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942A -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사용방법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사용방법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942A
KR20090003942A KR1020070067751A KR20070067751A KR20090003942A KR 20090003942 A KR20090003942 A KR 20090003942A KR 1020070067751 A KR1020070067751 A KR 1020070067751A KR 20070067751 A KR20070067751 A KR 20070067751A KR 20090003942 A KR20090003942 A KR 20090003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content
user
game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프
Priority to KR1020070067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942A/ko
Publication of KR20090003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9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9Incentive being awarded or redeemed in connection with the playing of a video ga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8Trade or exchange of good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대한 포인트 점수와,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 종류 및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 차감 점수를 설정 및 저장하는 단계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회원인증을 확인하는 단계와, 회원인증이 확인된 사용자에게 광고가 삽입된 게임을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따라 설정된 포인트 점수를 부여하고, 사용자의 포인트 점수를 적립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적립된 포인트 점수를 이용한 콘텐츠 구매 요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콘텐츠 구매 요청이 있다면,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포인트로 사용가능하다면, 설정된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 차감 점수에 따라서,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하고,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포인트,콘텐츠, 온라인, 오프라인, 광고 노출 회수

Description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방법과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serving and using point obtained by exposing advertisement in online game}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광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라인 게임 사용자에게 광고를 노출시키고, 광고 노출 정도에 따라 포인트를 지급하여 지급된 포인트를 온/오프라인에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은 개인의 공개된 정보에서부터 세계 각국의 정보를 탐색하고 얻을 수 있는 무한한 정보의 바다로 일컬어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서비스는 경제, 문화, 정치, 스포츠 부분 등의 일부 전문 지식인에서부터 초등학생에 이르기까지 그 사용범위가 확대됨으로써, 서비스의 종류는 점점 다양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인터넷은 정보 전달이라는 단순한 서비스 이외에도 인트라넷, 전자상거래, 공공기관의 민원업무 처리 등과 같이 일반 사용자에게 밀접한 서비스도 제공 하고 있다.
따라서, 인터넷은 TV, 라디오, 신문 등의 정보 매체와 더불어 일반 가정 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수단으로 급속히 자리 잡고 있다.
이와 같이, 인터넷의 폭 넓은 사용자들로 인하여, 인터넷은 각종 서비스 제공 이외에도 기업 및 기업의 상품 등을 광고하기 위한 광고 수단의 역할로서도 그 의미가 대단히 크기 때문에, 인터넷 상의 광고는 동화상 및 반복 재생이 가능하다는 컴퓨터의 기능성을 최대한 살린 광고방법들이 많이 출현되었다.
그 중에서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광고 방법은 배너 광고 방법으로서, 이는 그래픽 이미지에 마케팅 또는 광고 메시지를 넣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배너를 클릭할 경우, 사용자를 해당하는 기업의 사이트로 끌어들이는 광고방법이다.
이러한 배너 광고는 소정 웹사이트를 방문한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선택적으로 광고를 보기 때문에 광고를 본 사용자의 조회수가 집계 가능하므로 광고의 인지도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너 광고는 가장 보편화된 광고방법이므로, 사용자의 인지도가 점점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광고를 보기 위해 배너를 클릭해야 하는 강제성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지 못한 광고방법으로 치부되어 사용자가 거부감을 갖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너를 클릭할 경우, 배너에 표현되는 기업 또는 상품의 웹사이트에 접속되므로, 이에 따른 시간지연 및 서버접속 오류 등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였 다.
한편, 최근에는 각종 게임사이트들이 등장하면서, 게임사이트의 이용자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게임사이트들 중에서, 온라인 게임은 여러 명의 사용자가 동시에 즐길 수 있고, 사용자에게 많은 흥미와 재미를 제공하기 때문에 다른 사이트에 비해 이용자들이 많다.
따라서, 게임사이트 운영자들은 게임에 광고를 도입하여 많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들은 게임에 대한 강한 몰입도를 가지기 때문에, 온라인 게임에 도입되는 광고 효과는 다른 사이트의 광고에 비해 매우 크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광고는 게임을 순수하게 즐기려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거슬리고 거추장스러운 존재가 될 뿐만 아니라, 게임을 수행하는데 방해가 되어 게임의 흥미를 잃게 되는 문제들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들이 광고로 인하여 게임에 흥미를 잃게 되는 경우에는 게임사이트의 이용자들이 줄어들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광고 수입이 줄어드는 악순환을 초래한다.
따라서, 앞으로는 게임 사용자가 게임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으면서도 광고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광고 노출 정도에 따라 온라인 게임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고, 지급된 포인트를 온/오프라인에 연계하여 사용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시키고 광고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방법은,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대한 포인트 점수와,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 종류 및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 차감 점수를 설정 및 저장하는 단계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회원인증을 확인하는 단계와, 회원인증이 확인된 사용자에게 광고가 삽입된 게임을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따라 설정된 포인트 점수를 부여하고, 사용자의 포인트 점수를 적립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사용자로부터 적립된 포인트 점수를 이용한 콘텐츠 구매 요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콘텐츠 구매 요청이 있다면,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포인트로 사용가능하다면, 설정된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 차감 점수에 따라서,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하고,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대한 포인트 점수는 광고주와 사전 협의 된 프로모션(promotion) 비용의 일정부분을 포인트로 환산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 종류는 온라인 상의 콘텐츠와 오프라인 상의 콘텐츠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 시스템은,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대한 포인트 점수와,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 종류 및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 차감 점수를 설정하는 설정부와, 설정된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대한 포인트 점수와,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 종류 및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 차감 점수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포인트 점수를 적립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회원인증을 회원인증 확인부와, 회원인증이 확인된 사용자에게 광고가 삽입된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제공부와,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따라 설정된 포인트 점수를 부여하는 포인트 제공부와, 사용자로부터 적립된 포인트 점수를 이용한 콘텐츠 구매 요청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인지를 확인하는 제어부와, 설정된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 차감 점수에 따라서,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하고,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콘텐츠 지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방법과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 사용자에게 게임을 통해 광고를 노출시키고, 광고 노출 정도에 따라 온라인 게임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므로, 사용자에게 광고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지급된 포인트를 사용하여 온/오프라인에 연계된 콘텐츠들을 구매가능하도록 시스템 구성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에게 게임에 대한 재미와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개념은 온라인 게임 사용자에게 광고를 노출시키고, 광고 노출 정도에 따라 온라인 게임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며, 사용자는 지급된 포인트를 사용하여 온/오프라인에 연계된 콘텐츠들을 구매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시키고 광고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10), 온라인 게임 제공업체(120) 및 게임 관련 오프라인 매장(130)으로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게임 관련 오프라인 매장(130)은 게임 및 애니메이션 테마 파크로서, 게임 및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및 컨텐츠를 활용한 체험 및 놀이문화의 공간을 의미한다.
게임 공간으로는 게임 체험관, 게임 전시 홍보관, 게임 대회, 게임 및 캐릭터 박물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게임 체험관은 게임 속 콘텐츠를 오프라인으로 재현하여 실제 체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게임 전시 홍보관은 게임 기업별 부스 제공, 게임 전시 및 홍보를 가능하게 하고, 게임 대회는 이-스포츠(E-Sports) 등의 게임 경기를 정기적으로 유치하며, 게임 및 캐릭터 박물관은 관련 게임 및 캐릭터들을 전시한다.
또한, 애니메이션 체험관은 애니메이션 콘텐츠를 오프라인으로 재현하고 이를 실제로 체험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애니메이션 캐릭터 전시장과 캐릭터 관련 상품 상설 판매장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온라인 게임 제공업체(120)는 오프라인의 게임 및 애니메이션 테마 파크를 웹상에 구현하는 업체를 의미한다.
여기서, 웹상에 구현되는 각 게임별 메뉴에서 해당 게임 채널링 및 게임 접속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110)는 사용자 단말기(112)를 구비하고, 게임 제공업체(120)는 게임 서버(122)를 구비하며, 게임 관련 오프라인 매장(130)은 매장 단말기(13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12), 게임 서버(122), 및 매장 단말기(132)는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되며, 네트워크는 인터넷, LAN, 무선망, 전화망과 같이 게임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지원해 줄 수 있는 형태의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게임 제공업체(120)의 게임 서버(122)는 설정부(11), 데이터베이스(13), 회원인증 확인부(15), 게임 제공부(17), 포인트 제공부(19), 제어부(21), 콘텐츠 지급부(23)로 다시 나뉠 수 있다.
설정부(11)는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대한 포인트 점수와,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 종류 및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 차감 점수를 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대한 포인트 점수는 광고주와 사전 협의된 프로모션(promotion) 비용의 일정부분을 포인트로 환산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는 광고 클릭 회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웹사이트 및 게임 내에 B2B 광고를 통한 프로모션 제공이 가능하다.
광고는 노출 기반(Dynamic Advertising)과 체험 기반(Fixed Product Placement) 광고 삽입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웹사이트 이용 및 게임 플레이 시 광고 노출 정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는데, 광고 노출 회수 및 노출 방식은 프로모션 비용 규모에 비례하여 설정되며, 광고주와 사전 협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회 광고 노출 시마다 각각의 광고에 대해 발생하는 광고 비용을 책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광고에 노출 및 접근하는 경우, 해당 광고에 대한 프로모션 비용의 일정 부분을 포인트로 환산하여 사용자 계정에 적립할 수 있다.
또한,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 종류는 온라인 상의 콘텐츠와 오프라인 상의 콘텐츠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상의 콘텐츠는 게임 아이템, 유료 게임 이용권 및 할인권 등일 수 있고, 오프라인 상의 콘텐츠는 해당 게임 관련 테마파크 이용권, 할인권 및 각종 게임용품 등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립된 포인트를 통해 사용자가 게임 아이템 등을 구입하거나, 또는 기타 오프라인 콘텐츠를 이용할 때, 활용될 수 있다.
다음, 데이터베이스(13)는 설정부(11)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대한 포인트 점수와,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 종류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가 광고 노출에 따라 획득한 사용자의 포인트 점수를 적립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회원인증 확인부(15)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회원인증을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게임 제공업체(120)의 게임 서버(122)에 사용자가 접속하면, 회원인증 확인부(15)는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의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의 ID와 패스워드가 등록되지 않았다면, 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어, 게임 제공부(17)는 회원인증이 확인된 사용자에게 광고가 삽입된 게임을 제공한다.
여기서, 게임에 삽입되는 광고는 노출 기반 광고와 체험 기반 광고 중 적어 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음, 포인트 제공부(19)는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따라 설정된 포인트 점수를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21)는 사용자로부터 적립된 포인트 점수를 이용한 콘텐츠 구매 요청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인지를 확인하여 콘텐츠 지급부(23)를 제어한다.
이어, 콘텐츠 지급부(25)는 설정부(11)에 의해 설정된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 차감 점수에 따라서,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하고,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온라인을 통해서 적립한 포인트를 오프라인에서 활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오프라인 매장(130)의 게임 및 에니매이션 테마 파크를 이용할 때, 입장료 및 체험료를 온라인에서 적립한 포인트로 차감하여 결제 또는 할인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오프라인을 통해서 적립한 포인트를 온라인에서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기/비정기적인 오프라인 이벤트를 통해서 포인트를 적립하고, 게임 아이템 등의 온라인 콘텐츠를 이용 및 결제할 때, 오프라인에서 적립한 포인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 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게임 서버(122)의 설정부(11)는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대한 포인트 점수와,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 종류 및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 차감 점수를 설정한다.(S100)
여기서,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대한 포인트 점수는 광고주와 사전 협의된 프로모션(promotion) 비용의 일정부분을 포인트로 환산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는 광고 클릭 회수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 종류는 온라인 상의 콘텐츠와 오프라인 상의 콘텐츠를 모두 포함할 수 있는데, 온라인 상의 콘텐츠는 게임 아이템, 유료 게임 이용권 및 할인권 등일 수 있고, 오프라인 상의 콘텐츠는 해당 게임 관련 테마파크 이용권, 할인권 및 각종 게임용품 등일 수 있다.
이어, 데이터베이스(13)는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대한 포인트 점수와,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 종류 및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 차감 점수를 저장한다.(S100)
다음, 회원인증 확인부(15)는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회원인증을 확인한다.(S200)
그리고, 게임 제공부(17)는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회원인증이 확인된 사용자에게 광고가 삽입된 게임을 제공한다.(S300)
여기서, 게임에 삽입되는 광고는 노출 기반 광고와 체험 기반 광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어, 포인트 제공부(19)는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를 측정하고, 측정된 광고 노출 회수에 따라 설정된 포인트 점수를 사용자에게 부여한다.(S400)
다음, 데이터베이스(13)는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포인트 점수를 적립하여 저장한다.(S500)
그리고, 제어부(21)는 사용자로부터 적립된 포인트 점수를 이용한 콘텐츠 구매 요청 여부를 확인한다.(S600)
확인결과, 사용자의 콘텐츠 구매 요청이 있다면, 제어부(21)는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인지를 데이터베이스(13)를 통해 확인하고,(S700) 사용자의 콘텐츠 구매 요청이 없다면, 제어부(21)는 사용자로부터 적립된 포인트 점수를 이용한 콘텐츠 구매 요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다음, 확인결과,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포인트로 사용가능하다면, 콘텐츠 지급부(23)는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설정된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 차감 점수에 따라서,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하고,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지급한다.(S800)
그러나, 확인결과,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포인트로 사용가능하지 않다면, 제어부(21)는 포인트 이외의 다른 결제시스템 이용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확인한다.(S900)
만일, 사용자가 포인트 이외의 다른 결제시스템을 이용한다면, 콘텐츠 지급 부(23)는 제어부(21)의 제어에 따라, 결제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지급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포인트 이외의 다른 결제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제어부(21)는 콘텐츠 지급을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방법과 시스템은 온라인 게임 사용자에게 광고를 노출시키고, 광고 노출 정도에 따라 온라인 게임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며, 사용자는 지급된 포인트를 사용하여 온/오프라인에 연계된 콘텐츠들을 구매함으로써, 사용자에게 게임에 대한 재미와 흥미를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광고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설정부 13 : 데이터베이스
15 : 회원인증 확인부 17 : 게임 제공부
19 : 포인트 제공부 21 : 제어부
23 : 콘텐츠 지급부

Claims (10)

  1.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광고가 삽입된 게임을 제공하는 온라인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대한 포인트 점수와, 상기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 종류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 차감 점수를 설정 및 저장하는 단계;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회원인증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회원인증이 확인된 사용자에게 광고가 삽입된 게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따라 상기 설정된 포인트 점수를 부여하고, 상기 사용자의 포인트 점수를 적립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립된 포인트 점수를 이용한 콘텐츠 구매 요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콘텐츠 구매 요청이 있다면, 상기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상기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상기 포인트로 사용가능하다면, 상기 설정된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 차감 점수에 따라서, 상기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하고, 상기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대한 포인트 점수는 광고주와 사전 협의된 프로모션(promotion) 비용의 일정부분을 포인트로 환산하여 결정되고, 상기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는 광고 클릭 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 종류는 온라인 상의 콘텐츠와 오프라인 상의 콘텐츠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상의 콘텐츠는 게임 아이템, 유료 게임 이용권 및 할인권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오프라인 상의 콘텐츠는 해당 게임 관련 테마파크 이용권, 할인권 및 각종 게임용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립된 포인트 점수를 이용한 콘텐츠 구매 요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콘텐츠 구매 요청이 없다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립된 포인트 점수를 이용한 콘텐츠 구매 요청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상기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상기 포인트로 사용가능하지 않다면, 상기 포인트 이외의 다른 결제시스템 이용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포인트 이외의 다른 결제시스템을 이용한다면, 상기 결제시스템을 통해 상기 사용자에게 콘텐츠를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 이외의 다른 결제시스템 이용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포인트 이외의 다른 결제시스템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상기 콘텐츠 지급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원인증이 확인된 사용자에게 광고가 삽입된 게임을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게임에 삽입되는 광고는 노출 기반 광고와 체험 기반 광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방법.
  9.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 광고가 삽입된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서버를 갖는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대한 포인트 점수와, 상기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 종류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 차감 점수를 설정하는 설정부;
    상기 설정된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대한 포인트 점수와, 상기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 종류 및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 차감 점수를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포인트 점수를 적립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사용자의 회원인증을 회원인증 확인부;
    상기 회원인증이 확인된 사용자에게 광고가 삽입된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 제공부;
    상기 사용자의 광고 노출 회수에 따라 상기 설정된 포인트 점수를 부여하는 포인트 제공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적립된 포인트 점수를 이용한 콘텐츠 구매 요청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상기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인지를 확인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설정된 콘텐츠에 대한 포인트 차감 점수에 따라서, 상기 구매하고자 하는 콘텐츠에 해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하고, 상기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지급하는 콘텐츠 지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로 사용가능한 콘텐츠 종류는 온라인 상의 콘텐츠와 오프라인 상의 콘텐츠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 사용방법.
KR1020070067751A 2007-07-05 2007-07-05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사용방법과 시스템 KR20090003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751A KR20090003942A (ko) 2007-07-05 2007-07-05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사용방법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7751A KR20090003942A (ko) 2007-07-05 2007-07-05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사용방법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942A true KR20090003942A (ko) 2009-01-12

Family

ID=4048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751A KR20090003942A (ko) 2007-07-05 2007-07-05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사용방법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94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9113A2 (en) * 2009-07-17 2011-01-20 Nix Joseph D Apparatus and method for anonymously presenting targeted advertisements and desirable media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 virtual currency
US20130197982A1 (en) * 2012-02-01 2013-08-01 Yahoo! Inc. Game Advertisements
WO2013187600A1 (ko) * 2012-06-12 2013-12-19 (주)아모레퍼시픽 게임포인트 관리시스템
WO2014035093A1 (ko) * 2012-08-29 2014-03-06 Kim Sungjin 복권 제공 장치, 복권 제공 방법및 상기 방법을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KR101423694B1 (ko) * 2011-09-21 2014-07-30 문현성 광고 기능을 갖는 게임 장치
KR101626440B1 (ko) 2015-02-24 2016-06-1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게임중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74120B1 (ko) 2021-11-30 2022-12-05 김순복 포인트 적립 기반의 상품구매 유도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9113A2 (en) * 2009-07-17 2011-01-20 Nix Joseph D Apparatus and method for anonymously presenting targeted advertisements and desirable media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 virtual currency
WO2011009113A3 (en) * 2009-07-17 2011-04-21 Nix Joseph D Apparatus and method for anonymously presenting targeted advertisements and desirable media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 virtual currency
US9001979B2 (en) 2009-07-17 2015-04-07 Joseph D. Nix Apparatus and method for anonymously presenting targeted advertisements and desirable media content in association with a virtual currency
KR101423694B1 (ko) * 2011-09-21 2014-07-30 문현성 광고 기능을 갖는 게임 장치
US20130197982A1 (en) * 2012-02-01 2013-08-01 Yahoo! Inc. Game Advertisements
WO2013187600A1 (ko) * 2012-06-12 2013-12-19 (주)아모레퍼시픽 게임포인트 관리시스템
WO2014035093A1 (ko) * 2012-08-29 2014-03-06 Kim Sungjin 복권 제공 장치, 복권 제공 방법및 상기 방법을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KR101626440B1 (ko) 2015-02-24 2016-06-1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게임중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74120B1 (ko) 2021-11-30 2022-12-05 김순복 포인트 적립 기반의 상품구매 유도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92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umer-selected advertising and branding in interactive media
US7729946B2 (en) Online game advertising system
US10346853B2 (en) Computing environment transaction system to transact computing environment circumventions
US20010034647A1 (en) Providing benefits by the internet to minimally identified users
US200602055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ing while using game terminal connected to a mobile radio network
US20050027595A1 (en) Advertising system and method using lotto game
US20100205035A1 (en) Providing Advertisements in Virtual Environments
US200500969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advertisement
KR20090003942A (ko) 온라인 게임의 광고 노출에 따른 포인트 적립 및사용방법과 시스템
US20110066444A1 (en) Digital marketing and revenue generation method and system
US20110319149A1 (en) Accurate Marketing System
JP7407094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を利用した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所有権証明及びデジタルチケット付与システム
Fessler Webcasting Royalty Rates
KR101603761B1 (ko) 자이로센서 기반의 알람서비스 제공을 통한 광고시스템 및 광고방법
JP5391586B2 (ja) 広告対価支払い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4519556B2 (ja) 課金システム及び課金方法
KR20150000052A (ko)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 게임 내의 광고 링크를 통해 얻는 포인트
WO2024122523A1 (ja) スポーツチームに対するスポンサーシップを支援するための装置、方法及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JP2002056204A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2003044688A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情報配信方法
JP2002092238A (ja) イベント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200138099A (ko) 크라우딩 펀딩 시스템
JP2002024594A (ja) オンライン・コンテンツ対価形成システム
US20180181975A1 (en) System and process for delivering advertising
JP2007317136A (ja) ポイント付き情報提供メール販売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