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3144U - 슬라이드 방식의 분전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방식의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3144U
KR20090003144U KR2020070015964U KR20070015964U KR20090003144U KR 20090003144 U KR20090003144 U KR 20090003144U KR 2020070015964 U KR2020070015964 U KR 2020070015964U KR 20070015964 U KR20070015964 U KR 20070015964U KR 20090003144 U KR20090003144 U KR 200900031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witch
door
display window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9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
Priority to KR20200700159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3144U/ko
Publication of KR20090003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14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52Mounting on rails
    • H02B1/0523Mounting on rails locked into position by a slid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치의 변형이 적고 설치 장소에 대한 제약이 적으며 표시창을 구비하여 편의성을 높인 분전반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분전반은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력의 각 분기회로별 차단을 위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전면에 위치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치의 외부 노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도어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도어부의 하단부에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의 하강을 방지하는 받침대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와 세로 방향의 가이드를 통해 결합되어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며, 상기 받침대부의 전면에는 표시창이 형성되는 슬라이드식 분전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전반(Cabinet Panel), 차단기(Circuit Breaker), 슬라이드(Slide), 시계(Clock), 상태 표시창(Display Window)

Description

슬라이드 방식의 분전반{Slide Type Cabinet Panel}
본원 고안은 분전반에 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누전차단 기능을 포함하는 스위치를 패널 내에 장착하여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력을 배분하는 동시에 전력의 공급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기존의 분전반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통상적으로 스위치(102)가 위치한 본체(101)와, 상기 스위치(102)의 노출과 숨김을 위한 도어(103)를 일측에서 경첩(Hinge, 104)으로 부착하여 여닫이문으로 개폐되게 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개폐구조는 본체(101)에 도어(103)가 경첩(104)으로 부착되었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서 또는 개폐 과정에서 비틀림을 발생시키는 힘을 받아서 사용 빈도 및 사용 시간에 따라 도어(103)나 경첩부위(104)가 변형이 있었다. 또한, 도어(102)의 개폐시 개폐측의 공간(105)이 비어있어야만 하므로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설치 장소에 일정한 제약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분전반 도어 개폐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구현하여 도어 및 경첩의 변형이 없으며 개폐시에 필요한 공간을 줄여 설치 장소에 대한 제약이 적은 분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표시창을 구비함으로써 시계 기능을 겸하여 편의성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표시창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창에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도어를 열어보지 않고도 작동 상태를 알 수 있는 분전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슬라이드식 분전반은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력의 각 분기회로별 차단을 위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전면에 위치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치의 외부 노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도어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도어부의 하단부에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의 하강을 방지하는 받침대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와 세로 방향의 가이드를 통해 결합되어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며, 상기 받침대부의 전면에는 표시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슬라이드식 분전반은,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력의 각 분기회로별 차단을 위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전면에 위치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스위치의 외부 노출을 조절할 수 있는 도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부 전면의 상단의 수평방향의 일렬상 또는 하단의 수평방향의 일렬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부는 상기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 스위치를 모두 가릴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와 세로 방향의 가이드를 통해 결합되어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어 상방으로 슬라이드시 상기 하단에 위치한 스위치를 노출시키고 하방으로 슬라이드시 상기 상단에 위치한 스위치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드식 분전반은, 도어 개폐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구현하여, 도어 및 경첩의 변형이 없어 파손으로 인한 유지보수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해주며, 개폐시에 필요한 공간을 줄여 설치 장소에 대한 제약이 적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분전반은, 표시창을 구비하여 시계기능을 겸함으로써 따로 시계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 활용, 특히 한정된 벽면의 공간을 활용하는 데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분전반은, 표시창에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도어를 열어보지 않고도 작동 상태를 알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리하고, 도어를 자주 여닫을 필요가 없으므로 기기의 파손 가능성이 상대적 으로 적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위 아래 방향으로 도어가 슬라이드 되는 슬라이드식 분전반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위 아래 방향으로 도어가 슬라이드 되는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방향으로 도어가 슬라이드 되는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분전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분전반의 평면도, 정면도, 우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우측면도를 살피면, 도어부(220)는 본체부(210)의 전면에 위치한다. 받침대부(230)는 상기 본체부(210)와 상기 도어부(220)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본체부(2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도어부(220)의 하강을 방지한다. 정면도를 살피면 받침대부(230)의 전면에 표시창(231)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창(231)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 아래에서 따로 살피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분전반의 도어부(220)가 열렸을 때의 정면도이다. 본체부(210)에는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력의 각 분기회로별 차단을 위한 스위치(211)가 하나 이상 위치한다. 도어부(220)는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데, 이것은 도어부(220)에 형성된 세로 방향의 도어측 가이드(221)와 본체부(210)에 형성된 세로 방향의 본체측 가이드(212)에 의해 구현된다. 상기 슬라이드 방식의 구현을 위한 가이드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통해 아래에서 따로 살피기로 한다.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분전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분전반이 닫혀 있는 상태의 평면도, 정면도, 우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어부(320)는 본체부(310)의 전면에 위치하며, 본체부(310)의 전면의 수직 방향으로 가운데 부분을 덮고 있다. 그리고 도어부(320)의 전면에 표시창(321)이 형성되어 있다. 표시창(321)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 아래에서 따로 살피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분전반의 도어부(320)가 열렸을 때의 정면도이다. 본체부(310)에는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력의 각 분기회로별 차단을 위한 스위치(311)가 하나 이상 위치하며, 상기 스위치(311)는 상기 본체부(310) 전면의 상단의 수평방향의 일렬상 또는 하단의 수평방향의 일렬상에 배치된다.
도어부(320)는 슬라이드 방식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데, 이것은 도어부(320)에 형성된 세로 방향의 도어측 가이드(322)와 본체부(310)에 형성된 세로 방향의 본체측 가이드(312)에 의해 구현된다. 도어측 가이드(322)는 본체측 가이드(312)보다 세로 방향으로 길이가 짧으며, 그 길이 차이의 절반이 되는 크기만큼 위로 또는 아래로 슬라이드 형태로 도어부(320)가 움직일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방식의 구현을 위한 가이드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을 통해 아래에서 따로 살피기로 한다.
상기 도어부(320)는 상기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 스위치(311a, 311b)를 모두 가릴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어 상방으로 슬라이드시 상기 하단에 위치한 스위치(311a)를 노출시키고 하방으로 슬라이드시 상기 상단에 위치한 스위치(311b)를 노출시키는 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어부(320)의 열린 상태는 앞서 살핀 실시예에 의한 도 3의 상태와는 다르다. 즉, 도 3에서는 모든 스위치(211)가 노출될 수 있도록 도어부(220)가 열릴 수 있음에 반하여, 도 5에서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어부(320)는 상단 또는 하단의 스위치(311a, 311b)가 노출되는 데 필요한 만큼만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도 4에서와 같이 도어부가 닫힌 상태에서 멈추어 있기 위하여 본체부(310)에 멈춤 홈(313)이 형성되고, 도어부(320)에 멈춤 돌기(323)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멈춤 홈(313)과 멈춤 돌기(323)을 각 귀퉁이에 네 개를 형성하였으나 도어의 재질과 무게에 따라 그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멈춤 홈이 도어부에, 멈춤 돌기가 본체부에 형성되는 형태 또한 당업자에 있어 자명한 사항이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6과 도 7을 통해 슬라이딩 가이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과 도 7은 도 3에서의 I-I`선 또는 도 4에서의 J-J`선을 따라 단면도를 그린 것으로 도 6과 도 7은 다소간의 구성상 차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상의 차이점은 구현상의 차이일 뿐 근본적인 기술적 사상에 있어서는 동일한 것으로, 상기 실시예 이외에도 슬라이드 방식의 구현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6에 있어서 도어부(220, 320)에 형성된 가이드 홈(221,322) 속에 본체부(210, 310)에 형성된 가이드 날(212, 312)이 삽입된다. 구조상 도 2 내지 도 5에 있어서의 좌우방향(도 6에 있어서는 좌우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없고, 가이드 날의 머리 부분의 폭이 가이드 홈의 입구의 폭보다 넓으므로 도 2 내지 도 5에 있어서의 전후방향(도 6에 있어서는 상하방향)으로 빠지지 아니하므로, 도어부는 도 2 내지 도 5에 있어서의 상하방향(도 6에 있어서는 전후방향)으로만 슬라이드식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도 6에 있어서의 도어부의 움직임 방향은 도 7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도 6과 도 7의 차이점만을 살핀다. 먼저, 도 6의 가이드 홈(221, 322)은 사출 성형 등의 방법으로 형성이 가능한 단순한 구조임에 비해 도 7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은 세 개의 요소가 포함된 가이드 레일 어셈블리(50)이다. 상기 가이드 레일 어셈블리(50)는 가이드 레일대(51)와 두 개의 가이드 롤러(52)로 구성되어 도 6의 가이드 홈(221, 322)과 같은 작용을 하면서도 롤러 구조를 통해 마찰을 줄이는 개선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가이드 날(60)은 철판과 같은 탄성 이 있고 판상인 소재로 가운데 공간이 비어 있도록 형성하여 좌우로 신축성을 가지게 하여,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이 주어지면 도어부(220, 320)와 본체부(210, 310)가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이외에도, 도 6에서 가이드 홈(221, 322)이 도어부(220, 320)에 가이드 날(212, 312)이 본체부(210, 310)에 위치한 것과는 달리, 도 7에서는 가이드 레일 어셈블리(50)는 본체부(210, 310)에 가이드 날(60)은 도어부(220, 320)에 위치한다. 즉, 도 6과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 가이드 홈과 가이드 날의 위치가 서로 바뀌더라도 슬라이드 형태의 개폐 방식이라는 기술적 사상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이드 홈과 가이드 날의 위치 외에도, 도 6과 도 7에 있어서 도어 끝단(222, 322)의 형태 및 위치가 상이하다. 즉, 도 6에서는 도어 끝단(222, 322)이가 본체부(210, 310)의 끝단과 일치하는 것에 반하여, 도 7에서는 도어 끝단(222, 322)이 본체부(210, 310)의 끝단보다 바깥에 위치하여 본체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도 6과 같은 도어 끝단이 적용되어 있고, 도 4,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도 7과 같은 도어 끝단이 적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예로서 도 2, 도 3의 분전반에도 도 7과 같은 도어 끝단이 적용될 수 있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 표시창(231, 321)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표시창(231, 321)은 7-Segment형 LCD, LED, TFT-LCD, OLED 등의 다양한 디스 플레이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하게는 아날로그 시계로 시간을 표시할 수 있을 것이며, 7-Segment형 LCD나 LED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도 8과 같이 시계 표시를 7-Segment형 LCD로 구현할 수 있고, 도 9와 같이 작동상태 표시로서 각 스위치의 on-off 상태를 LED로 표시할 수 있다. 도 9에서 스위치가 off 상태인 경우는 LED가 꺼지고 on 상태인 경우에는 LED가 꺼지는 형태 또는 on-off 상태에 따라서 다른 색(예를들어, on 상태에서 초록색, off 상태에서 빨간색)을 점등하는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9의 실시예에 의하면, 주전원 스위치에 해당하는 LED(71)와 콘센트 전원 스위치에 해당하는 LED(73)이 점등되고 에어컨 스위치에 해당하는 LED(72)가 점멸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따로 도어를 열어보지 않고서도 주전원과 콘센트 전원의 스위치는 닫혀있고 에어컨 전원의 스위치는 열려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보다 다양한 응용방식의 표시를 위해서는 TFT-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TFT-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는 시계 표시 외에도 그 해상도의 한계 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장치의 상태 표시가 가능하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를 컨트롤하기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 등을 본 고안의 분전반에 탑재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디스플레이의 컨트롤러 등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생략한다. 상태 표시의 실시예 하나를 도 10에 도시하였다. 도 10에서는 분전반이 주전원 스위치 외에 6개의 분기별 스위치를 갖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사용자는 도 10과 같은 디스플레이창을 보고 주전원 스위치와 콘센트 전원 스위치 등이 닫혀 있고(81, 83), 에어컨 전원 스위치 등이 열려 있 음(82)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어, 따로 도어를 열어보지 않고서 분전반의 동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배전반의 스위치는 누전차단기의 기능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는데, 상기 스위치(211)가 차단된 경우 상기 표시창(231, 321)은 상기 차단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누전 등이 발생하여 전기의 공급이 끊어진 시간을 알 수 있어서 누전 원인의 발견이나 사후 조치에 있어서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표시창(231, 321)의 표시 내용은 상기에서 설명한 표시방법들을 혼용한 것일 수 있다. 즉, 시계 표시와 일정 간격으로 분전반의 상태 표시가 가능하고, 상기 차단된 시간의 표시 또한 병행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은 기존의 분전반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분전반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정면도, 우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분전반이 열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분전반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우측면도,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분전반이 위 아래로 열린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이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창의 예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창의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창의 예시도.

Claims (9)

  1.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력의 각 분기회로별 차단을 위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전면에 위치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스위치의 외부 노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도어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도어부의 하단부에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의 하강을 방지하는 받침대부;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부는 상기 본체부와 세로 방향의 가이드를 통해 결합되어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며,
    상기 받침대부의 전면에는 표시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분전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분전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상기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분전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상기 스위치가 차단된 경우 차단된 시간을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분전반.
  5. 외부로부터 인입된 전력의 각 분기회로별 차단을 위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가 전면에 위치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전면에 위치하며, 상기 스위치의 외부 노출을 조절할 수 있는 도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본체부 전면의 상단의 수평방향의 일렬상 또는 하단의 수평방향의 일렬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부는 상기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 스위치를 모두 가릴 수 있는 길이와 폭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와 세로 방향의 가이드를 통해 결합되어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어 상방으로 슬라이드시 상기 하단에 위치한 스위치를 노출시키고 하방으로 슬라이드시 상기 상단에 위치한 스위치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분전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전면에 표시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식 분전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분전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상기 각 스위치의 개폐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분전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표시창은 상기 스위치가 차단된 경우 차단된 시간을 표시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분전반.
KR2020070015964U 2007-09-28 2007-09-28 슬라이드 방식의 분전반 KR200900031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964U KR20090003144U (ko) 2007-09-28 2007-09-28 슬라이드 방식의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964U KR20090003144U (ko) 2007-09-28 2007-09-28 슬라이드 방식의 분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144U true KR20090003144U (ko) 2009-04-01

Family

ID=43658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964U KR20090003144U (ko) 2007-09-28 2007-09-28 슬라이드 방식의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3144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530B1 (ko) * 2013-03-21 2013-08-16 제일전기통신(주) 슬라이딩 개폐형 도어가 구비된 세대용 통신단자 일체형 분전함
KR20160020092A (ko) * 2014-08-13 2016-02-23 (주)대우건설 벽면 매입방식 콤팩트 분전반
KR101637148B1 (ko) * 2016-03-07 2016-07-07 신교민 커버 분실 방지용 분전반, 이를 포함하는 교통지주, 및 이들의 제작방법
KR101683695B1 (ko) * 2015-11-13 2016-12-07 주식회사 동일이엔티 세대통합단자함의 전기분전함 보조도어슬라이딩 2중 개폐형 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530B1 (ko) * 2013-03-21 2013-08-16 제일전기통신(주) 슬라이딩 개폐형 도어가 구비된 세대용 통신단자 일체형 분전함
KR20160020092A (ko) * 2014-08-13 2016-02-23 (주)대우건설 벽면 매입방식 콤팩트 분전반
KR101683695B1 (ko) * 2015-11-13 2016-12-07 주식회사 동일이엔티 세대통합단자함의 전기분전함 보조도어슬라이딩 2중 개폐형 커버
KR101637148B1 (ko) * 2016-03-07 2016-07-07 신교민 커버 분실 방지용 분전반, 이를 포함하는 교통지주, 및 이들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3144U (ko) 슬라이드 방식의 분전반
EP1838201A1 (de) Integriertes betriebsanzeigeelement
JP5398946B2 (ja) エレベータ通路の制御機構を備えた通路ドアのドア・フレームおよび制御ユニットにアクセスする方法
KR101158653B1 (ko) 접지 스위치의 인터록 장치
ATE511344T1 (de) Glasfaserverteilerschrank mit schwenkbarem einschub
DE102006001251A9 (de) Doppelanordnung von Haushaltsgeräten
US6452810B1 (en) Sliding barrier for an electrical enclosure
KR101756726B1 (ko) 비상 인터록 해제장치가 구비된 배전반의 도어 잠금장치
US4912747A (en) Interlock device for electrical equipment
KR101160326B1 (ko) 공동주택용 스위치보호함
US3871437A (en) Machine guards
CN209881148U (zh) 模数化终端组合电器箱
CN208385261U (zh) 电动操作机构的挂锁结构
EP2088610B1 (en) Containment and segregation compartment for switches and switch untis
CN208065143U (zh) 嵌入式洗碗机
US2883483A (en) Metal-enclosed switchgear
CN219304245U (zh) 一种集成化plc控制柜
CN213680776U (zh) 一种转炉氧枪自动控制装置
CN205104787U (zh) 电梯机房配电箱
CN218369956U (zh) 斗提控制柜防碰撞装置
CN205591801U (zh) 一种单滑块改进型卷帘门限位器
DE202004004280U1 (de) Wohnmöbel mit Schiebetür und Flachbildschirm
KR102308912B1 (ko) 스피드 도어
DE10013034C2 (de) PC-Schaltschrank
KR20040069705A (ko) 세탁기용 컨트롤 패널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