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322A - 메밀면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메밀면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322A
KR20090004322A KR1020070107053A KR20070107053A KR20090004322A KR 20090004322 A KR20090004322 A KR 20090004322A KR 1020070107053 A KR1020070107053 A KR 1020070107053A KR 20070107053 A KR20070107053 A KR 20070107053A KR 20090004322 A KR20090004322 A KR 20090004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wheat
dough
screw
main body
sp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7543B1 (ko
Inventor
연기석
Original Assignee
연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기석 filed Critical 연기석
Publication of KR20090004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5Agglomeration or granulation by extrusion or by pressing, e.g. through small holes, through sieves or between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수단과 압력조절수단을 사용하여 메밀 압출시 발생 열을 높여서 100%중량의 메밀면을 함유한 탄력있고, 식미감이 좋은 메밀을 제조하기 위한 메밀면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으로, 구동수단에 의해 호퍼(101)를 통하여 투입되는 메밀 반죽 물을 압출하기 위한 압축스크루(310)가 설치되며 앞쪽에 경사면을 가진 배출구(102)가 형성되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의 앞쪽에 설치되어 반죽 물로부터 국수 가락을 뽑아내기 위한 압출수단(200); 및 상기 압축스크루(310)와 경사면이 형성된 배출구(102)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메밀 반죽에 고온, 고압을 가하기 위한 압력조절수단(300); 및 상기 본체 앞쪽에 설치되어 메밀 반죽 물에 열을 가하기 위한 링 형상의 히팅장치(400); 및 상기 압력조절수단(300)을 동작하기 위한 구동수단(500)으로 구성되며, 호퍼(101)를 통해 메밀 반죽물이 본체(100) 내로 투입되는 메밀 투입단계; 및 상기 투입된 메밀 반죽물에 대해 이송스크루(310) 및 압축 봉(320)의 전진 동작에 의해 메밀 반죽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송된 반죽물이 제1성형 체 및 제2성형 체(221,222)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다져지는 단계; 상기 제2 성형 체(222)를 통과한 반죽물을 다시 한 번 다져서 면발의 조직이 치밀해지도록 하며, 메밀면의 단면형상과 굵기를 최종적으로 조절하는 단계에 의해 100%중량의 메밀을 제조한다.

Description

메밀면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Apparatus for Manufacturing Buckwheat Noodles and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메밀면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압출수단과 압력조절수단을 사용하여 메밀 압출시 발생 열을 높여서 100%중량의 메밀면을 함유한 탄력있고, 식미감이 좋은 메밀을 제조하기 위한 메밀면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밀은 밀가루 등에 포함된 글루텐, 카제인 등과 유사한 단백질이 10∼13% 정도 함유되어 있으며, 각종 무기질 성분이나 미량의 비타민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어 이를 이용한 여러 가지 음식들은 건강식품이나 기호식품으로 선호되고 있다.
메밀성분에 대한 영양생화학적 가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강원도산 메밀분을 소맥분과 복합분으로 만들어 일반성분 및 무기질을 분석한 이전의 결과에서 3가지 원료에 대한 일반성분의 차이는 대등하였고, 무기질은 메밀분에 종피가 많이 함유될수록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수입메밀분에서는 특이하게 Ca, Fe, Mn의 함량이 높 았다. 무기질의 종류는 Ca을 비롯하여 9가지가 정량되었으며 Se, Na, Mg 등이 풍부하여 영양학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었다. 아미노산 조성은 필수아미노산 9가지를 비롯하여 모두 16종이 분석되었고, 아르기닌(arginine)은 강원도산 메밀에 특이하게 많았고, 수입메밀에서는 흔적으로 정량됨으로서 국내산 메밀이 영양학적 가치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면류에서 메밀의 함량이 높을수록 영양학적으로 매우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메밀 자체는 성형 후에 점성과 탄성 및 가소성을 부여하는 성분이 적고 이들 성분이나 전분입자가 경화되는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반죽으로만 쉽게 경화되지 못하고 성형 후에는 물에 의하여 팽창되면서 풀어지는 성질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메밀의 함량이 높은 면류를 제조하기는 매우 어렵다.
통상적으로 메밀을 포함하는 면류는 메밀 30~70 중량%와 밀가루 70~30 중량%를 혼합한 후 압출성형기로 압출하여 제조되어 왔다. 이와 같이 메밀 함량이 낮은 반죽으로 메밀 면을 제조하는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10)의 구동에 따른 회전력을 벨트 또는 체인 등의 진동 수단(11)에 의해 회전축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축(12)에는 메밀면의 원료가 되는 반죽이 투입되는 호퍼(13), 상기 호퍼(13)의 하측에 형성된 실린더(14), 상기 실린더(14)내에 이송 스크류(15)가 위치되며, 상기 실린더(14)의 선단에는 상기 스크류(15)의 회전에 따라 반죽을 소정의 압력으로 이송시켜 면발로 성형하는 성형 다이스(16)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단일 성형 다이스에서 압축되는 메밀면의 면발은 밀가루 함량이 더 높은 면발에 비해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고 탄력도 낮다. 그래서 물 속에서는 쉽게 풀 리고, 씹을 때 물컹하여 식미감이 좋지 않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407457호에서는 모터로 이송 스크류를 구동하여 성형 다이스 쪽으로 메밀 반죽 물을 압송하여 면발로 압출시키게 한 메밀면 제조장치에서 이중의 성형 다이스를 사용하는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성형 다이스를 메밀 반죽물의 예비 압출용 상부 다이와 표준형 면발로 최종 압출하는 하부 성형 다이로 이원화하고 양측 다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실린더의 선단에 장착하며, 상부 성형 다이의 통과 구멍은 하부 성형 다이의 성형 구멍보다도 크고 또한 그보다도 개체수를 적게 형성하여 메밀 반죽물이 상부 성형 다이를 통과하여 예비 압출될 때 그 압출물의 조직이 다져지게 함으로서 메밀의 함량이 높은 반죽물로도 밀가루 면발처럼 질기고 탄력이 좋아 물에도 잘 불지 않고 식미감도 좋은 메밀면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메밀을 원료로 하여 면이나 국수를 제조하게 되면 밀가루 등의 원료를 사용하여 면을 제조하는 것보다 통상 20∼30%의 열이 더 요구되는데 상기의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기술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특허등록 제655864호에서는 이러한 열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기위해 삼중의 성형 다이스를 사용하는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장치의 성형 다이스는 압출기의 실린더 선단에 배치하는 기존의 하부 성형 다이(23)와, 메밀면이 압출되는 방향에서 볼 때 하부 성형 다이(23)의 앞쪽, 즉 실린더의 선단에서 순서대로 내측에 배치 되는 중앙부 성형 다이(22)와 상부 성형 체(21)로 이루어지고, 상기 성형 다이들과 체(21, 22, 23)의 사이에는 약간의 공간이 있도록 하여 실린더의 선단에 장착된다.
상기 상부 성형 체(21)는 반죽물을 한 번 걸러주어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고 반죽을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한다. 중앙부 성형 다이(22)는 메밀 반죽물이 하부 성형 다이(23)로 최종 압출되기 직전에 다시 한 번 메밀 반죽물을 다져서 면발의 조직이 치밀해지도록 하며 하부 성형 다이(23)의 성형구멍(23a)은 메밀면의 단면 형상과 굵기를 최종적으로 결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 면이나 국수를 제조하는 경우에도 종래 발명의 단점인 열에 대한 적응력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하여 99중량% 이상의 메밀면을 제조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100%중량의 메밀면을 만들기 위해 압축 이송하는 이송스크루는 계속되는 회전력 즉, 떨림에 의해 편 마모가 생겨서 제대로 메밀 반죽 물을 압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종래 본인의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메밀면 제조장치에 압출수단과 압력조절수단을 사용하여 메밀 압출시 발생 열을 높여서 100%중량의 메밀면을 함유한 탄력있고, 식미감이 좋은 메밀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하게 되었다 .
본 발명의 목적은 100중량%의 메밀을 함유한 탄력있고, 식미감이 좋은 메밀면을 제조할 수 있는 성형 다이스를 적용한 메밀면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메밀면 제조장치에 압출수단과 압력조절수단 및 보조적인 히터를 사용하여, 메밀의 함량을 100중량%으로 하는 탄력 있고 식미감이 좋은 메밀면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 메밀면 제조장치(1)는;
구동수단에 의해 호퍼(101)를 통하여 투입되는 메밀 반죽 물을 압출하기 위한 압축스크루(310)가 설치되며 앞쪽에 경사면을 가진 배출구(102)가 형성되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의 앞쪽에 설치되어 반죽 물로부터 국수 가락을 뽑아내기 위한 압출수단(200); 및
상기 압축스크루(310)와 경사면이 형성된 배출구(102)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메밀 반죽에 고온, 고압을 가하기 위한 압력조절수단(300); 및
상기 본체 앞쪽에 설치되어 메밀 반죽 물에 열을 가하기 위한 링 형상의 히팅장치(400); 및
상기 압력조절수단(300)을 동작하기 위한 구동수단(500);
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으로, 구동수단에 의해 호퍼(101)를 통하여 투입되는 메밀 반죽 물을 압출하기 위한 압축스크루(310)가 설치되며 앞쪽에 경사면을 가진 배출구(102)가 형성되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의 앞쪽에 설치되어 반죽 물로부터 국수 가락을 뽑아내기 위한 압출수단(200); 및
상기 압축스크루(310)와 경사면이 형성된 배출구(102)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메밀 반죽에 고온, 고압을 가하기 위한 압력조절수단(300); 및
상기 본체 앞쪽에 설치되어 메밀 반죽 물에 열을 가하기 위한 링 형상의 히팅장치(400); 및
상기 배출구(102)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610); 및
상기 온도센서(610) 및 히팅장치(400)의 온도를 측정하여 세팅 값 이하이면 상기 압력조절수단(300)을 동작시켜 이송스크루(310)를 가압하여 반죽물의 온도를 높이도록 한 제어부(600); 및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압력조절수단(300)을 동작하기 위한 구동수단(500);
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면 제조 장치.
또한, 상기 압출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의 배출구(102) 선단에 설치되는 성형다이 수납부(103); 및
상기 성형다이 수납부(103)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105)와 나사맞춤되는 암나사(211)가 형성되며 전면이 개구된 캡(210); 및
상기 성형다이 수납부(103)에 수납되는 여러 개의 반죽 성형틀(220);
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제조장치.
또한, 상기 압력조절수단(300)은;
상기 이송스크루(310) 일 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플라인(311); 및
상기 스플라인 일단 내측에 메밀 반죽 압출시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V형상의 홈(312); 및
상기 홈에 수납되며 상기 이송스크루(310)를 일정한 방향으로 밀어내며 수나사(321)가 형성되는 압축 봉(320); 및
상기 압축 봉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맞춤되기 위한 암나사(331)가 형성되고, 상기 스플라인(311)이 삽입되기 위한 보스(330); 및
상기 보스(330) 외측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루(310)의 회전력을 돕기 위한 베어링(B)을 감싸며, 일단이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플랜지(110)에 볼트 및 너트에 체결되기 위한 플랜지(341)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 베이링(B)의 이탈을 막기 위한 덮개판(350)이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340); 및
상기 압축봉(320)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루(310)를 일정한 압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는 핸들(36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제조장치.
또 다른 상기 압력조절수단(300)은;
상기 이송스크루(310) 일 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플라인(311); 및
상기 스플라인 내측에 형성되는 원뿔형상의 홈(312); 및
상기 홈에 수납되며 상기 이송스크루(310)를 일정한 방향으로 밀어내며 수나사(321)가 형성되는 압축 봉(320); 및
상기 압축 봉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맞춤되기 위한 암나사(331)가 형성되고, 상기 스플라인(311)이 삽입되기 위한 보스(300); 및
상기 보스(300) 외측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루(310)의 회전력을 돕기 위한 베어링(B)을 감싸며, 일단이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플랜지(100)에 볼트 및 너트에 체결되기 위한 플랜지(341)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 베이링(B)의 이탈을 막기 위한 덮개판(350)이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340); 및
상기 압축봉(320)의 일단에 상기 이송스크루를 일정한 압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는 스텝모터(361);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조절수단(300)은;
상기 이송스크루(310) 일 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플라인(311); 및
상기 스플라인 내측에 형성되는 원뿔형상의 홈(312); 및
상기 홈에 수납되며 상기 이송스크루(310)를 일정한 방향으로 밀어내며 수나사(321)가 형성되는 압축 봉(320); 및
상기 압축 봉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맞춤되기 위한 암나사(331)가 형성되고, 상기 스플라인(311)이 삽입되기 위한 보스(300); 및
상기 보스(300) 외측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루(310)의 회전력을 돕기 위한 베어링(B)을 감싸며, 일단이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플랜지(100)에 볼트 및 너트에 체결되기 위한 플랜지(341)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 베이링(B)의 이탈을 막기 위한 덮개판(350)이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340); 및
상기 압축봉(320)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102)에 형성된 온도감지센서(610) 및 히팅장치(400) 값을 측정하여 세팅 값 이하이면 상기 압력조절수단(300)을 동작시켜 이송스크루(310)를 가압하여 반죽물의 온도를 높이도록 한 제어부(600); 및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이송스크루(310)를 일정한 압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장치(37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500)은 상기 이송스크루(310)를 회전시키기 위해 보스 (330)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풀리(510); 및
상기 제1 풀리(5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520)의 축에 일체로 설치되는 제2 풀리(521); 및
상기 제 1 및 제 2풀리(510,512)를 연동되게 회전시키기 위한 벨트(53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형틀(220)은;
상기 이송스크루(310)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상태의 메밀 반죽 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제1성형 체(221); 및
상기 제1 성형체(221)를 통과한 반죽물을 한 번 걸러주어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고 반죽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제2성형 체(222);
상기 제2 성형 체(222)를 통과한 반죽물을 다시 한 번 다져서 면발의 조직이 치밀해지도록 하기 위한 제1성형 다이(223); 및
상기 제1 성형다이(223)를 통과한 메밀면의 단면형상과 굵기를 최종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2성형 다이(224);
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메밀제조장치(1)를 이용하여 메밀을 제조하는 방법은;
호퍼(101)를 통해 메밀 반죽물이 본체(100) 내로 투입되는 메밀 투입단계; 및
상기 투입된 메밀 반죽물에 대해 이송스크루(310) 및 압축 봉(320)의 전진 동작에 의해 메밀 반죽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송된 반죽물이 제1성형 체 및 제2성형 체(221,222)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다져지는 단계;
상기 제2 성형 체(222)를 통과한 반죽물을 다시 한 번 다져서 면발의 조직이 치밀해지도록 하며, 메밀면의 단면형상과 굵기를 최종적으로 조절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사용되는 메밀 반죽 물은 100% 중량의 메밀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압출수단과 압력조절수단을 사용하여 메밀 압출시 발생 열을 높여서 100%중량의 메밀면을 함유한 탄력있고, 식미감이 좋은 메밀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밀면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밀면 제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밀면 제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하에서 도면 및 명세서 중 동일한 부호 및 명칭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메밀면 제조장치(1)는 크게 본체(100), 반죽 물로부터 국수 가락을 뽑아내기 위한 압출수단(200), 메밀 반죽에 고온, 고압을 가하기 위한 압력조절수단(300), 메밀 반죽 물에 열을 가하기 위한 히팅장치(400), 상기 압력조절수단(300)을 동작하기 위한 구동수단(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에 플랜지(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 상면에는 메밀반죽 물을 투입하기 위한 호퍼(101)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에 개구된 쪽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상의 경사면을 가지는 배출구(102)가 형성되고, 이 배출구 앞쪽에는 압출수단(200)인 여러 개의 반죽 성형틀(220)이 수납되기 위한 성형다이 수납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성형다이 수납부(103)의 외주면에는 수나사(105)가 형성되고, 이 수나사에는 암나사(211)가 형성되며 전면이 개구된 캡(210)이 나사맞춤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 근접위치 외주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링형상의 홈(120)이 형성되고, 이 홈에 링형상의 히팅장치(400))가 설치된다.
상기 압력조절수단(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스크루(310) 일 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플라인(311)과, 상기 스플라인 일단 내측에 메밀 반죽 압출시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V형상의 홈(312)과, 상기 홈에 수납되며 상기 이송스크루(310)를 일정한 방향으로 밀어내며 수나사(321)가 형성되는 압축 봉(320)과, 상기 압축 봉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맞춤되기 위한 암나사(331)가 형성되고, 상기 스플라인(311)이 삽입되기 위한 보스(330)와, 상기 보스(330) 외측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루(310)의 회전력을 돕기 위한 베어링(B)을 감싸며, 일단이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플랜지(110)에 볼트 및 너트에 체결되기 위한 플랜지(341)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 베이링(B)의 이탈을 막기 위한 덮개판(350)이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340)과, 상기 압축봉(320)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루(310)를 일정한 압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는 핸들(360)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수단(300)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이송스크루(310) 일 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플라인(311)와, 상기 스플라인 내측에 형성되는 원뿔형상의 홈(312)와, 상기 홈에 수납되며 상기 이송스크루(310)를 일정한 방향으로 밀어내며 수나사(321)가 형성되는 압축 봉(320)와, 상기 압축 봉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맞춤되기 위한 암나사(331)가 형성되고, 상기 스플라인(311)이 삽입되기 위한 보스(300)와, 상기 보스(300) 외측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루(310)의 회전력을 돕기 위한 베어링(B)을 감싸며, 일단이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플랜지(100)에 볼트 및 너트에 체결되기 위한 플랜지(341)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 베이링(B)의 이탈을 막기 위한 덮개판(350)이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340)과, 상기 압축봉(320)의 일단에 상기 이송스크루를 일정한 압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는 스텝모터(361)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력조절수단(300)의 작동방법은 배출구(102)에 온도 센서(610)가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610) 및 히팅장치(400)는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된다.
즉, 온도센서(610)의 온도를 측정하여 세팅 값 이하이면 상기 스텝모터(361)가 미리 세팅 값으로 정 회전하여 압축봉(320)을 전진시키고, 이 압축봉은 이송스크루(310)를 가압하여 반죽물의 온도를 높이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압력조절수단(300)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이송스크루(310) 일 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플라인(311)과, 상기 스플라인 내측에 형성되는 원뿔형상의 홈(312)과, 상기 홈에 수납되며 상기 이송스크루(310)를 일정한 방향으로 밀어내며 수나사(321)가 형성되는 압축 봉(320)과, 상기 압축 봉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맞춤되기 위한 암나사(331)가 형성되고, 상기 스플라인(311)이 삽입되기 위한 보스(300)와, 상기 보스(300) 외측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루(310)의 회전력을 돕기 위한 베어링(B)을 감싸며, 일단이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플랜지(100)에 볼트 및 너트에 체결되기 위한 플랜지(341)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 베이링(B)의 이탈을 막기 위한 덮개판(350)이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340)과, 상기 압축봉(320)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102)에 형성된 온도감지센서(610) 및 히팅장치(400) 값을 측정하여 세팅 값 이하이면 상기 압력조절수단(300)을 동작시켜 이송스크루(310)를 가압하여 반죽물의 온도를 높이도록 한 제어부(600)와,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이송스크루(310)를 일정한 압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기 위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장치(370)로 구성된다.
상기 압력조절수단(300)의 작동방법은 배출구(102)에 설치된 온도 센서(610)가 온도를 측정하여 세팅 값 이하이면 제어부(600)에서 상기 압력조절수단(300)을 동작시켜 이송스크루(310)를 가압하여 반죽물의 온도를 상승시킨다.
예를 들면, 이송스크루(310)를 일정한 압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기 위한 압력봉(320)의 일단에 솔레노이드장치(370)를 설치하고, 이 솔레노이드는 제어부(600)에 미리 입력된 입력 값에 의해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밀 반죽 물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면 자동적으로 이송스크루를 배출구 쪽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도록 하였다.
상기 구동수단(500)은 상기 이송스크루(310)를 회전시키기 위해 보스(330)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풀리(510)와, 상기 제1 풀리(5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520)의 축에 일체로 설치되는 제2 풀리(521) 및 상기 제 1 및 제 2풀 리(510,512)를 연동되게 회전시키기 위한 벨트(5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수단에 사용되는 제1 및 제2 풀리(510,512)와 벨트(530) 대신에 스프로킷과 체인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변경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메밀면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메밀을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전원을 공급하여 히팅장치(400)를 이용하여 본체 내부의 온도를 높이고, 구동수단(500)을 동작시킨다.
그러면, 모터(520)의 축에 설치된 제2풀리(512)가 벨트(530)에 연결되어 있는 제1풀리(510)를 회전시키게 된다.
다음 상기 제1풀리의 회전력은 보스(330)에 이맞물림된 스플라인(311)에 전달되어 이송스크루(31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호퍼(101)를 통해 100% 중량의 메밀 반죽물을 투입한다.
그러면, 상기 메밀 반죽물은 이송스크루의 회전력에 의해 배출구(102) 쪽으로 일정한 압력을 받으면서 전진하게 된다.
이때, 본체 내의 온도와 메밀 자체 즉, 이송스크루에 의해 받은 압력에 의해 메밀 반죽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온도가 상승된 메밀 반죽물은 압출수단(200) 즉, 본체(100)의 배출구(102) 앞쪽에 형성된 성형다이 수납부(103)에 수납된 제1 성형체(221)를 통 과하면서 고온 상태의 메밀 반죽 물의 온도를 일시적으로 낮추고, 이렇게 온도가 떨어진 메밀 반죽물이 제2 성형체(222)를 통과함에 따라 반죽물 내부에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여 반죽을 부드럽게 형성한다.
다음 상기 제2 성형 체(222)를 통과한 반죽물을 제1 성형 다이(223)를 통과하는 동안 다시 한 번 다져서 면발의 조직이 치밀해지도록 하고, 상기 제1 성형다이(223)를 통과한 메밀면은 제2성형 다이(224)에 의해 단면형상과 일정한 굵기의 메밀면이 뽑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 내부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면 사람이 메밀면의 상태를 확인한 후, 상기 메밀장치를 일시 정시시켜서 압축봉(320)의 일단에 설치된 핸들(360)을 돌려서 이송스크루(310)를 배출구(102) 쪽으로 전진시켜 메밀 반죽물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도록 한 상태에서, 구동수단(500)을 온 하게 되면, 이송스크루(310)가 전진된 상태에서 메밀 면을 가압함으로써, 메밀면 자체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메밀면 제조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메밀면 제조장치용 다이스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밀면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밀면 제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밀면 제조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밀면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본체 101 : 호퍼 102 : 배출구
103 : 성형다이 수납부 110,341 : 플랜지 200 : 압출수단
210 : 캡 220 : 반죽 성형틀 221,222 : 성형 체
223,224 : 성형 다이 300 : 압력조절수단 310 : 이송스크루
311 : 스플라인 312 : 홈 320 : 압축봉
330 : 보스 340 : 베어링 하우징 350 ; 덮개판
360 : 핸들 361 : 스텝모터 370 : 솔레노이드장치
400 : 히터 500 ; 구동수단 600 : 제어부
B :베어링

Claims (10)

  1. 구동수단에 의해 호퍼를 통하여 투입되는 메밀 반죽 물을 압출하기 위한 압축스크루가 설치되며 앞쪽에 경사면을 가진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앞쪽에 설치되어 반죽 물로부터 국수 가락을 뽑아내기 위한 압출수단; 및
    상기 압축스크루와 경사면이 형성된 배출구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메밀 반죽에 고온, 고압을 가하기 위한 압력조절수단; 및
    상기 본체 앞쪽에 설치되어 메밀 반죽 물에 열을 가하기 위한 링 형상의 히팅장치; 및
    상기 압력조절수단을 동작하기 위한 구동수단;
    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면 제조장치.
  2. 구동수단에 의해 호퍼를 통하여 투입되는 메밀 반죽 물을 압출하기 위한 압축스크루가 설치되며 앞쪽에 경사면을 가진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앞쪽에 설치되어 반죽 물로부터 국수 가락을 뽑아내기 위한 압출수단; 및
    상기 압축스크루와 경사면이 형성된 배출구와의 간격을 조절하여 메밀 반죽에 고온, 고압을 가하기 위한 압력조절수단; 및
    상기 본체 앞쪽에 설치되어 메밀 반죽 물에 열을 가하기 위한 링 형상의 히 팅장치; 및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 및 히팅장치의 온도를 측정하여 세팅 값 이하이면 상기 압력조절수단을 동작시켜 이송스크루를 가압하여 반죽물의 온도를 높이도록 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압력조절수단을 동작하기 위한 구동수단;
    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면 제조장치.
  3. 제1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수단은 상기 본체의 배출구 선단에 설치되는 성형다이 수납부; 및
    상기 성형다이 수납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맞춤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전면이 개구된 캡; 및
    상기 성형다이 수납부에 수납되는 여러 개의 반죽 성형틀;
    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면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상기 이송스크루 일 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플라인; 및
    상기 스플라인 일단 내측에 메밀 반죽 압출시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V형상의 홈; 및
    상기 홈에 수납되며 상기 이송스크루를 일정한 방향으로 밀어내며 수나사가 형성되는 압축 봉; 및
    상기 압축 봉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맞춤되기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스플라인이 삽입되기 위한 보스; 및
    상기 보스 외측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루의 회전력을 돕기 위한 베어링을 감싸며, 일단이 상기 본체에 형성된 플랜지에 볼트 및 너트에 체결되기 위한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 베이링의 이탈을 막기 위한 덮개판이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압축봉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루를 일정한 압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는 핸들;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면 제조장치.
  5. 제 1항 내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상기 이송스크루 일 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플라인; 및
    상기 스플라인 내측에 형성되는 원뿔형상의 홈; 및
    상기 홈에 수납되며 상기 이송스크루를 일정한 방향으로 밀어내며 수나사가 형성되는 압축 봉; 및
    상기 압축 봉에 형성된 수나사와 나사맞춤되기 위한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스플라인이 삽입되기 위한 보스; 및
    상기 보스 외측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루의 회전력을 돕기 위한 베어링을 감싸며, 일단이 상기 본체에 형성된 플랜지에 볼트 및 너트에 체결되기 위한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 베이링의 이탈을 막기 위한 덮개판이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압축봉의 일단에 상기 이송스크루를 일정한 압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기 위해 일체로 형성되는 스텝모터;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면 제조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수단은;
    상기 이송스크루 일 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스플라인; 및
    상기 스플라인 내측에 형성되는 원뿔형상의 홈; 및
    상기 홈에 수납되며 상기 이송스크루를 일정한 방향으로 밀어내기 위한 압축 봉; 및
    상기 스플라인이 삽입되기 위한 보스; 및
    상기 보스 외측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루의 회전력을 돕기 위한 베어링을 감싸며, 일단이 상기 본체에 형성된 플랜지에 볼트 및 너트에 체결되기 위한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고, 타측에 베이링의 이탈을 막기 위한 덮개판이 설치되는 베어링 하우징; 및
    상기 압축봉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에 형성된 온도감지센서 및 히팅장치 값을 측정하여 세팅 값 이하이면 상기 압력조절수단을 동작시켜 이송스크루를 가압하여 반죽물의 온도를 높이도록 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이송스크루를 일정한 압력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키기 위 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장치;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면 제조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이송스크루를 회전시키기 위해 보스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풀리; 및
    상기 제1 풀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 축에 일체로 설치되는 제2 풀리; 및
    상기 제 1 및 제 2풀리를 연동되게 회전시키기 위한 벨트;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면 제조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은;
    이송스크루로부터 배출되는 고온 상태의 메밀 반죽 물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제1성형 체; 및
    상기 제1 성형체를 통과한 반죽물을 한 번 걸러주어 내부의 기포를 제거하고 반죽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제2성형 체;
    상기 제2 성형 체를 통과한 반죽물을 다시 한 번 다져서 면발의 조직이 치밀해지도록 하기 위한 제1성형 다이; 및
    상기 제1 성형다이를 통과한 메밀면의 단면형상과 굵기를 최종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제2성형 다이;
    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면 제조 장치.
  9. 호퍼를 통해 메밀 반죽물이 본체로 투입되는 메밀 투입단계; 및
    상기 투입된 메밀 반죽물에 대해 이송스크루 및 압축 봉의 전진 동작에 의해 메밀 반죽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이송된 반죽물이 제1성형 체 및 제2성형 체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반죽물 내부의 기포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2 성형 체를 통과한 반죽물을 다시 한 번 다져서 면발의 조직이 치밀해지도록 하며, 메밀면의 단면형상과 굵기를 최종적으로 조절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메밀면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메밀 반죽물은 메밀 함량 100% 중량에 물을 2:3의 비율로 혼합하여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밀면 제조방법.
KR1020070107053A 2007-06-29 2007-10-24 메밀면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947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387 2007-06-29
KR20070065387 2007-06-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322A true KR20090004322A (ko) 2009-01-12
KR100947543B1 KR100947543B1 (ko) 2010-03-15

Family

ID=40486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053A KR100947543B1 (ko) 2007-06-29 2007-10-24 메밀면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5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677B1 (ko) * 2018-10-31 2019-11-08 연동건 면 제조장치
CN114532480A (zh) * 2022-03-17 2022-05-27 贵州凤冈七彩农业综合开发有限公司 一种荞麦粉条的加工方法及其加工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6783A (ko) 2022-07-07 2024-01-16 용 석 장 압출스크류의 조절부를 갖는 식품 압출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5735B2 (ja) 1999-07-26 2001-09-04 衛治 菅野 製麺機
KR100407457B1 (ko) * 2001-04-06 2003-11-28 연기석 메밀면 제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677B1 (ko) * 2018-10-31 2019-11-08 연동건 면 제조장치
CN114532480A (zh) * 2022-03-17 2022-05-27 贵州凤冈七彩农业综合开发有限公司 一种荞麦粉条的加工方法及其加工设备
CN114532480B (zh) * 2022-03-17 2024-01-30 贵州凤冈七彩农业综合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加工荞麦粉条的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7543B1 (ko) 201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40220B2 (ja) ねり粉、特にねり粉製品を製造するための混練り装置および方法
EP0919127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Teigprodukten
JPH0775503B2 (ja) ねり粉製品を造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033677B1 (ko) 면 제조장치
KR100947543B1 (ko) 메밀면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584746B1 (ko) 곡물국수용 제면장치
KR100402985B1 (ko) 환약 성형장치
CN111264681A (zh) 一种用于生产植物组织化蛋白产品的装置及方法
KR100407457B1 (ko) 메밀면 제조장치
KR100655864B1 (ko) 개선된 메밀면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141748B1 (ko) 쌀국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3951372B (zh) 一种用于生产高水分纯豌豆蛋白人造肉的双螺杆挤压设备
CN213719770U (zh) 一种高水分花生拉丝蛋白生产设备
RU2005379C1 (ru) Мес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макаронных изделий из теста
CN211657366U (zh) 食品挤压成型设备
DE10200804309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Teig
CN212306698U (zh) 一种用于生产植物组织化蛋白产品的装置
KR20120027893A (ko) 조청골 노출형 가래떡 성형기
CN209436135U (zh) 包馅食品成型机之面料供给装置
CN211612345U (zh) 一种可均匀加工食品的挤压搅拌机
CN206542913U (zh) 一种杂粮粉的挤压膨化制备装置
CN108402116A (zh) 包馅食品成型机之面料供给装置
CN219850007U (zh) 一种棉粕生产设备
RU18711U1 (ru) Двухчервячный пресс-экструдер для отжима масла из маслич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211358738U (zh) 一种高效制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