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888A - 곤충 유입 방지구 - Google Patents
곤충 유입 방지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3888A KR20090003888A KR1020070067629A KR20070067629A KR20090003888A KR 20090003888 A KR20090003888 A KR 20090003888A KR 1020070067629 A KR1020070067629 A KR 1020070067629A KR 20070067629 A KR20070067629 A KR 20070067629A KR 20090003888 A KR20090003888 A KR 200900038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ssage holes
- insect
- main body
- insect inlet
- ja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6—Devices for restraining rats or othe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구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구를 통하여 정화조 쪽으로 유입하려는 곤충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곤충 유입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는, 복수 개의 통로구멍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복수 개의 통로구멍 중에 어느 하나에는 바깥쪽에 유출입관이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담길 수 있는 본체 몸통으로 구성되는 본체, 와 본체에 씌워지는 뚜껑 몸체와 뚜껑 몸체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가림 판으로 구성되는 뚜껑을 포함하고, 가림 판의 하단의 높이는 복수 개의 통로구멍의 내주 최저면을 연장하는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곤충 유입 방지구이다.
곤충, 유입, 방지, 해충, 파리, 모기
Description
본 발명은 곤충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구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구를 통하여 정화조 쪽으로 유입하려는 곤충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곤충 유입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또는 소규모의 사업장에서는 정화조를 이용하여 하수를 정화하고 정화된 물을 배수하며, 배수되는 하수는 하천 등으로 흘러가게 된다.
특히 정화조에서 발생 되는 가스와 온도는 곤충 중에서도 특히 해충이 서식하기 알맞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해충의 번식이 많아 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번식된 파리, 모기, 하루살이 등의 곤충은 하수관을 따라 정화조를 통하여 가정으로 유입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유입되는 파리, 모기, 하루살이 등의 곤충들은 실생활에 많은 불편과 거부감을 주고, 특히 위생이 불결해지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정화조에 입수 또는 배수되는 부분에 장착하여 하수관을 따라 역류하여 유입하려는 곤충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곤충 유입 방지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수관을 차단하더라도 정화조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원활하게 배기시킬 수 있게 하여 정화조가 가스로인하여 폭발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곤충유입 방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는, 복수 개의 통로구멍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복수 개의 통로구멍 중에 어느 하나에는 바깥쪽에 유출입관이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담길 수 있는 본체 몸통으로 구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씌워지는 뚜껑 몸체와 상기 뚜껑 몸체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가림 판으로 구성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가림 판의 하단의 높이는 상기 복수 개의 통로구멍의 내주 최저면을 연장하는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구멍의 크기는 0.1mm 내지 2mm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통로구멍에 각각 외측에 제1 유출입관과 제2 유출입관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통로구멍에는 제1 턱 또는 제2 턱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턱 또는 상기 제2 턱은 상기 본체 몸통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통로구멍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 몸통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상기 가림 판의 좌우측면 모서리가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하수관을 따라 역류하여 유입하려는 곤충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곤충으로부터 발생하는 불편함과 위생이 불결해지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화조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원활하게 배기할 수 있고 찌꺼기가 포함된 하수돗물을 원활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100)는 정화조(10)의 내부에 장착된다.
상술한 정화조(10)는 제1, 제2 격벽(11)(12)으로 구획되어 제1, 제2, 제3 실(15)(16)(17)로 구획되며, 제1 격벽(11)의 하측에는 제1 통로(13)가 형성되며, 제2 격벽(12)의 상측에는 제2 통로(14)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실(15)의 한쪽에는 제1 유출입 하수관(20)이 배치되고, 제3 실(17)의 한쪽에는 제2 유출입 하수관(30)이 배치된다.
즉, 제2 유출입 하수관(30)을 통해 유입된 하수는 제1, 제2, 제3 실(15)(16)(17)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침전물이 침전되고 맑은 물이 배수되는 것이다.
정화된 물은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하수관을 따라 배수되어 하천 등으로 흘러가거나 또 다른 정화장으로 흘러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100)는 상술한 제1 유출입 하수관(20) 또는 제2 유출입 하수관(30)에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100)는 곤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상태를 보인 예시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의 단면을 보인 예시도면이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100)는 본체(200)의 상측에 뚜껑(300)이 씌워지고, 본체(200)에는 하수 또는 정화된 물이 통과한다.
상술한 본체(200)는 복수 개의 통로구멍(도면 부호 222 참조)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특히, 본체 몸통(210)의 측방에 상술한 복수 개의 통로구멍 중 어느하나의 통로구멍의 외측에 제1 유출입관(220)이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통로구멍의 외측(상술한 제1 유출입관(220)과 이격된 위치)에 제2 유출입관(230)이 배치된다.
상술한 뚜껑(300)은 뚜껑 몸체(310)의 하측에 가림 판(320)이 배치되고, 그 가림 판(320)에는 통기 구멍(330)이 형성된다.
상술한 통기 구멍(330)은 무척 작게 형성되는 것으로 통기 구멍(330)의 크기는 공기는 통과시키고 곤충은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크기이다.
예컨대, 일반적인 모기장, 방충망 등과 같은 구멍의 크기와 유사할 수 있는 것으로 0.1 mm 내지 2mm일 수 있다.
상술한 통기 구멍(330)은 0.1mm 이상이어야 가스가 원활하게 배기 될 수 있고, 2mm보다 작아야 곤충(파리, 모기, 하루살이 등)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림 판(320)의 하단은 본체 몸통(210)의 바닥과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며 제1 유출입관(220)과 제2 유출입관(230)의 내면의 최저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본체 몸통(210)의 내부에는항상 물이 고여있을 수 있고, 고인 물에 가림 판(320)의 하측이 잠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유체는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고, 특히 찌꺼기가 포함된 하수는 본체 몸통(210)과 가림 판(3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으며, 가스는 상술한 통기 구멍(330)을 통하여 유통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본체 몸통(210)에는 가이드 홈(240)을 수직방향으로 더 형성시켜 줄 수 있고, 상술한 가이드 홈(240)에는 상술한 가림 판(320)의 모서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본체(200)에 뚜껑(300)을 정위치에 조립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1, 제2 유출입관(220)(230)의 내주면에는 소정의 높이로 각각 제1, 제2 턱(221)(231)을 더 형성시켜 줄 수 있고, 이러한 제1, 제2 턱은 본체 몸통(210)의 내부에 고이는 물의 수위를 높일 수 있게 하여 상술한 가림판(320)이 더욱 깊숙이 담길 수 있게 한다.
또한, 상술한 제1 유출입관(220) 또는 제2 유출입관(230)은 상술한 제1 유출입하수관(20) 또는 제2 유출입하수관(30)에 끼워 장착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100)에서 본체(200)의 다른 예인 제1 본체(200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체(200)에서 제1 유출입관(220)을 형성시키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도 4에 나타낸 제1 본체(200a)의 구성과 같다.
즉 제1 본체(200a)는 본체몸통(210)에 한쪽에는 통로구멍(222)을 형성하고, 통로구멍(222)과 이격된 위치에 제2 유출입관(230)을 형성한 구성이다.
즉 유출입관은 1개만 구성되어도 제1, 제2유출입 하수관(20)(30)에 장착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고, 곤충유입 방지구(100)의 방향만 돌려서 유출입관이 형성된 쪽을 제1, 제2 유출입하수관(20)(30)에 쉽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통로구멍(222)에는 제1턱(221)을 형성시켜줄 수 있고, 제1턱(221)에 의하여 본체 몸통(210)의 내부에 수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100)에서 본체(200)의 또 다른 예인 제2 본체(200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제2 본체(200b)는 제1 유출입관(220) 또는 제2 유출입관(230)의 내부 에 각각 제1, 제2 턱(221)(231)을 형성시키되, 제1 턱(221)과 제2 턱(231)은 본체 몸통(210)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한 것이 주된 특징이다.
즉 제1, 제2 턱(221)(231)이 본체 몸통(21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본체 몸통(210)에 채워져 잔존하는 물의 량이 더욱 많아 지고 특히 수면(水面)의 넓어진다.
즉 수면이 넓어짐으로써 곤충 유입 방지구(100)가 정확하게 수평상태로 설치되지 못하고 다소 기울어지게 설치되더라도 뚜껑(300)의 가림 판(320)은 잔존하는 물에 충분하게 잠길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100)는 정화조(10)의 제1 유출입 하수관(20) 또는 제2 유출입 하수관(30)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찌꺼기가 포함된 하수도 쉽게 유통할 수 있지만, 파리, 모기, 하루살이 등 곤충은 유입이 차단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가림 판(320)의 통기구멍(330)이 막히더라도 유체는 본체 몸통(210)의 바닥과 가림 판(320) 사이로 유통될 수 있으므로 정화조의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는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다.
또한, 곤충 유입 방지구(100)의 수명은 반영구적일 수 있지만, 내부에 찌꺼기가 쌓이거나 통기구멍(330)에 이물질이 끼여 공기의 유통이 원활하지 않을 때에는 곤충 유입방지구(100)를 분리하여 내부를 청소한 후에 다시 장착시켜 줄 수도 있다.
특히 본체(200) 또는 제1, 제2 본체(200a)(200b)와 뚜껑(300)은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으로 뚜껑(300)을 분리하여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다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상태를 보인 예시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의 단면을 보인 예시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에서 본체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유입 방지구에서 본체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정화조 11, 12: 제1, 제2 격벽
13, 14: 제1, 제2 통로 15, 16, 17: 제1, 제2, 제3 실
20, 30: 제1, 제2 유출입하수관
100: 곤충 유입 방지구
200: 본체 200a, 200b: 제1, 제2 본체
210: 본체 몸체 220, 230:제1, 제2 유출입관
221, 231: 제1, 제2 턱 222: 통로 구멍
240: 가이드 홈
300: 뚜껑 310: 뚜껑 몸체
320: 가림 판 330: 통기 구멍
Claims (6)
- 복수 개의 통로구멍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복수 개의 통로구멍 중에 어느 하나에는 바깥쪽에 유출입관이 형성되며 내부에 물이 담길 수 있는 본체 몸통으로 구성되는 본체;와상기 본체에 씌워지는 뚜껑 몸체와 상기 뚜껑 몸체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통기구멍이 형성되는 가림 판으로 구성되는 뚜껑;을 포함하고,상기 가림 판의 하단의 높이는 상기 복수 개의 통로구멍의 내주 최저면을 연장하는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입 방지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통기구멍의 크기는 0.1mm 내지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입 방지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 개의 통로구멍에 각각 외측에 제1 유출입관과 제2 유출입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입 방지구.
-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상기 복수 개의 통로구멍에는 제1 턱 또는 제2 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입 방지구.
- 제 4항에 있어서,상기 제1 턱 또는 상기 제2 턱은 상기 본체 몸통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입 방지구.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복수 개의 통로구멍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 몸통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이 더 형성되고,상기 가이드 홈에 상기 가림 판의 좌우측면 모서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유입 방지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7629A KR20090003888A (ko) | 2007-07-05 | 2007-07-05 | 곤충 유입 방지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67629A KR20090003888A (ko) | 2007-07-05 | 2007-07-05 | 곤충 유입 방지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3888A true KR20090003888A (ko) | 2009-01-12 |
Family
ID=4048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67629A KR20090003888A (ko) | 2007-07-05 | 2007-07-05 | 곤충 유입 방지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3888A (ko) |
-
2007
- 2007-07-05 KR KR1020070067629A patent/KR2009000388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86961B1 (en) | Apparatus for removing dissolved and suspended contaminants from waste water | |
RU2383690C2 (ru) | Водяной затвор для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 |
KR101629695B1 (ko) | 우수 홈통 | |
KR101545448B1 (ko) | 초기우수의 수처리 시스템 | |
US6848465B1 (en) | Dual-action vent check valve | |
KR100927631B1 (ko) | 생물막 여재를 이용한 비점 오염물 저감장치 | |
KR101212948B1 (ko) | 그리스 트랩 | |
KR100943655B1 (ko) | 스마트 침사조를 이용한 빗물이용 시스템 | |
KR101878321B1 (ko) | 건축물 지하 주차장 배수 시설 | |
KR20090003888A (ko) | 곤충 유입 방지구 | |
KR102118557B1 (ko) | 우수의 처리를 위한 여과 장치 | |
KR102270451B1 (ko) | 빗물재이용 고분자 복합소재 저류조 시스템 | |
KR101103331B1 (ko) | 집수구의 배수트랩 | |
KR20050080155A (ko) |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 |
KR101889907B1 (ko) | 비점오염 처리를 위한 모듈형 여과 장치 | |
KR101194025B1 (ko) | 배수구용 초기우수 처리장치 | |
JP3195658U (ja) | 阻集器 | |
KR100805159B1 (ko) | 퇴적물을 방출할 수 있는 수중보 | |
KR101884876B1 (ko) | 모듈형 여과 장치를 구비한 비점오염 처리 시설물 | |
KR102076335B1 (ko) | 맨홀 탈취기 | |
KR100421922B1 (ko) | 씽크대 배수 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악취 방지캡 | |
KR20190128793A (ko) | 맨홀용 악취 방지장치 | |
KR200342686Y1 (ko) |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 |
WO2008050160A1 (en) | Floor drain with odour seal | |
KR960005431Y1 (ko) | 맨 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