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777U - 발가락 교정기 - Google Patents

발가락 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777U
KR20090003777U KR2020070016892U KR20070016892U KR20090003777U KR 20090003777 U KR20090003777 U KR 20090003777U KR 2020070016892 U KR2020070016892 U KR 2020070016892U KR 20070016892 U KR20070016892 U KR 20070016892U KR 20090003777 U KR20090003777 U KR 200900037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ar
toe
foot
valgu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8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미영
Original Assignee
서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미영 filed Critical 서미영
Priority to KR20200700168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777U/ko
Publication of KR200900037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7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9Toe correcting or sprea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f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발가락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무지(11)에 끼워져서 상기 무지(11)와 인접 발가락(12)을 벌려주는 교정부(110)와; 발의 전족부(10b)를 감싸는 족저보호부(120); 및 상기 족저보호부(12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족저보호부(120)의 내부를 통해 상기 교정부(110)에 고정되며, 발의 뒤꿈치에 걸어서 상기 무지(11)와 인접 발가락(12)을 벌려주도록 상기 교정부(110)를 잡아당기는 교정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무지외반에 의한 발가락의 변형을 교정해 줄 뿐만 아니라 건막류나 족저동통과 같이 무지외반에 수반되는 통증까지 완화시킬 수 있고, 발 모양을 원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스타킹과 같은 망사 재질이나 스판텍스와 같은 정도의 탄성을 가진 천 또는 면 재질로 구성하여 구두나 신발 등을 신어도 아무 불편함이 없는 효과를 제공한다.
발가락 교정기, 무지외반, 건막류, 족저동통, 무지, 교정

Description

발가락 교정기{Toe Corrector}
본 고안은 무지외반(拇趾外反: hallux valgus)을 교정하기 위한 발가락 교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지외반에 의한 발가락의 변형을 교정해 줄 뿐만 아니라 건막류나 족저동통과 같이 무지외반에 수반되는 통증까지 완화시킬 수 있는 발가락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지외반은 다른 말로 무지외반증, 족무지외반, 족무지외반증, 번선발이라고도 불이며, 엄지발가락의 뿌리부분인 제 1 중족-족지 관절이 안으로 돌출되어 신발과 마찰을 일으키면서 통증이 일어나는 형태의 질병을 말한다. 이러한 무지외반증은 선천적으로 변형이 일어난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평소에 끝이 뾰족한 신발을 신어서 엄지발가락이 신발 안에서 밀리는 원인에 의해 변형이 일어난다. 따라서, 당연히 여성 환자가 남성보다 9배는 많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도 1은 이와 같은 무지외반증을 앓고 있는 발(10)의 예를 보인 것인데, 도면과 같이 무지 즉, 엄지발가락(11)의 끝부분이 나머니 발가락들 쪽으로 휘어져 있는 전형적인 무지외반의 형태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무지외반이 생기면 대부분 엄지발가락(11)의 뿌리부분(11a)에 건막류(bunion)가 동반되기 쉽다. 이 건막류는 무지외반에 의해 튀어나온 엄지발가락(11)의 뿌리부분(11a)이 신발 안쪽에 지속적으로 접촉되면서 피부가 두터워지고 피부와 골 사이에는 점액낭염이 발생하는 증상을 말한다. 건막류는 일종의 염증이기 때문에 통증이 있으며, 특히 걸을 때마다 신발에 쓸리면 통증이 더욱 심하게 느껴진다. 그리고, 무지외반 증상이 있으면 보행 시 족저부 즉, 발바닥에 통증을 느끼는 족저동통도 겪게 된다. 사람의 발은 도 2에 간략히 보인 것처럼, 발가락부인 족지부(10a)와, 뒤꿈치 쪽에 해당되는 후족부(10d), 중간에 아치형의 족부궁을 형성하는 중족부(10c), 그리고 중족부(10c)와 족지부(10a) 사이에 있는 전족부(10b)로 구분할 수 있는데, 사람의 체중부하는 후족부(10d)와 전족부(10b)에 거의 90% 이상이 분담된다. 따라서, 이렇게 체중 분담이 큰 전족부(10b)에 무지외반과 그에 동반된 건막류를 앓게 되면, 걸을 때마다 발바닥에 통증을 느끼는 족저동통을 겪을 수밖에 없다.
한편, 이와 같은 무지외반을 교정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발가락(11)과 두 번째 발가락(12) 사이에 끼워놓는 토우세퍼레이터(toe separator: 20)가 제안된 바 있다. 이것은 엄지발가락(11)과 두 번째 발가락(12) 사이를 벌려줌으로써, 안쪽으로 휜 엄지발가락(11)을 원래 위치로 돌아가도록 가압하는 장치인데, 비교적 간단하고 착용이 쉬운 장점은 있지만, 엄지발가락(11) 끝에만 교정력이 작용하고, 건막류나 족저동통에 대한 대책은 전혀 없는 구성이다.
도 4는 종래에 제안된 또 다른 형태의 교정기(30)를 보인 것으로, 도시된 바 와 같이 뒤꿈치에 신는 힐지지부(32)와 엄지발가락(11)을 감싸는 교정부(31)가 연결되어 서로 당기고 있는 구조로 만들어진 것이다. 그러나, 이것 역시 엄지발가락(11)의 교정에만 효과가 있을 뿐이고, 건막류나 전족부(10b)에 가해지는 족저동통에 대한 고려는 전혀 없는 구조이다. 그리고, 발의 앞에서 뒤까지 전장에 걸쳐서 당겨 신는 구조라, 보행 시 발 전체가 유연하게 움직이기 어려워서 어색하고 불편한 느낌을 받기 쉽다.
또한, 종래의 교정기는 부피가 있는 딱딱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시 사용자가 이물감과 통증을 유발하여 장시간 착용하기가 어려웠으며, 착용 후에 보행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발 크기에 맞추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교정구가 준비되어야 했으며, 착용 후에는 구두나 신발을 신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무지외반에 의한 발가락의 변형을 교정해 줄 뿐만 아니라 건막류나 족저동통과 같이 무지외반에 수반되는 통증까지 완화시킬 수 있는 발가락 교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발 모양을 원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스타킹과 같은 망사 재질이나 스판텍스와 같은 정도의 탄성을 가진 천 또는 면 재질로 구성된 발가락 교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제 3 목적은 구두나 신발 등을 신어도 아무 불편함이 없는 발가락 교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발가락 교정기는, 무지(11)에 끼워져서 상기 무지(11)와 인접 발가락(12)을 벌려주는 교정부(110)와; 발의 전족부(10b)를 감싸는 족저보호부(120); 및 상기 족저보호부(12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족저보호부(120)의 내부를 통해 상기 교정부(110)에 고정되며, 발의 뒤꿈치에 걸어서 상기 무지(11)와 인접 발가락(12)을 벌려주도록 상기 교정부(110)를 잡아당기는 교정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정부(110) 및 족저보호부(120)는 스타킹과 같은 망사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정부(110) 및 족저보호부(120)는 천 또는 면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정끈(13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끈 조절부(13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발가락 교정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무지외반에 의한 발가락의 변형을 교정해 줄 뿐만 아니라 건막류나 족저동통과 같이 무지외반에 수반되는 통증까지 완화시켜 줄 수 있다.
2. 발의 전족부 쪽에만 착용이 되기 때문에, 걸을 때 불편을 느끼지 않고 편하게 걸을 수 있다.
3. 발가락 교정기가 스타킹과 같은 망사 재질이나 스판텍스와 같은 정도의 탄성을 가진 천 또는 면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 모양을 원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구두나 신발을 신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예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발가락 교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발가락 교정기를 발에 착용한 모습은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가락 교정기(100)는 무지 즉, 엄지발가락(11)에 끼워져서 상기 무지(11)와 인접 발가락(12)을 벌려주는 교정부(110)와, 발의 전족부(도 2의 10b)를 감싸는 족저보호부(120)와, 상기 족저보호부(12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족저보호부(120)의 내부를 통해 상기 교정부(110)에 고정되어, 발의 뒤꿈치에 걸어서 상기 무지(11)와 인접 발가락(12)을 벌려주도록 상기 교정부(110)를 잡아당기는 교정끈(1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상기 교정부(110)는 상기 교정끈(130)에 의해 무지(11)와 인접 발가락(12) 사이를 벌러줌으로써 무지외반을 교정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안쪽으로 휘어진 무지(11)를 다시 원래의 위치 쪽으로 벌려주는 교정력을 작용한다. 상기 교정부(110)는 스타킹과 같은 망사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스판텍스와 같은 정도의 탄성을 가진 천 또는 면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족저보호부(120)는 전족부(10b)의 발등과 발바닥을 모두 감싸고 있다. 이것은 체중부하가 비교적 크게 작용되는 전족부(10b)를 감싸서 보호해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무지외반증을 앓고 있더라도 이 발가락 교정기(100)를 차고 걸으면, 전족부(10b)가 족저보호부(120)에 의해 감싸져서 어느 정도 누르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통증을 덜 느끼게 된다.
이때, 상기 족저보호부(120)는 상기 교정부(110)와 같이 스타킹과 같은 망사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스판텍스와 같은 정도의 탄성을 가진 천 또는 면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족저보호부(120)는 건막류가 있어도 건막류 부위가 신발이나 구두에 직접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건막류 부위가 쓸려서 통증을 느끼는 일은 없게 된다. 따라서, 보행 중 건막류 접촉에 의한 통증이 억제되고 더 이상의 악화도 방지된다.
또한, 상기 족저보호부(120)는 스타킹과 같은 망사 재질이나 천 또는 면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 모양 자체를 원 상태로 반듯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발가락 교정기(100)를 착용하여도 구두나 운동화 등을 편하게 신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무지(11)와 인접 발가락(12)을 벌려주도록 상기 교정부(110)를 잡아당기는 교정끈(1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교정끈(130)은 일단이 상기 족저보호부(12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족저보호부(120)의 내부를 통해 상기 교정부(1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교정부(110)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길이를 조절한 다음 발의 뒤꿈치에 걸어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교정끈(130)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끈 조절부(131)를 구비하고 있다.
도 7은 사용자가 상기한 발가락 교정기를 착용하고 보행하는 상태를 묘사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동안, 상기 교정부에 의해 무지를 원위치로 돌리려는 교정력이 작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족저보호부에 의해 보행 중 전족부에 전달되는 체중 부하에 의한 통증도 완화될 뿐만 아니라 건막류에 가해지는 통증도 억제된다.
그리고, 발의 중족부나 후족부에는 걸치지 않고 전족부 쪽에만 착용이 되기 때문에, 걸을 때 어색하고 불편한 느낌이 사뭇 덜하며, 편안한 상태로 걸을 수가 있다.
따라서, 발가락의 무지외반증을 교정하는 동안 건막류 통증이나 족저동통 등과 같은 환자가 겪는 통증도 충분히 완화시켜 줄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무지외반의 형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발의 체중 분담에 따른 구분도
도 3 및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발가락 교정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발가락 교정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발가락 교정기를 발에 착용한 모습은 나타낸 도면
도 7은 사용자가 상기한 발가락 교정기를 착용하고 보행하는 상태를 묘사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무지, 엄지발가락
100 : 발가락 교정기 110 : 교정부
120 : 족저보호부 130 : 교정끈
131 : 끈 조절부

Claims (4)

  1. 발가락 교정기에 있어서,
    무지(11)에 끼워져서 상기 무지(11)와 인접 발가락(12)을 벌려주는 교정부(110)와;
    발의 전족부(10b)를 감싸는 족저보호부(120); 및
    상기 족저보호부(12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족저보호부(120)의 내부를 통해 상기 교정부(110)에 고정되며, 발의 뒤꿈치에 걸어서 상기 무지(11)와 인접 발가락(12)을 벌려주도록 상기 교정부(110)를 잡아당기는 교정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110) 및 족저보호부(120)는 스타킹과 같은 망사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110) 및 족저보호부(120)는 천 또는 면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끈(13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끈 조절부(13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가락 교정기.
KR2020070016892U 2007-10-18 2007-10-18 발가락 교정기 KR200900037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892U KR20090003777U (ko) 2007-10-18 2007-10-18 발가락 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892U KR20090003777U (ko) 2007-10-18 2007-10-18 발가락 교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777U true KR20090003777U (ko) 2009-04-22

Family

ID=4128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892U KR20090003777U (ko) 2007-10-18 2007-10-18 발가락 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77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733A1 (ko) * 2015-04-02 2016-10-06 김종맹 무지외반증 교정 및 액세서리 기능 겸용의 발가락 교정기
USD848626S1 (en) 2017-08-29 2019-05-14 Orthèse Hallux Valgus, Inc. Orthosi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733A1 (ko) * 2015-04-02 2016-10-06 김종맹 무지외반증 교정 및 액세서리 기능 겸용의 발가락 교정기
USD848626S1 (en) 2017-08-29 2019-05-14 Orthèse Hallux Valgus, Inc. Orthos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3178B2 (en) Reinforced stocking or sock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hallux valgus
JP6161292B2 (ja) 外反母趾の機械的治療のための整形外科デバイス
JP4355364B1 (ja) 足の変形を伴う疾患を予防または治療するためのサポーター構造体
KR200457048Y1 (ko) 무지외반증 교정용 신발
KR20090065734A (ko) 발목 고정 보조기
KR20180000998U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무지외반증 교정기
US20160100973A1 (en) Flexible Wearable Foot Sling
JP2913192B2 (ja) 外反母趾矯正用装具
KR200400458Y1 (ko) 발가락 교정기
KR200437328Y1 (ko) 무지외반증 환자의 발가락 교정을 위한 신발
KR20090003777U (ko) 발가락 교정기
KR20120051105A (ko) 발가락 교정장치
KR101228491B1 (ko) 발가락 교정용 발가락 신발
JP5249463B1 (ja) 外反母趾による痛み解消を目的とした靴下
IL226743A (en) Sock array to correct foot deformity
JP2019123952A (ja) 靴下型サポーター
JPH07241307A (ja) 足の矯正具構造
US11246730B2 (en) Flexible wearable foot sling
JP3179553U (ja) 外反母趾及び偏平足の矯正具
KR20130044685A (ko) 발가락 교정장치
KR102458544B1 (ko) 무지외반증 다이얼 교정기
JPH0574514U (ja) 足指矯正具
KR200378623Y1 (ko) 무지외반증 교정기
KR20130044683A (ko) 발가락 교정수단이 구비된 기능성 깔창
US20100307515A1 (en) Foot Fulcr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