료의 양을 감소시켜 불꽃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연료감소단계이후, 종료신호가 수신되는 지를 판단하여 종료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전환밸브를 제어하여 연료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KR1020070068772A 2007-07-09 2007-07-09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및 방법 KR100909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772A KR100909161B1 (ko) 2007-07-09 2007-07-09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772A KR100909161B1 (ko) 2007-07-09 2007-07-09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596A true KR20090005596A (ko) 2009-01-14
KR100909161B1 KR100909161B1 (ko) 2009-07-23

Family

ID=40487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772A KR100909161B1 (ko) 2007-07-09 2007-07-09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970B1 (ko) 2018-08-10 2020-09-10 김은정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유도가열방식 다용도 가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6097B2 (ja) * 1997-07-22 2002-09-17 大阪瓦斯株式会社 炎監視装置及び加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161B1 (ko) 2009-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0178A (ko) 소화망각방지 기능을 갖는 렌지
JP2017003244A (ja) 加熱調理器
KR20130059585A (ko) 가스레인지의 조리기구 감지에 따른 화력 자동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413983B1 (ko) 가스레인지의 노브 위치 자동 판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과열방지 제어방법
TWM584874U (zh) 瓦斯爐自動熄火安全裝置
KR101166904B1 (ko) 중화 렌지용 컨트롤러
KR100909161B1 (ko) 음식물 조리용 가열장치 및 방법
KR100851349B1 (ko) 예열기능을 가지는 컨베이어 가스오븐레인지 및 제어방법
KR200300060Y1 (ko) 가스레인지
JPH1123056A (ja) 温水供給装置
KR101174196B1 (ko) 간텍기 렌지
JP2618105B2 (ja) 燃焼機器の点火制御装置
KR100619168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점화제어방법
KR100679246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가스 오사용에 따른 제어방법
JP2537774B2 (ja) ガス器具のガス供給制御装置
JP2563758B2 (ja) ガス調理器
JP2563757B2 (ja) ガス調理器
JP2011038696A (ja) 加熱調理器
JP2001108240A (ja) ガス調理器
JP2006064239A (ja) 換気連動装置と調理装置
JP2000304350A (ja) 給湯機
JPH0754178B2 (ja) ガス調理器
KR100202103B1 (ko) 가스오븐렌지의 원격제어방법
JPH06317331A (ja) 自動調理器
JP2022086426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