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170U -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 - Google Patents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170U
KR20090002170U KR2020070014487U KR20070014487U KR20090002170U KR 20090002170 U KR20090002170 U KR 20090002170U KR 2020070014487 U KR2020070014487 U KR 2020070014487U KR 20070014487 U KR20070014487 U KR 20070014487U KR 20090002170 U KR20090002170 U KR 200900021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upler
connection pipe
socket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4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기한
Original Assignee
장기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기한 filed Critical 장기한
Priority to KR2020070014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170U/ko
Publication of KR200900021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17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23Universal and rotating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7/00Adjustable joints, Joints allowing movement
    • F16L27/02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 F16L27/04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 F16L27/06Universal joints, i.e. with mechanical connection allowing angular movement or adjustment of the axes of the parts in any direction with partly spherical engaging surfaces with special sealing means between the engaging surfaces

Abstract

본 고안은 커플러의 플러그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플러그를 접속관과, 상기 접속관 양 말단에 회동 및 굴절 가능하게 결합하되 기밀성을 유지하는 제 1몸체와 제 2몸체를 구성하고, 상기 제 1몸체와 제 2몸체를 주름호스로 연결 구성한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소켓과 플러그로 구성되는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를 일정 각도 내에서 자유로운 굴절과 회전 가능하도록 제안하여, 커플러가 구성되는 작업 공구를 사용하는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효과적으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의 플러그 구조에 대한 것이다.
커플러, 카플러, 소켓, 플러그, 유니버설 조인트, 에어공구

Description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plug for universal coupler}
본 고안은 소켓에 플러그가 접속되면 내부에 관로가 개방되어 기체나 유체가 흐르게 하는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플러그의 형상에 관하여 자유로운 굴절과 회전할 수 있는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커플러(coupler)(카플러 또는 카플링)는 호스의 이음부재로써 나사식과 삽입식(원터치식)이 있으며 삽입식은 접속과정이 빠르고 간단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플러, 특히 삽입식의 소켓과 플러그 각각의 구성을 보여주는 결합 구성도이다.
통상 커플러(1)는 소켓(20)에 플러그(10)가 접속되면 소켓밸브(21)가 개방되어 내부에 기체나 유체가 흐르게 하는 것으로서 크게 소켓(20)과, 상기 소켓(20)에 접속되는 플러그(10)로 나누어지며, 이러한 소켓(20)과 플러그(10)는 슬리브(24) 및 록볼(25)에 의해 접속 및 분리가 가능하다.
더욱 자세하게는, 소켓(20)에 플러그(10)를 접속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소켓(20)의 일단에 형성되는 구멍에는 록볼(25)이 위치되어 있고 플러그(10)의 일단에는 상기 록볼(25)이 구속되는 구속홈(11)을 가지는 접속구(12)가 형성되어 있으 며, 각 타단에는 호스나 공구(공기압 공구 등)와 연결되는 연결수단부(13, 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수단부(13, 23)는 호스에 삽입이 수월하도록 형성(23)되거나 통상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상기 커플러는 작업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는 에어건, 에어 드릴, 에어박스 등과 같은 중형 및 소형의 기구에 공기압을 전달하는 호스의 이음부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에 예를 들어 보면, 도 1에서 보이는 종래의 커플러(1)에 있어서, 소켓(20)의 연결수단부(23)는 호스에 연결되고, 플러그(10)의 연결수단부(13)는 에어건에 결합 구성되는 경우, 에어건은 항시 호스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작업자가 소지하고 작업을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커플러 자체는 굴절이나 일정 각도 내의 회전 등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에어건을 사용함에 있어 작업효율이 떨어진다. 이는 에어건에 연결된 호스가 굴절이나 회전 등이 되지 않기 때문에 호스가 꺽이거나 뒤틀리거나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작업자의 행동의지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여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작업자의 피로가 증가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켓과 플러그로 구성되는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를 일정 각도 내에서 자유로운 굴절과 회전할 수 있도록 제안하여, 종래의 일 직선으로 고정된 플러그의 관로를 자유롭게 회동과 굴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커플러가 마련된 작업 공구를 사용하는 작업자로 하여금 보다 효과적으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플러그와 소켓이 상호 결속되면 관로가 개방되어 고압의 기체나 유체가 유동하는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내부 관통부를 가지며, 양 말단에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접속관과; 일단 내부에는 상기 접속관의 일 말단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형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서 경사면으로 확대 연장되는 개방부로 이루어지며, 타단은 상기 소켓에 대응 결합되는 접속구가 형성되는 제 1몸체와; 일단 내부에는 상기 접속관의 타 말단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형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서 경사면으로 확대 연장되는 개방부로 이루어지며, 타단은 호스 또는 공구 등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수단부가 형성되는 제 2몸체와; 상기 접속관의 양단에 결속한 제 1몸체와 제 2몸체 각각을 상호 연결하는 주름호스로 구성되어, 다 방향으로 굴절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몸체 및 제 2몸체 각각의 수용부에는 접속관과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링 형상의 팩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몸체 및 제 2몸체 각각의 수용부에는 접속관의 이탈방지를 위해 다수의 록킹볼을 수용할 수 있는 환형의 홈부로 이루어지는 록킹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 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는, 종래의 일 직선으로 고정된 플러그의 관로를 자유롭게 회동과 굴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커플러가 구성되는 작업 공구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자유로운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는 회전과 굴절이 자유로워 좁은 작업공간과 같은 작업자의 행동이나 공구의 움직임의 제약이 있는 장소에서도 작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는 작업공구에 형성되어 연장연결된 호스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보장하기 때문에 호스의 뒤틀림으로 인한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각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커플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결합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의 굴절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는, 크게 내부 관통부(310)를 관로로 하는 접속관(300)과, 상기 접속관(300) 양 말단에 회동 및 굴절 가능하게 결합하되 기밀성을 유지하는 제 1몸체(100) 및 제 2몸체(200), 그리고 상기 제 1몸체(100)와 제 2몸체(200)를 연결하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접속관(300)의 일부를 보호하는 주름호스(400)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접속관(300)의 양 말단의 형상은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관(300)이 대응하는 삽입되는 각 몸체(100, 200)의 수용부(110, 210) 및 경사면(120, 220)의 개방부를 구성하도록 하여, 상기 각 몸체(100, 200)와 접속관(300)이 자유로운 굴절이 가능하고 접속관(300)이 길이방향을 축으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다른 플러그(10)는 제 1몸체(100)와 제 2몸체(200)가 접속관(300)에 의해 서로 연장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접속관(300)은 기체나 유체의 관로를 형성하기 위한 내부 관통부(310)가 구성된다. 그리고 외형은 양 말단에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속관(300)은 특히, 양 말단의 경우 제 1몸체(100)와 제 2몸체(200)의 각 내부 수용부(110, 210)에 삽입되어 면 접촉을 하여 굴절이나 회전을 하기 때문에 그 재질의 선택에 있어, 내 마모성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1몸체(100)와 제 2몸체(200)를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중복하여 따로 설명하지 않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요소는 도면부호를 기재하여 구분하도록 한다.
상기 각 몸체(100, 200)는 일단 내부에는 상기 접속관(300)의 말단 각각이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형의 수용부(110, 210)가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110, 210)에 접속관(300)의 말단이 삽입 결속되어 자유로운 굴절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굴절을 위해 상기 각 몸체(100, 200)의 일단에는 상기 수용부(110, 210)에서 경사면(120)으로 확대 연장되는 개방부가 구성된다.
상기 각 몸체(100, 200)의 개방부에 형성되는 경사면(120, 220)은 삽입 결속된 접속관(300)의 굴절각(최대 굴절되는 정도)의 위하여 경사면(120, 22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접속관(300)의 외경(양 말단의 구형이 서로 이어지는 중간부의 일직선의 직경)과 상관하여 지정하도록 한다.
도 4에서와 같이, 접속관(300)이 각 몸체(100, 200)에 대하여 최대 22°정도 경사질 수 있도록 경사면(120, 220)을 구성하도록 하여, 상기 접속관(300)이 상하좌우로 최대 44°(22°의 경사면이 서로 대향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의 움직일 수 있는 각도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각 몸체(100, 200)에 삽입 결속된 접속관(100)의 내부 관통로(310)는, 상기 각 몸체(100, 200)에 형성된 내부 관로와 연결되기 때문에 기밀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 몸체(100, 200)의 수용부(110) 내측면에는 상기 접속관(300)의 구형 말단부에 항시 밀착되는 팩킹부(115, 215)가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팩킹부(115, 215)는 통상 밸브 등에 사용되는 밀폐용 고무재 링(U 링 등)이면 충분하다.
또한, 도 3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각 몸체(100, 200)에 삽입 결속된 접속관(1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의 록킹볼(a)을 수용할 수 있는 환형의 홈부로 구성되는 록킹홈부(116, 216)를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 록킹홈부(116, 216)에 끼워지는 다수의 록킹볼(a)은 통상의 소형의 금속 볼이면 충분하며 소켓(20)에 마련되는 록볼(25)과 동일한 재질이면 충분하다.
상기 록킹홈부(116, 216)에 마련되는 록킹볼(a)들은 각 몸체(100, 200)의 외부에 상기 수용부(110, 210)로 관통 형성된 록킹볼 삽입홀(117, 217)에 의해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록킹홈부(116, 216)와 이에 끼워지는 다수의 록킹볼(a)은, 접속관(300)에 있어 구형 말단이 시작하는 인접부위에 대응하도록 위치시켜, 상기 접속관(300)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접속관(300)의 굴절시 접속되어 있는 록킹볼(a)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표면 마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각 몸체(100, 200)는 접속관(300)을 사이에 두고 양 단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특히 제 1몸체(100)의 타단은 소켓(20)에 대응 결합되는 접속구(12)가 형성되며, 제 2몸체(200)의 타단은 호스 또는 공구 등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수단부(13)가 형성된다. 이는 통상의 플러그(10)의 양단에 구성되는 접속구(12)와 연결수단부(13)와 동일한 구성이면 충분하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 1몸체(100)와 제 2몸체(200) 각각을 상호 연결하는 주름호스(400)를 더욱 구성하도록 하여 각 몸체(100, 200) 및 그 사이에 연결 구성된 접속관(300)을 보호하고, 상기 서로 연동하여 움직이는 각 구성체(100, 200, 300)에 작업자의 손등이 예상치 않게 다치는 일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주름호스(400)의 재질은 고무재 또는 금속재 등으로 선택적으로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한 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커플러의 소켓과 플러그 각각의 구성을 보여주는 결합 구성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커플러의 구성을 보여주는 결합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의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플러그의 굴절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1 : 커플러
10 : 플러그 20 : 소켓
11 : 구속홈 12 : 접속구
13, 23 : 연결수단부 21 : 소켓 밸브
24 : 슬리브 25 : 록볼
100 : 제 1몸체 200 : 제 2몸체
300 : 접속관
110, 210 : 수용부 120, 220 : 개방부
115, 215 : 팩킹부 116, 216 : 록킹홈부
117, 217 : 록킹볼 삽입홀 a : 록킹볼

Claims (3)

  1. 플러그(10)와 소켓(20)이 상호 결속되면 관로가 개방되어 고압의 기체나 유체가 유동하는 커플러(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10)는
    내부 관통부(310)를 가지며, 양 말단에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접속관(300)과;
    일단 내부에는 상기 접속관(300)의 일 말단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형의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에서 경사면(120)으로 확대 연장되는 개방부로 이루어지며, 타단은 상기 소켓(20)에 대응 결합되는 접속구(12)가 형성되는 제 1몸체(100)와;
    일단 내부에는 상기 접속관(300)의 타 말단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형의 수용부(210)와 상기 수용부(210)에서 경사면(220)으로 확대 연장되는 개방부로 이루어지며, 타단은 호스 또는 공구 등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수단부(13)가 형성되는 제 2몸체(200)와;
    상기 접속관(300)의 양단에 결속한 제 1몸체(100)와 제 2몸체(200) 각각을 상호 연결하는 주름호스(400)로 구성되어, 다 방향으로 굴절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몸체 및 제 2몸체 각각의 수용부(110, 210)에는,
    접속관(300)과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링 형상의 팩킹부(115, 2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몸체 및 제 2몸체 각각의 수용부(110, 210)에는,
    접속관(300)의 이탈방지를 위해 다수의 록킹볼(a)을 수용할 수 있는 환형의 홈부로 이루어지는 록킹홈부(116, 2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
KR2020070014487U 2007-08-30 2007-08-30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 KR2009000217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487U KR20090002170U (ko) 2007-08-30 2007-08-30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4487U KR20090002170U (ko) 2007-08-30 2007-08-30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170U true KR20090002170U (ko) 2009-03-04

Family

ID=4150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4487U KR20090002170U (ko) 2007-08-30 2007-08-30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17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308B1 (ko) * 2013-04-29 2014-11-03 주식회사 해솔 에어호스 플러그의 잔압제거장치
AU2019363012B2 (en) * 2018-10-19 2022-08-04 Vetco Gray Scandinavia As Misalignment accommodating hydraulic coupl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308B1 (ko) * 2013-04-29 2014-11-03 주식회사 해솔 에어호스 플러그의 잔압제거장치
AU2019363012B2 (en) * 2018-10-19 2022-08-04 Vetco Gray Scandinavia As Misalignment accommodating hydraulic coup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21559B2 (ja) 急速継手
US5458375A (en) Rotary connector for fluid conduits
US20090051161A1 (en) Multiconnector For a Conduit
JPH07505696A (ja) 流体継手
BRPI0710624B1 (pt) conjunto de acoplamento giratório para proporcionar uma conexão giratória em um circuito hidráulico sensível à carga entre uma pluralidade pares de linhas
JP2011064324A (ja) 安全装置付きクイックカップリング
RU2402713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AU2008229413B2 (en) Male coupling for connecting to female threaded coupling
JP2018515731A (ja) 押し込み式接続及び引っ張り式分離型クイック継手
KR970009020B1 (ko) 압력매체 라인용 플러그형 안전 커플링
JP4454662B2 (ja) 同軸継ぎ手
NO964638L (no) Pneumatisk koblingselement
US5326072A (en) Plug-in safety coupling, in particular for compressed air lines
KR101757575B1 (ko) 퀵 커플링장치
KR20090002170U (ko) 유니버설 커플러의 플러그
JP2010078027A5 (ko)
JP2010078027A (ja) 配管用継手
KR101038481B1 (ko) 호스 꼬임 방지 에어커플러
EP3278001B1 (en) Self-sealing end fitting
KR20110082670A (ko) 고압 유체 이송용 커플링
KR200435432Y1 (ko) 멀티타입 에어커플러 어셈블리
JP3354933B2 (ja) 圧力配管用の差込み継手
CN104565627A (zh) 流体导管铰接接头、双铰接接头、由接头和双接头组成的水枪
KR101025223B1 (ko) 관절 스위벨
KR102075113B1 (ko) 각도 가변형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