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817A -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수행 방법 및 그를 위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수행 방법 및 그를 위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817A
KR20090004817A KR1020080117407A KR20080117407A KR20090004817A KR 20090004817 A KR20090004817 A KR 20090004817A KR 1020080117407 A KR1020080117407 A KR 1020080117407A KR 20080117407 A KR20080117407 A KR 20080117407A KR 20090004817 A KR20090004817 A KR 20090004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
output
command
platform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1911B1 (ko
Inventor
전범진
조현철
김택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7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1911B1/ko
Publication of KR20090004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1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2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describing content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e.g. audio video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수행 방법 및 그를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는 통신 수행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디바이스에서 출력 제어를 위한 통신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가 지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 및 출력 형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를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영역, 출력 형식 및 출력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 정보를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Figure P1020080117407
무선 네트워크, WVAN, wireless HD, control protocol, report command

Description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수행 방법 및 그를 위한 디바이스{Metho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s and device thereof in a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수행 방법 및 그를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가정 또는 소규모 직장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 비교적 적은 수의 디지털 기기들 간에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기기들 간에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사설망(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WPAN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비교적 적은 수의 디지털 기기들 사이에 정보를 교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디지털 기기들 사이에 저전력 및 저비용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무선 기술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디바이스들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과 같은 선을 없애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디바이스들간의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디바이스와 디바이스 사이에 직접적으로 데이터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는 컴퓨터, PDA, 노트북, 디지털 TV,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마이크, 스피커, 헤드셋, 바코드 판독기, 디스플레이, 휴대폰 등이 있으며 모든 디지털 기기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들을 각각 제어하는 것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의미를 감축시킬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면 자원의 낭비하게 되고 사용자에게도 불편함을 준다. 따라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들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종래의 방법은 현존하는 모든 디바이스들과 상기 디바이스들의 각 기능들에 대해 하나하나 대응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네트워크에 포함된 특정 디바이스가 사용자가 전송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제어 입력에 따라 기 설정된 제어 신호를 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여 상기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를 대행한다. 상기 특정 디바이스가 전송하는 제어 신호는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다른 디바이스 사이에 미리 설정 또는 약속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복잡하고 호환성이 보장되기에도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제어 신호가 제한되는 한계가 있다. 나아가,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디바이스가 출현하거나,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새로운 디바이스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복잡한 과정이 요구되거나, 상기 새로운 디바이스나 기능에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에서 원활한 무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새로운 디바이스의 출현에도 쉽게 대응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의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를 할 수 있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TV) 및 간단한 제어 프로토콜을 통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른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알리고자 하는 정보를 수신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디바이스를 '플랫폼 디바이스(platform device)'라고 정의한다.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에 대한 기본 정보, 제어 정보 등을 수신하여 화면의 일정 부분에 출력하고, 사용자 장치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상기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즉, 사용자와 다른 디바이스를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하여 다른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간단한 제어 신호는 다른 디바이스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다른 디바이스들이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의 일정 출력 화면 영역을 할당받아 할당받은 영역 내에서는 자유롭게 원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바이스들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는 통신 수행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디바이스에서의 통신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가 지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 및 출력 형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를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영역, 출력 형식 및 출력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 정보를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는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특정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가 지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 및 출력 형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를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영역, 출력 형식 및 출력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 정보를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을 통해 장치들 간의 연결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 수행시 간단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새로운 디바이스의 출현에 도 간단한 방법으로 대응할 수 있어 상기 새로운 디바이스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구성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무선 네트워크의 일종인 WVAN(Wireless Video Area Network)에 적용된 예들이다. WVAN은 60GHz대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10m 이내의 근거리에서 1080p A/V 스트림을 압축 없이 전송할 수 있도록 4.5Gbps 이상의 쓰루풋(throughput)을 제공할 수 있는 wireless HD(WiHD)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 네트워크이다.
도 1은 다수의 디바이스로 구성된 WVAN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WVAN은 일정한 공간에 위치한 디바이스들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상기 WVAN은 둘 이상의 디바이스(10~14)로 구성되며 상기 디바이스 중 하나는 조정기(coordinator)(10)로 동작한다. 상기 조정기(10)는 상기 디바이스들간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함에 있어서, 소정의 무선 자원을 다수의 디바이스들이 충돌없이 공유하기 위해서 상기 무선 자원을 할당하고 스케줄링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상기 조정기는 상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디바이스들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자원을 할당하는 기능 외에도, 보통의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클록 동기(clock synchronization), 네트워크 가입(association), 대역폭 자원 유지(maintaining bandwidth resource) 등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WVAN은 두 종류의 물리계층(PHY)을 지원한다. 즉, WVAN은 물리계층으로서 HRP(high-rate physical layer)와 LRP(low-rate physical layer)를 지원한다. HRP는 1Gb/s 이상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있는 물리계층이고, LRP는 수 Mb/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물리계층이다. HRP는 고지향성(highly directional)으로 유니캐스트 연결(unicast connection)을 통해 등시성(isochronous) 데이터 스트림, 비동기 데이터, MAC 명령어(command) 및 A/V 제어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LRP는 지향성 또는 전방향성(omni-directional) 모드를 지원하며 유니캐스트 또는 방송을 통해 비컨, 비동기 데이터, 비컨을 포함하는 MAC 명령어 전송 등에 이용된다. HRP 채널과 LRP 채널은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며 TDM 방식에 의해 구분되어 사용된다. HRP는 57-66 GHz 대역에서 2.0 GHz 대역폭의 네 개의 채널을 사용하며, LRP는 92 MHz 대역폭의 세 개의 채널을 사용한다.
도 2는 WVAN에서 사용되는 슈퍼 프레임(superframe)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각 수퍼프레임은 비컨(beacon)이 전송되는 영역(20)과, 예약된 채널 타임 블록(reserved channel time block)(22) 및 예약되지 않은 채널 타임 블록(21)(unreserved channel time block)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각각의 채널 타임 블록들은 HRP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는 영역(HRP 영역)과, LRP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는 영역(LRP 영역)으로 시분할(time division)된다. 상기 비컨(beacon)(20)은 매 슈퍼 프레임의 도입부를 식별하기 위해서 상기 조 정기에 의해서 주기적으로 전송된다. 상기 비컨은 스케줄링된 타이밍 정보 WVAN의 관리 및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비컨에 포함된 타이밍 정보 및 관리/제어 정보 등을 통해서 상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있다. 상기 HRP 영역은 디바이스의 채널 시간 할당 요청에 따라 조정기가 채널 시간을 할당함으로써 할당받은 디바이스가 다른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긴급한 제어/관리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서 비컨 다음으로 위치한 경쟁 기반 제어 구간(contention-based control period: CBCP)을 포함한다. 상기 CBCP의 구간 길이는, 일정 임계치(mMAXCBCPLen)를 설정하고 상기 임계치를 넘지 않도록 설정된다.
도 3은 WVAN의 디바이스에 구현된 프로토콜 계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WVAN에 포함된 각 디바이스의 통신 모듈은 그 기능에 따라서 적어도 2개 이상의 계층(layer)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PHY 계층(31)과 MAC 계층(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바이스의 통신 모듈은 상기 각 계층을 관리하는 개체를 포함하는데 상기 MAC 계층을 관리하는 개체를 MLME(MAC Layer Management Entity)(300), 상기 PHY 계층을 관리하는 개체를 PLME(PHY Layer Management Entity)(310)라고 한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은 각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호스트와 무선 디바이스 간의 제어 통로(interface) 역할을 하는 디바이스 관리 개체(device management entity: DME)(320)를 포함한다. 상기 서로 다른 계층 간에 주고 받는 메시지를 프리미티브(primitive)라고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차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 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차 중에서 레포트 명령어(report command)의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TV(50), 캠코더(51), 5.1 채널 스피커(52), DVR(53), DVD(54), 게임기(55)가 WVAN를 구성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디바이스들 중에서 TV(50)가 가장 넓은 출력 화면 영역을 갖기 때문에 상기 TV(50)가 플랫폼 디바이스로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V(이하, '플랫폼 디바이스'라고 칭함)(50)는, 사용자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연결된 장치들에 대한 리스트를 요구하는 신호를 수신한다(S40). 그리고,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50)는 상기 신호에 따라 연결된 디바이스들(51~55)로 일정 출력 화면 영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레포트 명령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한다(S41, S42).상기 레포트 명령어는,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디바이스들에게 수신 디바이스의 기본적인 정보 등의 소정의 정보를 요구하는 명령어이다.
표 1은 상기 레포트 명령어를 포함한 MAC 명령어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Address Source: Destination Command code Capability code
표 1의 프레임 포맷은 'Address' 영역, 'command code' 영역 및 'capability code'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Address' 영역을 통해 전송 디바이스(source)와 수신 디바이스(destination)의 장치 주소를 알 수 있고, 상기 'command code' 영역은 전송되는 명령어에 대한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명령어는 도 5에 나타난 레포트 명령어(report command), 특정 디바이스가 선택되었음을 알리거나, 상기 특정 디바이스와 입출력 연결을 시도하거나, 상기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제어 정보(예를 들어,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각 기능에 대한 키 값(key value))를 요청하는 선택 명령어(select command) 및 상기 특정 디바이스의 제어 정보를 선택하여 동작 또는 기능 수행을 요청하기 위한 키 명령어(key command)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capability code' 영역에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는,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정보와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에서 지원할 수 있는 출력 형식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의 총 디스플레이 영역 중에서 수신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크기 또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정보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넓이, 총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수신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비율, 소정의 문자 크기에 대한 문자의 개수,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총 화면상에서의 위치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는 하나의 필드 길이를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필드의 길이 및 수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필드의 개수 등을 이용해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필드가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한 줄로 표시되는 것으로 정의한 경우, 2개의 필드를 사용하도록 지정한 명령어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2줄에 표현될 수 있는 만큼의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출력 형식에 대한 정보는, 지원 가능한 언어(예를 들어, 한국어, 영어, 일본어 등), 최대로 표현가능한 색(maximun color depth) 정보, 최대 글자 크기에 대한 정보, 지원 가능한 글자 모양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50)가 표 1의 프레임 포맷으로 구성된 레포트 명령어를 전송하는 경우, 표 1의 "command code" 영역에 상기 레포트 명령어에 대한 코드가 포함된다. 상기 레포트 명령어를 통해서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의 기본적인 정보를 응답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레포트 명령어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정보 및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에서 지원할 수 있는 출력 형식에 대한 정보 등에 대한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를 포함하므로, 수신 디바이스는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에서 수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범위를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범위 내에서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가 자신의 기본 정보를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또는 제어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가 전송한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를 만족하는 범위에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는 자유롭게 문자, 비디오, 오디오 등의 형식으로 화면에 출력하고자 하는 정보 즉, 디스플레이 출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 정보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가 출력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출력 내용에 대해 사용하고자 하는 출력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표 2는 문자열의 형식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에 대한 MAC 응답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81177534-PAT00001
표 2의 프레임 포맷은 'Address' 영역, "LCI(Language Color Index)" 영역, "String#n" 영역 및 "EOF(End Of Field)"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Address' 영역은 장치 주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LCI(Language Color Index)" 영역은 이어지는 문자열에 대해 사용하고자 하는 출력 형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를 통해 결정된 사용 언어 및 사용 색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표 1의 명령어 메시지를 통해 다른 출력 형식에 대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에는 상기 출력 형식에 대한 정보에 다른 형식에 대한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tring#n" 영역에는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내용(이 경우, 문자열의 형태일 수 있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 "EOF(End Of Field)" 영역을 통해서는, 하나의 필드가 종료됨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필드가 한 줄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정의된 경우, 상기 "EOF" 영역이 수신된 이후에 전송되는 문자열은 새로운 줄을 통해 화면에 출력된다. 상기와 같은 응답 프레임 포맷을 통해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디바이스들은 하나의 필드 내에서도 하나 이상의 문자열을 포함하여 표현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문자열이 다른 언어, 다른 색, 다른 글자 크기 및 모양 등을 가질 수 있어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된 정보를 플랫폼 디바이스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특정 디바이스(여기서는, 플랫폼 디바이스)에서 전송된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에 포함된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특정 디바이스를 통해 원하는 정보를 다양한 표현 방식을 사용하여 알릴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공간이 부족한 디바이스의 경우 사용자에 대한 인터페이싱이 더 자유로워질 수 있다.
상기 레포트 명령어를 수신한 디바이스들(51~55)은 표 2의 응답 메시지 프레임 포맷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표현하여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전송한다(S43, S44). 이때 상기 디바이스들(51~55)은 각각의 기본 정보를 상기 레포트 명령어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를 참고하여 출력 형식 조건 등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를 구성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캠코더(51)는 "Camcoder Standby"의 문자열을, 상기 5.1 채널 스피커(52)는 "5.1CH Speaker Quiet"의 문자열을, 상기 DVR(53)은 "DVR Recording"의 문자열을, 상기 DVD(54)는 "DVD Combo playing^^"의 문자열을, 상기 게임기(55)는 "Game Machine Bored TT"의 문자열을 플랫폼 디바이스(50)에 출력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한다. 표 2를 통해 설명한 응답 프레임 포맷을 이용하여 위와 같이 자유로운 방식으로 표현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플랫폼 디바이스(50)는 상기 수신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각 디바이스들의 기본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의 출력 화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들의 기본 정보들을 하나의 화면 내에 표현하기에 부족한 경우에는 여러 페이지의 화면 또는 스크롤 기능을 사용한다. 상기 레포트 명령어 및 그에 대한 응답을 통해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들(51~55)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에 디스플레이된 각 디바이스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이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게 된다(S45).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들의 송수신에 소요되는 시간(이하, '응답 시간'이라고 칭함.)을 살펴본다. 수학식 1은 상기 응답 시간을 알 수 있는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Nd*(Lc+Lr)]/[2.5Mbps*0.01]
수학식 1에서 상기 Nd는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와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수를 의미하고 Lc은 상기 명령어 프레임의 길이를 의미하고, Lr은 상기 응답 프레임의 길이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2.5Mbps'는 상기 LRP가 지원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속도를 의미하고, 상기 '0.01'은 LRP를 통해 전송하는 경우 LRP duty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Nd 값이 10, Lc 값이 4Byte, Lr 값이 60Byte 인 경우에는 10개의 디바이스의 정보를 읽어오는데 200msec 즉, 0.2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간단한 프로토콜을 사용함으로써, 송수신되는 메시지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어 응답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차 중에서 선택 명령 어(select command)의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디바이스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60)는 사용자 장치를 통해서 특정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신호에 따라 상기 특정 디바이스로 선택 명령어(select command)를 전송한다(S46). 상기 선택 명령어는 상기 명령어를 수신하는 디바이스가 선택되었음을 알리고 이후 제어 절차를 진행하기 위한 명령어이다.
상기 선택 명령어를 전송 및 수신하게 되면, 사용자가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를 통해 직접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선택 명령어를 수신한 디바이스가 상기 디바이스의 키 값(Key value)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47). 상기 키 값은 각 디바이스의 기능 또는 동작에 대해 각 디바이스가 정의하고 있는 인터페이싱 값이다. 예를 들어, 상기 디바이스가 DVD이고, 상기 키 값이 'Play'인 경우, 상기 'Play'의 키 값을 입력받은 상기 DVD는 상기 DVD를 플레이하여 동영상 등을 출력하게 된다.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는 상기 수신된 디바이스의 키 값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 화면에 표시한다. 도 6에 나타난 실시예의 경우, DVD(61)가 선택된다.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는 상기 DVD(61)로 선택 명령어를 전송하고 상기 명령어에 따라서 상기 DVD(61)의 키 값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62)는 상기 수신한 키 값을 출력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 선택 명령어나 상기 선택 명령어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에 대한 프레임 포맷은 상기 표 1 및 표 2를 통해서 설명한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도 5를 통해 설명한 레포트 명령어와 비교하여, 특정 디바이스가 선택된 이후에는 상기 특정 디바이스를 위해 출력 화면 영역(예를 들어, 필드의 길이 또는 필드의 수)을 더 많이 할당할 수 있다. 그 결과 더욱 상세한 정보, 더 많은 양의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보게 할 수 있다. 즉, 표 1의 'command code' 영역을 통해, 상기 선택 명령어에 대한 코드를 전송하고, 상기 'capability code' 영역에 더 많은 필드의 수 또는 하나의 필드를 더 길게 한 필드 정보 등을 포함하여 더 넓은 출력 화면 영역을 할당하는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명령어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되, 표 2의 응답 프레임 포맷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로부터 상기 키 값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신호를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바로 다른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방법을 키 패스-스루(key pass-through) 방식 또는 키 패싱-스루(key passing-through) 방식이라고 한다. 상기 키 패스-스루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키 입력이 다른 디바이스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와 다른 디바이스(외부 디바이스)를 위한 신호를 구별하여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상기 기능은 특정 버튼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특정 버튼을 통해서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다른 외부 디바이스를 위한 신호를 구별하여 전송한다.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가 상기 구별되는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신호를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전달(passing through)한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차 중에서 키 명령 어(key command)의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플랫폼 디바이스(70)는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입력(S48)된 특정 키 값을 선택하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 키 명령어(key command)를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71)로 전송한다(S49). 상기 키 명령어는 선택된 키 값을 알려주기 위한 명령어이다. 이 경우에도 상기 키 명령어를 전송하기 위해서 표 1에서 설명한 프레임 포맷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포맷의 'command code' 영역에 상기 선택된 키 값에 대한 명령어 코드를 전송한다. 상기 키 명령어를 포함한 메시지를 수신한 디바이스(71)는 상기 명령어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50). 이때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포맷은 표 2를 통해 설명한 프레임 포맷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명령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포맷의 경우에는, 표 2의 프레임 포맷에 'command code' 영역을 추가로 포함하여 수신한 키 명령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 명령어를 전송 및 수신한 후에는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의 입출력과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의 입출력이 서로 연결된다. 즉,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가 출력 장치(source device)인 경우에는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의 출력이 그대로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에 출력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가 입력 장치(sink device)인 경우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의 출력 화면이 그대로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에 전달된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가 DVD인 경우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상기 DVD가 출력하는 화면이 출력되어 사용자가 DVD 영상을 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차 흐름도이다. 사용자는 현재 사용 또는 제어하는 디바이스를 제외하고 다른 디바이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나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디바이스와 더 이상 연결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연결되어 있는 디바이스와 연결을 해제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은 과정을 통해 특정 디바이스와 플랫폼 디바이스 간의 연결이 성립된다(S80~S90).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가 사용자 장치로부터 다른 디바이스 또는 다른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한다(S91). 상기 신호를 수신한 플랫폼 디바이스는 현재 연결되어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있는 디바이스(이 경우 'DVD'가 된다.)로 선택 해제 명령어(deselect command)를 전송한다(S92). 상기 선택 해제 명령어는 현재 선택되어 입출력이 연결된 디바이스와 상기 연결을 해지하기 위한 명령어이다. 상기 선택 해제 명령어가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되면 상기 비디오 또는 오디오 연결 또한 해제된다. 상기 선택 해제 명령어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상기 표 1에서 설명된 프레임 포맷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프레임 포맷의 'command code' 영역에 상기 선택 해제 명령어에 대한 코드를 전송한다. 상기 선택 해제 명령어를 송신 및 수신하고 상기 명령어의 내용을 수행하면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와의 연결은 해제된다.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로 상기 명령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S93). 상기 응답 메시지를 통해 연결이 해제되었음을 알리는 내용을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의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표 2를 통해 설명한 응답 프레임 포맷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차 흐름도이다. 도 4를 통해 설명한 방법을 통해 선택 및 연결이 되어 특정 디바이스와 오디오, 비디오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특정 디바이스 또는 WVAN에 포함된 다른 디바이스가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의 화면에 특정 정보를 출력하고자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특정 디바이스 또는 다른 디바이스는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로 이벤트 명령어(event command)를 전송한다(S911). 상기 이벤트 명령어는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소정의 정보를 알리고자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예를 들어, 상기 TV를 통해서 DVD 동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동안 상기 TV에 연결된 다른 디바이스 즉, 캠코더 등에서 배터리가 소진되었다는 정보 또는 메모리가 부족하다는 정보 등을 알리고자 할 때 상기 이벤트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디바이스는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로 이벤트 명령어를 전송한다(S911). 표 3은 상기 메시지에 포함되는 이벤트 명령어 프레임 포맷의 일례를 나타낸다.
Address Source: Destination Command Code
표 3의 'Address' 영역 및 'command code'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Address' 영역은 전송 디바이스(source)와 수신 디바이스(destination)의 장치 주소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command code' 영역은 상기 명령어에 대한 코드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command code' 영역을 통해 상기 이벤트 명령어에 대한 코드가 전송된다.
상기 이벤트 명령어가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에 전송되면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상기와 같은 이벤트가 있음을 알리는 표시가 나타난다. 상기 표시를 통해 사용자 장치는 상기 이벤트에 대한 내용을 알고자 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912). 상기 신호를 수신한 플랫폼 디바이스는, 상기 이벤트 명령어를 전송한 디바이스로 도 5를 통해 설명한 레포트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S913). 상기 레포트 명령어를 수신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레포트 명령어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이벤트에 대한 내용을 알릴 수 있는 정보를 문자열(text)이나 영상의 형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S914). 상기 문자열을 이용하는 경우 표 2를 통해 설명한 응답 프레임 포맷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응답 프레임 포맷을 통해 이 경우에도 상기 이벤트를 알리는 디바이스에서 다양한 표현 방식(언어, 색, 문자 폰트 등)으로 사용자에게 이벤트를 알릴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차 흐름도이다. 플랫폼 디바이스와 특정 디바이스가 비디오 또는 오디오 입출력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연결을 유지하면서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를 제어하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화면의 일부를 할당한다(S100). 상기 일부 화면에 표시된 정보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DVD)를 선택한다(S101).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키 값을 수신하고, 키 명령어 및 키 응답 송수신을 통해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S102~S106). 도 4의 경우와 비교하여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정보를 나타내기 위해 레포트 명령어를 송수신할 필요가 없고, 제어를 위한 디바이스를 선택한 후에 상기 디바이스와 플랫폼 디바이스 간의 입출력 연결이 수행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다른 것들로 대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사용자 장치(또는 기기), 스테이션(station) 등으로 변경될 수 있고, 조정기는 조정(또는 제어)장치, 조정(또는 제어) 디바이스, 조정(또는 제어) 스테이션, 코디네이터(coordinator), PNC(piconet coordinator)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동일한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도 1은 다수의 디바이스로 구성된 WVAN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WVAN에서 사용되는 슈퍼 프레임(superframe)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WVAN의 디바이스에 구현된 프로토콜 계층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차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차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차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차 흐름도이다.

Claims (1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디바이스에서의 통신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가 지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 및 출력 형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를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영역, 출력 형식 및 출력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 정보를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에서 상기 수신한 디스플레이 출력 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 내용을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영역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의 총 디스플레이 영역 중에서 각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및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에 포함되는 출력 형식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가 지원할 수 있는 언어, 최대로 표현 가능한 색(maximum color depth) 정보, 최대 글자 크기에 대한 정보 및 글자 모양에 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는 레포트 명령어, 선택 명령어 및 키 명령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 정보는, 필드 인덱스, 언어 인덱스, 필드 타입, 파라미터 타입 및 파라미터의 개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 타입은 보통 문자열(plain text), 정보 요청(information request), 키-바이 패스(key bypass) 및 메뉴 리프레쉬(menu refres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의 총 디스플레이 영역 중에서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크기 및 위치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는 하나의 필드 길이를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필드의 길이 및 수신 디바이스에 할당된 필드의 개수를 이용해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필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열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문자열마다 사용된 출력 형식이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형식과 관련된 정보는,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가 지원할 수 있는 언어, 최대로 표현 가능한 색(maximum color depth) 정보, 최대 글자 크기에 대한 정보 및 글자 모양에 대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 정보는, 필드 인덱스, 언어 인덱스, 필드 타입, 파라미터 타입 및 파라미터 개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 타입은 보통 문자열(plain text), 정보 요청(information request), 키-바이 패스(key bypass) 및 메뉴 리프레쉬(menu refresh)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 타입은 숫자(digit), 캐릭터(character) 및 열(string)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수행 방법.
  15.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을 수행하는 특정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가 지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영역 및 출력 형식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를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디스플레이 조건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 영역, 출력 형식 및 출력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정보를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디스플레이 출력 정보를 상기 플랫폼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KR1020080117407A 2008-11-25 2008-11-25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수행 방법 및 그를 위한 디바이스 KR101241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407A KR101241911B1 (ko) 2008-11-25 2008-11-25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수행 방법 및 그를 위한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407A KR101241911B1 (ko) 2008-11-25 2008-11-25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수행 방법 및 그를 위한 디바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231A Division KR100885444B1 (ko) 2006-10-20 2006-10-20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817A true KR20090004817A (ko) 2009-01-12
KR101241911B1 KR101241911B1 (ko) 2013-03-18

Family

ID=40486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407A KR101241911B1 (ko) 2008-11-25 2008-11-25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수행 방법 및 그를 위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191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6622A (en) 1996-05-24 1999-11-16 Lucent Technologies Inc. Panel display of multiple display units for multiple signal sources
JP4508330B2 (ja) * 1999-01-25 2010-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040014526A1 (en) 2002-07-17 2004-01-22 Kulas Charles J. Interface arbitrator for allowing multiple devices to share physical input/output interfaces and other resources
JP2005109703A (ja) * 2003-09-29 2005-04-21 Pioneer Electronic Corp 画像出力装置、画像出力方法、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出力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1911B1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444B1 (ko) 네트워크에서 디바이스의 출력을 제어하는 방법
US100341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data using bluetoo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241912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수행 방법
JP4873761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電力制御方法
US11223929B2 (en) Electronic device for determining P2P operating channel and method thereof
CN101682927B (zh) 在无线网络中控制连接建立的方法以及用于所述方法的消息格式
CN103368935A (zh) 在Wi-Fi显示网络中提供增强Wi-Fi显示会话的方法和装置
US11800340B2 (en) Method for receiving audio data by using bluetooth technology, and apparatus therefor
CN101632257A (zh) 在无线网络中分配资源的方法
KR100640561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수행하는 기록매체
KR101241911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 수행 방법 및 그를 위한 디바이스
JP2010045536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