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911U - 신발밑창 - Google Patents

신발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911U
KR20090003911U KR2020070017122U KR20070017122U KR20090003911U KR 20090003911 U KR20090003911 U KR 20090003911U KR 2020070017122 U KR2020070017122 U KR 2020070017122U KR 20070017122 U KR20070017122 U KR 20070017122U KR 20090003911 U KR20090003911 U KR 200900039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shoe sole
tunnels
heel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형철
김인권
Original Assignee
강형철
김인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형철, 김인권 filed Critical 강형철
Priority to KR2020070017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911U/ko
Publication of KR200900039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91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쿠션력을 크게 증대시켜 보행 전반에 걸쳐 착용자의 발목과 무릎 등의 신체를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미려감이 크게 향상되는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신발밑창에 의하면, 미드솔의 앞굽, 뒷굽 및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제1,2,3터널과 제1,3터널에 내재된 쿠션부재에 의해서 보행 전반에 걸쳐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편안하고 즐거운 보행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2터널에 의해서 미드솔 가운데 부분이 유연성을 가지게 되므로 보다 편안한 보행이 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미드솔에 형성된 제1,2,3터널과 제1,3터널 내부에 내재된 쿠션부재에 의해서 공지된 신발밑창과 달리 미려감이 더욱 우수하여 착용자의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신발밑창, 아웃솔, 미드솔, 갑피부

Description

신발밑창{sole of a shoe}
본 고안은 신발밑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쿠션력을 크게 증대시켜 보행 전반에 걸쳐 착용자의 발목과 무릎 등의 신체를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미려감이 크게 향상되는 신발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착용자의 발이 안치되는 갑피부와, 상기 갑피부 하면에 부착되어져 지면으로부터 발을 보호하는 신발밑창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신발밑창은 착용자의 발에 쿠션력을 제공하는 미드솔과 상기 미드솔 하면에 부착되며, 상기 미드솔보다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져 지면에 직접 닿게 되는 아웃솔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신발밑창은 지면으로부터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는 기본적인 목적을 넘어서 근래에 들어서는 착용자의 발과 신체의 각 관절부분을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다양한 쿠션부재가 구비된 신발밑창이 제공되어 있는 실정이다.
상기 쿠션부재는 통상 신발밑창 뒷굽 부분에 내재되거나 구비되어져 보행시 충격을 흡수하도록 설계되어지는데, 이러한, 이유는 보행시 지면에 대한 발의 이동 에서 알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보행시 뒤꿈치에 의한 착지단계, 뒤꿈치에서 앞꿈치로 중심이 이동되는 단계 및 앞꿈치가 지면을 밀어서 이탈하는 단계를 거쳐 이동하게 되므로 먼저 지면에 착지하게 되는 뒤꿈치 부분에 대한 충격을 흡수하도록 뒷굽 부분에 쿠션부재가 내재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신발밑창은 최초 지면에 닿는 뒤꿈치 부분에 대한 충격 흡수는 가능하지만 앞꿈치 부분이나 가운데 부분에 대한 충격 흡수가 미흡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밑창 전체에 쿠션력을 크게 증대시켜 착용자의 발목과 무릎 등의 신체를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미려감이 크게 향상되는 신발밑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신발밑창은, 미드솔의 앞굽, 뒷굽 및 가운데 부분에는 좌우측으로 개방된 제1,2,3터널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1,3터널에는 착용자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쿠션부재가 내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쿠션부재는 견고하면서도 충격 흡수력이 우수한 자바라 형상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드솔의 뒷굽 부분에 형성된 제3터널의 양측면에는 보행시 혹은 점프시 전달되는 보다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지지돌기가 각각 형성되어져 제3터널을 지지한다.
본 고안의 신발밑창에 의하면, 미드솔의 앞굽, 뒷굽 및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 제1,2,3터널과 제1,3터널에 내재된 쿠션부재에 의해서 보행 전반에 걸쳐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편안하고 즐거운 보행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2터널에 의해서 미드솔 가운데 부분이 유연성을 가지게 되므로 보다 편안한 보행이 되도록 하는 장점 이 있다.
또한, 상기 미드솔에 형성된 제1,2,3터널과 제1,3터널 내부에 내재된 쿠션부재에 의해서 공지된 신발밑창과 달리 미려감이 더욱 우수하여 착용자의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신발밑창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밑창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밑창의 개략적 평면도이며, 도 3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A-A선 단면도이고, "나"는 신발밑창의 분리 측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신발밑창(100)은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신발의 갑피부 하면을 감싸는 미드솔(110)과 상기 미드솔(110) 하면에 부착되는 아웃솔(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미드솔(110)의 앞굽(A), 뒷굽(B) 및 가운데 부분(C)에는 좌우측으로 관통된 제1,2,3터널(112)(114)(116)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3터널(112)(116)의 내부에는 쿠션부재(130)가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도 2를 참조로 하면, 상기 제1,2,3터널(112)(114)(116)은 격벽에 의해서 전후방으로는 구획되어 있고, 좌우측으로는 개방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3터널(112)(116)의 내부에 쿠션부재(130)가 삽입되는 것은 앞굽(A)과 뒷굽(B) 부분에 착용자의 하중이 다른 부분에 비해 크게 전달되기 때문에 제1,3터널(112)(116)이 훼손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이다. 뿐만 아니라, 뒷굽(B) 부분이 앞굽(A) 부분에 비해 더 큰 하중을 전달받기 때문에 상기 제3터널(116)의 양측면에는 지지돌기(118)를 추가로 형성하여 제3터널(116)을 지지토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터널(114)의 길이는 충격 흡수와 더불어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미드솔(110) 전체 길이 대비 20 ~ 35% 정도의 비율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3터널(112)(116) 내부에 내재되어 있는 쿠션부재(130)는 도 3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바라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자바라 형상을 가지게 되면 쿠션부재(130)는 마치 주름관의 신축 운동처럼 작동하여 충격을 흡수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미드솔(110)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도 3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드솔(110)을 두 부분으로 제작하여 부착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자바라 형상의 쿠션부재(130) 또한 분리된 미드솔(110)에 두 부분으로 분리되어져 부착되며, 이후 두 부분으로 분리된 미드솔(110) 부착시 같이 부착되어져 자바라 형상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미드솔(110) 제작시 분리 제작하여 부착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일예를 들었지만 금형기술을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할 수도 있을 것은 너무나 명백하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밑창의 사용 상태에 의한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로 하면, 신발밑창(100) 즉 미드솔(110)의 상부에는 갑피부(140)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갑피부(140) 내부에는 착용자의 발이 안치되어져 있다. 따라서, 착용자가 보행을 시작하게 되면 종래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의 뒤꿈치 즉, 신발밑창의 뒷굽(B) 부분이 먼저 지면에 닿게 되는데, 이때 미드솔(110)에 형성된 제3터널(116)의 수축작용과 이 내부에 내재된 쿠션부재(130)의 수축에 의해서 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발목, 다리 등의 신체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착용자의 중심이 앞꿈치 즉, 신발밑창의 앞굽(A) 부분으로 이동하여 지면을 밀게 되면 미드솔(110)의 제1터널(112)과 이 내부에 내재된 쿠션부재(130)가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중심 이동과정과 미는 과정에서 미드솔(110)의 가운데 부분(C)에 형성된 제2터널(114)이 수축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착용자는 보다 편안한 보행을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미드솔(110)의 가운데 부분(C)은 제2터널(114)에 의해 자연스러운 유연성이 발생하게 되므로 착용자의 활동력을 보다 향상시키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신발밑창(100)에 의하면, 미드솔(110)의 앞굽(A), 뒷굽(B) 및 가운데 부분(C)에 형성된 제1,2,3터널(112)(114)(116)과 제1,3터 널(112)(116)에 내재된 쿠션부재(130)에 의해서 보행 전반에 걸쳐 충격을 흡수하게 되므로 편안하고 즐거운 보행이 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2터널(114)에 의해서 미드솔(110) 가운데 부분(C)이 유연성을 가지게 되므로 보다 편안한 보행이 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미드솔(110)에 형성된 제1,2,3터널(112)(114)(116)과 제1,3터널(112)(116) 내부에 내재된 쿠션부재(130)에 의해서 공지된 신발밑창과 달리 미려감이 더욱 우수하여 착용자의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밑창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밑창의 개략적 평면도.
도 3의 "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밑창의 측면도이고, "나"는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밑창의 사용 상태에 의한 작동을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신발밑창 110 : 미드솔
112 : 제1터널 114 : 제2터널
116 : 제3터널 118 : 지지돌기
119 : 격벽 120 : 아웃솔
130 : 쿠션부재 140 : 갑피부

Claims (3)

  1. 미드솔과 상기 미드솔 하면에 부착되는 아웃솔로 구성된 공지된 신발밑창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앞굽, 뒷굽 및 가운데 부분에는 좌우측으로 관통된 제1,2,3터널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1,3터널에는 착용자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쿠션부재가 내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는 견고하면서도 충격 흡수력이 우수한 자바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의 뒷굽 부분에 형성된 제3터널의 양측면에는 보행시 혹은 점프시 전달되는 보다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지지돌기가 각각 형성되어져 제3터널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밑창.
KR2020070017122U 2007-10-23 2007-10-23 신발밑창 KR200900039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122U KR20090003911U (ko) 2007-10-23 2007-10-23 신발밑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122U KR20090003911U (ko) 2007-10-23 2007-10-23 신발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911U true KR20090003911U (ko) 2009-04-28

Family

ID=4128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122U KR20090003911U (ko) 2007-10-23 2007-10-23 신발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911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504B1 (ko) * 2009-09-17 2010-08-10 김정표 신발용 밑창
WO2011090250A1 (ko) * 2010-01-21 2011-07-28 Kim Jung Pyo 신발용 밑창
KR20200038787A (ko) 2018-10-04 2020-04-14 웰바이오텍 주식회사 쿠션기능과 보행기능이 강화된 신발밑창
KR20200122780A (ko) * 2019-04-19 2020-10-28 신성 신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504B1 (ko) * 2009-09-17 2010-08-10 김정표 신발용 밑창
WO2011090250A1 (ko) * 2010-01-21 2011-07-28 Kim Jung Pyo 신발용 밑창
KR20200038787A (ko) 2018-10-04 2020-04-14 웰바이오텍 주식회사 쿠션기능과 보행기능이 강화된 신발밑창
KR20200122780A (ko) * 2019-04-19 2020-10-28 신성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24137T3 (es) Calzado
JP5292652B2 (ja) 走行効率の良い運動靴の靴底
ES2392441T3 (es) Calzado con desacoplamiento en puente
KR200402587Y1 (ko) 뒤축을 개량한 건강 신발
JP2010538788A (ja) 衝撃吸収性および反発弾性を有する弾性ソールおよびその靴
KR20090003911U (ko) 신발밑창
KR100518307B1 (ko) 신발
KR100720959B1 (ko) 측면공간부가 형성된 구름운동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KR20090003909U (ko) 기능성 건강신발
KR200374026Y1 (ko) 신발
KR100647108B1 (ko) 신발
KR200430896Y1 (ko) 이동 가능한 뒷굽이 장착된 신발 밑창
KR200444068Y1 (ko)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KR100939254B1 (ko) 좌우 양측이 호형 형태로 경사진 신발밑창
KR101395840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100927194B1 (ko) 신발
KR101251586B1 (ko) 충격흡수 및 충격분산기능이 구비된 신발밑창
KR20100051210A (ko) 에어백 하부소프트 감지체가 형성된 마사이워킹용 전문신발의 밑창
KR101762709B1 (ko) 미드솔 충격 흡수 구조를 갖는 신발
KR100928444B1 (ko) 좌우 양측이 호형 형태로 경사진 감지체돌기 신발밑창의 제조방법
KR100962004B1 (ko) 신발
KR100885066B1 (ko) 벌집형 충격흡수층이 중창에 구비된 신발
CN220936960U (zh) 一款贴合足弓的儿童鞋
CN210329546U (zh) 一种刺猬型防滑缓冲儿童鞋底
KR20020050216A (ko) 신발용 피스톤 기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