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4132A - 가변식 브레이크 부스터장치 - Google Patents

가변식 브레이크 부스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4132A
KR20090004132A KR1020070068095A KR20070068095A KR20090004132A KR 20090004132 A KR20090004132 A KR 20090004132A KR 1020070068095 A KR1020070068095 A KR 1020070068095A KR 20070068095 A KR20070068095 A KR 20070068095A KR 20090004132 A KR20090004132 A KR 20090004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r
variable
pedal
pressure port
pres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재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8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4132A/ko
Publication of KR20090004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65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being associated with master cylinders, e.g. integrally for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9Reducing the workload of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식 브레이크 부스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양에 따라 저제동력 부터 고제동력까지 가변적으로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구성하여 여성이나 노약자 등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주행중 차량의 정지 및 감속을 위하여 페달 동작의 스트로크에 따른 배력을 마스터 실린더(10)로 전달시켜 차량의 제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페달과 연계된 인풋로드(11)가 몸체 후면에 접촉되며, 몸체 중앙으로는 가압구(21)가 형성되는 플랜저(20)와;
상기 플랜저(20)를 내측 수용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31)가 형성되고, 몸체 전면단부로는 아웃풋로드(12)가 구비되어 페달 스트로크를 마스터 실린더(10)로 전달시키는 가이드부(30)와;
상기 가이드부(30) 내측으로 수용된 플랜저(20)의 가압구(21)에 소정 길이를 갖고 끼워지는 조절부재(40)와;
상기 플랜저(20)의 가압구(21) 외측과 조절부재(40)의 후측으로 설치되는 가변스프링(50)과;
상기 가이드부(30)의 공간부(31) 내측 단부로 위치되어 선택적으로 플랜저(20)의 가압구(21)와 가변스프링(50)을 밀착지지하는 접촉부재(6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Description

가변식 브레이크 부스터장치{a variable Brake booste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인 브레이크 부스터장치 구성에서 초기 셋팅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구성에 의해 1단계 배력비 초기 연계 작동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구성에 의해 2단계 가변 배력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구성에 의해 니포인트 이후 인풋로드와 아웃풋로드의 그대로 전달된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브레이크 부스터의 특성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 구성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스터 실린더 11 - 인풋로드
12 - 아웃풋로드 20 - 플랜저
21 - 가압구 30 - 가이드부
31 - 공간부 40 - 조절부재
50 - 가변스프링 60 - 접촉부재
본 발명은 가변식 브레이크 부스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양에 따라 저제동력 부터 고제동력까지 가변적으로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구성하여 여성이나 노약자 등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제조기술 발달로 탑승자의 안전이나 승차감 향상을 위하여 여러 시스템이 발전되어 오고 있다.
그 예로,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ABS)와 TCS 시스템이 그 대표적인 예이며 차량충돌 방지 시스템이나 지능형 정속 주행시스템 등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서 운전자의 조작없이도 제동력이 필요한 시점에서 필요한 제동력으로 전기적 신호에 따라 제동을 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나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며, 상기 자동제어기능 중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공차, 적차 등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제동 감속도를 부스터의 배력비를 변화시키므로 써 얻느 기능을 가변배력 기능이라 한다.
이러한 자동제어 기능을 위한 수단은 여러가지로 강구되어 왔으며, 그 중 기존 차량에 부착되어 있는 진공부스터를 이용하여 자동제동 및 제동력 유지장치로 활용하는 방법이 비교적 값싸고 쉽게 구현할 수 있어서 이에 관련된 기술이 많이 개발되어 왔다.
이와같은 기존 부스터에는 항상 엔진ㄴ 흡기다기관의 진공이 형성되어 있는 전방과 선택적으로 진공 및 대기압이 형성될 수 있는 후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방과 후방의 압력차이에 의해 제동력을 배력시키는 기능을 하게된다.
따라서, 여기에 솔레노이드를 부착하여 후방에 전기신호에 의해 대기압을 작용시키면 운전자의 조작 답력없이 브레이크 라인에 브레이킹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때 필요한 라인 압력을 얻기 위해서는 마스터 실린더의 압력을 측정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값비싼 센서를 부착하여야 하며 가별배력비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는 운전자의 답력을 측정할 수 있는 추가센서인 로드셀과 증폭회로가 필요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브레이크 시스템의 경우에는 일상운전 조건에서 긴급한 상황 발생시 급제동이 필요할 때 숙련된 운전자 또는 숙련자라 하더라도 긴급상황에선 브레이크 제동력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는 운전자는 드물며 고답력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제동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황에 따른 급제동시 고답력을 확보하기 용이치 않은 노약자나 여성운전자 등의 경우에는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으며, 이러한 운전자는 제동 후반 제동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사고의 위험이 숙련운전자에 비해 높은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양에 따라 저제동력 부터 고제동력 까지 가변적으로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구성하여 여성이나 노약자 등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가변식 브레이크 부스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 향상으로 안전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가변식 브레이크 부스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중 차량의 정지 및 감속을 위하여 페달 동작의 스트로크에 따른 배력을 마스터 실린더(10)로 전달시켜 차량의 제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페달과 연계된 인풋로드(11)가 몸체 후면에 접촉되며, 몸체 중앙으로는 가압구(21)가 형성되는 플랜저(20)와;
상기 플랜저(20)를 내측 수용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31)가 형성되고, 몸체 전면단부로는 아웃풋로드(12)가 구비되어 페달 스트로크를 마스터 실린더(10)로 전달시키는 가이드부(30)와;
상기 가이드부(30) 내측으로 수용된 플랜저(20)의 가압구(21)에 소정 길이를 갖고 끼워지는 조절부재(40)와;
상기 플랜저(20)의 가압구(21) 외측과 조절부재(40)의 후측으로 설치되는 가변스프링(50)과;
상기 가이드부(30)의 공간부(31) 내측 단부로 위치되어 선택적으로 플랜저(20)의 가압구(21)와 가변스프링(50)을 밀착지지하는 접촉부재(60)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가변식 브레이크 부스터장치는 페달의 조작에 의한 인풋로드(11) 조작시 가이드부(30)의 아웃풋로드(12)를 통해 전달되는 배력비를 가변스프링(50)과 가압구(21) 및 조절부재(40)와 접촉부재(60)를 통해 배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노약자 및 여성운전자와 같이 높은 제동답력을 확보하지 못하는 운전자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자동차 전체 제동 효율을 향상시켜 운전자의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브레이크 부스터장치 구성에서 초기 셋팅상태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구성에 의해 1단계 배력비 초기 연계 작동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구성에 의해 2단계 가변 배력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구성에 의해 니포인트 이후 인풋로드와 아웃풋로드의 그대로 전달된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브레이크 부스터의 특성 곡선을 그래프 구성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가변식 브레이크 부스터장치는 여성이나 노약자와 같이 높은 제동압력 확보가 용이치 않은 운전자등도 간 편하게 제동배력을 확보하여 제동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성중 플랜저(20)는 차량의 정지 및 감속을 위하여 페달 동작의 스트로크에 따른 배력을 마스터 실린더(10)로 전달시켜 차량의 제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페달과 연계된 인풋로드(11)가 몸체 후면에 접촉되며, 몸체 중앙으로는 가압구(21)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저(20)의 가압구(21)는 전면으로 소정거리 돌출되게 형성되어,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시 인풋로드(11)를 통해 전진하면서 접촉부재(60)를 가압하여 아웃풋로드(12)가 구비된 가이드부(30)의 이동을 담당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플랜저(20)를 내측 수용시킬 수 있도록, 몸체 후면으로는 공간부(31)가 형성되고, 몸체 전면단부로는 아웃풋로드(12)가 구비되어 페달 스트로크를 마스터 실린더(10)로 전달시키는 가이드부(30)의 내측으로 수용된 플랜저(20)의 가압구(21)에는 소정 길이를 갖고 끼워지는 조절부재(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저(20)의 가압구(21) 외측과 조절부재(40)의 후측으로 설치되는 가변스프링(50) 및 상기 가이드부(30)의 공간부(31) 내측 단부로 위치되어 선택적으로 플랜저(20)의 가압구(21)와 가변스프링(50)을 밀착지지하는 접촉부재(60)가 설치되어 페달조작에 따른 배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초기 셋팅상태에서 사용자의 초기 배력비 셋팅상태에서 는
Figure 112007049499152-PAT00001
와 같은 공식과 같이 배력비 초기상태에 따른 가압력이 확보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단계 가변 배력비 상태에서는
Figure 112007049499152-PAT00002
와 같이 배력비가 가변 셋팅된 후 도 4에서 니포인트 이후 상태에서는 인풋로드 F1의 힘이 아웃풋로드 F1으로 그대로 전달되면서 인풋로드와 아웃풋로드는 1 : 1이되는 구성인 것이다.
결국, 도 2 ~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상태에서 페달 가압시에는 플랜저(20)의 가압구(21)를 통한 1차가압이 발생되다가, 도 3에서와 같은 2차 가변 배력비 상태에서는 플랜저(20)의 가압구(21) 외측으로 설치된 조절부재(40)가 가변스프링(50)을 가압하면서 동시에 아웃풋로드(12)를 가압하는 것이며, 니포인트 이후상태에서는 플랜저(20)의 몸체 외측부가 가이드부(30) 외측을 가압하는 동시에 조절부재(40)는 가변스프링(50)을 가압하는 완전밀착구성이 되면서 인풋로드(11)의 힘이 아웃풋로드(12)로 그대로 전달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 가장 중요한 특징은 가변형 브레이크 부스터 작 동이 초기 답력에서 니포인트 이후 상태에서 점차적으로 답력에 비례하는 배력전달이 선택적으로 가변하면서, 강하게 브레이크 폐달을 밟지 않더라도 큰 브레이크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브레이크 폐달의 밟는 양에 따라 저제동력부터 고제동력까지 가변적으로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가변식 브레이크 부스터 장치와는 달리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브레이크 페단의 밟는 양에 따라 저제동력에서부터 고제동력까지 가변적으로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성이나 노약자 등과 같이 높은 답력확보가 용이치 않은 운전자등도 사용이 용이하며, 건조한 포장로 등에서 큰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저답력에서 고답력으로 제동답력 변화시 이에 따른 브레이크 제동력이 가변적으로 발생하여 약한 답력으로 고제동력을 얻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주행중 차량의 정지 및 감속을 위하여 페달 동작의 스트로크에 따른 배력을 마스터 실린더(10)로 전달시켜 차량의 제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페달과 연계된 인풋로드(11)가 몸체 후면에 접촉되며, 몸체 중앙으로는 가압구(21)가 형성되는 플랜저(20)와;
    상기 플랜저(20)를 내측 수용시킬 수 있도록, 공간부(31)가 형성되고, 몸체 전면단부로는 아웃풋로드(12)가 구비되어 페달 스트로크를 마스터 실린더(10)로 전달시키는 가이드부(30)와;
    상기 가이드부(30) 내측으로 수용된 플랜저(20)의 가압구(21)에 소정 길이를 갖고 끼워지는 조절부재(40)와;
    상기 플랜저(20)의 가압구(21) 외측과 조절부재(40)의 후측으로 설치되는 가변스프링(50)과;
    상기 가이드부(30)의 수용부() 내측 단부로 위치되어 선택적으로 플랜저(20)의 가압구(21)와 가변스프링(50)을 밀착지지하는 접촉부재(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식 브레이크 부스터장치.
KR1020070068095A 2007-07-06 2007-07-06 가변식 브레이크 부스터장치 KR20090004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095A KR20090004132A (ko) 2007-07-06 2007-07-06 가변식 브레이크 부스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095A KR20090004132A (ko) 2007-07-06 2007-07-06 가변식 브레이크 부스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132A true KR20090004132A (ko) 2009-01-12

Family

ID=40486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095A KR20090004132A (ko) 2007-07-06 2007-07-06 가변식 브레이크 부스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413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0598A (ko) * 2011-07-19 2013-0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멀티 스프링 타입 부스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0598A (ko) * 2011-07-19 2013-0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멀티 스프링 타입 부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6353B2 (en) Brake device
US7347510B2 (en) Braking force generator for a hydraulic vehicle braking system
US20080179145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brake pedal resistance
JPH0789432A (ja) 自動車用ブレーキ圧増大装置
EP1026059A3 (en) Brak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JPH0373510B2 (ko)
US9308897B2 (en) Brake control device
WO2008105466A1 (ja) 車両用制動制御装置
CZ281212B6 (cs) Kapalinový posilovač brzdové soustavy vozidla
CN113460014A (zh) 电动汽车制动末端减速度的控制方法
EP0781698B1 (en) Brak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US7686404B2 (en) Electro-hydraulic braking system
US7537294B2 (en) Vehicle braking system with active hydraulic brake force assistan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090004132A (ko) 가변식 브레이크 부스터장치
JPH09263234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H10264793A (ja) 電気自動車用回生制動併用式制動装置
JP2003507259A (ja) 自動車のブレーキ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001071878A (ja) 制動力制御装置
KR101592166B1 (ko) 차량용 제동장치
JP4748080B2 (ja) 制動力制御装置及びブレーキペダル操作形態推定装置及びブレーキペダル装置
JP3911651B2 (ja) ブレーキ装置
KR102249962B1 (ko) 차량용 제동장치
KR0135490Y1 (ko) 차량 제동장치의 전자식 배력장치
KR20140047976A (ko) 일체형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
JP2013139171A (ja) 回生協調ブレーキ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