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686Y1 -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686Y1
KR200342686Y1 KR20-2003-0033423U KR20030033423U KR200342686Y1 KR 200342686 Y1 KR200342686 Y1 KR 200342686Y1 KR 20030033423 U KR20030033423 U KR 20030033423U KR 200342686 Y1 KR200342686 Y1 KR 2003426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er manhole
septic tank
manhole
sewer
drai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4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룡
Original Assignee
이지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룡 filed Critical 이지룡
Priority to KR20-2003-00334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6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6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6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고인 빗물 등을 배수하기 위하여 도로변 등에 설치된 하수구 맨홀에 내재되어 상기 맨홀의 뚜껑을 통하여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정화시킴으로서 이물질의 부패로 인한 해충의 발생 및 악취발생의 요인을 제거하고, 또한 하수관이 막히게 되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 것과, 또한 상기 하수구 맨홀에 내재되어 각종 이물질 등을 포집하여 그 청소가 매우 용이하도록 한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몸체(22)가 형성된 것과; 상기 몸체(22)의 상부에 덮개(24)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것과; 상기 몸체(22)의 상부에 설치된 덮개(24)의 상측에 손잡이부(26)가 형성된 것과; 상기 몸체(22)의 내부공간 양측을 정화조(34,44,46)와 최종 정화조(50)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그 하측에 연결공(54)이 형성된 차폐막부재(48)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것과; 상기 차폐막부재(48)에 의하여 구획된 정화조를 다시 상하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거름판(36,40)들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것과; 상기 최종 정화조(50)의 일측 벽면을 이루는 몸체(22)에 배수구(56) 및 청소용 배수공(58)이 형성된 것과; 상기 청소용 배수공(58)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배수공 마개(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purifier of manhole sink-hole}
본 고안은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에 고인 빗물 등을 배수하기 위하여 도로변 등에 설치된 하수구 맨홀에 내재되어 상기 맨홀의 뚜껑을 통하여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정화시킴으로서 이물질의 부패로 인한 해충의 발생 및 악취발생 요인을 제거하고, 또한 하수관이 막히게 되는 것을 예방하여 하수관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하수구 맨홀의 청소도 매우 간편하게 하도록 한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도나 인도의 측부에는 지면에 고인 빗물 등을 배수시키기 위한 하수구 맨홀(10)이 설치된다.
따라서, 지면으로 떨어진 빗물 등은 상기 하수구 맨홀(10)로 유입된 후, 이 하수구 맨홀(10)에 형성된 하수관(14)을 통해 정화시설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하수구 맨홀의 뚜껑(1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의 유입을 위하여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바, 빗물 등과 더불어 각종 생활쓰레기, 낙엽 등이 동시에 유입되는 경우가 빈번하였으며, 이에 따라 하수구 맨홀에 각종 쓰레기가 적재되어 부패됨으로써, 악취를 발생시키고 또한 하수관 입구를 막아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하수관이 막히면 이를 뚫기 위한 유지보수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으며, 빗물과 동시에 유입되는 폐유 등이 그대로 하수관으로 유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또한, 상기 하수구 맨홀로 일부 흡연자들이 담배꽁초를 버리는 경우가 많아 이 역시 악취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었고, 각종 생활 쓰레기의 부패로 인하여 쥐를 비롯한 각종 해충 등이 서식하여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하수구 맨홀을 주기적으로 청소하여야 하는데, 그 작업이 어려워 시간이 오래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면에 고인 빗물 등을 배수하기 위하여 도로변 등에 설치된 하수구 맨홀에 내재되어 상기 맨홀의 뚜껑을 통하여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정화시킴으로서 이물질의 부패로 인한 해충의 발생 및 악취발생 요인을 제거하고, 또한 하수관이 막히게 되는 것을 예방하여 하수관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하수구 맨홀의 청소도 매우 간편하게 하도록 한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하수구 맨홀에 내재되어 각종 이물질 등을 포집하여 그 청소가 매우 용이하도록 한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도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하수구 맨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내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A-A선을 따라 일부절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하수구 맨홀에 정화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일부절개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일부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22 : 몸체
24 : 덮개 26 : 손잡이부
32 : 방충 및 방향제 34 : 제 1정화조
36 : 제 1거름판 40 : 제 2거름판
44 : 제 2정화조 46 : 제 3정화조
48 : 차폐막부재 50 : 최종 정화조
52 : 비상 배수구 54 : 연결공
56 : 배수구 58 : 청소용 배수공
60 : 배수공 마개 70 : 배수공
상기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는, 하수구 맨홀에 내재되어 각종 이물질들을 포집하여 배수관의 막힘을 예방하고 상기 하수구 맨홀의 청소를 용이하도록 하는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에 있어서,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몸체가 형성된 것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덮개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것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된 덮개의 상측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것과;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양측을 정화조와 최종 정화조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그 하측에 연결공이 형성된 차폐막부재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것과; 상기 차폐막부재에 의하여 구획된 정화조를 다시 상하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거름판들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것과; 상기 최종 정화조의 일측 벽면을 이루는 몸체에 배수구 및 청소용 배수공이 형성된 것과; 상기 청소용 배수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배수공 마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덮개들은 몸체와 회동부재 및 탄성부재와 연결되되, 상기 회동부재는 경첩이고, 탄성부재는 탄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정화조를 구획하는 거름판들은 비교적 큰 통공이 형성된 제 1거름판과, 비교적 작은 통공이 형성된 제 2거름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거름판 및 제 2거름판에 의하여 상기 정화조가 제 1정화조, 제 2정화조, 제 3정화조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정화조의 일측에는 방충 및 방향제가 설치된 것 또한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폐막부재에서 제 1정화조와 최종 정화조를 구획하는 부위에는 비상배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내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A-A선을 따라 일부절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라 하수구 맨홀에 정화장치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20)는 대략 정육면체형상으로 몸체(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22)의 상부면에는 경첩(28)과 탄지스프링(30)에 의해 결합된 덮개(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덮개(24)들의 중앙에는 그 양단이 몸체(22)에 대하여 고정된 손잡이부(26)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24)는 경첩(28)에 의하여 회동이 가능함으로서 개폐가 이루어지게 되고, 탄지 스프링(30)에 의하여 일정한 외력이 작용한 경우에 열렸다가 다시 탄성복원되어 닫히는 기능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6)는 상기 덮개(24)들이 탄지 스프링(30)의 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솟는 것을 예방하는 스토퍼 기능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22)의 내부에는 양측으로 각각 제 1, 제 2, 제 3 정화조(34,44,46)들과, 최종 정화조(50)가 차폐막부재(48)를 사이에 두고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제 3정화조(34,44,46)들은 각각 일정크기의 통공(38,42)이 형성된 제 1거름판(36) 및 제 2거름판(4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정화조(34)의 일측에는 해충을 퇴치하면서도 향기를 내는 방충 및 방향제(3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1정화조(34)와 제 2정화조(44)를 구획하는 제 1거름판(36)에 형성된 통공(38)은, 상기 제 2정화조(44)와 제 3정화조(46)를 구획하는 제 2거름판(40)에 형성된 통공(42)보다 소정크기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제 3정화조(34,44,46)와 최종 정화조(50)를 구획하는 차폐막부재(48)에서 상기 제 1정화조(34)와 최종 정화조(50) 사이에는 비교적 그 직경이 큰 비상배수공(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정화조(46)와 최종 정화조(50) 사이에는 연결공(5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최종 정화조(50)의 일측벽을 이루는 몸체(22)에는 하수구 맨홀(10)의 하수관(14) 선단과 연결되는 배수구(56)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 일측에는 청소용 배수공(58)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청소용 배수공(58)은 배수공 마개(60)에 의해 개방 또는 차폐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20)의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20)는 하수구 맨홀(10)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수구 맨홀 뚜껑(12)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 등을 정화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즉, 상기 하수구 맨홀 뚜껑(12)을 통해 빗물이 각종 이물질(생활쓰레기, 담배꽁초, 낙엽 등)과 동시에 유입되면, 이 빗물을 비롯한 각종 이물질의 하중에 의하여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4)가 하방향으로 개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24)는 탄지 스프링(30)에 의해 상부로 솟으려는 힘을 가지게 됨으로써,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면 열리지 않고, 소정의 하중이 가해질 경우에만 하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덮개(24)를 통해 빗물을 비롯한 각종 이물질이 제 1정화조(34)내로 유입되면, 각종 이물질들중 부피가 큰 이물질은 제 1정화조(34)와 제 2정화조(44)를 구획하는 제 1거름판(36)의 통공(38)에 의해 걸림되고, 비교적 부피가 작은 미세한 이물질들과 빗물만이 제 2정화조(44)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제 2정화조(44)로 유입된 빗물을 비롯한 각종 미세한 이물질들 중 미세한 이물질은 제 2정화조(44)와 제 3정화조(46)를 구획하는 제 2거름판(40)의 통공(42)에 의해 걸림되고, 빗물을 비롯한 유체만이 제 3정화조(46)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제 3정화조(46)로 유입된 빗물을 비롯한 유체는 차폐막부재(48)의 연결공(54)을 통해 최종 정화조(50)내로 유입되며, 이 최종 정화조(50)에 빗물을 비롯한 유체가 소정높이 이상으로 차오르면, 몸체(22)의 배수구(56)를 통해 하수관(14)으로 흘러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하수구 맨홀을 통하여 빗물과 각종 이물질을 비롯하여 생활용 또는 공업용 폐유 등이 동시에 유입될 경우, 기름은 물과 섞이지 않고 상부에 층을 지어 뜨는 성질을 갖게 되는 바, 상기 폐유는 제 3정화조(46)를 통해 최종 정화조(50)로 유입되지 않고 상부에 항상 뜨게 됨으로써, 하수관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결국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기능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정화조(34)의 일측에 설치된 방충 및 방향제(32)에서는 해충을 없애면서도 좋은 향을 내게 됨으로써, 해충은 물론 악취도 없애게 된다.
이와 같이 각종 이물질 들이 걸러짐으로써, 상기 제 1정화조(34)와 제 2정화조(44)내에는 계속적으로 이물질이 적재되는 바, 정기적으로 이를 청소해주면 된다.
즉, 하수구 맨홀의 뚜껑(12)을 분리하고 청소자가 몸체(22)의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부(26)를 잡고 들어올려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20)를 하수구 맨홀(10)로부터 꺼낸 후, 몸체(22)의 일측에 설치된 배수공마개(60)를 제거한다.
그러면, 제 3정화조(46) 및 최종 정화조(50)내에 잔존하는 빗물을 비롯한 유체가 청소용 배수공(5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부에 뜬 폐유는 별도로 분리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 3정화조(46) 및 최종 정화조(50)내에 잔존하는 빗물을 비롯한 유체가 완전히 배출이 이루어지면 정화장치(20)의 몸체(22)를 뒤집은 상태에서 덮개(24)를 열어줌으로써, 내부의 이물질 등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제 1정화조(34)에 적재된 부피가 큰 이물질은 바로 개방된 덮개(24)들 사이로 배출되며, 제 2정화조(44)에 적재된 부피가 비교적 작은 이물질들은 제 1거름판(36)의 통공(38)을 통과하여 역시 개방된 덮개(24)들 사이로 배출되어 간단하게 청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에 적재된 이물질들을 외부로 배출시킨 상태에서 다시 정화장치(20)를 하수구 맨홀(10)에 내재시키고 맨홀 뚜껑(12)을 닫으면 청소가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비상배수공(52)는, 갑작스런 폭우로 유입되는 빗물의 양이 많거나 또는 제 1정화조(34)에 적재된 이물질의 양이 많아 원활한 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제 1정화조(34)에서 바로 최종 정화조(50)로 빗물을 비롯한 유체가 직접 통과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참고로, 도 6a 내지 도 6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몸체(22´)의 상부에 회동수단 및 탄성수단에 의해 장착된 덮개(24´)와, 손잡이(26´)를 형성하고, 그 몸체(22´)의 일측에 하수관 선단과 연결되는 배수구(56´)만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는 방충 및 방향제(32´)만을 설치하여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내부구성을 배제함으로써, 간소화된 구성의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와 같은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를 들어올려 청소하고자 할 경우, 적재된 빗물을 비롯한 유체가 빠지도록 몸체(22´)의 저면에 배수공(70)을 형성한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덮개의 구성을 배제하여 보다 더욱 구성을 간소화시킨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에 의하면, 하수구 맨홀 뚜껑을 통해 빗물을 비롯한 각종 이물질들이 하수구 맨홀로 유입될 경우, 생활쓰레기, 담배꽁초, 낙엽 등의 이물질을 순차적으로 걸러내어 빗물을 비롯한 유체만이 하수관으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물질들에 의해 하수관이 막히게 되는 문제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 경우, 빗물에 포함된 폐유 등은 물과 섞였을 경우 상부에 뜨는 성질을 가짐으로써, 상기 폐유는 하수관으로 유출되지 않게 되어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의 제 1정화조에 설치된 방충 및 방향제에 의하여 해충의 발생을 억제함과 아울러 악취발생 또한 억제하여 쾌적한 도로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를 일정주기마다 하수구 맨홀로부터 꺼내어 뒤집은 상태로 털어내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청소가 이루어짐으로써, 하수구 맨홀의 청소가 간편해지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도 있게 된다.

Claims (6)

  1. 하수구 맨홀에 내재되어 각종 이물질들을 포집하여 배수관의 막힘을 예방하고 상기 하수구 맨홀의 청소를 용이하도록 하는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에 있어서,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몸체(22)가 형성된 것과;
    상기 몸체(22)의 상부에 덮개(24)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것과;
    상기 몸체(22)의 상부에 설치된 덮개(24)의 상측에 손잡이부(26)가 형성된 것과;
    상기 몸체(22)의 내부공간 양측을 정화조(34,44,46)와 최종 정화조(50)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그 하측에 연결공(54)이 형성된 차폐막부재(48)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것과;
    상기 차폐막부재(48)에 의하여 구획된 정화조를 다시 상하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거름판(36,40)들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것과;
    상기 최종 정화조(50)의 일측 벽면을 이루는 몸체(22)에 배수구(56) 및 청소용 배수공(58)이 형성된 것과;
    상기 청소용 배수공(58)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하는 배수공 마개(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24)들은 몸체(22)와 회동부재 및 탄성부재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는 경첩(28)이고, 탄성부재는 탄지 스프링(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를 구획하는 거름판들은 비교적 큰 통공(38)이 형성된 제 1거름판(36)과, 비교적 작은 통공(42)이 형성된 제 2거름판(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거름판(36) 및 제 2거름판(40)에 의하여 상기 정화조가 제 1정화조(34), 제 2정화조(44), 제 3정화조(46)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정화조(34)의 일측에는 방충 및 방향제(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막부재(48)에서 제 1정화조(34)와 최종 정화조(50)를 구획하는 부위에는 비상배수공(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KR20-2003-0033423U 2003-10-24 2003-10-24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KR2003426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423U KR200342686Y1 (ko) 2003-10-24 2003-10-24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423U KR200342686Y1 (ko) 2003-10-24 2003-10-24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975A Division KR20050038744A (ko) 2003-10-22 2003-10-22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686Y1 true KR200342686Y1 (ko) 2004-02-19

Family

ID=4942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423U KR200342686Y1 (ko) 2003-10-24 2003-10-24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68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252B1 (ko) 2008-06-03 2009-01-19 (주)에이치엠씨 집수구의 배수트랩
KR101217390B1 (ko) * 2010-06-21 2012-12-31 (주)이앤씨 맨홀용 정화장치
KR102439694B1 (ko) * 2021-10-07 2022-09-02 주식회사 브리오 채수방지용 집수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252B1 (ko) 2008-06-03 2009-01-19 (주)에이치엠씨 집수구의 배수트랩
KR101217390B1 (ko) * 2010-06-21 2012-12-31 (주)이앤씨 맨홀용 정화장치
KR102439694B1 (ko) * 2021-10-07 2022-09-02 주식회사 브리오 채수방지용 집수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008B1 (ko) 비점 오염 저감 시설
KR100959945B1 (ko) 오수정화용 여과처리장치
KR20030042410A (ko) 조정식 표면 세정 메카니즘을 가진 필터 카트리지
US20150176265A1 (en) Filter for polluted water
KR20100113943A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150095472A (ko) 여재를 포함한 회전식 카트리지 빗물받이
KR100491866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1538439B1 (ko) 교량용 비점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KR100878252B1 (ko) 집수구의 배수트랩
KR200342686Y1 (ko)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KR100662520B1 (ko) 강우수 정화장치
KR101710061B1 (ko) 기름 및 음식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KR20050038744A (ko) 하수구 맨홀 정화장치
KR200385529Y1 (ko) 우수 유입용 맨홀의 오물걸름장치
KR20160000121A (ko) 착탈식 여재카트리지를 갖는 빗물받이 삽입형 비점오염저감장치
KR200359724Y1 (ko)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 처리장치
KR100614766B1 (ko) 초기우수 처리기능을 가진 도로노면 배수처리장치
KR200246248Y1 (ko) 동재질을 이용한 하수구 정화 장치
KR101217390B1 (ko) 맨홀용 정화장치
KR100729127B1 (ko) 집수구
KR200229386Y1 (ko) 하수구의 이물질 유입방지덮개
KR102556577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481449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0357071Y1 (ko) 초기우수 처리기능을 가진 도로노면 배수처리장치
KR200348451Y1 (ko) 걸럼망이 구성된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