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766U - Apparatus for loading cargo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loading carg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766U
KR20090003766U KR2020070016875U KR20070016875U KR20090003766U KR 20090003766 U KR20090003766 U KR 20090003766U KR 2020070016875 U KR2020070016875 U KR 2020070016875U KR 20070016875 U KR20070016875 U KR 20070016875U KR 20090003766 U KR20090003766 U KR 200900037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oading
transfer unit
uni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87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45621Y1 (en
Inventor
박용일
정영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빅
Priority to KR20200700168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621Y1/en
Publication of KR200900037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76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6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62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레인 붐과 같이 신축 가능한 이송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적재부로 이송되는 화물이 적재부의 좌측 및/또는 우측으로 화물을 분류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차량 등과 같은 적재공간에 화물의 적재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loading device, the cargo transported to the loading unit provided at the end of the flexible transfer unit, such as a crane boom configured to be able to classify the cargo to the left and / or right side of the loading unit cargo in the loading space such as a vehicle It is configured to allow the loading of.

본 고안에 따르면, 화물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화물이 분류기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의 화물 적재 플레이트 위치로 분류되어 화물 차량과 같은 적재공간에 분류된 상태로 적재될 수 있고, 분류된 상태로 적재되어 배송 시간 등의 단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go loaded in the cargo loading space can be classified into the cargo loading plate position on the left or right side by the classifier and loaded in the same loading space as the cargo vehicle, and loaded in the classified stat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and the like.

적재, 분류기, 화물차, 이송부, 레일 Loading, sorter, van, conveyer, rail

Description

화물 적재장치{APPARATUS FOR LOADING CARGO}Cargo loading device {APPARATUS FOR LOADING CARGO}

본 고안은 컨베이어 등과 같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화물을 차량 등과 같은 적재공간에 적재시키기 위한 화물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loading device for loading a cargo transported by a conveying means such as a conveyor in a loading space such as a vehicle.

일반적으로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화물을 이송한 후 상기 이송된 화물을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올리고 나서 트럭의 적재함에 적재하고 있다. In general, in order to load the cargo, the cargo is transported using a conveyor, and then the transported cargo is lifted by a crane and then loaded into a loading box of a truck.

즉, 완성된 물품이 컨베이어에 의해 생산라인 밖으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물품은 포장 단위로 포장되어 다시 컨베이어에 의해 적재 장소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이송된 화물은 다른 적재 장소 또는 물건을 다른 장소로 배송하기 위해 트럭 등과 같은 화물차량에 의해 운송되며, 이러한 운송을 위해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된 화물을 작업자가 화물차량에 직접 날라 차량에 적재를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finished article is discharged out of the production line by the conveyor, and the discharged article is packaged in a packing unit and transferred back to the loading place by the conveyor. The cargo thus conveyed is transported by a freight vehicle such as a truck to deliver another place of loading or goods to another place, and the operator carries the cargo carried by the conveyor directly to the freight vehicle for the purpose of delivery. It is.

근래에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자동화 장비의 개발이 이루어져 이송장치에 의해 배출된 화물을 로봇을 이용하여 적당한 위치에 적재하고, 그 후에 작업자들이 수작업을 통해 화물을 화물차량에 적재하거나, 또는 화물차량이 멀리 있는 경우에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여 화물차량에 적재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automation equipment has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cargo discharged by the conveying device is loaded at a suitable position by a robot, and then the workers manually load the cargo into the freight vehicle, or the freight vehicle If it is far away, the forklift is used to transport the cargo and load it in the freight vehicle.

이와 같이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화물을 이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여러 단계에 거쳐 다수의 작업자가 직접 화물을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도중에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또한 작업자의 인력수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로봇이나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통해 일부 해소하고 있으나, 로봇과 같은 장비는 고가의 장비일 뿐 아니라 정밀 기계이기 때문에 실외에 노출된 상태로 사용되게 되면, 잦은 고장과 장비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게 되면, 필수적으로 화물 운반을 위해 팔레트를 사용하여야 하고, 차량의 크기에 따른 각각의 다른 크기의 팔레트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차량 크기에 적합한 팔레트를 따로 구비하여 따로따로 적재해 놓아야 하는 문제로 인해 작업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As such, in the system of transporting cargo for transporting cargo, many workers have to carry the cargo directly through several steps, and thus they are exposed to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occurring during the operation, and the cost according to the number of workers There was a problem that occurred. Some of these problems are solved through equipment such as robots and forklifts, but equipment such as robots are not only expensive equipment but also precision machines. There is a problem. In addition, when using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pallets must be used for cargo transportation, and pallets of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ehicle must be used. Due to the problem of loading, the work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상기 크레인에 의해 운반되는 화물을 트럭에 용이하게 싣기 위하여 크레인의 길이가 신축 가능한 크레인 붐이 사용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n recent years, the crane boom which can extend | stretch a crane in order to easily load the cargo conveyed by the said crane to a truck is used.

그러나, 이와 같이 크레임 붐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컨베이어 등과 같은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화물을 일률적으로 화물 트럭과 같은 적재공간에 적재시키고 있기 때문에 화물을 분류된 상태로 적재할 수 없는 문제가 남아있었다. 예를 들어 , 화물 트럭에 의해 이송된 화물 중 필요한 화물이 서로 뒤엉켜 있는 경우, 필요한 화물을 내리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다른 불필요한 화물을 내렸다 다시 실어야하는 불편함이 남아있게 된다. However, even in the case of using a boom, such a problem that the cargo can not be loaded in a sorted state since the cargo transported by a conveying device such as a conveyor is uniformly loaded in a loading space such as a cargo truck. For example, if the required cargo among the cargo carried by the cargo truck is entangled with each other,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unload and reload other unnecessary cargo remains.

따라서, 최초 화물을 차량 등에 적재할 때부터, 화물이 분류된 상태로 적재 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별도의 분류장치(시스템)를 구비하여 화물을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화물이 차량에 적재될 때 배송 시간 등과 같은 요건 등이 바뀌게 되는 경우 다시 분류를 할 수 없기 때문에 분류장치 등에 의해 분류되어 이송된 화물의 배열을 다시 정리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게 된다. Therefore, since the cargo is preferably loaded in a sorted state from the first loading of the cargo on a vehicle or the like, a separate sorting device (system) is provided to classify the cargo. However, if the requirements, such as the delivery time, are changed when the cargo is loaded into a vehicle, however, the sorting cannot be performed again. Therefor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arrange the arrangement of the cargo sorted and conveyed by the sorting apparatus exists. do.

이와 같은 문제들로 인하여 최종 화물 차량에 적재시, 배송 요건에 적합한 상태로 화물을 분류할 수 있는 적재장치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있어왔다. Due to these problem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n improvement in a loading device that can classify cargo in a state suitable for delivery requirements when loaded on a final cargo vehicl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상기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recognizing at least one problem as described above.

본 고안의 일 목적은 화물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화물이 분류되어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cargo loaded in the cargo loading space to be classified and loaded.

본 고안의 다른 일 목적은 분류되어 적재되는 화물이 보다 신속하게 적재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cargo to be classified and loaded can be loaded more quickly.

상기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물 차량과 같은 적재공간에 화물이 분류된 상태로 적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적재부를 구비한다. In order to achieve at least on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ading part configured to be loaded in a sorted state in a loading space such as a freight vehicle.

적재부는 화물이송부의 단부에 배치되며, 화물이 통과되는 개구부가 구비되 는 본체와; 본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직이송부와; 수직이송부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화물 적재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수평이송부와; 수평이송부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화물 적재 플레이트에 적재된 화물을 적재공간에 부릴 수 있도록 화물을 밀어내는 푸셔와; 본체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개구부를 통해 이송되는 화물을 화물 적재 플레이트의 좌측 또는 우측 위치로 이동시키는 분류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The loading unit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cargo transfer unit, the body is provided with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cargo passes; A vertical transfer part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main body and having a supporting part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 horizontal transfer unit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vertical transfer unit and having a cargo loading plate; A pusher which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and pushes the cargo so that the cargo loaded on the cargo loading plate can be loaded into the loading spac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lassifier which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move the cargo transported through the opening to the left or right position of the cargo loading plate.

이 경우, 화물이송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본체는 수직 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어 수직이송부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직이송부는 지지부에 레일이 구비되어 수평이송부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수평이송부는 일 측 위치에 레일이 구비되어 푸셔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main body disposed at the end of the cargo transfer unit may be provided with a rail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vertical transfer unit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vertical transfer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rail is provided on the support unit to move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rail at one side position so that the pusher can mo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리고, 수직이송부는 본체의 개구부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이송부에는 각각의 수평이송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vertical transfer part may be provid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to be configured to operate independently. In addition, each transfer unit may be provided with a respective horizontal transfer unit.

각 수평이송부는 각각 화물 적재 플레이트이 구비되고, 상기 각 화물 적재 플레이트는 서로 맞물리는 포크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Each of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is provided with a cargo loading plate, each cargo loading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fork to engage with each other.

그리고, 화물이송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본체는 개구부의 상부위치에 수평 방향의 레일이 구비되어 분류기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disposed at the end of the cargo transfer unit may be provided with a rai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opening so that the classifier is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본체는 하부에 롤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roller at the bottom.

본체는 적재 공간의 위치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제 2 이송부의 단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The main body may be coupled to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transfer portion that is transfer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position of the loading space.

이송부는 적재 공간의 위치를 향해 수평 방향으로 이송 가능한 제 1 이송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The transfer unit may be coupled to the first transfer unit that is transfer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position of the loading space.

본 고안에 따른 적재장치는 화물 적재공간에 적재되는 화물이 분류기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의 화물 적재 플레이트 위치로 분류되어 화물 차량과 같은 적재공간에 분류된 상태로 적재될 수 있고, 따라서, 분류된 상태로 적재되어 배송 시간 등의 단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The loa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oaded in a state in which the cargo loaded in the cargo loading space is classified into a cargo loading plate position on the left or right side by a classifier and classified in a loading space such as a cargo vehicle, and thus, the classified state. Can be shortened to the delivery time.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자가 다시 적재화물을 분류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인건비 등과 같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한 안전사고의 예방도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operator does not have to perform the work for classifying the load again,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s such as labor costs, and also to prevent safety accidents.

그리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적재되는 화물이 분류되어 적재되는 경우에도 신속하게 적재될 수 있다.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argo to be loaded is classified can be loaded quick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적재장치(1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FIG. 1, an embodiment of a load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상기 적재장치(10)는 화물차량 등과 같은 적재공간(500)에 화물(240)을 적재시키기 위하여, 화물(240)이 저장된 위치(창고 등)로부터 이송되는 컨베이어(400)의 단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적재장치(10)는 화물을 분류하여 적재 공간(500)에 적재시키기 위한 적재부(30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적재부(300)는 화물 차량과 같은 적재공간(500)의 적재위치에 화물(240)이 적재될 수 있도록 이송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loading device 10 is provided to be located at the end of the conveyor 400, which is transported from a location (warehouse, etc.) where the cargo 240 is stored in order to load the cargo 240 in the loading space 500 such as a cargo vehicle. Can be. The loading device 10 may be provided with a loading unit 300 for classifying cargo and loading the cargo into the loading space 500, wherein the loading unit 300 is a loading position of a loading space 500 such as a cargo vehicle. It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transfer means so that the cargo 240 can be loaded.

상기 이송수단은 이하 설명되는 화물이송부(230), 제 1 이송부(110) 및 제 2 이송부(2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The transfer means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reight transfer unit 230, the first transfer unit 110 and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described below.

상기 화물이송부(230)는 화물(240)이 상기 적재부(300)에 의해 분류되어 화물 적재공간(500)에 적재되도록 상기 컨베이어(400)와 적재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이송부(200)는 크레인 붐과 같은 구조로 복수의 붐(210a)이 신축 가능하도록 결합된 이송바(210)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이송부(210)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부(220)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신장 또는 신축 가능하도록 이루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이송부(200)의 단부에는 상기 적재부(300)가 결합되어 제 2 이송부(200)에 의해 화물 적재공간(50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화물(230)을 적재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화물 적재공간(500)의 전방 위치로부터 후방 위치로 화물을 차례로 적재시키며, 후진(신축)할 수 있다. The cargo transfer unit 2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nveyor 400 and the loading unit 300 so that the cargo 240 is classified by the loading unit 300 and loaded in the cargo loading space 500. The second transfer part 200 may be configured as a transfer bar 210 in which a plurality of booms 210a are elastically coupled in a structure such as a crane boom, and the transfer part 210 may include a driving unit such as a motor. 220 may be extended or stretch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loading unit 300 is coupled to an end of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so that the cargo 230 can be loaded while moving forward or rearward of the cargo loading space 500 by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Can be. In other words, the cargo can be sequentially loaded from the front position to the rear position of the cargo loading space 500 and retracted (stretched).

상기 제 2 이송부(200)의 상부에는 상기 화물이송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물이송부(230)는 컨베이어 등과 같은 수단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화물이송부(230)는 상기 이송바(210)이 신축 상태에 따라 함께 신축되어 화물(240)이 컨베이어(400)로부터 적재부(300)의 위치로 이송하여 적재공간(500)에 적재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The cargo transfer unit 230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In this case, the cargo transfer unit 230 may be made through a means such as a conveyor. In addition, the cargo transfer unit 230 is stretched together according to the stretched state of the transfer bar 210 so that the cargo 240 is transferred from the conveyor 400 to the position of the loading unit 300 in the loading space 500. It can also be loaded.

한편, 상기 제 2 이송부(200)는 지지부(120)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지지부(120)는 제 1 이송부(110)에 의해 적재공간(500)의 위치로 적재부(300)가 장착된 제 2 이송부(200)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transfer unit 200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support 120, the support 120 is a loading unit 300 to the position of the loading space 500 by the first transfer unit 110 The mounted second transfer part 200 may be configured to move forward or backward.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부(100)에 레일(11) 및 구동부(112)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111)에 상기 지지부(120)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구동부(112)의 작동에 의해 지지부(120)가 레일(111)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구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리니어 모터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구동벨트 또는 체인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In more detail, the fixing unit 100 is provided with a rail 11 and a driving unit 112, and the support unit 120 is slidably mounted to the rails 111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12. The support 120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rail 111. Such a configuration may be made by a generally known configuration, for example, may be configured using a linear motor or the like, or may be made using a drive belt or a chain operated by a drive motor.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재부(300)가 위치되는 상기 지지부(120)의 일 단부에는 힌지(130a)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릿지(13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브릿지(130)는 적재공간(500)과의 사이에 다리역할을 하여 적재부(300)가 화물(240)의 적재를 위하여 앞으로 전진 또는 후진할 경우 하중에 의해 적재공간(500)과 고정부(100) 사이의 공간(틈)에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브릿지(130)의 구성에 의해 화물 차량 등과 같은 적재공간(500)의 높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적재부(300)의 이동이 충분히 가능하게 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2, one end of the support part 120 on which the loading part 300 is positioned may further include a bridge 130 rotatably coupled at a predetermined angle by the hinge 130a. . The bridge 130 acts as a bridge between the loading space 500 and the loading portion 300 by the load when the loading portion 300 is moving forward or backward for the loading of the cargo 240 and the fixed portion by the load This is for avoiding falling into the space (gap) between (100). On the other han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bridge 130, even if the height of the loading space 500, such as a cargo vehicle does not match, the movement of the loading unit 300 can be sufficiently enabled.

이러한 구성에 의해 화물 차량 등과 같은 적재공간(500)이 적재를 위하여 근접하게 되면, 적재공간(500)의 근접 정도에 따라 제 1 이송부(110)의 구동에 의해 지지부(120)가 적재공간(500)으로 근접하도록 이동될 수도 있고, 또는 지지부(120)가 이동되지 않고, 제 2 이송부(200)의 작동에 의해 적재부(300)만 적재공간(500)의 적재위치로 이동되어 화물(240)을 적재시키도록 작동될 수도 있다. When the loading space 500, such as a cargo vehicle, is approached for loading by such a configuration, the support 120 is driven by the first transfer unit 110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loading space 500. ), Or the support 120 is not moved, and only the loading part 300 is moved to the loading position of the loading space 500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transfer part 200 so that the cargo 240 is moved. It may also be operated to load.

상기 적재부(3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송바(210)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본체(310) 및 상기 본체(310) 결합되어 화물(240)을 분류하는 분류기(340), 그리고, 상기 본체(310)에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되어 화물을 적재시키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tacking unit 300 is a sorter for classifying the cargo 24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310 and the main body 310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transfer bar 210 as shown in Figure 3 and 4 ( 340,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eans for loading the cargo is mov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the main body (310).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본체(310)는 상기 이송바(210)의 일 단부에 결합되는 위치에 화물(240)이 이하 설명되는 화물 적재 플레이트(332)에 적재될 수 있도록 개구부(3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11)의 양측 위치로는 수직 방향으로 이하 설명되는 수직이송부(320)가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수직 방향의 이동수단은 레일(312)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직 방향의 이동수단은 다른 예로 레일의 구성 이외에도 일반적인 승강 수단을 이용하여 구성이 가능하다. In more detail, the main body 310 has an opening 311 so that the cargo 240 can be loaded on the cargo loading plate 33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t a position coupled to one end of the transfer bar 210. It is provided. In addition, moving means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opening 311 so that the vertical transfer part 320 described below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movable. The vertical movement means may be constituted by a rail 312. The vertical movement means may be configured by using general lifting mean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ail as another example.

상기 본체(310)의 수직 방향의 이동수단에는 수직이송부(320)가 장착되어 화물(240)을 적재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이송부(320)는 상기 레일(312)과 결합하여 이동되는 이송체(321)와 상기 이송체(321)의 일 측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지지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22)에는 이하 설명되는 수평이송부(330)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수평 방향 의 이동수단은 레일(322a)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수평 방향의 이동수단은 상기 본체(310)에 구비되는 이동수단과 같이 다른 예로 일반적인 승강 수단을 이용하여 구성이 가능하다. Vertical movement unit 320 is mounted to the vertical movement means of the main body 310 may be configured to be moved up and down to move the cargo 240 to the loading position. The vertical conveying unit 320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veying body 321 which is moved in combination with the rail 312 and the support portion 322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one side position of the conveying body 321 Can be. In addition, the support part 322 is provided with a moving means to move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330 described be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moving mea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composed of a rail (322a). The moving mean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configured using a general lifting means as another example, such as the moving means provided in the main body (310).

한편, 상기 지지부(322)에는 수평이송부(330)가 수직이송부(320)의 수평 방향의 이동수단에 장착되어 화물(240)을 적재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이송부(330)는 수평 방향의 이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상기 레일(322a)과 결합하여 이동되는 이송대(331)와 상기 이송대(331)의 일 측 위치에서 연결부(331a)에 의해 일정 거리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는 화물 적재 플레이트(3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재 플레이트(332)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포크부(332a)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ortion 322 is a horizontal transfer unit 330 is mounted on the horizontal movement means of the vertical transfer unit 320 to be configured to be moved forward and rearward to move the cargo 240 to the loading position Can be. The horizontal conveying part 330 is fixed by the connection part 331a at one side position of the conveying table 331 and the conveying table 331 which are combined with the rail 322a constituted by a horizontal moving means.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argo loading plate 332 coupled to the spaced apart state. The loading plate 332 may further include a fork portion 332a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그리고, 상기 수평이송부(330)의 이송대(331)에는 일 측면 위치에 이하 설명되는 푸셔(335)가 장착되어 화물(240)을 적재위치에 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이송부(330)의 이송대(331) 일 측 위치에는 수평 방향의 이송수단으로 레일(333)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레일(333)에는 푸셔 이송부(334)가 상기 레일(333)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셔 이송부(334)에는 연결부(334a)에 의해 푸셔(334)가 결합된다. 한편, 푸셔(334)는 상기 연결부(334a)에 결합되는 실린더(336)에 의해 수평 방향의 이송력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336)는 실린더 몸체가 상기 수평이송부(330)의 연결부(331a)에 결합되고, 실린더 로드가 상기 푸셔(334)의 연결부(334a)에 결합되어 수평이송부(330)와 푸셔(335)가 서로 다른 이동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fer table 331 of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330 may be equipped with a pusher 335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 one side position to load the cargo 240 in a loading position. A rail 333 may be provided as a transport means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one side of the transport table 331 of the horizontal transport unit 330, and the pusher transport unit 334 may be provided on the rail 333. It can be coupled to move along. The pusher 334 is coupled to the pusher transfer part 334 by a connection part 334a. On the other hand, the pusher 334 may be provided with a horizontal feed force by the cylinder 336 coupled to the connecting portion 334a. The cylinder 336 is a cylinder body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331a of the horizontal transfer portion 330, the cylinder rod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334a of the pusher 334, the horizontal transfer portion 330 and the pusher ( 335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different movement directions.

상기 개구부(311)의 상부에는 수평 방향의 이송수단에 의해 화물(230)을 화물 적재 플레이트(332)의 좌측 및 우측으로 분류하도록 분류기(3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류기(340)는 본체(310)의 상부에 위치되는 이송수단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송부(342)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342)에는 분류바(343)가 화물을 분류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342)가 결합되는 이송수단은 상기 다른 이송수단과 같이 레일(341)로 구성될 수도 있다.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311 may be provided with a sorter 340 to classify the cargo 230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cargo loading plate 332 by a horizontal transfer means. The classifier 340 is provided with a conveying unit 342 mov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by a conveying means loc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310, the sorting bar (343) is provided in the conveying unit 342 It may be provided for sorting. The conveying means to which the conveying part 342 is coupled may be configured as a rail 341 like the other conveying means.

상기 언급된 각각 이송수단은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일반적인 이송수단으로 구성 가능하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리니어 모터 등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구동모터 및 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Since each of the above-mentioned conveying means can be configured as a general conveying means including a rail,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as mentioned above, it may consist of a linear motor or the like, or may include a drive motor and a chain.

상기 수직이송부(320)와 수평이송부(330)는 도시된 것과 같이 개구부(311)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다른 한편으로 각 수직이송부(230)가 서로 연결되게 구성되고, 상기 수직이송부(230)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수평이송부(330)를 구성하는 화물 적재 플레이트(332)가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져 함께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vertical conveying unit 320 and the horizontal conveying unit 330 may be configured to be independently operated by being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opening 311 as shown,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each vertical conveying unit 230 The cargo loading plate 332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onstituting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330 coupled to the vertical transfer unit 230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ble together.

한편, 상기 본체(310)는 하부에 이동시 적재공간(500)의 바닥과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롤러(310a)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31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roller 310a to prevent the friction with the bottom of the loading space 500 when the lower portion moves.

상기 구성에 의한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화물 차량과 같은 적재공간(500)이 위치되면, 제 1 이송부(110)가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적재공간(500)과 인접하게 된다. 이 후 브릿지(130)가 적재공간(500)과의 다리 역할을 하도록 놓인 후 에 제 2 이송부(200)에 의해 적재부(300)가 적재공간(500)의 적재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Referring to the opera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loading space 500, such as a cargo vehicle is located, the first transfer unit 110 is selectively moved to be adjacent to the loading space 500. Thereafter, after the bridge 130 is placed to serve as a bridge with the loading space 500, the loading part 300 is moved to the loading position of the loading space 500 by the second transfer part 200.

그 후에, 화물이송부(230)에 의해 이송된 화물(240)이 상기 적재부(300)의 개구부(311)를 통해 이동되면, 분류기(340)가 이송된 화물(240)을 화물 적재 플레이트(332)의 좌측 또는 우측 위치로 분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화물(240)이 분류되어 화물 적재 플레이트(332)의 위치에 모두 실리게 되면, 수직이송부(32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수평이송부(33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화물(240)이 적재 위치에 위치되면 푸셔(335)의 위치는 고정되는 한편, 수평이송부(330)만 후방으로 이동되어 화물(240)을 적재 위치에 내려놓게 된다. Thereafter, when the cargo 240 transferred by the cargo transfer unit 230 is moved through the opening 311 of the loading unit 300, the classifier 340 transfers the cargo 240 transferred to the cargo loading plate ( 332) to the left or right position. As such, when the cargo 240 is classified and loaded on the cargo loading plate 332, the vertical transfer part 320 is moved downward. Then, if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330 is moved to the front and the cargo 240 is located in the loading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pusher 335 is fixed, while only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330 is moved backward to move the cargo 240 It will be lowered into the stowed position.

이 경우, 수직이송부(320), 수평이송부(330) 및 푸셔(335)이 이동 순서 및 방향은 필요에 따라 또는 화물의 수량 또는 화물의 적재 순서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movement order and direction of the vertical transfer unit 320,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330, and the pusher 335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necessity or depending on the quantity of cargo or the loading sequence of cargo.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화물적재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just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cargo 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s claimed in the following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any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have a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장치를 구성하는 적재부의 구성에 대한 일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in detail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loading unit constituting the loa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직이송부와 수평이송부의 구성에 의한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부분 확대하여 도시된 사시도이다.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by the configuration of the vertical transfer unit and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부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couple in the drawings *

10 ... 적재장치 100 ... 고정부10 ... Stacker 100 ... Fixed part

110 ... 제 1 이송부 111,312,322a,333 ... 레일110 ... first feed section 111,312,322a, 333 ... rail

112.220,336 ... 구동부 130 ... 브릿지112.220,336 ... Drive 130 ... Bridge

130a ... 힌지 200 ... 제 2 이송부130a ... hinge 200 ... second feed

210 ... 이송바 230 ... 화물이송부210 ... Transfer bar 230 ... Cargo transfer unit

240 ... 화물 300 ... 적재부240 ... Cargo 300 ... Loading section

310 ... 본체 310a ... 롤러310 ... body 310a ... roller

311 ... 개구부 320 ... 수직이송부311 ... opening 320 ... vertical feed

321 ... 이송체 322 ... 지지부321 ... Transport 322 ... Supports

330 ... 수평이송부 331 ... 이송대330 ... horizontal feeder 331 ... feeder

332 ... 화물 적재 플레이트 332a ... 포크부332 ... Cargo loading plate 332a ... Fork section

334 ... 푸셔 이송부 334a ... 연결부334 ... pusher feed 334a ... connections

335 ... 푸셔 336 ... 실린더335 ... Pusher 336 ... Cylinder

400 ... 컨베이어 500 ... 적재공간400 ... conveyor 500 ... loading space

Claims (4)

화물이송부의 단부에 구비되어 이송되는 화물을 적재시키기 위한 적재부를 구비하는 적재장치에 있어서, In the loading device having a loading unit for loading the cargo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cargo transfer unit, 상기 적재부는 The loading part 상기 화물이송부의 단부에 배치되며, 화물이 통과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A main body disposed at an end of the cargo transfer unit and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cargo passes; 상기 본체에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수직이송부와; A vertical transfer part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main body and having a supporting part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수직이송부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화물 적재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수평이송부와; A horizontal transfer unit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vertical transfer unit and having a cargo loading plate; 상기 수평이송부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화물 적재 플레이트에 적재된 화물을 적재공간에 부릴 수 있도록 화물을 밀어내는 푸셔와; A pusher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horizontal transfer part to push the cargo so that the cargo loaded on the cargo loading plate can be loaded into the loading space; 상기 본체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개구부를 통해 이송되는 화물을 화물 적재 플레이트의 좌측 또는 우측 위치로 이동시키는 분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장치. Cargo 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assifier which is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main body to move the cargo transported through the opening to the left or right position of the cargo loading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이송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본체는 수직 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어 수직이송부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직이송부는 지지부에 레일이 구비되어 수평이송부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 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평이송부는 일 측 위치에 레일이 구비되어 푸셔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disposed at the end of the cargo transf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rail in a vertical direction to move the vertical transfer por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rtical transf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rail in the support portion is horizontal The sending unit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orizontal transfer unit is a cargo 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is provided at one side position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송부는 상기 본체의 개구부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이송부에는 각각의 수평이송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장치. According to claim 1 or claim 2, wherein the vertical transfer portion is provided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opening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configured to operate independently,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transfer portion is provided with each horizontal transfer portion Cargo stack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이송부의 단부에 배치되는 본체는 개구부의 상부위치에 수평 방향의 레일이 구비되어 분류기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disposed at the end of the cargo transfer unit is a cargo loa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is provi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opening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KR2020070016875U 2007-10-18 2007-10-18 Apparatus for loading cargo KR20044562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875U KR200445621Y1 (en) 2007-10-18 2007-10-18 Apparatus for loading carg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875U KR200445621Y1 (en) 2007-10-18 2007-10-18 Apparatus for loading carg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766U true KR20090003766U (en) 2009-04-22
KR200445621Y1 KR200445621Y1 (en) 2009-08-19

Family

ID=41289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875U KR200445621Y1 (en) 2007-10-18 2007-10-18 Apparatus for loading carg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62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8483A (en) * 2020-05-08 2020-08-07 颍上县郭氏宝发米业有限公司 Automatic conveying and stacking equipment for rice in packaging bag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0405B (en) * 2015-10-27 2018-05-08 深圳市宝尔威精密机械有限公司 A kind of automatic loading and unloading panel assembly
CN110877815A (en) * 2018-09-06 2020-03-13 锦上包装江苏有限公司 Automatic corrugated board feeding machine and corrugated board feed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6184A (en) 1981-12-04 1984-01-17 Quikstak, Inc. Bag palletizer
KR950000560Y1 (en) * 1992-11-21 1995-02-04 조욱기 Stacking of articles
KR200225825Y1 (en) 2000-12-28 2001-06-01 박장열 Vertical feed conveyer device for cargo
KR100480380B1 (en) 2002-02-20 2005-03-30 민삼환 System for loading bo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8483A (en) * 2020-05-08 2020-08-07 颍上县郭氏宝发米业有限公司 Automatic conveying and stacking equipment for rice in packaging ba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5621Y1 (en) 200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2611B (en) Picking system and picking method
CN209796921U (en) Loading equipment with multilayer throwing device
CN210973091U (en) Automatic loading system of truss robot
CN205602717U (en) Automatic pile up neatly loading system of bagged materials
CN106697699B (en) Automatic auxiliary material distribution and warehousing logistics system with formula conveying line
US20220041412A1 (en) Automatic loading system for vehicles
KR20170110096A (en) Container transport facility and method for placing containers in container storage area or removing containers from container storage area
CN113104503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loading and unloading carton package goods for van truck
CN110683269A (en) Warehousing system
CN106743785B (en) Auxiliary material warehousing logistics system with automatic classification conveying line
CN110182524A (en) A kind of distribution emergency materials intelligence warehouse
KR200445621Y1 (en) Apparatus for loading cargo
CN106829294B (en) Automatic auxiliary material distribution, conveying and warehousing logistics system
CN210504425U (en) Logistics distribution system
US20210260627A1 (en) Package handling and sorting system
CN112974280B (en) Shipment letter sorting system
US10457480B2 (en) Cantilevered dumper system
KR20100112855A (en) Automatically vertical loading apparatus
US7559738B2 (en) Device and a method for switching pallets
CN211768039U (en) Warehousing system
CN210070999U (en) Part production is integrated equipment for sign
KR960004056B1 (en) Automatically loading device
CN115535649A (en) Quick unloading device suitable for box cargo container equipped with tray
CN111115163B (en) Scanning and picking workstation group
CN210012254U (en) Component feed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