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279U - 깁스 환자용 신발 - Google Patents

깁스 환자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279U
KR20090003279U KR2020070016180U KR20070016180U KR20090003279U KR 20090003279 U KR20090003279 U KR 20090003279U KR 2020070016180 U KR2020070016180 U KR 2020070016180U KR 20070016180 U KR20070016180 U KR 20070016180U KR 20090003279 U KR20090003279 U KR 200900032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hoes
gibbs
foot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1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박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철 filed Critical 박현철
Priority to KR20200700161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279U/ko
Publication of KR20090003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27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43B7/20Ankle-joint support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은, 밑창과, 상기 밑창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환자의 발과 발목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부의 앞부분은 환자의 발이 착탈되도록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의 뒷부분 하부는 환자의 발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하단 테두리 주위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그 환자의 발 뒤꿈치가 노출되어 외부로 개방되는 주름방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깁스 환자용 신발{Shoes for gips patient}
본 고안은 깁스 환자용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착용시 착용자의 발에 의해 신발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된 깁스 환자용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리가 골절된 골절환자용 깁스는 골절부에 일명 스타키넷트(stokinette)라고 하는 피부 보호용 천을 착용한 후 그 위에 솜을 여러 차례 감고, 이에 경화용 유약에 적신 경화용 붕대를 수회 감아 경화시키는 플래이스터 오브 패리스(Plaster of Paris) 시술방법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시술된 깁스 환자의 발은 정상인의 발에 비하여 부피가 커지기 때문에 정상인이 싣는 신발을 착용할 수 없다. 그래서, 깁스 환자용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는 종래의 깁스 환자용 신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깁스 환자용 신발(1)은 밑창(2)과, 그 밑창(2)의 상부에 깁스 환자의 발과 발목의 일부를 수용하여 보호하도록 된 수용부(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용부(3)는 환자의 발목이 착탈 가능하도록 전면 부위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깁스 환자용 신발(1)이 환자의 발에 착용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환자의 발이 상기 수용부(3)에 수용되어 상기 밑창(2)의 상부에 접촉된 상태가 되면, 상기 수용부(3)와 상기 밑창(2)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상기 수용부(3)가 환자의 발에 눌려 주름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깁스 환자용 신발(1)을 착용한 환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착용시 깁스 환자용 신발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착용자에게 우수한 착용감을 갖도록 된 깁스 환자용 신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은, 밑창과,
상기 밑창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환자의 발과 발목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는 깁스 환자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앞부분은 환자의 발이 착탈되도록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의 뒷부분 하부는 환자의 발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하단 테두리 주위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그 환자의 발 뒤꿈치가 노출되어 외부로 개방되는 주름방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주름방지부의 테두리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원 또는 타원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는 2개의 조각이 착용자의 발 뒤꿈치 상부에서 꿰매어져 상호 결합된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의 앞부분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개폐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은 주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조가 개선되어 착용자에게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깁스 환자용 신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깁스 환자용 신발에 환자의 발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10)은 밑창(20)과, 수용부(30)와, 주름 방지부(3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밑창(20)은 환자의 발바닥과 지면 사이에 위치하여 그 환자의 발바닥이 지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밑창(20)은 일반적으로 우레탄 고무와 같이 탄성이 좋은 소재로 제조된다. 상기 밑창(20)의 바닥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무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밑창(20)의 상부에는 착용자의 발바닥과 접촉하는 부위에 착용자에게 착용감을 좋게 하기 위한 천이나 비닐 또는 가죽 소재의 바닥판이 바느질되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30)는 상기 밑창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용부(30)는 상기 밑창의 상부에 바느질로 꿰매어져 결합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30)는 상기 밑창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환자의 발과 발목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30)의 앞부분은 환자의 발이 착탈되도록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가능한 부위는 벨크로 테이프(37)에 의해 개폐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30)의 상부는 환자의 발목을 위하여 개방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30)는 2개의 조각이 착용자의 발 뒤꿈치 상부에서 꿰매어져 상호 결합된 결합부(3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름 방지부(32)는 상기 수용부(30)의 뒷부분 하부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주름 방지부(32)는 환자의 발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30)의 하단 테두리 주위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주름 방지부(32)는 상기 환자의 발 뒤꿈치가 노출되어 외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름방지부의 테두리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원 또는 타원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깁스 환자용 신발(10)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종래의 깁스 환자용 신발(1)과 차별화되는 구성요소는 주름 방지부(32)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10)의 작용을 설명함에 있어서도 상기 주름 방지부(32)에 초점을 맞춰 서술하도록 한다.
깁스 된 환자의 발과 발목은 일반적으로 정상인의 발과 발목보다 부피가 크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10)을 환자의 발에 착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수용부(30)의 전면부에 마련된 벨크로 테이프(37)를 개방할 필요가 있다. 그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발과 발목을 상기 수용부(30)의 개방된 부분을 통 하여 상기 수용부(30)에 착용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벨크로 테이프(37)를 폐쇄시키면 착용이 완료된다. 그 상태에서 깁스 환자용 신발(10)의 밑창 하부가 살며시 지면에 닿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10)을 착용한 환자의 발 뒤꿈치는 상기 수용부(30) 외부로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환자의 발 뒤꿈치에 눌리는 수용부(30)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주름 방지부(32)가 존재함으로써 상기 환자의 발 뒤꿈치에 눌려 상기 수용부(30)의 하단부가 주름지는 문제점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착용자에게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효과를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주름 방지부(32)는 부수적으로 깁스 환자의 깁스 부위에 통풍이 잘되게 작용하여 위생적으로도 좋은 효과를 미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주름 방지부(32)의 테두리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원 또는 타원의 일부가 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착용자의 발과 상기 주름 방지부(32)의 접촉이 곡선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착용감이 더욱 우수할 뿐 아니라 미관상 환자의 발과 잘 어울리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주름방지부의 테두리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원 또는 타원의 일부인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주름방지부의 테두리가 원 또는 타원의 일부가 아니고 직선 또는 다른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도 효과는 다소 떨어지지만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부는 2개의 조각이 착용자의 발 뒤꿈치 상부에서 꿰매어져 상호 결합된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예컨대 상기 수용부가 1개의 조각으로 형성되거나 3개 이상의 조각으로 형성되어 있더 라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부의 앞부분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개폐가능한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벨크로 테이프가 아니더라도 예컨대 지퍼와 같은 요소에 의하는 경우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수용부의 앞부분을 개폐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도 1은 종래의 깁스 환자용 신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깁스 환자용 신발에 환자의 발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깁스 환자용 신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깁스 환자용 신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깁스 환자용 신발에 환자의 발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깁스 환자용 신방 20...밑창
30...수용부 32...주름 방지부
35...결합부 37...벨크로 테이프

Claims (4)

  1. 밑창과,
    상기 밑창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방으로 연장되어 환자의 발과 발목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가지는 깁스 환자용 신발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앞부분은 환자의 발이 착탈되도록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부의 뒷부분 하부는 환자의 발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의 하단 테두리 주위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그 환자의 발 뒤꿈치가 노출되어 외부로 개방되는 주름방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 환자용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방지부의 테두리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원 또는 타원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 환자용 신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2개의 조각이 착용자의 발 뒤꿈치 상부에서 꿰매어져 상호 결합된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 환자용 신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앞부분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개폐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깁스 환자용 신발.
KR2020070016180U 2007-10-04 2007-10-04 깁스 환자용 신발 KR200900032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180U KR20090003279U (ko) 2007-10-04 2007-10-04 깁스 환자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180U KR20090003279U (ko) 2007-10-04 2007-10-04 깁스 환자용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279U true KR20090003279U (ko) 2009-04-08

Family

ID=4132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180U KR20090003279U (ko) 2007-10-04 2007-10-04 깁스 환자용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27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291B1 (ko) * 2010-12-09 2012-03-13 (주)보고엠앤티 깁스용 신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291B1 (ko) * 2010-12-09 2012-03-13 (주)보고엠앤티 깁스용 신발
WO2012077998A2 (ko) * 2010-12-09 2012-06-14 ㈜보고엠엔티 깁스용 신발
WO2012077998A3 (ko) * 2010-12-09 2012-08-02 ㈜보고엠엔티 깁스용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520716A2 (pt) calçado
US20140352170A1 (en) Modern dance shoe
KR20060048734A (ko) 구두
KR200411392Y1 (ko) 덧신
KR100975991B1 (ko) 보행보조신발
CN209518960U (zh) 一种可穿鞋使用的拇外翻矫正器
KR20090003279U (ko) 깁스 환자용 신발
KR100867845B1 (ko) 보행 보조신발
JP6227342B2 (ja) 脱ぎ履きし易いリハビリ靴
CN207666089U (zh) 一种约束保护功能鞋
KR101157454B1 (ko) 간이신발을 구비한 양말
KR101188698B1 (ko) 깁스 환자용 신발
KR20200057931A (ko) 족부환자의 보행 특성에 적합한 족부환자용 신발
JP2012065827A (ja) 高齢者等用室内履き
RU2395222C2 (ru) Обувь
JP6916567B1 (ja) 履物
RU206419U1 (ru) Ботинки защитные ортопедические
JPS6348165Y2 (ko)
KR200457108Y1 (ko) 실내용 덧버선
KR101224303B1 (ko) 신발
KR200495829Y1 (ko) 기능성 신발
JP4294766B2 (ja) 患足、健足それぞれ片足ずつ選べる靴
JP3056739U (ja) 医療用サポーター
KR20190138223A (ko) 뒤축이 변형되는 기능성 신발
JPH077764Y2 (ja) 外反母趾治療装置付き履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